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9821Y1 - 테이프 자동절단기의 테이프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 자동절단기의 테이프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9821Y1
KR200219821Y1 KR2019980022620U KR19980022620U KR200219821Y1 KR 200219821 Y1 KR200219821 Y1 KR 200219821Y1 KR 2019980022620 U KR2019980022620 U KR 2019980022620U KR 19980022620 U KR19980022620 U KR 19980022620U KR 200219821 Y1 KR200219821 Y1 KR 2002198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sliding plate
backward
cutting machin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26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0379U (ko
Inventor
홍면기
Original Assignee
홍면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면기 filed Critical 홍면기
Priority to KR20199800226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9821Y1/ko
Publication of KR200000103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03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98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9821Y1/ko

Links

Landscapes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테이프의 직경, 폭 등의 사이즈나 수량에 구애됨이 없이 누구나 손쉽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테이프 자동절단기의 테이프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롤테이프(13)를 재치할 수 있도록 형성한 재치공간부(1)의 바닥면에 횡으로 길게 가이드공(3)을 형성하여 지지공간부(1)에 설치되는 한쌍의 지지판(2)에 하부로 연결되는 작동간(4)을 각각 끼워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함과, 하부케이스(A2)의 바닥면(5)에 장방형의 가이드홈(6)을 형성하여 전후진 되도록 설치한 슬라이딩판(7)의 한측에 외측으로 인출되는 조절레바(8)를 일체로 연결하며, 또한 슬라이딩판(7)에는 중앙에 직진방향으로 가이드공(9)을 형성하고 양측으로 대칭되게 소정각도 경사지게 작동공(10)을 각각 형성하고, 가이드공(9)을 통해 하부케이스(A2)에 볼트(11)로 체결하여 슬라이딩판(7)이 전후진되도록 하여 상기의 작동간(4)이 작동공(10)에 각각 끼워져 슬라이딩판(7)의 전후진에 따라 지지판(2)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테이프 자동절단기의 테이프 지지장치
본 고안은 테이프 자동절단기의 테이프재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테이프의 크기에 구애됨이 없이 조절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한 테이프 자동절단기의 테이프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테이프는 제조사 및 용도에 따라 전체적인 직경이 다르고 테이프폭이 다르기 때문에 사용되는 롤테이프에 적합한 홀더를 구비하여 지지축에 끼워 회전되도록 하여 테이프가 인출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사용되는 롤테이프의 규격에 따라 각각 홀더를 구비하여야 하고 다수개의 롤테이프를 한 번에 사용할 때에는 각 롤테이프마다 동일규격끼리만 모아 홀더를 끼워 사용하여야 하고 이를 기계에 장착하는 과정등이 상당히 번거로웠다. 또한 사이즈가 다른 다수의 홀더를 구비함에 따른 번거로움과 보관중 분실등으로 보관, 관리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테이프의 직경, 폭 등의 사이즈나 수량에 구애됨이 없이 누구나 손쉽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테이프 자동절단기의 테이프지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상,하부케이스내에 설치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인출장치의 후방에 형성한 재치홈의 하방에 횡으로 길게 가이드공을 형성하여 지지홈에 설치되는 지지판에 하부로 연결되는 작동간을 끼워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함과, 하부케이스의 바닥면에 형성한 장방형의 가이드홈에 슬라이딩판을 설치하고 이 슬라이딩판의 한측에 외측으로 인출되는 조절레바를 일체로 연결하며, 또한 슬라이딩판에는 중앙에 직진방향으로 형성한 가이드공을 통해 하부케이스에 볼트로 체결하여 슬라이딩판이 전후진되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공의 양측에 대칭으로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작동공을 형성하여 상기의 작동간이 끼워져 슬라이딩판의 전후진에 따라 지지판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테이프 절단기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테이프 지지부를 보인 평면예시도
도 3는 본 고안의 요부를 보인 평면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테이프 지지부 2:지지판
3:가이드공 4:작동간
6:가이드홈 7:슬라이딩판
8:조절레바 9:가이드공
10:작동공 12:치형
이하, 첨부한 도 1 내지 도 3 의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와 같이 테이프 자동절단기는 상,하부케이스(A1)(A2)와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인출장치(B)와, 상부케이스(A1)의 한측에 착탈되도록 설치되는 절단장치(C)로 구성된다.
상기의 인출장치(B)의 후방에 롤테이프(13)를 재치할 수 있도록 형성한 재치공간부(1)의 바닥면에 횡으로 길게 가이드공(3)을 형성하여 지지공간부(1)에 설치되는 한쌍의 지지판(2)에 하부로 연결되는 작동간(4)을 각각 끼워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한편,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하부케이스(A2)의 바닥면(5)에 장방형의 가이드홈(6)을 형성하여 슬라이딩판(7)을 전후진되도록 설치하고 이 슬라이딩판(7)의 한측에 외측으로 인출되는 조절레바(8)를 일체로 연결하며, 또한 슬라이딩판(7)에는 중앙에 직진방향으로 가이드공(9)을 형성하고 양측으로 대칭되게 소정각도 경사지게 작동공(10)을 각각 형성하고, 가이드공(9)을 통해 하부케이스(A2)에 볼트(11)로 체결하여 슬라이딩판(7)이 이탈되지 않고 전,후진되도록 하여 상기의 작동간(4)이 작동공(10)에 각각 끼워져 슬라이딩판(7)의 전,후진에 따라 지지판(2)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6)의 한 측면에 치형(12)을 형성하여 슬라이딩판(7)이 미끄러짐이 없이 슬라이딩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고안은 하부케이스(A2)의 외측으로 돌출된 조절레바(8)를 전방으로 밀어 슬라이딩판(7)이 전진하게 되면 작동공(10)에 끼워진 작동간(4)이 경사진 작동공의 이동에 따라 양 작동간(4)의 간격은 도 3에서와 같이 h에서 h'로 벌어지게 되므로서 작동간과 연결된 지지판(2)이 벌어지게 되고 조절레바(8)를 후방으로 당기면 지지판(2)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을 함에 따라 롤테이프(13)를 상기 지지판(2)사이에 위치시킨후 조절레바(8)을 조정하여 양 지지판(2)을 롤테이프(13)에 밀착시키므로서 롤테이프(13)가 유동되지 않고 인출이 용이한 상태로 지지하게 되는 것이며, 또한 롤테이프(13)의 양측면을 잡아주는 구조방식이기 때문에 직경이나 테이프폭 등의 크기 또는 롤테이프의 사용갯수에 구애됨이 없이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테이프의 규격이나 크기 등에 구애됨이 없이 조절레바의 조작으로 간편히 지지할 수 있어 테이프를 설치, 교체 등을 하는데 상당한 편리성을 제공하게 되고 그에 따른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상,하부케이스(A1)(A2)와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인출장치(B)와, 상부케이스(A1)의 한 측에 착탈되도록 설치되는 절단장치(C)로 구성되는 테이프 자동절단기에 있어서,
    상기의 인출장치(B)의 후방에 롤테이프(13)를 재치할 수 있도록 형성한 재치공간부(1)의 바닥면에 횡으로 길게 가이드공(3)을 형성하여 지지공간부(1)에 설치되는 한쌍의 지지판(2)에 하부로 연결되는 작동간(4)을 각각 끼워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함과, 하부케이스(A2)의 바닥면(5)에 장방형의 가이드홈(6)을 형성하여 전후진 되도록 설치한 슬라이딩판(7)의 한측에 외측으로 인출되는 조절레바(8)를 일체로 연결하며, 또한 슬라이딩판(7)에는 중앙에 직진방향으로 가이드공(9)을 형성하고 양측으로 대칭되게 소정각도 경사지게 작동공(10)을 각각 형성하고, 가이드공(9)을 통해 하부케이스(A2)에 볼트(11)로 체결하여 슬라이딩판(7)이 전,후진되도록 하여 상기의 작동간(4)이 작동공(10)에 각각 끼워져 슬라이딩판(7)의 전,후진에 따라 지지판(2)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자동절단기의 테이프 지지장치.
KR2019980022620U 1998-11-19 1998-11-19 테이프 자동절단기의 테이프 지지장치 KR2002198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2620U KR200219821Y1 (ko) 1998-11-19 1998-11-19 테이프 자동절단기의 테이프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2620U KR200219821Y1 (ko) 1998-11-19 1998-11-19 테이프 자동절단기의 테이프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379U KR20000010379U (ko) 2000-06-15
KR200219821Y1 true KR200219821Y1 (ko) 2001-11-17

