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9919Y1 - 정온식 화재감지기 - Google Patents

정온식 화재감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9919Y1
KR200219919Y1 KR2020000029401U KR20000029401U KR200219919Y1 KR 200219919 Y1 KR200219919 Y1 KR 200219919Y1 KR 2020000029401 U KR2020000029401 U KR 2020000029401U KR 20000029401 U KR20000029401 U KR 20000029401U KR 200219919 Y1 KR200219919 Y1 KR 2002199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detector
constant temperature
heat
guide
bi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94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영석
Original Assignee
우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영석 filed Critical 우영석
Priority to KR20200000294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99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99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9919Y1/ko

Links

Landscapes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화재의 발생시 열을 감지하여 접점을 스위칭 온 하여 발생된 전기적 신호를 외부로 송출하여 화재 경보를 발하는 화재감지기에 있어서 바이메탈의 구동으로 회로를 구성하는 정온식 화재 감지기에 관한 것이다.
정온식 화재감지기는 정상동작을 위해서는 공기의 흐름에의한 열의 전달이 매우중요하여 몸체의 일측단면을 절개하여 통기성을 확보하고 일정방향으로의 공기흐름을 유도하기위해 안내면 및 안내돌기를 확보하였다.
또한 가이드를 몸체와 일체화시켜 종래의 보호카바의 탈리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 동작부의 교체시 현장의 교체가 용이하도록하였다.
다시말해 고정수단의 해체만으로 동작부의 분리를 하도록하였다

