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3342A - 전선관이 적용된 조명기구용 실링장치 및 상기 실링장치가 구비된 조명기구 - Google Patents
전선관이 적용된 조명기구용 실링장치 및 상기 실링장치가 구비된 조명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33342A KR20230033342A KR1020210116195A KR20210116195A KR20230033342A KR 20230033342 A KR20230033342 A KR 20230033342A KR 1020210116195 A KR1020210116195 A KR 1020210116195A KR 20210116195 A KR20210116195 A KR 20210116195A KR 20230033342 A KR20230033342 A KR 2023003334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ducer
- pressure
- seal
- wire
- connecto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10000004907 gland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82 brigh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99 cor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 felt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389 graphe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49 leather substitu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21V31/005—Sealing arrangements theref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21S8/0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by suspension
- F21S8/061—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by suspension with a non-rigid pendant, i.e. a cable, wire or chai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21S8/0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by suspension
- F21S8/06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by suspension from a stretched w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관이 적용된 조명기구용 실링장치 및 상기 실링장치가 구비된 조명기구에 관한 것이다. 조명기구용 실링장치는, 전선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조명기구의 본체에 장착되며, 전선을 통과시키는 전선관을 본체에 대해 밀폐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본체의 상부에 일체를 이루고, 상기 전선구멍을 내부 영역에 수용하는 일정직경의 커넥터와; 커넥터에 장착되며 전선관의 하단부와 결합하는 레듀서와; 커넥터에 내장된 상태로 전선을 감싸는 탄력성 링형 부재로서, 커넥터에 대한 레듀서의 결합 시 레듀서에 의해 압박되며, 전선방향과 커넥터 내벽면 방향으로 팽창하여 기밀을 유지시키는 압박시일이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조명기구는, 케이블그랜드를 대체하는 밀폐형 레듀서와 전선관을 구비하므로, 전선을 은폐함은 물론 본체내의 수분의 침투를 완벽히 차단할 수 있고, 흔들림이 없으며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조명기구는, 케이블그랜드를 대체하는 밀폐형 레듀서와 전선관을 구비하므로, 전선을 은폐함은 물론 본체내의 수분의 침투를 완벽히 차단할 수 있고, 흔들림이 없으며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갖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명기구 및 조명기구에 내장되는 실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선관이 적용됨에도 불구하고 조명기구 내부로의 습기침투가 완벽히 차단되어 전기적 고장을 방지하는, 전선관이 적용된 조명기구용 실링장치 및 상기 실링장치가 구비된 조명기구에 관한 것이다.
조명기구는, 어두운 실내를 밝히거나, 공간의 분위기를 아름답게 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설치 방식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가령, 천장면에 매립하는 매립형, 전선이나 행거를 이용해 천장에 매다는 팬던트형, 벽면에 고정하는 벽체 고정형, 바닥면을 비추는 플로어램프나 풋라이트, 선반이나 테이블에 설치하는 테이블램프 등이 있다.
이러한 다양한 조명기구 중, 천장에 매달아 설치하는 것은, 램프와 갓을 갖는다. 갓은 램프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실내 공간으로 반사하는 역할을 하며, 내측에 램프가 결합하는 소켓을 구비한다. 또한 갓에는,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력을 램프로 유도하는 각종 부품이 내장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는 일반적인 조명기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조명기구(10)는, 전선홀더(12), 전선(11), 갓(13), 본체(15), 램프(17)로 이루어진다. 전선(11)은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력을 본체(15) 내부로 인가하는 것으로서, 그 자체가 조명기구를 공중에 유지시키는 행거의 역할을 한다. 본체(15)와 갓(13)과 램프(17)의 하중이 전선(11)에 인가되는 것이다. 참고로, 본체(15)에는 램프를 구동하기 위한 안정기 등의 전기부품과 소켓 등이 설치된다.
그런데 이러한 타입의 조명기구는, 전선(11)이 조명기구의 무게를 감당해야 하므로, 구조적으로 안전하지 못하고, 전선으로부터 본체가 분리될 수 있으며 바람이 부는 경우 조명기구가 흔들린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습도가 높은 실내에서는 전선에 맺힌 수분이 전선을 타고 내려가 본체(15) 내부로 침투함으로써 램프를 손상시키거나 화재를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선(11)을 전선관(19)에 은폐시키기도 한다. 전선관(19)은 수직의 중공파이프로서, 상단부는 전선홀더(12)에, 하단부는 본체(15)에 고정되며, 조명기구를 흔들리지 않게 지지한다. 그러나 전선관(19)을 사용하더라도, 본체 내부로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여전히 차단하지는 못하였다.
이와 관련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2038634호를 통해, 수분 침투 방지기능을 갖는 조명기구가 개시된 바 있다.
