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7907Y1 - 스프링쿨러 배관용 플렉시블조인트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스프링쿨러 배관용 플렉시블조인트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7907Y1
KR200217907Y1 KR2019990000639U KR19990000639U KR200217907Y1 KR 200217907 Y1 KR200217907 Y1 KR 200217907Y1 KR 2019990000639 U KR2019990000639 U KR 2019990000639U KR 19990000639 U KR19990000639 U KR 19990000639U KR 200217907 Y1 KR200217907 Y1 KR 2002179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lexible joint
sprinkler
fixed
flex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06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5912U (ko
Inventor
김형수
Original Assignee
김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수 filed Critical 김형수
Priority to KR20199900006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7907Y1/ko
Publication of KR200000159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59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79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7907Y1/ko

Lin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프링쿨러의 플렉시블조인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플렉시블조인트(10)를 감싸서 파열을 방지하는 보호망(18)을 견고하게 가압하여 고정하는 내,외측고정링(70)(75)와; 상기 내,외측고정링(70)(75)에 인접하여 플렉시블조인트(10)의 캡고정부(12)에 끼움돌기(22)가 끼움공(28)에 버튼 식으로 끼워져서 절연을 하도록 하는 제1,제2절연캡(20)(26)과; 상기 레듀샤(80)의 외주면에 각각 네개 씩 교번적으로 형성되는 라운딩부(84) 및 접촉면부(86)와; 상기 레듀샤(80)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천장에 설치되는 사각고정바(90)에 설치하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30)으로 구성된 스프링쿨러 고정용 플렉시블조인트 고정장치인 바, 플렉시블조인트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보호망을 견고하게 고정하고, 이종금속 간에 발생되는 전위 부식을 방지하며, 플렉시블파이프에 끼워지는 레듀샤를 견고하게 고정하고, 플렉시블파이프의 캡고정부에 고정되는 제1,제2절연캡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고안이다.

Description

스프링쿨러 배관용 플렉시블조인트 고정장치 {DEVICE FOR FIXING THE FLEXIBLE OF SPRINKLER}
본 고안은 스프링쿨러의 플렉시블조인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렉시블조인트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보호망이 견고하게 고정하고, 이종금속 간에 발생되는 전위 부식을 방지하며, 플렉시블파이프에 끼워지는 레듀샤를 견고하게 고정하고, 플렉시블파이프의 캡고정부에 고정되는 제1,제2절연캡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스프링쿨러 배관용 플렉시블조인트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이 고층화되고, 대형화됨에 따라 건물 내에 화재가 발생할 때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화재를 진압하도록 하는 화재진압기구를 다양하게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새로운 화재진압기구가 점차적으로 실용화되고 대중화되면서 건물의 각층의 천정부위에서 고압의 물을 급수하여 살포하므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스프링쿨러가 의무적으로 건물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실정에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스프링쿨러를 설치하기 위하여서는 천장의 내부로 용수를 공급하는 주급수관을 설치하고, 이 주급수관에 다수의 분지급수관을 연결하는 연결관으로 스프링쿨러를 결합하여 화재가 발생한 부분에 용수를 집중적으로 공급하여 화재를 진압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한 분지급수관과 스프링쿨러(Sprinkler)를 연결하여 용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플렉시블하게 구부려지고 금속재로 제작한 플렉시블조인트(Flexible Joint)가 최근에 많이 사용되는 추세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플렉시블조인트는 플렉시블하게 구부려지도록 하기 위하여 외주면을 나선형상으로 주름져서 사용하고 있으며, 외주면에는 고압으로 용수가 흐를 때 압력으로 인하여 관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금속망을 서로 교차시켜 얽은 형상을 갖는 보호망을 접촉하여 체결링을 견고하게 고정하여 사용하고 있다.
