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7984Y1 - 삼중바닥 냄비 - Google Patents

삼중바닥 냄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7984Y1
KR200217984Y1 KR2020000027379U KR20000027379U KR200217984Y1 KR 200217984 Y1 KR200217984 Y1 KR 200217984Y1 KR 2020000027379 U KR2020000027379 U KR 2020000027379U KR 20000027379 U KR20000027379 U KR 20000027379U KR 200217984 Y1 KR200217984 Y1 KR 2002179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inless steel
pot
aluminum
ceramic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73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필휘
Original Assignee
조필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필휘 filed Critical 조필휘
Priority to KR20200000273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79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79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7984Y1/ko

Links

Landscapes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텐레스스틸과 알루미늄을 순차로 접합시킨 바닥면에 세라믹층을 형성하여 상기 세라믹에 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삼중바닥냄비에 관한 것으로서, 알루미늄에 의한 열전도와 축열효과와 더불어 세라믹에 의한 축열효과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골고루 익히고 냄비의 급격한 온도변화를 방지하여 음식물에 손상을 가하지 않는 삼중바닥냄비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위해 본 고안은 몸체의 하부로 제1스텐레스스틸판과 알루미늄판과 스텐레스스틸판이 순차로 적층되어 바닥을 형성하는 통상의 삼중바닥냄비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판의 상,하면에 세라믹층을 형성시킨 구성을 갖는다.
상기의 구성으로 본 고안은 하부에서 공급된 열원을 장시간 보존할 수 있고, 이로써 음식물에 손상을 가하지 않고 골고루 익혀 그 맛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삼중바닥 냄비{A Pan With Triple Bottom}
본 고안은 여러개의 이종금속판을 하나로 접합시켜 바닥면을 구성하는 삼중바닥냄비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그 바닥면에 세라믹층을 형성하여 상기 세라믹에 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삼중바닥냄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삼중바닥 냄비는 요리시에 냄비 하부에서 공급된 열원을 효율적으로 보존하고 그 열을 냄비 내부로 골고루 분포시켜 열의 불균일한 분포로 인한 음식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요리의 맛을 증대시키기 위해 착안되어 졌으며, 그 구성면에서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되고 그 상측으로 뚜껑(110)이 씌워지도록 개방되어 형성된 냄비몸체(120)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120)의 하측에는 냄비 바닥(121)이 형성된다.
또한, 냄비의 하부는 몸체(120)와 동일재질로 된 제1스텐레스판(121) 및 제2스텐레스스틸판(140)사이에 그 몸체(120)의 주재료보다 비열(Specipic Heat)이 상대적으로 높은 재질로 된 알루미늄판(130)을 접합시켜 삼중바닥을 형성한 구조로 되어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삼중바닥냄비는 알루미늄의 중간층을 형성시킨 단순한 구성을 취함으로써, 알루미늄에 의한 축열효과 및 공급열원의 균일한 분포측면에서 그 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였고,
주재료인 금속은 열에의해 그 부피가 팽참함으로, 이질의 금속으로 구성된 상기 알루미늄과 스텐레스스틸이 열팽창으로 부피가 팽창하여 접합부에 균열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삼중바닥냄비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몸체의 스텐레스스틸바닥부에 상기한 알루미늄판과 스텐레스스틸판을 순차로 접합시킨 종래 삼중바닥냄비에 있어, 상기 알루미늄판의 상,하부의 접면에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그 권리를 보유하고 있는 원적외선 방출 세라믹층을 형성시킴으로써 알루미늄에 의한 축열 및 열전도 기능과 더불어 세라믹의 축열효과도 더해져,
첫째, 이를 이용하여 조리 음식물을 골고루 익혀 그 맛을 더욱 증진시키고,
둘째, 냄비의 급격한 온도변화를 방지하여 음식물의 손상을 가하지 않으며,
셋째, 금속간의 열팽창으로 인한 접합부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는 삼중바닥냄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삼중바닥냄비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4는 종래 삼중바닥냄비의 요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뚜껑
20 : 몸체
21 : 제1스텐레스판 22 : 접합부
30 : 알루미늄판
40 : 제2스텐레스판
50 : 세라믹층
50a : 세라믹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구성을 적절한 실시예을 포함하는 첨부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삼중바닥냄비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서, 이러한 삼중바닥냄비는 통상에서돠 같이 뚜껑(10)을 포함하고, 스텐레스스틸 재질로 제작된 냄비 몸체(20)의 제1스텐레스스틸판(21)의 하측으로 알루미늄판(30)과 제2스텐레스스틸판(40)이 순차적으로 접합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삼중바닥냄비에 있어서, 본 고안은 상기 알루미늄판(30)의 상,하부 접면에는 원적외선방사 세라믹층(50)이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단면도로서, 이를 참고로 도 1의 구성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을 하겠다.
상기 알루미늄판(30)의 상,하로는 각각 스텐레스스틸판(21,40)이 위치하고, 그 상,하 접면에는 원적외선방사 세라믹층(50)이 형성되며, 상기 제1스텐레스스틸판(21)과 제2스텐레스스틸판(40)의 접면은 동질의 재료로서 스팟(spot)용접 등의 공지의 접합방법으로 접합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이하 도 3을 참고로 그 구성을 살펴보면,
제2실시예는 상기 제1스텐레스스틸판(21)에 알루미늄판(30)과 제2스텐레스판 (40)이 순차적으로 접합되고, 상기한 알루미늄판(30)의 상,하로 다수의 통공(31)이 형성되며, 이 통공(31)에는 상기한 세라믹(50a)이 삽입,충진되는 구성을 갖는다.
첨부도면에 의해 설명된 상기한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한 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일반 가정용 냄비뿐만 아니라 튀김기, 압력밥솥,후라이팬,피자 조조리판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종래의 삼중바닥냄비의 주재료로 사용되는 상기의 스텐레스스틸(금속명:SUS)은 비열(Specipic Heat)이 비교적 작은 금속으로, 단위 시간당 축적되는 열용량이 상대적으로 작으므로 공급된 열원을 장시간 보존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단시간에 가열되어 음식물에 손상을 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에 본 고안은 스텐레스스틸보다 상대적으로 비열과 열용량이 큰 상기의 알루미늄(금속명:Al)금속을 사용하여 공급된 열원을 보존하여(축열효과) 지속적으로 상부의 제1스텐레스스틸판(21)으로 열을 전도,공급하며,
또한 상기의 세라믹은 원적외선 방출효과가 공지되어 있으며, 비열이 상당히 커서 상기한 알루미늄과 함께 축열효과를 가지므로, 이로써 음식물에 손상을 가하지 않고 골고루 익힐 수 있어 그 맛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한 세라믹(50a)은 열팽창이 상대적으로 작아, 열에 의한 상기의 스텐레스스틸과 알루미늄 금속의 팽창을 완충하는 작용까지 수행할 수 있어 상기 제1스텐레스스틸판(21)과 제2스텐레스스틸판(40) 사이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사상을 구비한 본 고안은 공급된 열원을 장시간 보존할 수 있는 축열효과가 탁월하고, 이로써 조리시 음식물에 손상을 가하지 않고 골고루 익힐 수가 있어 그 맛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며,
상기한 세라믹에 의해 금속간의 열팽창으로 인한 냄비바닥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몸체(20)의 하부로 제1스텐레스스틸판(21)과 알루미늄판(30)과 스텐레스 스틸판(30)이 상호 적층되게 순차적으로 접합되어 바닥을 형성하는 통상의 삼중바닥냄비에 있어서,
    상기 제1스텐레스스틸판(21)과 알루미늄판(30) 사이, 상기 알루미늄판(30)과 제2스텐레스스틸판(40) 사이에 세라믹층(5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중바닥 냄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판(30)의 상,하로 다수의 통공(31)이 형성되고, 이 각각의 통공(31)에는 세라믹(50a)이 삽입,충진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삼중바닥 냄비.
KR2020000027379U 2000-09-29 2000-09-29 삼중바닥 냄비 KR2002179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379U KR200217984Y1 (ko) 2000-09-29 2000-09-29 삼중바닥 냄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379U KR200217984Y1 (ko) 2000-09-29 2000-09-29 삼중바닥 냄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7984Y1 true KR200217984Y1 (ko) 2001-03-15

