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2931Y1 - 슈우트로부터의 단추 부품들의 낙하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슈우트로부터의 단추 부품들의 낙하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2931Y1
KR870002931Y1 KR2019860001707U KR860001707U KR870002931Y1 KR 870002931 Y1 KR870002931 Y1 KR 870002931Y1 KR 2019860001707 U KR2019860001707 U KR 2019860001707U KR 860001707 U KR860001707 U KR 860001707U KR 870002931 Y1 KR870002931 Y1 KR 8700029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ute
intermediate chute
support
protrusion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17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10276U (ko
Inventor
케이이치 요시에다
Original Assignee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filed Critical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102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102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29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9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37/00Machines, appliances or methods for setting fastener-elements on garments
    • A41H37/10Setting butt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05B3/12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fastening articles by sewing
    • D05B3/22Article-, e.g. button-, feed mechanism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D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D05B AND D05C, RELATING TO SEWING, EMBROIDERING AND TUFTING
    • D05D2303/00Applied objects or articles
    • D05D2303/12Rigid objects
    • D05D2303/14Buttons
    • D05D2303/16Buttons with sh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utes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Manufacture Of Switches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슈우트로부터의 단추 부품들의 낙하방지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을 실현하는 장치를 가진 단추 부착기의 부분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Ⅱ-Ⅱ선 확대 단면도.
제3도는 제1도 장치의 확대 분해 사시도.
제4도는 제1도 장치의 확대 정면도.
제5도는 제4도의 부분 파단 저면도.
제6도는 장치의 작동을 예시하는 제5도와 유사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슈우트 조립체 8 : 채널(channel)
12 : 정지부 13 : 중간 슈우트
21 : 브래킷(bracket) 31 : 레버
34 : 스프링 41 : 차단 부재
43 : 제1돌출부 44 : 제2돌출부
본 고안은 슈우트 조립체가 있는 단추 부착기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히 말하자면 중간 슈우트가 슈우트 조립체로부터 분리될 때 단추 부품들이 중간 슈우트로 부터 낙하하는 것을 막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지의 단추 부착기는 저장소에서 말단 가이드를 거쳐 단추 부착부에 이르기까지 단추 부품들을 운반하는 슈우트 조립체를 가진다.
슈우트 조립체는 저장소에 연결된 상부 슈우트, 말단 가이드에 연결된 하부 슈우트, 및 상하부 슈우트들 사이에 뻗어 있고 그 슈우트들에서 분리될 수 있는 중간 슈우트를 포함한다. 중간 슈우트는 상하부 슈우트들과 결합하여, 단추 부품들을 일열로 수용하는 조합 채널을 한정한다.
이와같은 공지의 기계에 있어서의 1차적인 문제점은, 기계의 종료와 동시에 중간 슈우트가 분리될 때 중간 슈우트에 있는 단추 부품들이 중간 슈우트의 하부 개방 단부로부터 바닥 위로 낙하하여 흩어진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목적은 중간 슈우트가 분리될 때 단추 부착기에 있는 슈우트 조립체의 중간 슈우트로 부터 단추 부품들이 낙하하지 않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단추 부착기는 중간 슈우트가 슈우트 조립체에서 분리될 때 단추 부품들이 중간 슈우트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막는 장치를 가진다. 이 장치는 하단부에 인접해 중간 슈우트에 장착되기 적합하게 되어 있는 브래킷에 일단부가 피봇 연결된 횡단 레버와, 그 레버위에 지지되고 제1 및 제2돌출부가 있는 차단 부재를 포함한다. 이 레버는 제1돌출부가 중간 슈우트의 종방향 채널안으로 튀어 나오도록 보통 스프링에 이해 부세되어 회전한다. 이 장치는 또한, 중간 슈우트가 부착기 위해 장착될 때 스크링의 바이어스에 대항하여 제1돌출부가 중간 슈우트의 채널로부터 철회 되도록 중간 슈우트의 하단부에 인접히 배치되고 제2돌출부와 걸릴수 있는 정지부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추 부착기는 지지대(2), 여러개의 단추 부품들(B)을 담도록 지지대(2)의 상부 부분에 장착된 저장소(3), 지지대(2)의 하부 부분에 배치되고 단추 부착부의 상부 유니트(4)에 이르는 말단 가이드(5), 및 저장소(3)에서 말단 가이드(5)까지 차례로 단추 부품들(B)을 운반하는 슈우트 조립체(1)를 가진다.