또한, 상기 플렉시블조인트의 일단부에는 스프링쿨러가 고정되는 레듀샤라고 하는 연결관이 있으며, 이 레듀샤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고정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이 고정장치는 레듀샤를 회전하지 못하도록 견고하게 잡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플렉시블조인트를 제조하기 위하여서는 스파크용접으로 금속재질을 융착시켜 제조하는 관계로 전기적인 부하가 플렉시블파이프에 가하여지는 경우 플렉시블파이프가 파손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플렉시블 조인트에 연결되는 레듀샤는 고정장치에 의하여 고정되는 바, 종래의 고정장치로는 레듀샤를 견고하게 고정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조립구조가 복잡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그리고, 플렉시블조인트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보호망을 견고하게 고정하지 못하여 보호망이 플렉시블조인트를 견고하게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들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플렉시블조인트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보호망이 견고하게 고정하고, 이종 금속 간에 발생되는 전위 부식을 방지하며, 플렉시블파이프에 끼워지는 레듀샤가 견고하게 고정하고, 플렉시블파이프의 캡고정부에 고정되는 제1,제2절연캡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플렉시블조인트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플렉시블조인트 고정장치에서 제1실시예의 고정수단을 분해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플렉시블조인트 고정장치에서 제1실시예의 고정수단을 분해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플렉시블조인트 고정장치에서 제2실시예의 고정수단을 분해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플렉시블조인트 고정장치에서 제1실시예의 고정수단을 분해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플렉시블조인트에서 절연캡과 체결링을 보인 도면.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절연캡의 결합 상태 단면도.
도 8은 도 6의 A-A선 단면을 보인 도면.
도 9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용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0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사용 상태를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플렉시블조인트 12 : 캡고정부
14 : 고정나사체 20 : 제1절연캡
22 : 끼움돌기 26 : 제2절연캡
28 : 끼움공 30 : 고정수단
40 : 케이스부재 42 : 관통공
44 : 걸림턱 46 : 고정홈부
50 : 고정체 52 : 사각통공
54 : 고정면부 60 : 나비나사
70 : 외측고정링 80 : 레듀샤
86 : 접촉면부 90 : 사각고정바
95 : 수직고정바 100 : 니플
110 : 분지급수관 120 : 스플링쿨러
이러한 목적은 천정에 설치되고, 용수를 공급하는 분지급수관과, 상기 분지급수관에 니플로 연결되고, 플렉시블하게 구부려지는 플렉시블조인트와; 상기 플렉시블조인트의 타단에 체결되고, 끝단부에 스프링쿨러를 고정하는 레듀샤를 포함하는 스프링쿨러장치에서, 상기 플렉시블조인트를 감싸는 강도를 보강하여 파열을 방지하는 보호망을 견고하게 내, 외측에서 가압하여 고정하는 내,외측고정링과; 상기 내,외측고정링에 인접하여 플렉시블조인트의 캡고정부에 끼움돌기가 끼움공에 버튼식으로 끼워져서 절연을 하도록 하는 제1,제2절연캡과; 상기 레듀샤의 외주면에 각각 네개 씩 교번적으로 형성되는 라운딩부 및 접촉면부와; 상기 레듀샤를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천장에 위치하는 상기 사각고정바에 의해 설치되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된 스프링쿨러 고정용 플렉시블조인트 고정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은 천장에 설치되고, 용수를 공급하는 분지급수관(110)과, 상기 분지급수관(110)에 니플(100)로 연결되고, 플렉시블하게 구부려지는 플렉시블조인트(10)와; 상기 플렉시블조인트(10)의 타단에 체결되고, 끝단부에 스프링쿨러(120)를 고정하는 레듀샤(80)를 포함하는 스프링쿨러장치에서, 상기 플렉시블조인트(10)를 감싸 강도를 보강하여 파열을 방지하는 보호망(18)을 견고하게 내, 외측에서 가압하여 고정하는 내,외측고정링(70)(75)와; 상기 내,외측고정링(70)(75)에 인접하여 플렉시블조인트(10)의 캡고정부(12)에 끼움돌기(22)가 끼움공(28)에 버튼 식으로 끼워져서 절연을 하도록 하는 제1,제2절연캡(20)(26)과; 상기 레듀샤(80)의 외주면에 각각 네개 씩 교번적으로 형성되는 라운딩부(84) 및 접촉면부(86)와; 상기 레듀샤(80)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천정에 설치되는 사각고정바(90)에 설치하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3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고정링(70)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가압홈부(72)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홈부(72)에 일치하도록 상기 내측고정링(75)의 외주면에 고정홈부(76)를 형성하여, 상기 가압홈부(72)를 금형으로 가압하여 보호망(18)을 고정홈부(76)에 밀착시켜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한다.
