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8984Y1 - 엠보싱 방수패드 - Google Patents

엠보싱 방수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8984Y1
KR200218984Y1 KR2020000029565U KR20000029565U KR200218984Y1 KR 200218984 Y1 KR200218984 Y1 KR 200218984Y1 KR 2020000029565 U KR2020000029565 U KR 2020000029565U KR 20000029565 U KR20000029565 U KR 20000029565U KR 200218984 Y1 KR200218984 Y1 KR 2002189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pad
embossed
waterproof pa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95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재승
Original Assignee
송재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재승 filed Critical 송재승
Priority to KR20200000295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89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89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8984Y1/ko

Links

Landscapes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엠보싱 방수패드에 관한 것으로, 신·구 건축물의 옥상의 방수공사, 건축물의 증축시 건물 슬라브의 이음부분, 주차장 및 건물 내부의 바닥에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특히 옥상방수의 하자 발생시 시공할 수 있으며 상부표면에는 부직포(30a)가 부착되어 일측으로부터 100㎜ 연장시켜 다른 패드의 상부표면 부직포와 겹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하부표면에는 엠보싱(30b) 형상을 가진 두께 4~6㎜ 합성수지 시트(30c)를 부착시켜 제작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엠보싱 방수패드를 사용하므로써 옥상방수의 하자발생시 기존에 설치된 방수층을 포함한 보호 콘크리트를 철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시공하기 때문에 하자보수의 간소화 및 폐콘크리트의 발생억제로 인한 환경오염의 방지효과를 가져다 줄 수 있다.