개시된 조명기구는, 결합부분이 패킹으로 밀폐되고 내부에 조명등이 설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외부 전선이 케이블그랜드로 하우징에 고정되어 내부 조명등에 전기를 공급하되, 케이블그랜드는 내부가 관통된 형상을 이루어 전선이 관통되고, 하우징에 형성된 구멍에 나사 결합되는 하우징결합부와 하우징결합부 반대편에 형성되어 하우징 외부로 드러나는 너트결합부, 그리고 하우징결합부와 너트결합부 사이에 형성되는 구분턱 및 너트결합부에 수용되면서 전선 외주면을 압박하는 패킹수단을 포함하여 너트결합부에 너트가 체결됨으로써 패킹수단이 전선을 압박하며 기밀을 유지하게 되고, 너트결합부에 내부에서 외부로 관통하는 통기구가 형성되는 한편, 통기구에는 필터가 설치되고, 구분턱에서 너트와 접하는 면에서부터 너트결합부 외주면을 따라 통기구에 이르는 유로홈이 형성되어, 너트가 구분턱에 밀착할 때까지 조여지더라도 통기구로 공기가 유통될 수 있게 되는 반면 수분의 침투는 방지되는 구성을 갖는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조명기구는, 방수를 위해 케이블그랜드를 사용하므로 방수성은 충족될 수 있지만, 전선관을 적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보통, 케이블그랜드를 사용하면 갓에 전선관을 결합할 수 없는데, 그 이유는 전선관을 결합할 부분을 케이블그랜드가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선관을 사용할 수 없으므로, 본체 내부로의 습기 침투는 막는다 하더라도, 전선이 그대로 노출됨으로서 갖는 문제는 피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조명기구의 본체 내부로의 수분의 침투를 차단하고 전선관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조명기구용 실링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선을 은폐함은 물론 본체내의 수분의 침투를 완벽히 차단할 수 있고, 흔들림이 없으며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갖는, 조명기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전선관이 적용된 조명기구용 실링장치는, 전선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조명기구의 본체에 장착되며, 전선을 통과시키는 전선관을 본체에 대해 밀폐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본체의 상부에 일체를 이루고, 상기 전선구멍을 내부 영역에 수용하는 일정직경의 커넥터와; 커넥터에 장착되며 전선관의 하단부와 결합하는 레듀서와; 커넥터에 내장된 상태로 전선을 감싸는 탄력성 링형 부재로서, 커넥터에 대한 레듀서의 결합 시 레듀서에 의해 압박되며, 전선방향과 커넥터 내벽면 방향으로 팽창하여 기밀을 유지시키는 압박시일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넥터의 내부에는, 압박시일의 팽창 시, 압박시일의 외주면과 밀착하는 내향밀착면과, 압박시일을 받쳐 지지하는 받침면이 형성되고, 상기 압박시일은;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성형 제작되며, 일정직경을 가지고 레듀서에 의한 압박 시 탄성 변형하여 전선의 외주면에 밀착하는 내측압박면, 상기 내향밀착면에 밀착하는 외측압박면, 레듀서로부터 가압력을 전달받는 레듀서가압면, 받침면에 접하는 하단밀착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면은, 전선구멍을 향해 하향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면은, 전선구멍을 향해 하향 경사지되 만곡된 형상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면은, 전선구멍을 향해 하향 경사지되, 상호 다른 경사각을 갖는 제1받침면부와 제2받침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압박시일의 레듀서가압면과 하단밀착면에는, 압박시일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위아래로 개방된 V자형 제1,2팽창유도홈이 각각 형성되고, 제1팽창유도홈에는, 삼각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링형 부재로서, 레듀서로부터 가해지는 가압력을 압박시일로 전달하여 압박시일의 변형량을 확대하는 제1변형량확대링이 정착되고, 제2팽창유도홈에는, 삼각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링형 부재로서, 레듀서로부터 인가되는 가압력에 대응하는 반작용력을 압박시일로 가하여, 압박시일의 변형량을 확대하는 제2변형량확대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박시일의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압입된 공기에 의해 벌어져, 내측압박면과 외측압박면이, 전선과 내향밀착면을 가압하게 하는 팽창슬릿이 형성되고, 압박시일의 레듀서가압면에는, 공기를 보유하며 레듀서의 압박에 의해 압착되어 보유 공기를 팽창슬릿으로 보내어 팽창슬릿이 벌어지게 하는 공기주입링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조명기구는, 전선이 통과하는 전선구멍을 갖는 본체와; 본체의 상부에 일체를 이루고 전선구멍을 내부 영역에 수용하는 일정직경의 커넥터와; 커넥터에 위치조절 가능하게 결합하는 레듀서, 커넥터에 내장된 상태로 전선을 감싸는 링형 부재로서 커넥터에 대한 레듀서의 결합 시 레듀서에 의해 압박되며 전선방향과 커넥터 내벽면 방향으로 팽창하여 기밀을 유지시키는 압박시일을 갖는 실링장치와; 하단부가 레듀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전선을 통과시키는 전선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의 내부에는, 압박시일의 팽창 시, 압박시일의 외주면과 밀착하는 내향밀착면과, 압박시일을 받쳐 지지하는 받침면이 형성되고, 상기 압박시일은;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성형 제작되며, 일정직경을 가지고 레듀서에 의한 압박 시 탄성 변형하여 전선의 외주면에 밀착하는 내측압박면, 상기 내향밀착면에 