즉, 내,외측고정링의 전 체면이 가압하여 보호망(18)을 고정시킬 때 보다 외측체결링(70)의 가압홈부(72)가 내측고정링(75)의 고정홈부(76)에 진입되면서 보호망(18)을 고정시키므로 보호망(18)이 플렉시블조인트(10)의 외주면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내측고정링(75)과 플렉시블조인트(10)의 외주면 사이에 이종 금속간에 부식방지를 위하여 플라스틱재질로 된 연질의 부식방지와샤(77)를 설치하도록 한다. 이종 금속간의 전위 부식은 서로 다른 금속재질이 장기간에 걸쳐서 사용되어지다가 보면, 다른 부위에 비하여 부식 속도가 크게 발생되는 현상이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절연캡(20)의 끼움돌기(22)의 외주면은 돌출 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절연캡(26)의 끼움공(28)의 내벽면은 함몰되어 끼움돌기(22)와 끼움공(28)이 서로 압입되어 고정되므로 제1,제2절연캡(20)(26)이 충격에 의하여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30)은 상기 레듀샤(80)의 라운딩부(84)와 접촉면부(86)에 접촉되어 끼움공(58)으로 체결되는 나비나사(60)에 의하여 레듀샤(80)를 고정하는 고정체(50)와; 상기 고정체(50)의 측면으로 관통되고, 사각고정바(90)가 끼워지도록 형성된 사각통공(52)과; 상기 고정체(50)가 장착되어 걸림턱(44)에 고정되고 레듀샤(80)의 일 측면을 눌러주는 고정홈부(46)를 형성하는 케이스부재(40)로 구성된다.
이때,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부재(40)에는 상, 하로 관통된 관통공(42)을 형성하여 천정으로 부터 고정되는 수직고정바(45)가 상기 관통공(42)으로 끼워져서 상,하측면으로 부터 체결되는 제1,제2너트(96)(97)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플렉시블조인트(10)에 보호망(18)을 고정시키는 상태를 살펴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조인트(10)의 나선주름부 외주면에 금속재질로 된 보호망(18)을 접촉하고 걸림턱(16)의 내측면으로 부식방지와셔(77)를 설치하여 그 외측으로 내측고정링(75)과 외측고정링(70)을 대고 그 사이에 보호망(18)을 삽입시키도록 한다.
그런 후에 금형을 이용하여 외측고정링(70)의 가압홈부(72)를 가압하여 눌러주어 하측으로 돌출 시켜 내측고정링(75)의 고정홈부(76)에 함몰시키면서 압착하게 되면, 보호망(18)이 저 면으로 압착되어 눌려지게 되어 내,외측고정링(70)(75)에 견고하고 단단하게 고정되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제2절연캡(20)(26)을 조립하는 상태를 살펴보면, 제1절연캡(20)의 끼움돌기(22)를 제2절연캡(26)의 끼움공(28)에 삽입하여 가압하여 눌러주게 되면, 끼움돌기(22)의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미세하게 오므려지면서 끼움공(28)의 함몰된 부분에 끼워지면서 탄성 복원력을 회복하여 쉽게 분리되지 않게 버튼 식으로 조립되는 것이다.