Description

정온식 화재감지기{fire detector}
본 고안은 정온식 화재감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발생시 열감지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접점을 온 상태로 되어 회로에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여 경보장치를 동작 시킬수 있도록 마련된 흡열판을 구비한 정온식 화재감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등의 화재를 감지하기 위해 천정 또는벽면에 부착시키는 화재 감지기는, 구조에 따라 열감지식, 이온식 및 광전식등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상기한 정온식 화재감지기는 열을 감지하여 접점을 스위칭하는 열 감지부와 상기한 열감지부에서 감지한 온도 변화를 소정의 신호로 변환시켜 경보장치로 전달하는 베이스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열감지부와 베이스는 도1 도시된 바와같이 열 감지부(100)의 저면에 부착단자(140)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한 부착단자(140)와 결합되도록 베이스(10)에 홀딩단자(11)을 설치하여 결합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한 홀딩단자(11)에는 전선 인입구(13)를 형성하고 있어 외부의 수신반 에서 인출된 전선을 삽입하여 열감지부(100,200)와 회로를 구성한다.
본 고안은 정온식 감지기의 열감지부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의 배선 결속 구조에 관하여는 본 출원인이 등록한 대한민국 실용신안 제 073977호에 의하여 설명 되고, 본 출원과는 직접적인 관련 사항이 없으므로 상세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열감지부의 종래의 기술을 도4 및 도5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열감지부의 동작부로서 바이메탈홀더(160)와 보호캡(122)의 내측에 바이메탈(125)과 가동접점대(127),고정접점대(128)를 설치하여 보호캡삽입구(124)에 삽입된 흡열판(410)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동작부를 수납 및 고정하는 몸체(210)의 내측은 가동접점대(127) 및 고정접점대(128)와 회로 연결되는 회로기판(250)이 회로 수납실(230)에 설치되고 회로기판(250)을 보호하는 덮개(260)로 구성된다.
몸체(210)에 수납 고정된 흡열판(220) 및 보호캡(122)을 외부의 충격등으로 부터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보호카바(215)가 몸체의(210)의 상측에 고정 부착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바이메탈홀더(160)의 내측에 접점포인트(126)가 삽입구(123)에 삽입된 가동접점대(127)와 고정접점대(128)가 설치되고 바이메탈안착면(161)에 안착된 바이메탈(125)로 구성된 바이메탈홀더(160)를 보호캡(122)으로 보호하고 보호캡(122)의 고정수단은 에폭시(55)를 이용한다
바이메탈홀더(160)와 고정된 보호캡(122)은 흡열판(120)에 관통 삽입되어 바이메탈홀더(160)와 에폭시(55)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조립되어진 가동접점대(127) 및 고정접점대(128)의 리이드(121)는 리이드삽입구(231)에 삽입되고 몸체(210)의 저면에 설치된 회로기판(250)의 리이드 관통구(251)에 관통 삽입되어 피스(243)에 의해 몸체(210)에 고정된 부착단자(240)의 납땜부(242)에 납땜되어 회로와 연결 되어 진다.
이와같이 조립되어진 열감지부는 알루미늄박판(두께0.3mm)으로 가공된 흡열판(120)과 보호캡(122)을 보호하기위해 가이드(217)가 형성된 보호카바(215)를 몸체(210)의 상측 중심부에 삽입시킨다.
또한 몸체(210)의 저면에 지지대(213)에의해 일체로 형성된 회로수납실(230)은 덮개(260)에 의해 내부의 회로기판(25)을 보호한다.
이때 회로기판(250)에 납땜접속된 부착단자(240)는 안착부(232)에 안착시켜 피스(243)를 관통구(241)에 관통시켜 고정구(233)에 고정 시킨다
이와같이 조립된 열감지부는 화재의 발생시 바이메탈(125)동작으로 구성된 전기적 신호를 부착단자(240)와 베이스(10)의 홀딩단자(11)에 의해 외부로 송출하여 화재경보를 발한다.
정온식 화재감지기에 있어서 주위로부터 온도의 변화를 신속하고 정확히 바이메탈(420)에 열의 전달 수단은 대단히 중요하다.
열의 전달 수단은 흡열판(120) 및 보호캡(122)으로 가공되어진 금속(주로 알루미늄이 사용되어짐)에 의한 전도와 공기의 이동에의한 대류가 이용되어진다.
본출원인은 바이메탈의 개선을 위해 대한민국 발명특허출원 제10-2000-0003134호로 출원한바있어 바이메탈에 관하여는 생략한다.
그러므로 정온식 화재감지기에 있어서 화재의 발생시 정확한 화재보를 발하기 위해서는 주위의 온도 변화에 따른 열의 이동을 용이하게하기위하여 기류의 흐름을 원할히 하여 열의 전도를 위한 금속면과의 공기접촉과 접촉면을 고려하여야 한다.
또한 바이메탈(125)의 정상작동을 위해 조립되어진 보호캡(122)과 흡열판(120)의 원상유지를 위한 보호카바(215)의 이탈 방지수단이 강구되어져야한다
그리고 조립의 과정과 불량의 발생시 교체가 용이하고 원가의 절감효과가 기대되어져야 할것이다.
이상의 관점에서 종래의 정온식 화재감지기를 살펴보면 몸체(210)의 상측면 일부를 절개하여 통기구(211)를 형성하고 있어 보호카바(215)로 부터 유입된 공기의 흐름이 양호하지못하고 보호카바의 가이드는 공기의 유입과 흐름을 방해하는 요인이 되고있다.
또한 보호카바(215)는 몸체(210)에 삽입되어 조립되고 있어 열감지부(100)의 베이스(10)에 결합시와 운반의 과정에서 탈리되기 쉽고 천정면에 설치되었을 경우 자중등에의해 탈리되어 밑으로 떨어질수있는 요인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회로기판(250) 및 바이메탈(125)의 동작부가 불량의 발생시 납땜의 분리등 장소에 따라 용이한 수단이 강구되어 있지 못하다.
도 1은 정온식 화재감지기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상측방향 조립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하측방향 조립 구성도
도 4는 종래의 정온식화재감지기 조립 구성도
도5는 종래의 정온식화재감지기 동작부 조립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베이스 11:홀딩단자
12:보턴 13:전선인입구
100:열감지부 110:몸체
120:흡열판 140:부착단자
121:리이드 111:통기구
122:보호캡 124:보호캡삽입구
125:바이메탈 126:접점포인트
127:가동접점대 121:리이드
123:삽입구 129:접점
111:통기구 110:몸체
112:돌기 113:흡열판수납실
114:가이드 115:표시창
117:안내면 122:보호캡
121:리드 133:걸림장치
130:회로장치부 132:체결부
133:걸림장치 134:안착면
135:관통구 137:걸림돌기
138:수납실회로기판 139:덮개
131:리이드삽입구 130:회로장치부
132:체결부 136:관통구
140:부착단자 141:관통구
142:납땜부 150:회로기판
143:피스 151:램프
160:바이메탈홀더 161:바이메탈안착면
161:바이메탈안착면 160:바이메탈홀더
211:통기구 210:몸체
216:흡열판 수납실 215:보호카바
217:가이드 213:지지대
231:리이드삽입구 232:안착부
233:고정구 230:회로기판수납실
240:부착단자 241:관통구
242:납땜부 243:피스
260:덮개
이하 본 고안을 실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정온식 감지기는 도1 및 도2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열감지부(100)는 부착단자(140)에의해 천정면에 부착된 베이스(10)의 홀딩단자(11)와 착탈되고 베이스(10)에는 배선의 결속 수단이 전선인입구(13) 및 보턴(12)등에 의해 강구되어있다.
도2는 상술한 바와같이 효과적인 열을 전달하고 조립의 상태를 유지하고 수리가 요이하도록 발명된 본 발명의 정온식 화재감지기의 상측 방향으로부터 도시된 조립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3은 본발명의 하측방향으로 부터의 조립구성도이다.
이를 함께 설명하면 몸체(110)의 상측 중심부에는 가이드(11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일 측면을 절개하여 통기구(111)를 형성하고 통기구의 내부에는 안내돌기(112)와 안내면(117)이 형성된다.
또한 몸체의 저면에 수납되어진 회로기판(150)으로부터 유입되는 동작램프(151)의 표시창(115)이 설치되어 동작의 상태를 확인 할수있다.
그리고 흡열판 수납실(113)에 흡열판(120)이 설치되고 흡열판(120)과 조립되어진 리드(121)는 회로 장치부(130)의 리이드삽입구(131)에 관통 삽입되어 회로 기판과 납땜접속 되어진다.
이때 회로기판(150)은 회로기판수납실(138)에 수납되어 설치되고 바이메탈홀더(160) 및 흡열판(120)등과 조립되어진 회로 장치부(130)는 몸체(110)의 지주(116)를 체결부(132)에 압입 시킨다.
체결부에(132)에 압입되어진 지주(116)에의해 설치의 위치를 확보한 회로 장치부(130)는 안착면(134)에 용이하게 부착단자(140)를 안착시켜 피스(143)를 관통구(141,135)에 관통 삽입시켜 고정구(117)에 체결시킨다.
피스(143)의 체결로 부착단자(140)와 회로 장치부(130)는 몸체(110)에 일체로 조립되어진다.
그리고 회로 기판수납실(138)의 일측면과 일체로 형성된 덮개(139)는 걸림돌기(137)가 걸림장치(133)에 압입되어 닫힘의 상태를 유지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정온식 화재감지기에 있어서 일측면이 절개된 통기구(111)에 의해 공기의 흐름을 양호하게하여 흡열판(120)등에 열의 전달이 용이하도록하고 일정방향으로의 공기흐름을 유도하기위한 안내돌기(112) 및 안내면(117)과 중심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의 작용으로 신속하고 정확한 동작으로 화재의 발생시 경보를 발할 수 있다.
또한 회로 장치부(130)의 교체요구시 장소에 구애됨이없이 피스(143)의 풀음만으로 교체가 가능하여 현장 설치장소에서의 수리가 용이하여 졌다.
그리고 가이드(114)를 몸체(110)와 일체화하여 조립과정에서의 용이함 뿐만아니라 종래의 보호카바(215) 탈리에따른 문제점을 완전 해결하였다.
뿐만아니라 회로 장치부(130)의 덮개(139)를 일체화하여 원가의 절감효과 뿐만아니라 탈리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이상에서와 같이 종래의 정온식화재감지기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제품의 질적인 향상과 신뢰감을 줄수있는 제품을 제공할수있어 관련 산업분야의 발전이 기대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발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 할것이다.