밀착하는 외측압박면, 레듀서로부터 가압력을 전달받는 레듀서가압면, 받침면에 접하는 하단밀착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박시일의 레듀서가압면과 하단밀착면에는, 압박시일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위아래로 개방된 V자형 제1,2팽창유도홈이 각각 형성되고, 제1팽창유도홈에는, 삼각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링형 부재로서, 레듀서로부터 가해지는 가압력을 압박시일로 전달하여 압박시일의 변형량을 확대하는 제1변형량확대링이 정착되고, 제2팽창유도홈에는, 삼각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링형 부재로서, 레듀서로부터 인가되는 가압력에 대응하는 반작용력을 압박시일로 가하여, 압박시일의 변형량을 확대하는 제2변형량확대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박시일의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압입된 공기에 의해 벌어져, 내측압박면과 외측압박면이, 전선과 내향밀착면을 가압하게 하는 팽창슬릿이 형성되고, 압박시일의 레듀서가압면에는, 공기를 보유하며 레듀서의 압박에 의해 압착되어 보유 공기를 팽창슬릿으로 보내어 팽창슬릿이 벌어지게 하는 공기주입링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조명기구는, 케이블그랜드를 대체하는 밀폐형 레듀서와 전선관을 구비하므로, 전선을 은폐함은 물론 본체내의 수분의 침투를 완벽히 차단할 수 있고, 흔들림이 없으며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갖는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조명기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용 실링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압박시일의 형상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4의 압박시일의 변형 예의 구성을 나타내 보인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용 실링장치의 변형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압박시일의 절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링형돌기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장치에 적용 가능한 압박시트의 또 다른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용 실링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압박시일의 형상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4의 압박시일의 변형 예의 구성을 나타내 보인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용 실링장치의 변형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압박시일의 절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링형돌기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장치에 적용 가능한 압박시트의 또 다른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링장치는, 조명기구에 장착되어 조명기구에 방진 방수의 능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테면 본체 내부로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조명장치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다. 특히 케이블그랜드를 사용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완벽한 밀봉 상태를 유지하고 전선관을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링장치는, 전선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조명기구의 본체에 장착되며, 전선을 통과시키는 전선관을 본체에 대해 밀폐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본체의 상부에 일체를 이루고, 상기 전선구멍을 내부 영역에 수용하는 일정직경의 커넥터와; 커넥터에 장착되며 전선관의 하단부와 결합하는 레듀서와; 커넥터에 내장된 상태로 전선을 감싸는 탄력성 링형 부재로서, 커넥터에 대한 레듀서의 결합 시 레듀서에 의해 압박되며, 전선방향과 커넥터 내벽면 방향으로 팽창하여 기밀을 유지시키는 압박시일이 포함되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실링장치가 구비된 조명기구는, 전선이 통과하는 전선구멍을 갖는 본체와; 본체의 상부에 일체를 이루고 전선구멍을 내부 영역에 수용하는 일정직경의 커넥터, 커넥터에 위치조절 가능하게 결합하는 레듀서, 커넥터에 내장된 상태로 전선을 감싸는 링형 부재로서 커넥터에 대한 레듀서의 결합 시 레듀서에 의해 압박되며 전선방향과 커넥터 내벽면 방향으로 팽창하여 기밀을 유지시키는 압박시일을 갖는 실링장치와; 하단부가 레듀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전선을 통과시키는 전선관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30)의 측면도이고, 도 4는 조명기구에 적용되는 실링장치(4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압박시일(50)의 형상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30)는, 본체(31), 커넥터(33), 실링장치(40), 전선관(19)을 구비한다.
본체(31)는, 램프(17)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기판과 안정기 등의 전기 요소를 수용하는 케이스로서 그 모양은 다양하다. 또한, 본체(31)의 하부에는 갓(35)이 구비된다. 갓(35)은 램프(17)에서 조사되는 빛을 실내공간으로 반사한다.
