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2905Y1 - 기밀성과 절연성을 향상시킨 플렉시블조인트 결합체 - Google Patents
기밀성과 절연성을 향상시킨 플렉시블조인트 결합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82905Y1 KR200182905Y1 KR2019980005944U KR19980005944U KR200182905Y1 KR 200182905 Y1 KR200182905 Y1 KR 200182905Y1 KR 2019980005944 U KR2019980005944 U KR 2019980005944U KR 19980005944 U KR19980005944 U KR 19980005944U KR 200182905 Y1 KR200182905 Y1 KR 20018290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exible joint
- insulation
- cap fixing
- cap
- fixing par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프링쿨러의 플렉시블조인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물의 흐름을 향상시키는 나선부(36) 및 이 나선부(36) 사이에 강도를 보강하는 직관부(37)가 형성되며, 이 나선부(36)의 좌, 우 양측에 캡고정부(32)를 갖는 플렉시블조인트(30)와; 상기 플렉시블조인트(30)의 캡고정부(32)의 끝단부 외측면에 용수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누설방지링(80)이 끼워지는 링삽입홈(39)을 형성한 걸림돌부(38)와; 상기 플렉시블조인트(30)의 캡고정부(32) 외측면에 절연을 위하여 걸림후크(42)가 걸림홈(47)에 삽설되어 서로 결합되는 상,하부절연캡(40)(45)과; 상기 걸림돌부(38)의 외주면에 나사홈부(52)가 끼워지는 결합너트(50)의 걸림턱(54)에 걸려지는 절곡부(72)가 형성되고, 끼움공(74)이 캡고정부(32)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결합너트(50)와 플렉시블조인트(30)를 절연하는 절연부재(70)로 구성된 기밀성과 절연성을 향상시킨 플렉시블조인트 결합체인 바, 플렉시블조인트를 나선부와 직관부로 교호 반복하여 형성하여 물의 흐름을 좋게하고 강도를 보강하며, 플렉시블조인트의 캡고정부에 절연캡과 절연부재를 설치하여 플렉시블조인트가 전기적인 충격에 의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기밀성과 절연성을 향상시키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고안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스프링쿨러의 플렉시블조인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렉시블조인트를 나선부와 직관부로 교호 반복하여 형성하여 물의 흐름을 좋게하고 강도를 보강하며, 플렉시블조인트의 캡고정부에 절연성을 향상시키는 절연캡과 절연부재를 설치하여 플렉시블조인트가 전기적인 충격에 의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기밀성과 절연성을 향상시킨 플렉시블조인트 결합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이 고층화되고, 대형화됨에 따라 건물내에 화재가 발생할 시에 소방차가 신속하게 출동하여 고가사다리차를 이용하여 화재를 진압한다고 하더라도 고가사다리차의 상측이동에 제한을 받을 뿐만아니라 건물의 내부 깊숙이 발생되는 불길을 진화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따라 새로운 화재진압기구가 점차적으로 실용화되고 대중화되면서 건물의 각층의 천정부위에서 고압의 물을 급수하여 살포하므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스프링쿨러가 의무적으로 건물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실정에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스프링쿨러를 설치하기 위하여서는 천정의 내부로 용수를 공급하는 주급수관을 설치하고, 이 주급수관에 다수의 분지급수관을 연결설치하여 연결관을 이용하여 스프링쿨러를 결합하여 화재가 발생한 부분에 용수를 집중적으로 공급하여 화재를 진압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한 분지급수관과 스프링쿨러를 연결하여 용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플렉시블하게 구부려지고 금속재로 제작한 플렉시블조인트(Flexible Joint)가 최근에 많이 사용되는 추세에 있으며, 이 플렉시블조인트를 분지급수관과 스프링쿨러에 연결하기 위하여 전기적인 스파크에 의한 모재를 용접시키는 스파크 용접을 주로 사용 한다.
이 스파크 용접시에 비교적 얇은 플렉시블조인트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플렉시블조인트의 주름부에 절연을 보강하기 위한 절연보강층을 적층하여 사용하였다.
즉, 본 출원인은 실용신안등록 제 118091호에서 플렉시블조인트의 외주면에 절연을 위한 절연보강층을 설치하여 스프리쿨러를 설치하기 위하여 플렉시블조인트에 스파크 용접시에 고압의 스파크로 인하여 플렉시블조인트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고안에 대하여 출원한 바 있다.
