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8634B1 - 수분 침투 방지기능을 갖는 조명기구 - Google Patents

수분 침투 방지기능을 갖는 조명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8634B1
KR102038634B1 KR1020180053282A KR20180053282A KR102038634B1 KR 102038634 B1 KR102038634 B1 KR 102038634B1 KR 1020180053282 A KR1020180053282 A KR 1020180053282A KR 20180053282 A KR20180053282 A KR 20180053282A KR 102038634 B1 KR102038634 B1 KR 102038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nut
coupling part
vent
cable gl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근회
Original Assignee
박근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근회 filed Critical 박근회
Priority to KR1020180053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86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8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8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21V31/005Sealing arrangemen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4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water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분 침투 방지기능을 갖는 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결합부분이 패킹으로 밀폐되고 내부에 조명등이 설치되는 하우징(100)을 포함하고, 외부 전선(300)이 케이블그랜드(200)로 상기 하우징(100)에 고정되어 내부 조명등에 전기를 공급하되, 상기 케이블그랜드(200)에 수분 침투는 방지하면서도 공기는 유통되는 통기구(262)가 형성되어, 하우징 내부 온도 변화에 의한 압력 변화에 따라 통기가 가능하게 되는 능력이 확보되면서도 하우징 내부로의 수분 침투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조명기구를 얻을 수 있게 되는 수분 침투 방지기능을 갖는 조명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분 침투 방지기능을 갖는 조명기구{Lighting fixtures with water penetration protection}
본 발명은 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분 침투는 방지되면서도 통기 능력을 확보하여 조명기구 내부의 압력 상승시 공기를 원활하게 배출하면서도 조명기구 내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수분 침투 방지기능을 갖는 조명기구에 관한 것이다.
조명기구는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것이므로 방수구조를 채택할 필요가 있다. 특히 야외나 습기가 많은 환경에 설치되는 조명기구에서는 부품이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 내부로 습기가 유입될 경우 부품의 손상이나 누전 등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방수구조는 필수적으로 채택되게 된다.
일반적인 방수구조는 패킹에 의해 달성되고 있다. 분리 및 결합되는 지점에 패킹을 설치하고 꽉 조여서 밀폐시키는 구조가 그것이다. 하우징 자체 외에도 하우징 내부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선도 방수구조로 형성되는 케이블그랜드로 설치됨으로써 습기가 하우징이 내부로 습기가 유입되지 않게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밀폐구조로 형성되는 조명기구는 사용시 조명등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하우징 내부가 상당한 정도로 가열되게 된다. 그런데 하우징이 밀폐된 상태이기 때문에 하우징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이 방출되지 못하게 된다. 그에 따라 하우징 내부 공기가 가열되면서 부피가 팽창하고, 그 결과 패킹이 설치된 지점으로 공기가 조금씩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패킹에 의해 밀폐되어 있기는 하지만 하우징 내부 압력이 상당하여 패킹이 설치된 지점을 통해 공기가 빠져나가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조명기구가 장시간 사용되는 상태에서 하우징 내부는 거의 진공상태에 이르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 이른 뒤 조명기구의 사용이 중지되면 가열되어 있던 조명기구가 식으면서 하우징 내부도 온도가 내려가게 된다. 그에 따라 하우징 내부에 음압이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다시 패킹이 설치된 지점으로 유입되게 되는데, 이때 외부 습기도 공기와 같이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다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과정이 반복되면서 하우징 내부에는 습기의 양이 증가할 수 있고, 그러한 습기는 부품을 부식시키는 등 손상을 유발하고 심할 경우 하우징 내부에 습기가 맺혀 누전을 유발하는 등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87622호(2017. 7. 31.)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20-1989-0006311호(1989. 9. 2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이 밀폐되어 있기는 하지만, 공기의 유통은 가능하면서도 습기의 유입을 막을 수 있게 형성되는 조명기구를 제안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 내부로의 수분의 침투는 방지하면서도 공기는 유통되는 통기구를 형성한 조명기구를 제안하여 하우징 내부 온도가 올라가 압력이 상승하는 경우 통기구를 통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고 하우징 내부 온도가 내려가 외부 공기가 하우징 내부로 유입될 때 수분이 유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의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조명기구의 외관을 별달리 변경시키기 않으면서도 하우징 내부와 외부 간에 수분의 침투가 방지되는 통기구조가 확보되는바, 하우징 내부 온도 변화에 의한 압력 변화에 따라 통기가 가능하게 되는 능력이 확보되면서도 하우징 내부로의 수분 침투 현상은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조명기구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명기구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명기구의 각부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명기구의 통기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유로홈을 통한 통기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이 밀폐되어 있기는 하지만 공기의 유통은 가능하면서도 습기의 유입을 막을 수 있게 형성되는 조명기구를 제안하기 위해,