이 제1,제2절연캡(20)(26)으로 인하여 전기스파크가 플렉시블조인트(10)의 캡고정부(12)에 직접 가하여지는 것을 차단하므로 관체의 파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고정바(90) 및 고정수단(30)을 이용하여 레듀샤(80)를 고정하는 상태를 살펴보면, 플렉시블조인트(10)의 고정나사체(14)에 나사부(82)를 체결하여 레듀샤(80)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고정수단(30)의 고정체(50)를 케이스부재(40)의 홈부에 수평으로 진입시켜 탄성적으로 고정체(50)를 케이스부재(40)의 걸림턱(44)에 걸어주어 조립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체(50)의 고정면부(54)와 케이스부재(40)의 고정홈부(46)에 레듀샤(80)의 라운딩부(84)와 접촉면부(86)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고정체(50)의 사각통공(52)에 사각고정바(90)를 끼워서 설치시킨 상태에서 나비나사(60)를 고정체(50)의 끼움공(58)에 체결하여 조여주게 되면, 고정체(50)가 오므려지면서 레듀샤(80)의 접촉면부(86)에 압력을 가하여 쉽게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나비나사(60)를 조여줌으로 인하여 레듀샤(80)가 사각고정바(90)의 일측면을 강하게 밀어주게 되므로 고정수단(30)이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로 사각고정바(90)에 고정되어진다.
한편, 상기 고정수단(30)을 다른 실시예로 사용하는 상태를 살펴보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에 스프링쿨러장치를 설치할 때 사각고정바(9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건물 천장(140)의 나사고정체(110)에 체결된 수직고정바(95)에 제1너트(96)를 먼저 체결시킨다.
그런 후 상기 고정수단(30)의 케이스부재(40)에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42)에 수직고정바(95)를 삽입하여 하부로 부터 제2너트(97)로 수직고정바(95)를 체결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1,제2너트(96)997)을 서로 반대 방향을 조여주므로 고정수단(30)을 천장에 매단 상태로 플렉시블조인트(10)를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쿨러 배관용 플렉시블조인트 고정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플렉시블조인트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보호망이 내,외측고정링의 가압력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될 뿐만 아니라 부식방지와셔에 의하여 이종 금속간의 부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플렉시블파이프의 캡고정부에 제1,제2절연캡을 버튼 식으로 가압하여 조립하므로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스파크 용접시에 플렉시블조인트에 가하여지는 스파크를 차단하여 관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플렉시블파이프에 끼워지는 레듀샤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고,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플렉시블조인트를 천장에 매달아서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을 지닌 고안이다.

Claims (3)

  1. 천장에 설치되고, 용수를 공급하는 분지급수관(110)과, 상기 분지급수관(110)에 니플(100)로 연결되고, 플렉시블하게 구부려지는 플렉시블조인트(10)와; 상기 플렉시블조인트(10)의 타단에 체결되고, 끝단부에 스프링쿨러(120)를 고정하는 레듀샤(80)를 포함하는 스프링쿨러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조인트(10)를 감싸서 파열을 방지하는 보호망(18)을 견고하게 가압하여 고정하는 내,외측고정링(70)(75)과;
    상기 내,외측고정링(70)(75)에 인접하여 플렉시블조인트(10)의 캡고정부(12)에 끼움돌기(22)가 끼움공(28)에 버튼식으로 끼워져서 절연을 하도록 하는 제1,제2절연캡(20)(26)과;
    상기 레듀샤(80)의 외주면에 각각 네개 씩 교번적으로 형성되는 라운딩부(84) 및 접촉면부(86)와;