또한 본체(31)의 상부 중앙에는 전선구멍(41g)이 형성되어 있다. 전선구멍(41g)은 전선(11)이 통과하는 구멍이다. 전선(11)은 전선구멍(41g)을 통과하여 본체(31)의 내부공간(31a)으로 삽입된다.
커넥터(33)는, 본체(31)의 상부 중앙에 일체를 이루는 원통형 부재로서, 전선구멍(41g)을 그 내부 영역에 수용한다. 아울러, 커넥터(33)의 내주면에는 나사결합부(33b)와 내향밀착면(33c)이 마련되어 있다.
나사결합부(33b)는 암나사산으로서 레듀서(41)의 수나사부(41c)와 결합한다. 나사결합부(33b)에 대한 레듀서(41)의 나사 결합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레듀서(41)의 높이 조절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내향밀착면(33c)은 압박시일(50)의 외측압박면(54)에 대응하는 면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레듀서(41)가 압박시일(50)을 도 4의 화살표 a방향으로 하향 가압하면, 외측압박면(54)이 반지름 방향으로 팽창하며 내향밀착면(33c)에 강력하게 밀착한다.
아울러, 커넥터(33)의 바닥에는 받침면(33a)이 마련되어 있다. 받침면(33a)은 압박시일(50)을 받쳐 지지하는 경사면으로서, 내향밀착면(33c)의 하단부로부터 전선구멍(41g)을 향해 하향 경사져 있다.
이와 같이 받침편(33a)을 경사지게 형성한 이유는 두 가지이다. 하나는 압박시일(50)의 원주방향 단면이 사다리꼴을 가지되 (압박시일의 단면 모양만 보았을 때) 내측압박면(53)이 외측압박면(54)의 길이보다 긴 모양을 가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나머지 하나는 레듀서(14)에 의해 하부로 압박되는 압박시일(50)을 화살표 c방향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것이다.
내측압박면(53)의 길이가 외측압박면(54)의 길이보다 길다는 의미는, 전선(11)에 대한 내측압박면(53)의 밀착면적이, 내향밀착면(33c)에 대한 외측압박면(54)의 밀착면적이 넓다는 것이다. 밀착면적이 넓을수록 방수능력이 양호해짐은 물론이다.
외부의 습기가 전선구멍(41g)으로 침투하는 통로는, 커넥터(33)와 레듀서(41)의 사이틈새(제1통로), 전선(11)과 레듀서(41)의 사이틈새(제2통로)이다. 그런데, 제1통로는, 어차피, 압박시일(50)의 하단밀착면(56)이 경사진 받침면(33a)을 압박하고 있으므로, 내향밀착면(33c)과 외측압박면(54) 간의 밀봉 부하는 제2통로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다. 바꿔 말하면 제2통로의 밀봉 부하가 제1통로에 비해 큰 것이다. 내측압박면(53)의 길이를 외측압박면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한 이유이다.
또한 압박시일(50)을 화살표 c방향으로 편향 시키는 이유는, 내측압박면(53)이 전선(11)을 가압하는 힘(f1)을, 외측압박면(54)이 내향밀착면(33c)을 압박하는 힘(f2)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유지하기 위해서이다. 이 또한 제2통로의 밀봉을 더욱 강력하게 유지하기 구현하기 위함이다.
압박시일(50)은, 내향밀착면(33c)의 내측에서 전선(11)을 감싸는 링형 부재로서, 도 5에 도시한 단면형상을 갖는다. 압박시일(50)은 고무, 실리콘, 코르크, PVC계열 합성수지, PE계열 합성수지, 펠트, 나일론, 그래핀,천연 또는 합성피혁 등으로 제작 가능하다. 압박시일(50)은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 가능하다.
도시한 바와 같이, 압박시일(50)은, 전선통로(51)를 제공하는 내측압박면(53), 외측압박면(54), 레듀서가압면(55), 하단밀착면(56)을 갖는다.
내측압박면(53)은, 일정내경을 가지고 레듀서에 의한 압박 시 탄성적으로 변형하여 전선(11)의 외주면을 압박한다. 즉 외력에 의해 전선에 강하게 밀착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외측압박면(54)은 레듀서의 가압력을 받아 내향밀착면(33c)에 밀착하여 밀폐 상태를 유지한다.
레듀서가압면(55)은 레듀서 하단의 하단가압부(41k)로부터 힘을 받는 부분이다. 즉, 레듀서(41)로부터 가압력을 전달받는 평면이다. 또한 하단밀착면(56)은 받침면(33a)에 접하는 면이다. 당연히 하단밀착면(56)과 받침면(33a)의 경사각은 동일하다. 이러한 압박시일(50)은, 말하자면, 사다리꼴의 단면형상을 취한다.