결합부분이 패킹으로 밀폐되고 내부에 조명등이 설치되는 하우징이 구비되어 외부 전선이 케이블그랜드로 하우징에 고정되어 내부 조명등에 전기를 공급하되, 상기 케이블그랜드에 수분 침투는 방지하면서도 공기는 유통되는 통기구가 형성되어 수분 침투 방지기능을 갖는 조명기구를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명기구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명기구의 각부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명기구의 통기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유로홈을 통한 통기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조명기구는 일정한 형상으로 되어 내부에 조명등이 설치되는 하우징(100)을 포함한다. 이러한 하우징(100)은 몸체가 분할되어 조명등을 내부에 설치한 다음 조립할 수 있게 형성되는바, 결합부분에 패킹이 설치됨으로써 밀폐된다.
상기 하우징(100)에는 전선(300)이 설치된다. 전선(300)은 하우징(100) 벽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여 하우징(100) 내부로 전기를 공급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구멍에는 케이블그랜드(200)가 설치되고 전선(300)이 케이블그랜드(200)를 관통하여 고정된다. 이러한 케이블그랜드(200)는 주지된 바와 같이 전선(300)이 하우징(10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전선(300)이 설치된 지점을 통해 공기가 유통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케이블그랜드(200)에 통기구(262)가 형성되는바, 상기 통기구(262)는 수분이 하우징(100) 내부로 침투되는 것은 방지하면서도 공기는 유통될 수 있는 구조를 이루게 형성된다. 따라서 하우징(100) 내부 온도가 상승함으로써 압력이 상승하게 되면 하우징(100) 내부 공기가 통기구(262)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고, 하우징(100) 내부 온도가 하락하면 외부 공기가 통기구(262)를 통해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되게 되는데, 이때 수분이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그랜드(200)는 일정한 길이로 되는 원통형의 몸체로 된다. 내부가 관통된 형상을 이루어 전선(300)이 관통할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케이블그랜드(200)는 하우징(100)에 형성된 구멍에 나사 결합되는 하우징결합부(220)와 상기 하우징결합부(220) 반대편에 형성되어 하우징(100) 외부로 드러나는 너트결합부(260)를 포함한다. 하우징결합부(220)와 너트결합부(260)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결합부(220)와 너트결합부(260) 사이에는 구분턱(240)이 형성된다. 케이블그랜드(200) 몸체 외주를 따라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구분턱(240)은 하우징(100)에 형성되는 상기 구멍보다 지름이 크게 형성되어 하우징결합부(220)가 상기 구멍에 체결되는 경우 하우징(100) 외주에 밀착된다. 구분턱(240)의 외주는 다각형상을 이루어 공구를 이용해 볼트를 조이듯이 하우징결합부(220)를 하우징(100)에 형성된 구멍에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때 하우징결합부(220)에 패킹이 미리 끼워짐으로써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너트결합부(260)에는 패킹수단(270)이 수용된다. 패킹수단(270)은 전선(300)이 관통할 수 있는 형상으로 되고, 대략 원추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패킹수단(270)은 상기 너트결합부(260)에 체결되는 너트(280)에 의해 너트결합부(260) 내부로 밀려 들어가게 되는데, 이에 따라 패킹수단(270)의 외주면이 너트결합부(260)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내주면은 전선(300)의 외주면을 압박하면서 밀착되게 된다. 그 결과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그랜드(200)에서 통기구(262)는 너트결합부(260)에 형성된다. 너트결합부(260) 외주에서 내부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패킹수단(270) 앞쪽(구분턱 방향)에 형성된다. 통기구(262)는 구멍인바, 규격은 대략 0.5~1mm 정도의 지름을 이룬다. 이때 통기구(262)는 수분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지름을 최대한 작게 하면서 복수 개를 천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너트결합부(260) 내부와 전선(300) 사이는 패킹수단(270)에 의해 기밀이 유지된 상태이므로, 하우징(100) 내부 공기는 하우징결합부(220)를 지나 통기구(26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되고, 반대로 하우징(100) 외부 공기가 하우징(100) 에 형성된 통기구(262)를 통해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통기구(262)에는 필터(266)가 설치된다. 필터(266)는 하우징(100) 외부로부터의 수분 침투는 최소화하거나 방지하면서도 공기는 유통되는 재질로 형성된다. 수분의 입자가 공기의 입자보다 큰 것을 감안하여 수분은 쉽게 통과하지 못하면서 공기는 통과할 수 있는 재질, 예를 들면 밀도가 높은 스펀지 등으로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필터(266)는 수분을 완벽하게 차단할 필요는 없다. 소량의 수분이 하우징(100) 내부로 침투되더라도 조명등을 켜서 하우징(100) 내부 온도가 상승하면 증발하여 통기구(262)로 배출되기 때문이다.