Family

ID=69508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2620U KR200219821Y1 (ko) 1998-11-19 1998-11-19 테이프 자동절단기의 테이프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982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0237B1 (ko) * 2005-04-07 2006-08-09 임충홍 롤 테이프 자동 절단기용 폭 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0237B1 (ko) * 2005-04-07 2006-08-09 임충홍 롤 테이프 자동 절단기용 폭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379U (ko) 200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67079B2 (ja) 電子部品供給カートリッジ
US4716495A (en) Printer circuit board chassis with power interlock
US6351376B1 (en) Computer data storage device mounting apparatus
KR200219821Y1 (ko) 테이프 자동절단기의 테이프 지지장치
US4931909A (en) Aligning bracket for a circuit board in a circuit board housing
KR20050045862A (ko) 부품 장착 기계의 노출 부재 및 테이프 가이드
US4698883A (en) Cutting and mounting apparatus
US5975716A (en) Mounting bar for spacing indicator lights used in electronic equipment
KR880002466Y1 (ko)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 자동조립장치용 견인 탭 부착기
JPH11177279A (ja) テープフィーダ
JP2758364B2 (ja) 計数器取付装置
JPH0669684A (ja) 電子部品供給装置の位置決機構
JP2643894B2 (ja) 通信装置
JPH09283992A (ja) 部品挿入装置
JPH0789598B2 (ja) テーピング部品供給装置
KR870002931Y1 (ko) 슈우트로부터의 단추 부품들의 낙하방지 장치
JP2507480Y2 (ja) コンタクト挿入装置
EP3809809B1 (en) Exchange device
KR200162265Y1 (ko) 전자부품 자동삽입기의 개량리드 절단장치
JPH0310709Y2 (ko)
JPH0623115A (ja) パチンコ機の機構板
JPH0515645A (ja) アウト玉タンクおよびその取付装置
US5785096A (en) Wire retainer
JPS6360599A (ja) 電子部品装着装置
US5772476A (en) Electrical control or signalling device fitted with a detachable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