슈우트 조립체(1)는 저장소(3)에 연결된 상부 슈우트(9), 말단 가이드(5)에 연결된 하부 슈우트(10), 및 서로 결합하여 단추 부품들(B)을 일열로 수용하는 조합 채널(8)을 한정하도록 상하부 슈우트들(9,10)사이에 뻗어있는 분리가능한 중간 슈우트(13)를 포함한다. 각 슈우트(9)(10)(13)는 그 전장에 걸쳐 1쌍의 대향 플랜지들(7,7)을 가지며, 이 플랜지들(7,7)사이에는 채널(8)로 열린 종방향 구멍(7a)(제5,6도)이 한정된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대로, 중간 슈우트(13)는 1쌍의 파스너 조립체들에 의해 지지대(2)위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고, 각 파스너 조립체는 지지대(2)에 고정된 제1판(17), 제1판(17)과 협동하여 중간슈우트(13)를 체결하는 제2판(16), 및 제2판(16)을 제1판(17)에 고정시키는 나사(18)을 포함한다.
중간 슈우트(13)의 상단부는 상부 슈우트(9)에 고정된 제1슈우트 호울더(11)에 의해 상부 슈우트(9)의 하단부에 이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편, 중간 슈우트(13)의 하단부는 하부 슈우트(10)에 고정된 제2슈우트 호울더(12)에 의해 하부 슈우트(10)의 상단부에 이탈가능하게 연결된다. 각 슈우트 호울더(11)(12)의 전장에 걸쳐 인접 슈우트들(9,13,10,13)의 대향 단부들을 수용하는 홈(14)(15)이 있다.
중간 슈우트(13)를 부착기로 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각 파스너 조립체의 나사(18)가 풀어진 다음에 제2판(16)이 나사(18)을 중심으로 90°각 운동되거나 제거된다.
부착기는 그 종료와 동시에 중간 슈우트(13)가 분리될 때 중간 슈우트(13)로부터 단추 부품들(B)이 낙하하는 것을 막도록 제1 및 2도의 제2슈우트 호울더에 연속한 장치를 가진다.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장치는 일반적으로, 중간 슈우트(13)의 하단부에 인접히 그 하나의 대향 플랜지(7)에 장착되기 적합한 브래킷(21), 일단부가 브래킷(21)에 피봇 연결된 횡단 레버(21), 및 레버(31)의 피봇 운동에 따라 단추 부품들(B)을 차단하도록 레버(31)위에 지지된 차단 부재(41)를 포함한다.
브래킷(21)은 기부(22)로부터 위로 돌출하는 1쌍의 평행 지지부분들(23,23)을 가지며 (제3-6도), 나사(24)가 이 기부(22)를 통해 중간 슈우트(13)안으로 나사 연장된다. 지지 부분(23,23)은 각기 1쌍의 축정렬된 제1구멍(26,26)을 가지며, 이 구멍들을 통해 축(25)이 뻗는다. 레버(31)의 일단부 부분은 1쌍의 축정렬된 제2구멍(33,33)들을 가진 1쌍의 평행 브랜치(32,32)로 분할되고, 이 제2구멍들을 통해 역시 축(25)이 뻗는다.
그래서, 레버가 브래킷(21) 위에서 회전할 수 있고, 중간 슈우트(13)의 대향 플랜지들(7,7)위로 옆으로 뻗는다. 레버(31)를 평상시 밀어내어 대향 플랜지들(7)쪽으로 돌리도록 스프링(34)가 축(25)위에 지지된다.
차단 부재(41)는 나사(42)에 의해 브래킷(21)에서 멀리 레버(31)에 부착되고, 레버(31)의 중간 부분에 배치된 제1돌출부(43)와 레버(31)의 자유단부에 배치된 제2돌출부(44)를 가진다. 차단 부재(41)는 레버(31)의 선회운동에 따라, 제1돌출부(43)의 하단부(43a)가 중간 슈우트(13)의 채널(8)안으로 구멍(7a)을 통해 튀어나와 단추 부품(B)의 통과를 차단하는 제1위치(제6도)와, 제1돌출부(43)의 하단부(43a)가 채널(8)로부터 구멍(7a)안으로 철회되어 단추 부품(B)의 통과를 허용하는 제2위치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제5도에서, 중간 슈우트(13)이 부착기에 장착되어 있는 것이 나타나 있는데, 제2돌출부(44)의 하단부(44a)가 스크링(34)의 바이어스에 의해 제2슈우트 호울더(12)의 접촉면(12a)에 맞닿는다. 따라서, 제2슈우트 호울더(12)는 레버(31)의 시계방향 선회운동을 제한하는 정지부의 기능을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정지부가 슈우트 호울더(12)이지만, 하부 슈우트(10)에 대해 움직이지 않는 블록이나 판과 같은 다른 부재이어도 된다.