Family

ID=73089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7379U KR200217984Y1 (ko) 2000-09-29 2000-09-29 삼중바닥 냄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798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19742A1 (en) * 2002-09-02 2004-03-11 Bong-Ki Baek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of frying pan using steel sheet coated by aluminu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19742A1 (en) * 2002-09-02 2004-03-11 Bong-Ki Baek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of frying pan using steel sheet coated by aluminu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68950A1 (en) Cooking utensil
KR900000385B1 (ko) 삼중요철 바닥면을 가진 주방용기 및 그 제조방법
US20050040171A1 (en) Multi clad cookware
KR200217984Y1 (ko) 삼중바닥 냄비
US9572448B2 (en) Dual pot
JPH07502436A (ja) 球状に湾曲した浅鍋(中華鍋)
KR20110092716A (ko) 운모층을 갖는 조리용기 및 조리용기소재
KR200442812Y1 (ko) 조리용기
KR200253634Y1 (ko) 3중 바닥 주방기구
KR101406492B1 (ko) 조리용기
US11406215B2 (en) Electric cooking pot
CN208740639U (zh) 一种煲锅的复合锅底结构及煲锅
KR20110056740A (ko) 금속망을 갖는 조리용기소재 및 이를 이용한 조리용기
JP3224444U (ja) 電熱鍋コンロ
KR200421202Y1 (ko) 맥반석을 구비하는 냄비
KR102126775B1 (ko) 바텀 센싱부의 구조를 간소화시킨 이중조리용기 및 이중조리용기 제조방법
JPH0637782Y2 (ja) 電気加熱式断熱調理器具
KR200197460Y1 (ko) 남비
CN208709661U (zh) 具有改进的防烫把手的炊具
CN208463591U (zh) 厨具加热组件
KR101241851B1 (ko) 고효율 내솥
CN207768141U (zh) 一种火锅用锅具
JPH0532025Y2 (ko)
KR200218047Y1 (ko)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을 조리판 내에 내장한 조리용기
KR20040014884A (ko) 동(銅)내피가 내장된 남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1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