Description

엠보싱 방수패드{WATER-PROOFING PAD HAVING EMBOSSMENT}
본 고안은 엠보싱 방수패드에 관한 것으로, 건축물의 옥상 등에서 누수 등에 의한 하자 발생시 이음 죠인트 기능을 강화하고 엠보싱 형상을 가진 방수패드를 옥상의 방수공법에 적용함으로써, 옥상방수 구조의 내부를 항상 건조한 상태로 유지하게 하고 시공시에는 폐콘크리트 발생의 억제, 시공과정의 간소화 및 시공비용의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옥상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하자원인은 세월의 경과 및 기후변화에 의한 균열과 건축물 자체의 균열에 의한 방수층의 파손에 있다. 전자의 경우, 방수의 하자발생은 시공 후 오랜시간이 지남에 따라 보호 콘크리트의 표면이 벗겨지거나 부식되고 파손되어, 그 파손된 틈으로 물이 스며들고 보호 콘크리트층에 스며든 물은 기후에 따라 수축팽창하면서 모체 콘크리트, 방수층까지 2차균열을 발생시켜 슬라브 옥상의 균열을 악화시키게 되므로, 점점 더 많은 물이 누수되는 원인이 되었다. 후자의 경우, 구조상 지반이 일정하지 못해서 균형 상태와 하중을 지탱할 수 없기 때문에 발생하는 균열이라고 할 수 있는데 보통 벌어진 간격이 0.2㎜를 초과할 경우에 보수의 대상이 되며 이러한 균열은 일회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여러번 발생할 수 있으므로 벌어진 간격이 더 벌어질 수 있고, 새로운 균열을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균열을 통하여 누수가 발생하는데 슬라브와 벽체의 파손된 부위를 따라 벽에 물이 스며들면, 당장 불편한 점 이외에도 철근을 녹슬게 하여 건물수명 단축의 원인이 되고 있다. 상기의 슬라브 옥상모체에 균열이 발생되어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수공사로 방수시공을 하여야 하는데, 방수할 부위와 기존 모체의 재질, 용도 등에 따라 아스팔트방수법, 시멘트 액체방수법, 합성 고분자방수법 등의 다양한 공법과 수단이 제공되고 있으나, 상기의 방법들은 모두 기본 모체의 표면에 아스팔트, 시멘트 액체 또는 합성고분자를 도포하여 방수층을 슬라브에 접착 형성시킴으로써 방수시공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나 기본 모체와 방수층의 결합력이 미약하고, 특히 외기온도의 변화, 실내온도와 외기온도의 차이, 직사일광 등에 의해 방수층의 수축, 박리팽창 등이 반복적으로 일어나게 됨에 따라 재차 균열이 발생하고, 시멘트의 가수분해로 소석회가 유출(백화현상)되어 강도가 점진적으로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하자 보수시 기존 보호 콘크리트층과 방수층을 모두 제거한 상태에서만 방수작업이 가능하였기 때문에, 이 경우 보수 방수작업이 까다러워질뿐 만 아니라 철거후 발생하는 폐기물은 단열재 및 방수재가 함께 혼재돼 있어 재활용이 불가능할 뿐 만 아니라 발생하는 폐기물의 양도 상당한 양이어서 지정된 장소에 폐기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에 따른 새로운 비용도 발생하고, 버려진 폐기물은 썩지 않기 때문에 장기간 동안 토양 등에 묻혀 있으면서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오염원으로 작용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수 시공방법을 대체할 수 있는 방법으로 기존 방수층을 제거하지 않는 노출형 방수공법이 현재 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출식 방수공법은 보호 콘크리트의 바탕면 정리를 하고 접착제로 사용하는 프라이머 및 도막방수제 등을 사용하게 되므로 방수층의 일부가 파손될 경우 방수층 밑으로 수분이 침투하여 번지게 된다. 따라서, 일부분의 하자발생으로 인하여 전체적으로 확대되므로 일정한 하자부위를 식별할 수 없어 재차 발생한 하자보수를 처리하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방수시트를 사용할 경우 방수시트와 방수시트의 이음부위를 통해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이음 죠인트를 사용하여야 하고 설치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별도의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애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자는 시공시 발생하는 폐기물의 억제, 보호콘크리트와 방수층사이의 파손 및 분리로 인한 누수방지, 이음 죠인트 설치의 번잡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노력한 결과, 방수시트의 상부표면과 하부표면을 보강한 엠보싱 방수패드를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방수시트의 기능을 보강하여 시트의 하부표면에는 엠보싱 구조를 가진 합성수지 시트를 부착하고 상부표면에는 이음부위를 연결하는 죠인트 역활을 하기 위하여 부착한 부직포를 일측으로부터 연장하여 인접한 방수패드와 겹쳐 부착하므로써, 하부표면에는 바탕면과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여 항상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부표면은 이음 죠인트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정밀한 방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엠보싱 방수패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엠보싱 방수패드를 사용함에 따라 기존 방수층을 제거하지 않고 규격화된 방수패드를 사용함으로써 폐콘크리트 등의 폐기물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재차 방수층이 파손되더라도 하자가 발생한 지점을 용이하게 찾아내 그 부분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엠보싱 방수패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엠보싱 방수패드가 사용되는 작업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방수패드가 사용된 건축물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탈기구 20 : 죠인트 우레탄
30 : 방수패드(층) 30a : 부직포
30b : 엠보싱 30c : 합성수지 시트
31 : 우레탄계 접착제 32 : 이음 죠인트
40 : 폴리우레탄층 50 : 벽체용 우레탄