중간 슈우트(13)가 부착기의 종료와 동시에 부착기로부터 분리될 때, 제2슈우트 호울더(12)는 제2돌출부(41)의 하단부(44a)와의 접촉에서 떨어질 것이고, 따라서 제6도에 도시된 대로 레버(31)의 하연부가 중간 슈우트(13)의 대향 플랜지(7)중 하나와 맞닿을 때까지 레버(31)가 스프링(34)의 바이어스에 의해 제5도의 시계방향으로 선회하게 된다. 그 결과, 제1돌출부(43)의 하단부(43a)가 채널(8)안으로 튀어들어와 단추 부품(B)의 통과를 차단한다.
단추 부착기에 상술한 장치가 마련되면, 중간 슈우트(13)가 분리될 때 단추 부품(B)이 중간 슈우트(13)로 부터 떨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중간 슈우트(13)의 하단부가 하부 슈우트(10)의 상단부에 연속한 제2슈우트 호울더(12)에 수용된 때 제2돌출부(44)가 제2슈우트 호울더(2)에 의해 단순히 밀림에 따라 차단 부재(41)와 그러므로 레버(31)가 원위치로 복귀하기 때문에, 중간 슈우트(13)는 쉽고도 정확하게 부착기에 장착될 수 있다.
여러 가지 사소한 변형들이 당분야에 익숙한 자들에 의해 제안될 수 있지만, 우리가 이 기술에 기여한 범위내에 합리적이고 적절히 들어오는 모든 실시예들을 첨부한 청구범위내에서 구체화하기를 바란다.

Claims (5)

  1. 지지대(2), 여러개의 단추부품들(B)을 담도록 상기 지지대(2)의 윗부분에 장착된 저장소(3), 상기지지대(2)의 아래 부분에 장착된 말단 가이드(5), 및 상기 저장소(3)에서 상기 말단 가이드(5)로 계속해서 단추 부품들(B)을 운반하는 슈우트 조립체(1)를 가진 단추 부착기로서, 상기 슈우트 조립체(1)는 저장소(3)에 연결된 상부 슈우트(9), 상기 말단 가이드(5)에 연결된 하부 슈우트(10), 및 상기 상하부 슈우트들(9)(10)과 결합하여 단추 부품들(B)을 일열로 수용하는 조합 채널(8)을 한정하도록 상기 지지대(2)위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상하부 슈우트들(9)(10)사이를 뻗는 중간 슈우트(13)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 슈우트(13)의 전장에 걸쳐 1쌍의 대향 플랜지들(7,7)이 상기 채널(8)로 열린 종방향 구멍(7a)을 사이에 한정하는 단추부착기에서: 상기 중간 슈우트(13)에 의해 지지되기 적합하고 제1돌출부(43) 및 제2돌출부(44)를 가진 차단 부재(41)로서, 상기 제1돌출부(43)가 상기 구멍(7a)을 통해 상기 중간 슈우트(13)의 상기 채널(8)안으로 뚫고 들어가는 제1위치와 상기 제1돌출부(43)가 상기 채널(8)로부터 철회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상기 차단부재(41), 상기 차단 부재(41)가 상기 제1위치로 이동하도록 평상시 부세하는 스프링(34), 및 상기 중간 슈우트(13)의 상기 하단부에 인접히 배치되기 적합하고, 상기 중간 슈우트(13)가 상기 상하부 슈우트들(9)(10) 사이에서 상기 지지대(2)위에 장착될 때 상기 차단부재(41)가 상기 스프링(34)의 바이어스에 대해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하게끔 상기 제2돌출부(44)와 걸릴 수 있는 정지부(12)를 포함하는, 중간 슈우트(13)가 분리될 때 그 중간 슈우트(13)로부터 단추부품들(B)이 떨어지는 것을 막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43)가 철회될 때 상기 구멍(7a)안으로 뻗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부는 상기 중간 슈우트(13)의 하단부와 상기 하부 슈우트(10)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슈우트 호울더(12)를 포함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슈우트 호울더(12)가 상기 중간 슈우트(13)의 하단부와 상기 하부 슈우트(10)의 상단부를 수용하는 홈(15)을 가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슈우트(13)의 하단부에 인접히 그 대향 플랜지들 중 하나에 장착되기 적합한 브래킷(21)과, 상기 중간 슈우트(13)의 축선에 수직한 평면에서 선회운동하도록 상기 브래킷(21)에 일단부가 연결된 횡단 레버(3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재(41)가 상기 레버(31)위에 지지되고, 상기 스프링이 상기 브래킷과 상기 사이에서 작용하는 장치.