    상기 레듀샤(80)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천장에 설치되는 사각고정바(90)에 설치하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쿨러 고정용 플렉시블조인트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고정링(70)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가압홈부(72)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홈부(72)에 일치하도록 상기 내측고정링(75)의 외주면에 고정홈부(76)를 형성하여, 상기 가압홈부(72)를 가압하여 보호망(18)을 고정홈부(76)에 밀착시켜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하고, 상기 내측고정링(75)과 플렉시블조인트(10)의 외주면 사이에 이종 금속간에 부식방지를 위한 부식방지와샤(77)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쿨러 고정용 플렉시블조인트고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30)은 상기 레듀샤(80)의 라운딩부(84)와 접촉면부(86)에 접촉되어 끼움공(58)으로 체결되는 나비나사(60)에 의하여 레듀샤(80)를 고정하는 고정체(50)와; 상기 고정체(50)의 측면으로 관통되고, 사각고정바(90)가 끼워지도록 형성된 사각통공(52)과; 상기 고정체(50)가 장착되어 걸림턱(44)에 고정되고 레듀샤(80)의 일 측면을 눌러주는 고정홈부(46)를 형성하는 케이스부재와; 상기 케이스부재(40)에는 상, 하로 관통된 관통공(42)이 형성되고, 천장에 고정되는 수직고정바(45)가 상기 관통공(42)에 끼워져서 상,하측면으로 부터 제1,제2너트(96)(97)에 의하여 체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쿨러 고정용 플렉시블조인트고정장치.
KR2019990000639U 1999-01-20 1999-01-20 스프링쿨러 배관용 플렉시블조인트 고정장치 KR2002179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639U KR200217907Y1 (ko) 1999-01-20 1999-01-20 스프링쿨러 배관용 플렉시블조인트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639U KR200217907Y1 (ko) 1999-01-20 1999-01-20 스프링쿨러 배관용 플렉시블조인트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912U KR20000015912U (ko) 2000-08-16
KR200217907Y1 true KR200217907Y1 (ko) 2001-03-15

Family

ID=54758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0639U KR200217907Y1 (ko) 1999-01-20 1999-01-20 스프링쿨러 배관용 플렉시블조인트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790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0527B1 (ko) * 2019-11-11 2021-10-08 승진산업 (주) 소방 관구속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912U (ko) 2000-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9689B1 (ko) 스프링클러 헤드 부착용 배관의 시공방법과 스프링클러 헤드 부착용 배관구조
JPWO2017217479A1 (ja) 消火設備配管の接続構造
JPH077837A (ja) ケーブルグランド
JP3225421U (ja) 消火設備配管の接続構造
KR100787577B1 (ko) 건축물내의 지중케이블 파형보호관 연결구조
KR200217907Y1 (ko) 스프링쿨러 배관용 플렉시블조인트 고정장치
JPH09294822A (ja) スプリンクラー巻き出し配管の管体構造
KR0117170Y1 (ko) 스프링클러용 플렉시블 배관장치
KR200179175Y1 (ko) 레듀샤 설치용 고정브라켓
KR200182905Y1 (ko) 기밀성과 절연성을 향상시킨 플렉시블조인트 결합체
JP2000310368A (ja) 管継手部の構造とそれに使用するパッキン
JP2009275840A (ja) 管継手、管接続構造および管接続方法
KR200254112Y1 (ko) 스프링클러용 주름관 연결장치
JPH076911Y2 (ja) 消化設備用配管構造
JP4514053B2 (ja) ヘッダー及びヘッダーの止水方法
KR102417641B1 (ko) 연결 조인트 구조
JPH10257636A (ja) 可撓性コンジットの接続装置
CN213555080U (zh) 消防水管
JP7158638B2 (ja) 消火設備用管継手
JP4398811B2 (ja) 道路用消雪の配管構造
JPH07180787A (ja) 管状部材の接続部シール構造
KR200410917Y1 (ko) 전선관 연결구 방수구조
JPS6018715Y2 (ja) 絶縁配管吊り金具
JP2533704Y2 (ja) 水道用器具の接続パッキン
JPH05175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5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