상기 필터(266)는 너트결합부(260) 내부에서 통기구(262) 입구에 형성될 수 있고, 달리 통기구(262) 내부에 채워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필터(266)를 설치하는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일정 폭으로 된 링 형태로 형성하여 너트결합부(260) 내부에 끼워주는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게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너트결합부(260) 외주에는 통기구(262)에 이르는 유로홈(26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로홈(264)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280)가 너트결합부(260)에 조여져 통기구(262)를 덮게 되더라도 공기가 통기구(262)로 유통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유로홈(264)은 구분턱(240)에서부터 형성될 수 있는바, 너트(280)가 구분턱(240)에 밀착할 때까지 조여지더라도 통기구(262)로 공기가 유통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분턱(240)에 형성되는 유로홈(264)은 너트(280)와 접하는 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조명기구에 따르면, 하우징(100) 내부와 외부 간에 기존에 설치되던 케이블그랜드(200)의 구조를 개선하여 수분의 침투가 방지되는 통기구조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외관을 변화시키기 않고도 하우징 내부의 반복적인 온도 변화에 따른 하우징 내부로의 수분 침투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수분으로 인한 조명기구의 손상이나 합선 등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조명기구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100 : 하우징, 200 : 케이블그랜드,
220 : 하우징결합부, 240 : 구분턱,
260 : 너트결합부, 262 : 통기구,
264 : 유로홈, 266 : 필터,
270 : 패킹수단, 280 : 너트,
300 : 전선.

Claims (4)

  1. 결합부분이 패킹으로 밀폐되고 내부에 조명등이 설치되는 하우징(100)을 포함하고, 외부 전선(300)이 케이블그랜드(200)로 상기 하우징(100)에 고정되어 내부 조명등에 전기를 공급하되,
    상기 케이블그랜드(200)는 내부가 관통된 형상을 이루어 전선(300)이 관통되고, 하우징(100)에 형성된 구멍에 나사 결합되는 하우징결합부(220)와 상기 하우징결합부(220) 반대편에 형성되어 하우징(100) 외부로 드러나는 너트결합부(260), 그리고 상기 하우징결합부(220)와 너트결합부(260) 사이에 형성되는 구분턱(240) 및 상기 너트결합부(260)에 수용되면서 전선(300) 외주면을 압박하는 패킹수단(270)을 포함하여 상기 너트결합부(260)에 너트(280)가 체결됨으로써 패킹수단(270)이 전선(300)을 압박하며 기밀을 유지하게 되고,
    상기 너트결합부(260)에 내부에서 외부로 관통하는 통기구(262)가 형성되는 한편, 통기구(262)에는 필터(266)가 설치되고, 상기 구분턱(240)에서 너트(280)와 접하는 면에서부터 상기 너트결합부(260) 외주면을 따라 통기구(262)에 이르는 유로홈(264)이 형성되어, 상기 너트(280)가 구분턱(240)에 밀착할 때까지 조여지더라도 통기구(262)로 공기가 유통될 수 있게 되는 반면 수분의 침투는 방지되는 수분 침투 방지기능을 갖는 조명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80053282A 2018-05-09 2018-05-09 수분 침투 방지기능을 갖는 조명기구 KR102038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282A KR102038634B1 (ko) 2018-05-09 2018-05-09 수분 침투 방지기능을 갖는 조명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282A KR102038634B1 (ko) 2018-05-09 2018-05-09 수분 침투 방지기능을 갖는 조명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8634B1 true KR102038634B1 (ko) 2019-10-30

Family