상기한 밀착 구조를 갖는 한에서, 압박시일(50)의 사이즈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하단밀착면(56)과 외측압박면(54)이 만나는 절곡선과, 하단밀착면(56)과 내측압박면(53)이 만나는 절곡선의 수직방향 높이, 즉, H는, 내측압박면(53) 내경(D)의 1/5 내지 1의 비율의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아울러 각도 θ는 20도 내지 50도 일 수 있다.
한편, 레듀서(41)는 커넥터(33)에 전선관(19)을 연결하는 연결용 부속으로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에는 암나사부(41a)가 하측에는 수나사부(41c)를 갖는다.
암나사부(41a)는 전선관(19)의 하단부와 나사 결합하는 부분이다. 전선관(19)은 전선(11)을 통과시키는 중공파이프로서 레듀서(41)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또한 수나사부(41c)는 본체(31)의 나사결합부(33b)와 나사 결합한다. 특히 나사결합부(33b)에 대한 수나사부(41c)의 결합 정도를 조절하여, 압박시일(50)에 대한 압박력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레듀서의 하단가압부(41k)가 압박시일(50)을 화살표 a방향으로 누르는 힘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하단가압부(41k)는 압박시일(50)의 레듀서가압면(55)을 내리 누르는 평면이다. 하단가압부(41k)가 레듀서가압면(55)을 가압하면, 압박시일(50)의 두께가 얇아지며, 내측압박면(53)은 화살표 f1방향으로, 외측압박면(54)은 화살표 f2방향으로 팽창한다.
전선(11)은 램프(17)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으로서, 전선관(19), 레듀서(41), 압박시일(50), 전선구멍(41g)을 차례로 통과하여 본체(31)의 내부공간(31a)에 끼워진다. 도면부호 43은 전선관(19)의 하단부와 레듀서(41)의 사이 틈새를 밀폐하는 플랫시일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4의 압박시일의 변형 예의 구성을 나타내 보인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타입의 압박시일(50)은 볼록하게 만곡된 형상의 하단밀착면(57)을 갖는다. 도 5의 경우, 하단밀착면(56)의 단면이 직선 형상이지만, 도 6과 같이 하부로 볼록하게 제작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형상의 압박시일(50)이 적용되는 커넥터(33)의 받침면(33e)은 하단밀착면(56)의 형상에 대응하여 오목하다. 받침면(33e)의 기능은 위에 설명한 받침면(도 4의 33a)과 같다.
도 7의 압박시일(50)은 하단밀착면(58)이 제1경사부(58a)와 제2경사부(58b)로 이루어진다. 제1경사부(58a)는 외측압박면(54)에 이어지고, 제2경사부(58b)는 내측압박면(53)에 이어진다. 또한, 수평선(Z)에 대한 제2경사부(58b)의 각도 θ2는 도 5을 통해 설명한 각도 θ와 같다. 아울러, 수평선(Z)에 대한 제1경사부(58a)의 각도 θ1은 θ2의 절반이다.
상기 형상을 갖는 압박시일(50)이 적용되는 커넥터(33)의 받침면(33h)은 제1받침면부(33f)와 제2받침면부(33g)로 이루어진다. 제1받침면부(33f)는 제1경사부(38a)를, 제2받침면부(33g)는 제2경사부(58b)를 지지한다. 받침면(33h)의 기능은 위에 설명한 받침면(도 4의 33a)과 같다.
도 8에 도시한 압박시일(50)은, 하단밀착면(56)의 상단부에 걸림돌기(59)를 갖는다. 걸림돌기(59)는 마치 계단의 형상을 취하는 부분으로서, 커넥터(33) 내부의 지지턱(33k)에 걸린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용 실링장치(40)의 변형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압박시일의 절제 사시도이다. 또한,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링형돌기(61d)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 9의 압박시일(60)의 상부와 하부에는, 제1변형량확대링(63)과 제2변형량확대링(64)이 구비된다. 제1,2변형량확대링(63,64)을 설치할 수 있도록, 압박시일(60)의 상면 및 저면, 즉, 레듀서가압면과 하단밀착면에 해당하는 부위에는, 제1,2팽창유도홈(61a,61b)이 형성되어 있다. 압박시일(60) 자체의 기능은 위에 설명한 바와 같다.
제1팽창유도홈(61a)은 압박시일(60)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부로 개방된 V자형 홈이다. 마찬가지로, 제2팽창유도홈(61b)은 압박시일(60)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하부로 개방된 V자형 홈이다. 제1,2팽창유도홈(61a,61b)의 사이각의 범위는 120도 내지 150도 일 수 있다.