Claims (2)

  1. 온도 상승을 감지하여 접점을 스위칭하는 열감지부의 신호를 베이스를 통해 경보장치로 전달하여 경보를 발하기위해 마련된 정온식화재감지기에있어서, 몸체(110)의 저면에 덮개(139)가 일체로 형성된 회로 장치부(130)가 피스(143)등의 고정수단에의해 몸체(110)에 고정되고 회로장치부(130)의 내부에 회로기판(150)이 수납설치됨을 특징으로하는 정온식 화재감지기
  2. 제1항에 있어서 몸체(110)의 일측단면을 절개하여 통기구(111)를 형성하고 가이드 (114)가 일체로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하는 정온식화재감지기
KR2020000029401U 2000-10-13 2000-10-13 정온식 화재감지기 KR2002199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401U KR200219919Y1 (ko) 2000-10-13 2000-10-13 정온식 화재감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401U KR200219919Y1 (ko) 2000-10-13 2000-10-13 정온식 화재감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9919Y1 true KR200219919Y1 (ko) 2001-04-16

Family

ID=73090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9401U KR200219919Y1 (ko) 2000-10-13 2000-10-13 정온식 화재감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991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1722A (ko) * 2020-04-24 2021-11-03 주식회사 파라텍 가스식 소화장치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41380A (ko) 2021-09-17 2023-03-24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지온도 조절이 가능한 정온식 화재감지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1722A (ko) * 2020-04-24 2021-11-03 주식회사 파라텍 가스식 소화장치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440902B1 (ko) * 2020-04-24 2022-09-06 주식회사 파라텍 가스식 소화장치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41380A (ko) 2021-09-17 2023-03-24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지온도 조절이 가능한 정온식 화재감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201024A1 (en) Detector Assembly With Removable Detecting Module
JP2005530257A (ja) 火災警報器
JP5378166B2 (ja) 温湿度検出装置
WO2011131938A1 (en) Smoke detector
KR200219919Y1 (ko) 정온식 화재감지기
KR20020029584A (ko) 정온식 화재감지기
JP2007102555A (ja) 防災防犯機器の防水構造
JP2006509148A (ja) ファン
JP2019012325A (ja) 炎感知器
JP2003141654A (ja) 光電式煙感知器
JPWO2003071131A1 (ja) 熱応動スイッチ
JP4200336B2 (ja) 住宅用火災警報器
KR100310754B1 (ko) 정온식 화재감지기
JP2007127364A (ja) 空気調和機のセンサ固定装置
ES2883712T3 (es) Unidad exterior de aparato de refrigeración
KR200447689Y1 (ko) 정온식 열감지기
JP2003248877A (ja) 煙感知器
KR102499149B1 (ko) 차동식 열감지기
KR102572174B1 (ko) 감지온도 조절이 가능한 정온식 화재감지기
JP4458488B2 (ja) 樹脂製窓
JP5156531B2 (ja) 住宅用火災警報器
JP2565208Y2 (ja) 輻射式火災感知器
JPH1173581A (ja) 火災感知器
JPH0944769A (ja) 火災感知器及びその取付構造
JP2004326261A (ja) 火災感知器浸水防止プレ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0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