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9985Y1 - 약물 포장지 - Google Patents

약물 포장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9985Y1
KR200219985Y1 KR2020000030408U KR20000030408U KR200219985Y1 KR 200219985 Y1 KR200219985 Y1 KR 200219985Y1 KR 2020000030408 U KR2020000030408 U KR 2020000030408U KR 20000030408 U KR20000030408 U KR 20000030408U KR 200219985 Y1 KR200219985 Y1 KR 2002199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packaging device
drug packaging
sensing unit
viny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04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문섭
Original Assignee
주문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문섭 filed Critical 주문섭
Priority to KR20200000304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99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99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9985Y1/ko

Links

Landscapes

  • Controlling Rewinding, Feeding, Winding, Or Abnormalities Of Web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약물포장지에 관한 것으로, 두겹의 비닐부재(2)로 형성되어 양측면과 상, 하단부를 각각 종횡방향으로 열압착하여 그 내부에 약물을 저장할 수 있는 것에 있어서;
상기 비닐부재(2)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약물포장기기(10)의 센서부(11)에서 인지할 수 있는 연속적인 감지부(3)를 표식하여 약물포장기기(10)내의 센서부(11)에서 상기 감지부(3)를 인지하지 못할 경우 약물포장기기(10)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한다.
즉, 약물포장기기(10)내의 센서부(11)에서 감지부(3)를 인지하지 못할경우 약물포장기기(10)의 작동이 정지하므로 작업자의 부주의나 기기의 오작동으로 인한 불량율을 현저히 저하시키고, 생산성 및 상품성이 증대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약물 포장지{Medicine packing paper}
본 고안은 약물 포장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상이나 환상으로 가공된 한약재등을 약물포장기기에 의해 밀봉포장함에 있어서 상기 약물포장기기의 오작동을 방지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약물 포장지는 주로 내부에 액상으로 된 한약제를 일정량씩 주입하여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일반적으로 PET수지와 CPP수지등을 합성한 투명한 비닐재질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약물포장지는 약물포장기기내로 공급되어 상기 약물포장기기 내에서 로울러등으로 이동되어 약물투입직전 양측단부와 그 하단부가 서로다른 종, 횡방향의 용착로울러들 사이로 통과 되며, 열압착의 방법으로 접합시키게 한 후, 횡접합부의 중간을 절단하는 방법으로 약물이 투입된 포장지의 상단을 접합함과 동시에, 약물이 아직 투입하기 직전의 새로운 포장지 하단부를 밀폐하게 되므로서 약물을 내부에 저장보관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약물포장지에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비닐부재(2')로 형성된 약물포장지(1')의 길이와 용량을 감안한 길이로 일정간격 차광부(4')를 표식하여, 상기 포장기기 내에서 절단로울러의 구동시기를 상기 차광부(4')의 위치감지로 인가하여 약물이 투입된 약물포장지(1)의 상단과 아직 투입하기 직전의 새로운 약물포장지(1) 하단부의 중앙을 절단하도록 되어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약물 포장지는 일정간격으로 차광부가 표식되어 이 차광부를 감지하여 절단위치만을 감지하므로,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하여 약물포장지를 잘못 공급할 경우에 약물포장기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없어 오작동을 발생시키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약물포장기기의 오작동이 발생될 경우 자동으로 제어할수 없는 폐단으로 제품의 불량율이 증대되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부주의와 약물포장기기의 오작동이 발생될 경우 자동으로 약물포장기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약물포장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약물포장지의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이 절단되어 완성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약물 포장지 2 - 비닐부재
3 - 감지부 4 - 차광부
10 - 약물포장기기 11 - 센서부
12 - 보빈 13 - 안내로울러
14 - 종방향용착로울러 15 - 횡방향용착로울러
16 - 노즐 17 - 절단로울러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두겹의 비닐부재(2)로 형성되어 양측면과 상, 하단부를 각각 종횡방향으로 열압착하여 그 내부에 약물을 저장할 수 있는 것에 있어서;
상기 비닐부재(2)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약물포장기기(10)의 센서부(11)에서 인지할 수 있는 연속적인 감지부(3)를 표식하여 달성된다.
즉, 연속적인 감지부(3)를 표식하여 약물포장기기(10)내의 센서부(11)에서 상기 감지부(3)를 인지하지 못할경우 자동으로 동작이 정지되어, 사용자의 부주의나 기기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약물 포장지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차광부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표식되어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이 약물포장기기에 의해 내부에 약물을 저장하고 상, 하단이 절단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로서, 약물포장기기 내로 공급되어 사용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가장 큰 특징은 표면의 일측에 약물포장기기(10)내의 센서부(11)에서 인지할 수 있는 감지부(3)를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표식하여, 약물포장기기(10)내의 센서부(11)에서 상기 감지부(3)를 인지하지 못할 경우 약물포장기기(10)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약물포장지(1)가 일반적으로 두겹의 비닐부재(2)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기 감지부(3)는 최소한 한개의 비닐부재(2)에 표식하여 약물포장기기(10)의 센서부(11)에서 상기 감지부(3)를 인지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한편, 약물포장기기(10)의 센서부(11)는 일반적으로 빛의 반사를 인지하는 발광센서로 구성되어지므로, 상기 감지부(3)는 빛을 차단하도록 투명재로 된 비닐부재(2)와는 다른 차광색을 인쇄등의 방법으로 차광부(4)로 표식하여, 상기 발광센서에서 발산된 빛이 상기 차광부(4)에 의해 차단되어 신호가 감지되면 약물포장기기(10)가 구동되고, 상기 차광부(4)가 표식되어 있지 않아 신호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즉, 상기 차광부(4)가 끊기거나 차광부(4)사이에 간격이 발생되면 약물포장기기의 구동을 중단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차광부(4)는 빛을 차단하는 색으로 불투명하게 인쇄하게 되므로, 주로 흑색의 것을 인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와 같이 일측에 감지부(3)가 표식된 두겹의 비닐부재(2)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넓이로 보빈(12)에 각각 권회되고, 이 권회된 비닐부재(2)는 수개의 안내로울러(13)에 의해 안내되어 센서부(11)를 통과하고 전기적으로 가열되어 그 일축에 설치된 모터의 구동으로 회동되는 한쌍의 종방향용착로울러(14)와 횡방향용착로울러(15)를 통과하며, 상기 비닐부재(2)의 사이로 수직하게 위치되는 노즐(16)로 부터 약재를 정량공급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횡방용착로울러(15)에 의하여 약물이 투입된 비닐부재(2)의 상단을 접합함과 동시에 약물이 아직 투입하기 직전의 새로운 비닐부재(2) 하단부를 밀폐하고 상기 횡방향 용착로울러(15)의 하부에 설치된 절단로울러(17)에 의하여 상기 횡접합부의 중앙이 절단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비닐부재(2)의 일측에 감지부(3)를 연속적으로 표식하여, 약물포장기기(10)내의 센서부(11)에서 감지부(3)를 인지하지 못할경우 약물포장기기(10)의 작동이 정지하므로 작업자의 부주의나 기기의 오작동으로 인한 불량율을 현저히 저하시키고, 생산성 및 상품성이 증대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두겹의 비닐부재(2)로 형성되어 양측면과 상, 하단부를 각각 종횡방향으로 열압착하여 그 내부에 약물을 저장할 수 있는 것에 있어서;
    상기 비닐부재(2)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약물포장기기(10)의 센서부(11)에서 인지할 수 있는 연속적인 감지부(3)를 표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포장지.
  2.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3)는 상기 비닐부재(2)와는 다른 차광색을 인쇄등의 방법으로 표식하여 약물포장기기의 센서부에서 발산되는 빛이 차단되도록 하는 차광부(4)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포장지.
KR2020000030408U 2000-10-31 2000-10-31 약물 포장지 KR2002199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408U KR200219985Y1 (ko) 2000-10-31 2000-10-31 약물 포장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408U KR200219985Y1 (ko) 2000-10-31 2000-10-31 약물 포장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9985Y1 true KR200219985Y1 (ko) 2001-04-16