제1변형량확대링(63)은, 삼각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링형 부재로서 제1팽창유도홈(61a)에 끼워진다. 제1변형량확대링(63)은 탄성변형 되지 않는 강재로서, 레듀서로부터 가해지는 하향 가압력을 압박시일(60)로 전달하여 압박시일의 변형량을 확대하는 역할을 한다. 즉, 레듀서(41)로부터 내려오는 수직의 힘을, 압박시일(60)에 화살표 p방향으로 전달하는 것이다.
제2변형량확대링(64)은, 삼각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링형 부재로서 제2팽창유도홈(61b)에 삽입된다. 제2변형량확대링(64)도 탄성변형 되지 않는 강재 제작된다. 제2변형량확대링(64)은, 받침면(33m)으로부터 전달되는 반작용령을 압박시일(60)로 전달하여 압박시일의 변형량을 확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압박시일(60)에 화살표 q방향의 힘을 전달한다. 반작용력이라 함은 레듀서(41)의 하향 가압력에 대응하는 반작용력을 의미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압박시일(60)이 적용되는 커넥터(33)의 받침면(33m)은 경사지지 않고 내향밀착면(33c)에 대해 직각을 이룬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압박시일(60)이, 제1,2변형량확대링(63,64)에 의해 측방향으로 늘어나는 힘을 받으므로, 더욱 강력한 밀폐 효과를 얻을 수 있따.
더 나아가 내측압박면(53)에는 다수의 평행한 링형돌기(61d)가 형성되어 있다. 링형돌기(61d)는 일정 간격을 이루며 전선(11)의 외주면에 밀착하고, 그 사이에 밀폐공간(61e)을 제공한다. 밀폐공간(61e)에는 공기가 갖혀 있는데, 밀폐공간(61e)에 갇혀 있는 공기 자체가, 압박시일(60)의 밀폐능력을 더욱 향상시킨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장치(40)에 적용 가능한 압박시일(50)의 또 다른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압박시일(50)의 내부에 팽창슬릿(52a)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압박시일(50)의 상측에는 공기주입링(71)이 일체로 마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팽창슬릿(52a)은, 압박시일(50)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부로 개방되어 있는 틈새로서, 공기주입링(71)으로부터 압입된 공기에 의해 벌어져, 도 12b와 같이, 내측압박면(53)과 외측압박면(54)이, 전선(11)과 내향밀착면(33c)을 가압하게 한다.
공기주입링(71)은 압박시일(50)의 레듀서가압면에 일체를 이루는 링형 부재로서, 팽창슬릿(52a)을 향해 개방된 밀폐공간(71a)을 갖는다. 밀폐공간(71a)에는 공기가 채워져 있다.
공기주입링(71)은, 레듀서(41)의 압박에 의해 하부로 찌그러지며, 밀폐공간(71a)에 보유하고 있던 공기를 팽창슬릿(52a)으로 내려 보낸다. 팽창슬릿(52a)으로 압입된 공기는, 팽창슬릿(62a)을 벌린다.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팽창슬릿(62a)이 벌어짐에 따라, 내측압박면(53)과 외측압박면(54)이, 전선(11)과 내향밀착면(33c)을 가압하며, 강력한 밀폐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조명기구 11:전선 12:전선홀더
13:갓 15:본체 17:램프
19:전선관 30:조명기구 31:본체
31a:내부공간 33:커넥터 33a:받침면
33b:나사결합부 33c:내향밀착면 33e:받침면
33f:제1받침면부 33g:제2받침면부 33h:받침면
33k:지지턱 33m:받침면 35:갓
40:실링장치 41:레듀서 41a:암나사부
41c:수나사부 41g:전선구멍 41k:하단가압부
43:플랫시일 50:압박시일 51:전선통로
52a:팽창슬릿 53:내측압박면 54:외측압박면
55:레듀서가압면 56:하단밀착면 57:하단밀착면
58:하단밀착면 58a:제1경사부 58b:제2경사부
59:걸림돌기 60:압박시일 61a:제1팽창유도홈
61b:제2팽창유도홈 61d:링형돌기 61e:밀폐공간
63:제1변형량확대링 64:제2변형량확대링 71:공기주입링
71a:밀폐공간
13:갓 15:본체 17:램프
19:전선관 30:조명기구 31:본체
31a:내부공간 33:커넥터 33a:받침면
33b:나사결합부 33c:내향밀착면 33e:받침면
33f:제1받침면부 33g:제2받침면부 33h:받침면
33k:지지턱 33m:받침면 35:갓
40:실링장치 41:레듀서 41a:암나사부
41c:수나사부 41g:전선구멍 41k:하단가압부
43:플랫시일 50:압박시일 51:전선통로
52a:팽창슬릿 53:내측압박면 54:외측압박면
55:레듀서가압면 56:하단밀착면 57:하단밀착면
58:하단밀착면 58a:제1경사부 58b:제2경사부
59:걸림돌기 60:압박시일 61a:제1팽창유도홈
61b:제2팽창유도홈 61d:링형돌기 61e:밀폐공간
63:제1변형량확대링 64:제2변형량확대링 71:공기주입링
71a:밀폐공간
Claims (11)
- 전선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조명기구의 본체에 장착되며, 전선을 통과시키는 전선관을 본체에 대해 밀폐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본체의 상부에 일체를 이루고, 상기 전선구멍을 내부 영역에 수용하는 일정직경의 커넥터와;
커넥터에 장착되며 전선관의 하단부와 결합하는 레듀서와;