KR2019860001707U 1985-02-21 1986-02-15 슈우트로부터의 단추 부품들의 낙하방지 장치 KR87000293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4072 1985-02-21
JP1985024072U JPH0415685Y2 (ko) 1985-02-21 1985-0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0276U KR860010276U (ko) 1986-09-05
KR870002931Y1 true KR870002931Y1 (ko) 1987-09-05

Family

ID=12128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1707U KR870002931Y1 (ko) 1985-02-21 1986-02-15 슈우트로부터의 단추 부품들의 낙하방지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624199A (ko)
EP (1) EP0192141B1 (ko)
JP (1) JPH0415685Y2 (ko)
KR (1) KR870002931Y1 (ko)
AU (1) AU556950B2 (ko)
DE (1) DE3672849D1 (ko)
HK (1) HK58493A (ko)
MY (1) MY101313A (ko)
SG (1) SG42393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7936Y2 (ko) * 1985-03-19 1993-09-27
JPS6350838U (ko) * 1986-09-18 1988-04-06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94311A (en) * 1964-07-02 1970-02-10 Mckee Button Co Inc Apparatus for selecting and positioning buttons for sewing on a sewing machine
US3382824A (en) * 1965-06-29 1968-05-14 Rent Aid Systems Inc Button feeding mechanism for sewing machines
US3363592A (en) * 1965-08-25 1968-01-16 Emsig Mfg Co Button sewing device and chute therefor
US3712253A (en) * 1967-12-22 1973-01-23 F Asnes Button feeding machine
US3837530A (en) * 1972-05-09 1974-09-24 Pentapco Inc Shank supply for button-sewing attachments
JPS5755204Y2 (ko) * 1979-04-27 1982-11-29
JPS5922094Y2 (ja) * 1979-12-13 1984-07-02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釦取付装置
JPS598968Y2 (ja) * 1981-04-22 1984-03-21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釦取付機における釦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192141A3 (en) 1988-01-20
EP0192141A2 (en) 1986-08-27
MY101313A (en) 1991-09-05
KR860010276U (ko) 1986-09-05
AU5333386A (en) 1986-09-04
US4624199A (en) 1986-11-25
HK58493A (en) 1993-06-25
EP0192141B1 (en) 1990-07-25
DE3672849D1 (de) 1990-08-30
SG42393G (en) 1993-06-11
AU556950B2 (en) 1986-11-27
JPS61139906U (ko) 1986-08-29
JPH0415685Y2 (ko) 1992-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4868B1 (ko) 드로우어웨이 팁의 클램프기구
US5202551A (en) Reading device for an integrated circuit card
US3116093A (en) Professional chair arm rest and control
KR870001073B1 (ko) 낚시용 리일의 핸들절첩 장치
KR870002931Y1 (ko) 슈우트로부터의 단추 부품들의 낙하방지 장치
KR870010300A (ko) 운동전달 원격조정 어셈블리
KR950034170A (ko) 디스크 로딩장치
EP0248453A1 (en) Tractor apparatus
US4698883A (en) Cutting and mounting apparatus
EP0471127A1 (en) Shield plate mounting structure for helmet
US4441733A (en) Adjusting mechanism for a ski binding jaw
JPH04221891A (ja) 筐体のフロントパネル取り付け装置
KR920005308Y1 (ko) 인자장치
JP2758364B2 (ja) 計数器取付装置
US4765523A (en) Multiposition tractor lid
FR2674550B1 (fr) Moyens pour assujettir une piece de recouvrement a un cadre de piece de voirie.
CA1093232A (en) Snap-in bracket for mounting a telephone dial within a telephone housing
US5050515A (en) Presser foot retainer system for sewing machine
KR200219821Y1 (ko) 테이프 자동절단기의 테이프 지지장치
JPH06156105A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レバー装置
KR900001802Y1 (ko) 단추 부착기의 슈우트에 있어서의 단추부품 낙하 방지장치
JPS6112061Y2 (ko)
JPH06159488A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レバー装置
US2273385A (en) Masking means
FR2387734A1 (fr) Mecanisme de blocage d'un plateau mobile sur une table le long de moyens de guid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8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