Family

ID=73060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0408U KR200219985Y1 (ko) 2000-10-31 2000-10-31 약물 포장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998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77910B2 (en) Structure of fluid container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the fluid container
US6561236B1 (en) Inflatable packing and inflation apparatus
JP2940537B1 (ja) 包装装置
JP3569004B2 (ja) フィルム接合装置
JP6108517B2 (ja) 包装袋
KR200219985Y1 (ko) 약물 포장지
US5178601A (en) Apparatus for folding an edge on a continuous material web
KR200247633Y1 (ko) 액체 포장지
JP4221431B2 (ja) 液体包装袋
KR20010031484A (ko) 충전포장기
TW201700359A (zh) 包裝袋
EP0731028B1 (en) Sealing condition monitoring device
WO2010007691A1 (ja) 抽出バッグの製造方法
KR101910266B1 (ko) 액체 포장기
JP4994728B2 (ja) 樹脂袋用液体充填機
KR950005282Y1 (ko) 약물포장기의 절단장치
KR102248286B1 (ko) 액상제품 자동 팩킹 장치의 원격 제어 시스템
KR100791548B1 (ko) 자동포장기
KR200210269Y1 (ko) 진공 포장지
CN113525790B (zh) 包装体制造装置
KR102227225B1 (ko) 액체 포장기 및 그 제조방법
KR200361945Y1 (ko) 튜브 융착기
JP2005187027A (ja) 縦型充填包装機およびその包装機におけるフィルムの位置ずれ検出方法
JPH10167206A (ja) 自動包装機におけるヒートシールの安全装置
JPH0977128A (ja) エンボスキャリアテープのシー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