커넥터에 내장된 상태로 전선을 감싸는 탄력성 링형 부재로서, 커넥터에 대한 레듀서의 결합 시 레듀서에 의해 압박되며, 전선방향과 커넥터 내벽면 방향으로 팽창하여 기밀을 유지시키는 압박시일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이 적용된 조명기구용 실링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내부에는, 압박시일의 팽창 시, 압박시일의 외주면과 밀착하는 내향밀착면과, 압박시일을 받쳐 지지하는 받침면이 형성되고,
상기 압박시일은;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성형 제작되며, 일정직경을 가지고 레듀서에 의한 압박 시 탄성 변형하여 전선의 외주면에 밀착하는 내측압박면, 상기 내향밀착면에 밀착하는 외측압박면, 레듀서로부터 가압력을 전달받는 레듀서가압면, 받침면에 접하는 하단밀착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이 적용된 조명기구용 실링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면은, 전선구멍을 향해 하향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이 적용된 조명기구용 실링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면은, 전선구멍을 향해 하향 경사지되 만곡된 형상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이 적용된 조명기구용 실링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면은, 전선구멍을 향해 하향 경사지되, 상호 다른 경사각을 갖는 제1받침면부와 제2받침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이 적용된 조명기구용 실링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시일의 레듀서가압면과 하단밀착면에는, 압박시일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위아래로 개방된 V자형 제1,2팽창유도홈이 각각 형성되고,
제1팽창유도홈에는,
삼각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링형 부재로서, 레듀서로부터 가해지는 가압력을 압박시일로 전달하여 압박시일의 변형량을 확대하는 제1변형량확대링이 정착되고,
제2팽창유도홈에는,
삼각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링형 부재로서, 레듀서로부터 인가되는 가압력에 대응하는 반작용력을 압박시일로 가하여, 압박시일의 변형량을 확대하는 제2변형량확대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이 적용된 조명기구용 실링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시일의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압입된 공기에 의해 벌어져, 내측압박면과 외측압박면이, 전선과 내향밀착면을 가압하게 하는 팽창슬릿이 형성되고,
압박시일의 레듀서가압면에는, 공기를 보유하며 레듀서의 압박에 의해 압착되어 보유 공기를 팽창슬릿으로 보내어 팽창슬릿이 벌어지게 하는 공기주입링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이 적용된 조명기구용 실링장치. - 전선이 통과하는 전선구멍을 갖는 본체와;
본체의 상부에 일체를 이루고 전선구멍을 내부 영역에 수용하는 일정직경의 커넥터와;
커넥터에 위치조절 가능하게 결합하는 레듀서, 커넥터에 내장된 상태로 전선을 감싸는 링형 부재로서 커넥터에 대한 레듀서의 결합 시 레듀서에 의해 압박되며 전선방향과 커넥터 내벽면 방향으로 팽창하여 기밀을 유지시키는 압박시일을 갖는 실링장치와;
하단부가 레듀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전선을 통과시키는 전선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내부에는, 압박시일의 팽창 시, 압박시일의 외주면과 밀착하는 내향밀착면과, 압박시일을 받쳐 지지하는 받침면이 형성되고,
상기 압박시일은;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성형 제작되며, 일정직경을 가지고 레듀서에 의한 압박 시 탄성 변형하여 전선의 외주면에 밀착하는 내측압박면, 상기 내향밀착면에 밀착하는 외측압박면, 레듀서로부터 가압력을 전달받는 레듀서가압면, 받침면에 접하는 하단밀착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시일의 레듀서가압면과 하단밀착면에는, 압박시일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위아래로 개방된 V자형 제1,2팽창유도홈이 각각 형성되고,
제1팽창유도홈에는,
삼각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링형 부재로서, 레듀서로부터 가해지는 가압력을 압박시일로 전달하여 압박시일의 변형량을 확대하는 제1변형량확대링이 정착되고,
제2팽창유도홈에는,
삼각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링형 부재로서, 레듀서로부터 인가되는 가압력에 대응하는 반작용력을 압박시일로 가하여, 압박시일의 변형량을 확대하는 제2변형량확대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시일의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압입된 공기에 의해 벌어져, 내측압박면과 외측압박면이, 전선과 내향밀착면을 가압하게 하는 팽창슬릿이 형성되고,
