KR200181262Y1 - 동파이프 연결구 - Google Patents

동파이프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1262Y1
KR200181262Y1 KR2019990026727U KR19990026727U KR200181262Y1 KR 200181262 Y1 KR200181262 Y1 KR 200181262Y1 KR 2019990026727 U KR2019990026727 U KR 2019990026727U KR 19990026727 U KR19990026727 U KR 19990026727U KR 200181262 Y1 KR200181262 Y1 KR 2001812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pper pipe
connection
mother
c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67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판곤
Original Assignee
김판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판곤 filed Critical 김판곤
Priority to KR20199900267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12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12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12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65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the wedging action being effected by means of a 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배관공사에서 모관의 연결부에 동파이프를 연결할때 그 연결부에 삽입되는 동파이프를 안전하게 연결시킬수 있도록 누설방지 장치를 구비한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인 것은, 모관(1)의 일측에 수나사관으로된 연결부(102)를 형성하여 연결부(102) 내부에 단턱(1')을 만들고 그 단턱(1') 외측에 테프론수지제 와셔(4)(4')와 고무패킹(5)을 끼워서 그 외측에서 내측으로 내외측에 돌출관(3a)(3b)이 형성되고 외측돌출관은 외주면이 경사면(3c)으로된 압착관(3)을 끼워 연결부 속으로 동파이프를 끼워넣고 모관(1)의 수나사관에 체결너트(2)를 나사끼움하면 체결너트(2)가 압착관(3)을 가압하고 압착관(3)이 패킹(5)과 와셔(4)(4')를 가압하여 패킹의 직경을 팽창시킬수 있게 구성한 누설방지구를 구비하여 연결부에 끼워지는 동파이프가 누설없는 결합이 이루어지게 한 것으로 에어컨공사나 수도관공사를 비롯하여 온수배관공사에서 동파이프의 연결을 안전하게 할수 있고 조립이 간편하여 일의 능률을 올릴수 있는 배관이 가능케한 것이다.