60 : 유리섬유 보강재 100 : 콘크리트 구조물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부표면에는 부직포(30a)가 부착되고 일측으로부터 100㎜ 연장시켜 다른 패드의 상부표면 부직포와 겹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하부표면에는 엠보싱(30b)형상을 가진 두께 4~6㎜의 합성수지 시트(30c)를 부착시켜 제작한 엠보싱 방수패드임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상기 방수패드(30)는 합성수지 시트(30c)의 하부표면에 엠보싱(30b)을 형성하는 바, 상기 엠보싱은 바탕면의 콘크리트와의 접촉면을 증대시켜 외부에서 가해지는 종·횡력에 의해 비틀리는 현상을 방지하고 바닥의 콘크리트와는 도막방수제 대신에 한 방향으로만 죠인트 우레탄(20)만을 사용하고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게 하여 절연시킴으로써 온도 및 기후 변화에 의한 수축팽창, 박리현상에 영향을 받지 않게 하고, 내부에서 발생하는 습기를 탈기구(10)를 통하여 항상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엠보싱의 형상과 구조는 반구형, 원기둥형, 십자가기둥형, 다각기둥형 등으로 어떤 형태도 가능하며, 그 합성수지의 재질은 폴리에틸렌수지, 폴리프로필렌수지, 기타 엠보싱이 가능하고 시공상 콘크리트와 접합성이 있는 어떤 물성의 재질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의 방수패드의 상부표면에 100g/㎡의 합성섬유 부직포(30a)를 가열·융착시켜서 부착시키고 일측으로부터 100mm 연장시켜 인접패드의 상부표면에 겹치게 하여 정밀한 방수가 이루어지는 기능을 갖도록 하였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고안의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엠보싱 방수패드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부로부터 폴리에스테르 부직포(30a) + 엠보싱(30b) 형상을 가진 두께 4~6㎜의 폴리에틸렌 발포시트(30c)를 가열·융착하여 접착시킨 것으로서 본 방수패드의 특징은 상부표면에 부착된 부직포는 방수패드의 일측으로부터 100㎜ 연장시켜 방수패드의 이음시 서로 겹치게 하였고, 엠보싱 방수패드 시공 후 부직포 표면 상부에 도포하는 폴리우레탄을 합침하는 그룻 역활을 함과 동시에 방수패드층의 인열, 인장강도를 보강하도록 하였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엠보싱 방수패드는 시공 후 내·외부의 다양한 환경에 견뎌낼 수 있는 내구성·내후성을 갖는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엠보싱 방수패드가 시공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우선 보호 콘크리트의 면정리는 표층이 심하게 부식되고 떨어져 나간 부분과 요철부위를 시멘트 몰탈로 고르게 한 다음, 이물질을 깨끗이 청소한다. 또한 본 고안의 엠보싱 방수패드는 기존의 방수층을 철거하지 아니하고 그 위에 시공되므로 보호 콘크리트층과 방수층 사이에 함수되어 있는 습기 및 물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탈기구(10)를 설치하는데 옥상구조상태나 바닥면 상태에 따라 방수시공 완료후를 생각하여 방수층 밑으로 공기가 잘 배출될 수 있는 부위를 선정하여 탈기구를 설치하므로써 시공 완료후에도 발생할 수 있는 습기를 제거하여 항상 건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탈기구의 설치가 끝나면 시공할 옥상표면에 줄눈을 나누고 본 고안의 엠보싱 방수패드가 부착될 수 있도록 탈기구가 마주보고 있는 방향으로만 죠인트 우레탄(20)을 도포한 다음, 상기 죠인트 우레탄 위에 엠보싱 방수패드(30)를 깔면서, 엠보싱 방수패드의 상부표면으로부터 연장시킨 부직포를 서로 겹치게 하고 우레탄계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밀착 시공한다. 또한 패드와 패드가 마주 대하고 죠인트 우레탄이 깔려 있는 이음 부분은 유리섬유(fiber glass) 직포를 100mm가 되도록 제단하여 우레탄계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이어 줌으로써 시공과정이 다른 방수공법에 비하여 편리하고 간단하도록 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나서, 패드의 상부표면에 폴리우레탄(40)을 2,000~3,900g/㎡(두께 2~3mm)을 도포하여 부직포 위에 합침시킨다.
도 3은 본 고안의 엠보싱 방수패드가 사용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하자가 발생하기 쉬운 코너부위에 시멘트 몰탈을 사용하여 모를 내고 이를 더욱 보강하기 위한 유리섬유 보강재(60), 하부로부터 기존의 방수층, 단열층 및 보호 콘크리트층을 포함한 콘크리트 구조물(100), 그 위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설치된 엠보싱 방수패드(30), 우레탄계의 접착제(31)를 사용하여 연장된 부직포로 패드사이를 연결시킨 이음 죠인트(32), 방수패드 위에 폴리우레탄층(40)이 소정의 두께를 이루도록 시공하고, 벽체의 경우 벽체용 우레탄(50)을 사용하여 마무리 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엠보싱 방수패드는 하부표면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춤으로써 탈기구를 통하여 원할한 공기의 흐름이 이루어져 방수 구조의 내부를 항상 건조한 상태로 유지하는 역활을 하며, 패드의 상부표면에 부착한 부직포는 폴레우레탄층과 합침시키는 역활을 함과 동시에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부직포는 이음 죠인트 역활을 하므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정밀한 수밀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방수패드를 이용하여 옥상방수의 하자보수에 대한 시공방법에 적용함으로써 기존의 보호 콘크리트층에 그대로 깔아서 설치하고 폴리우레탄을 도포하는 간단한 공정으로 수행되므로 폐콘크리트 등의 폐기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시공기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일정한 두께와 크기를 가진 패드를 사용함으로써 재차 하자가 발생하더라도 보수가 용이하며 방수 뿐 아니라 방음, 단열 효과를 가지므로 구 건물 뿐 아니라 신축 건물의 옥상방수에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구 건물에 증축이 이루어지는 경우 신축 건물의 슬라브의 이음부분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실내용 또는 주차장 등에도 사용될 수 있다.