압박시일의 레듀서가압면에는, 공기를 보유하며 레듀서의 압박에 의해 압착되어 보유 공기를 팽창슬릿으로 보내어 팽창슬릿이 벌어지게 하는 공기주입링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16195A KR102545347B1 (ko) | 2021-09-01 | 2021-09-01 | 전선관이 적용된 조명기구용 실링장치 및 상기 실링장치가 구비된 조명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16195A KR102545347B1 (ko) | 2021-09-01 | 2021-09-01 | 전선관이 적용된 조명기구용 실링장치 및 상기 실링장치가 구비된 조명기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33342A true KR20230033342A (ko) | 2023-03-08 |
KR102545347B1 KR102545347B1 (ko) | 2023-06-20 |
Family
ID=85507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16195A KR102545347B1 (ko) | 2021-09-01 | 2021-09-01 | 전선관이 적용된 조명기구용 실링장치 및 상기 실링장치가 구비된 조명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45347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20018Y1 (ko) * | 2000-08-18 | 2001-04-16 | 김상열 | 배관 연결클램프 |
KR101318238B1 (ko) * | 2013-08-05 | 2013-10-15 | 승진산업 (주) | 전선보호용 내압 방폭 플렉시블 케이블 그랜드 |
KR101742709B1 (ko) * | 2016-08-18 | 2017-06-01 | 동부라이텍 주식회사 | 방수성능 개선형 방폭등 |
KR102038634B1 (ko) | 2018-05-09 | 2019-10-30 | 박근회 | 수분 침투 방지기능을 갖는 조명기구 |
-
2021
- 2021-09-01 KR KR1020210116195A patent/KR10254534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20018Y1 (ko) * | 2000-08-18 | 2001-04-16 | 김상열 | 배관 연결클램프 |
KR101318238B1 (ko) * | 2013-08-05 | 2013-10-15 | 승진산업 (주) | 전선보호용 내압 방폭 플렉시블 케이블 그랜드 |
KR101742709B1 (ko) * | 2016-08-18 | 2017-06-01 | 동부라이텍 주식회사 | 방수성능 개선형 방폭등 |
KR102038634B1 (ko) | 2018-05-09 | 2019-10-30 | 박근회 | 수분 침투 방지기능을 갖는 조명기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45347B1 (ko) | 2023-06-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76026B1 (ko) | 내진형 조명설비 어셈블리와 이것이 결합되는 현수선 구조설비 | |
KR101552459B1 (ko) | 스프링클러용 엔드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스프링클러 고정장치 | |
CA3136961C (en) | Lighting system | |
KR102545347B1 (ko) | 전선관이 적용된 조명기구용 실링장치 및 상기 실링장치가 구비된 조명기구 | |
JP6865571B2 (ja) | 照明器具 | |
US11608969B2 (en) | Luminaire structures | |
US20060274536A1 (en) | Adding a lighting apparatus to an existing recessed lighting can | |
US11118769B1 (en) | Rotating and tilting lighting fixtures | |
KR101781596B1 (ko) | 연결 접속형 바 타입 조명기구 | |
KR200495500Y1 (ko) | 행거형 조명등의 협지형 거치장치 | |
JP2018097924A (ja) | 照明器具 | |
JP2015015133A (ja) | 照明器具 | |
KR101225422B1 (ko) | 조명기구 | |
KR101941663B1 (ko) | 모드 전환형 듀얼 조명등 | |
KR200292043Y1 (ko) | 매립형 조명등기구 | |
KR100653331B1 (ko) | 조명용 등기구 장치를 내장한 배선덕트의 구조 | |
JP2021026903A (ja) | 灯具伸縮構造、灯具、及び照明装置 | |
KR102082940B1 (ko) | 천장등용 설치장치 | |
CN212430589U (zh) | 明装灯具 | |
KR100641816B1 (ko) | 반사갓을 구비한 배선덕트 | |
CN214425798U (zh) | 一种分体式高防水型led投光灯 | |
JP3025435B2 (ja) | 天井埋込型照明器具 | |
US8152343B2 (en) | Lamps and harp adaptor apparatuses for use with loop light shades | |
SU1449759A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 ввода сетевых проводов в водозащищенный светильник | |
KR20230002340U (ko) | 지지용 클립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