ID=68463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282A KR102038634B1 (ko) 2018-05-09 2018-05-09 수분 침투 방지기능을 갖는 조명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86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16245A1 (en) * 2021-04-09 2022-10-13 Bi̇med Tekni̇k Aletler Sanayi̇ Ve Ti̇caret Anoni̇m Şi̇rketi̇ A pressure balancing gland suitable for use in hazardous environments
KR20230033342A (ko) 2021-09-01 2023-03-08 (주)알더블유티 전선관이 적용된 조명기구용 실링장치 및 상기 실링장치가 구비된 조명기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6311Y1 (ko) 1987-01-07 1989-09-20 배준집 케이블 그랜드
WO2008011854A1 (de) * 2006-07-25 2008-01-31 Hidde Axel R Kabeldurchführung mit membranventil 2
KR20080003508U (ko) * 2007-02-20 2008-08-25 원영선 램프 하우징의 전원케이블 방수 고정물
JP2012102807A (ja) * 2010-11-10 2012-05-31 Kitagawa Ind Co Ltd ベントパッキン
KR20170087622A (ko) 2016-01-21 2017-07-31 삼상이엔지(주) 2중 방수 구조를 가지는 led 조명등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6311Y1 (ko) 1987-01-07 1989-09-20 배준집 케이블 그랜드
WO2008011854A1 (de) * 2006-07-25 2008-01-31 Hidde Axel R Kabeldurchführung mit membranventil 2
KR20080003508U (ko) * 2007-02-20 2008-08-25 원영선 램프 하우징의 전원케이블 방수 고정물
JP2012102807A (ja) * 2010-11-10 2012-05-31 Kitagawa Ind Co Ltd ベントパッキン
KR20170087622A (ko) 2016-01-21 2017-07-31 삼상이엔지(주) 2중 방수 구조를 가지는 led 조명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16245A1 (en) * 2021-04-09 2022-10-13 Bi̇med Tekni̇k Aletler Sanayi̇ Ve Ti̇caret Anoni̇m Şi̇rketi̇ A pressure balancing gland suitable for use in hazardous environments
KR20230033342A (ko) 2021-09-01 2023-03-08 (주)알더블유티 전선관이 적용된 조명기구용 실링장치 및 상기 실링장치가 구비된 조명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76735B2 (en) Linear LED luminaire for use in harsh and hazardous locations
KR102038634B1 (ko) 수분 침투 방지기능을 갖는 조명기구
US6874905B1 (en) Pathway light fixture
KR101846950B1 (ko) 2중 방수 구조를 가지는 led 조명등
AU2015273030B2 (en) An underwater light fitting
US4345306A (en) Luminaire mounting device
KR200445393Y1 (ko) 드레인구조를 갖는 복합 케이블 그랜드
CN109310897B (zh) 减压装置
US11708969B2 (en) In grade light fixture and subassemblies thereof
CN111486347A (zh) 防爆行灯
US10054293B2 (en) Light fixture device mounting plug
AU2013101521A4 (en) Waterproof light housing
US6398397B1 (en) Fiber optic pool lighting apparatus
CN203927569U (zh) 防水散热led投射灯
KR200422901Y1 (ko) 캡타입의 방수용 안전소켓
KR20180023165A (ko) 방수 및 감전방지 타입 엘이디 조명장치
US8911247B2 (en) Quick connector system luminiary fitting
RU2622891C1 (ru) Светильник взрывозащищенный
KR101225422B1 (ko) 조명기구
RU2622892C1 (ru) Светильник взрывозащищенный
CN109623881B (zh) 用于手套箱的照明装置
US7419282B2 (en) Recessed lighting fixture
KR102384976B1 (ko) 에어벤트 구조를 가진 led 조명용 케이블 그랜드
ES2376952T3 (es) Racor de cable atornillado para un cable eléctrico
KR101710790B1 (ko) 방수능력을 향상시킨 실외용 조명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