Claims (2)

  1. 상부표면에는 부직포(30a)가 부착되고 일측으로부터 100㎜ 연장시켜 다른 패드의 상부표면 부직포와 겹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하부표면에는 엠보싱(30b) 형상을 가진 두께 4~6㎜의 합성수지 시트(30c)와 부착시켜 제작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싱 방수패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는 폴리에틸렌 발포수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싱 방수패드.
KR2020000029565U 2000-10-24 2000-10-24 엠보싱 방수패드 KR2002189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565U KR200218984Y1 (ko) 2000-10-24 2000-10-24 엠보싱 방수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565U KR200218984Y1 (ko) 2000-10-24 2000-10-24 엠보싱 방수패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2518A Division KR20010007922A (ko) 2000-10-24 2000-10-24 엠보싱 방수패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8984Y1 true KR200218984Y1 (ko) 2001-04-02

Family

ID=73090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9565U KR200218984Y1 (ko) 2000-10-24 2000-10-24 엠보싱 방수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898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669B1 (ko) * 2008-03-17 2009-10-09 장성덕 방수시공용 시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669B1 (ko) * 2008-03-17 2009-10-09 장성덕 방수시공용 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7618B1 (ko) 개량 방수시트 및 이를 사용한 복합도막 방수시공방법
KR100363436B1 (ko) 옥상 방수용 플라스틱 패널
KR100278173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도막 및 시트 이중방수재
KR100702921B1 (ko) 2중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및 방수구조
KR101368711B1 (ko) 건물 위 옥상에서 단열, 방수 및 방근을 동시에 해결하는 방수, 방근공법
KR20110079578A (ko)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280879B1 (ko) 다공 섬유시트와 비노출 우레탄을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KR100875893B1 (ko)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KR20010007922A (ko) 엠보싱 방수패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732473B1 (ko) 아연도금시트를 이용한 우레탄 도막 방수방법
KR101128760B1 (ko) 풍압에 의한 파열을 방지하는 노출 지붕용 방수시트 시공방법
KR200405387Y1 (ko) 메쉬형 유리섬유시트
KR100875897B1 (ko) 합성수지 시트 양면에 엘엠에프 부직포가 형성된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공법
KR100701866B1 (ko) 단열방수패널과 이것을 이용한 방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135165B1 (ko) 복합 방수시트,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및 방수시공구조
KR200218984Y1 (ko) 엠보싱 방수패드
KR100650374B1 (ko) 노출형시트 방수구조 및 공법
KR101133026B1 (ko) 노출방수를 위한 고무 아스팔트 도막 및 방수시트의 3중 적층공법
JPH10317392A (ja) 地下構造物の先付け防水工法
KR100330989B1 (ko) 옥상방수의 하자보수를 위한 패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552454B1 (ko) 엠보싱 폴리비닐시트와 다공성 세라믹 열가소성 수지계아스팔트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부분절연 블록형 비노출복합방수층 구조 및 복합방수공법
KR101142856B1 (ko)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337443B1 (ko) 도막과 시트의 복합 방수재와 그 방수재를 이용한 방수방법
KR100441965B1 (ko) 조립식 지붕 방수 시스템
KR200247450Y1 (ko) 패드형 단열방수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21025

Effective date: 20031129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ree format text: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31230

Effective date: 2004090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41016

Effective date: 2005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