Description

동파이프 연결구{Copper pipe connector}
본 고안은 각종 에어컨공사나 수도공사와 같은 배관공사에서 모관의 연결부에 동파이프를 연결할때 동파이프를 안전하게 연결할수 있도록 하기위해 고안된 동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인 것은, 연결부에 끼워지는 동파이프의 연결부에 누설이 발생하지 않도록 누설방지구를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에도 각종 배관공사에서 동파이프를 연결할때 연결부의 연결부속에 동파이프의 끝을 집어넣고 동파이프 표면에 가압링을 끼워서 체결너트를 조이면 가압링이 동파이프의 표면을 조이면서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연결하는 고안이 개발되어 있다.그러나 종래의 가압링은 양단이 절단되어 가락지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체결너트에 의거 가압링이 압력을 받으면 내경이 수축되므로 일단 가압되면 탄력성을 잃어서 가압링의 외경이 확대되지 않기 때문에 연결부에 삽입된 동파이프가 충격을 받을 경우 연결부에 수축복원력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누설간극을 치유할수가 없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보완하고져 안출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더욱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 단면도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사용상태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모관(母管) 1' : 단턱
101 : 동파이프 102 : 연결부103 : 수나사 2 : 체결너트
2a : 중심공 2b : 가압부3 : 압착관 3a,3b : 돌출관3c : 경사면 4,4' : 와셔5 : 고무패킹 11 : 누설방지구
각종 배관공사에 사용되는 모관(밸브, 니풀 등)(1)의 연결부에 수나사(103)로되는 연결부(102)를 형성하여 연결부(102) 내측에 단턱(1')을 만들고 그 단턱(1') 외측에 테프론수지제 와셔(4)(4')와 고무패킹(5)을 끼운다음 그 외측에서 내측으로 내측과 외측에 돌출관(3a)(3b)이 형성되고 외측돌출관(3b)은 외주면이 경사면(3c)으로된 압착관(3)을 끼우는 누설방지구(11)를 장치하여 모관(1) 연결부에 동파이프(101)를 끼워넣고 체결너트(2)를 나사조임시키면 체결너트(2)가 압착관(3)을 가압하고 압착관(3)이 고무패킹(5)과 와셔(4)(4')를 가압하여 연결부 내측에서 고무패킹이 직경방향으로 확장되어 동파이프(101)가 끼워진 연결부 내측을 밀봉시켜 누설없는 연결이 이루어지게 한 구성이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은 모관의 연결부(102) 내측단턱(1') 테프론수지제 와셔(4)를 끼우고 고무패킹(5)을 끼운 다음 테프론수지제 와셔(4')를 끼워서 압착관(3)을 끼운다음 동파이프(101)를 그 중심공으로 끼워 넣고 체결너트(2)를 연결부(102)의 수나사(103)에 나사조립하면 체결너트(2)가 연결부(102)의 수나사에 나사조립되면서 내측으로 진입하여 중심공(2a) 내측 가압부(2b)가 압착관(3)의 경사면(3c)을 내측으로 가압하면서 진입하게 되므로 내측돌출관(3a)이 와셔(4')를 눌러 고무패킹(5)과 와셔(4)를 압착하게 되고 이러한 압착력에 의하여 고무패킹(5)은 양측의 와셔(4)(4') 사이에서 압력을 받아 직경방향으로 그 외경이 확장되기 때문에 연결부(102) 내면과 동파이프(101) 표면 사이를 밀봉시켜 누설의 간격을 적극적으로 해소시키게 되어 누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그리고, 압착관(3)은 외측돌출관(3b) 둘레가 경사면(3c)으로 되어 있어서 체결너트(2)가 진입되면서 그 가압부(2b)가 경사면(3c)을 가압하면 외측돌출관(3b)의 내경이 수축되어 동파이프(101)의 표면에 밀착하므로 견고한 결합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고안은 동파이프(101)의 표면을 가공하지 않더라도 모관(1)의 연결부에 끼워넣고 누설없이 안전하게 연결시킬수 있는 배관작업이 가능하고 고무패킹(5)과 와셔(4)(4')가 3중으로 압착되어 누설방지구조를 형성하므로 에어컨배관공사와 같은 프레온가스의 누설요인이 있는 배관공사를 안전하게 하여 환경의 오염을 예방할뿐 아니라 테프론수지제 와셔(4)(4')는 내열성이 양호하여 온수배관은 물론이고 열매체의 순환과 같은 특수용도의 배관에도 사용이 가능한 이점을 얻을수 있고 조립이 간편하여 작업 능률을 올릴수 있는 이점을 얻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각종 배관공사에 사용되는 모관(1)의 연결부에 수나사로되는 연결부(102)를 형성하여 그 내측에 단턱(1')을 만들고 단턱(1') 외측에 테프론수지제 와셔(4)(4')와 고무패킹(5)을 끼워서 그 외측에서 내측으로 내측과 외측에 돌출관(3a)(3b)이 형성되고 외측돌출관(3b)은 외주면이 경사면(3c)으로된 압착관(3)을 끼우는 누설방지구(11)를 장치하고 연결부(102)에 조립되는 체결너트(2)의 중심공(2a) 내측 가압부(2b)가 압착관(3)의 경사면(3c)을 가압하여 고무패킹(5)과 와셔(4)(4')를 압착시킬수 있게한 동파이프 연결구
KR2019990026727U 1999-12-01 1999-12-01 동파이프 연결구 KR2001812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6727U KR200181262Y1 (ko) 1999-12-01 1999-12-01 동파이프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6727U KR200181262Y1 (ko) 1999-12-01 1999-12-01 동파이프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1262Y1 true KR200181262Y1 (ko) 2000-05-15

Family

ID=19599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6727U KR200181262Y1 (ko) 1999-12-01 1999-12-01 동파이프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126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52556Y2 (ko)
US4695080A (en) Pipe connection
US20030057701A1 (en) Pipe connection structure
JPS62278397A (ja) 薄肉管用管継手
JP4939826B2 (ja) 管継手の組立て方法
JPH04248095A (ja) 流体機器の管継手構造
US20090167017A1 (en) Plug connector for piping
KR200181262Y1 (ko) 동파이프 연결구
KR100341920B1 (ko) 보일러용 온수 분배기 및 회수기의 관연결구 또는 볼밸브연결구조
JP2004100808A (ja) ヘッダー接続用継手構造
KR200197297Y1 (ko) 파이프 배관용 연결구
KR200252276Y1 (ko) 관연결구용 패킹
JPH10196867A (ja) チューブ用継手
KR100453736B1 (ko) 고밀폐 관 접속구
JP2001254878A (ja) 蛇腹管用管継手
KR200299412Y1 (ko) 관 연결구조
JP2702069B2 (ja) 銅管などの可塑性管の接手装置
KR200315555Y1 (ko) 배관 연결용 밴드구조
JP2519080Y2 (ja) 樹脂製管継手
KR200228268Y1 (ko) 배관 조인트 링
KR980008810U (ko) 복합형 파이프 연결밸브
KR200150002Y1 (ko) 배관연결구조
KR200176623Y1 (ko) 동파이프 연결구
JPH0914535A (ja) 圧縮管継手
KR200238545Y1 (ko) 파이프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