그런데, 본 출원인이 종래에 등록한 고안에서 플렉블조인트를 보호하기 위한 절연보강층 만으로는 효율적으로 플렉시블조인트를 보호하기 어려운 부분이 노출되어 플렉시블조인트를 완벽하게 보호하기 위한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플렉시블조인트에 형성되는 주름부는 원형의 형상으로 플렉시블조인트의 외주면으로 돌출 형성되므로 관의 내부롤 흐르는 용수의 흐름을 향상시키 못하고 오히려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연결관이 플렉시블조인트의 결합너트에 긴밀하게 결합되지 못하여 고압의 용수가 플렉시블조인트로 흐르는 경우 이동하는 용수가 외부로 누설되어 화재 진압을 위한 고압의 용수를 제대로 공급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들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플렉시블조인트를 나선부와 직관부로 교호 반복하여 형성하여 물의 흐름을 좋게하고 강도를 보강하며, 플렉시블조인트의 캡고정부에 절연성을 향상시키는 절연캡과 절연부재를 설치하여 플렉시블조인트가 전기적인 충격에 의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기밀성과 절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플렉시블조인트 결합체의 분해 상태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플렉시블조인트 결합체의 요부 분해 사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플렉시블조인트 결합체의 결합 사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4(a) 내지 도 4(d)는 본 고안에 따른 플렉시블조인트 결합체의 결합 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플렉시블조인트 결합체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플렉시블조인트의 사용 상태를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플렉시블조인트 32 : 캡고정부
34 : 돌기부 36 : 나선부
37 : 직관부 40 : 상부절연캡
45 : 하부절연캡 48 : 통공
50 : 결합너트 54 : 걸림턱
60 : 연결관 62 : 나사부
70 : 절연부재 72 : 절곡부
80 : 누설방지링 90 : 절연보강층
100 : 니플 110 : 분지급수관
이러한 목적은 물의 흐름을 향상시키는 나선부 및 이 나선부 사이에 강도를 보강하는 직관부가 형성되며, 이 나선부의 좌, 우 양측에 있는 돌기부의 외측면으로 캡고정부를 갖는 플렉시블조인트와; 상기 플렉시블조인트의 캡고정부의 끝단부 외측면에 용수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누설방지링이 끼워지는 링삽입홈을 형성한 걸림돌부와; 상기 플렉시블조인트의 캡고정부 외측면에 절연을 위하여 걸림후크가 걸림홈에 삽설되어 서로 결합되는 상,하부절연캡과; 상기 걸림돌부의 외주면에 나사홈부가 끼워지는 결합너트의 걸림턱에 걸려지는 절곡부가 형성되고, 끼움공이 캡고정부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결합너트와 플렉시블조인트를 절연하는 절연부재로 구성된 기밀성과 절연성을 향상시킨 플렉시블조인트 결합체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플렉시블조인트 결합체의 구성을 살펴 보면, 물의 흐름을 향상시키는 나선부(36) 및 이 나선부(36) 사이에 강도를 보강하는 직관부(37)가 형성되며, 이 나선부(36)의 좌, 우 양측에 있는 돌기부(34)의 외측면으로 캡고정부(32)를 갖는 플렉시블조인트(30)와; 상기 플렉시블조인트(30)의 캡고정부(32)의 끝단부 외측면에 용수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누설방지링(80)이 끼워지는 링삽입홈(39)을 형성한 걸림돌부(38)와; 상기 플렉시블조인트(30)의 캡고정부(32) 외측면에 절연을 위하여 걸림후크(42)가 걸림홈(47)에 삽설되어 서로 결합되는 상,하부절연캡(40)(45)과; 상기 걸림돌부(38)의 외주면에 나사홈부(52)가 끼워지는 결합너트(50)의 걸림턱(54)에 걸려지는 절곡부(72)가 형성되고, 끼움공(74)이 캡고정부(32)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결합너트(50)와 플렉시블조인트(30)를 절연하는 절연부재(7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절연캡(45)의 외주면에는 상부절연캡(40)의 걸림후크(42)를 눌러줄 수 있는 통공(48)이 형성되어 상,하부절연캡(40)(45)의 결합이 이루어진 후에 필요에 의하여 상,하부절연캡(40)(45)을 분리하여 캡고정부(32)를 개방시켜야 하는 경우에는 뾰족한 기구물을 사용하여 통공(48)으로 걸림후크(42)를 밀어서 하부절연캡(45)의 걸림홈(47)을 젖혀서 양자를 분해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하부절연캡(40)(45) 및 절연부재(70)는 성형이 용이하고, 탄성력이 적절하게 구비한 프라스틱이라면 어떤 재질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플렉시블조인트(30)의 나선부(36) 및 직관부(37)의 외주면에 연질의 플라스틱 혹은 섬유질로 된 절연보강층(90)이 적층되도록 하며, 상기 플렉시블조인트(30)의 나선부(36)가 굴곡되어질 때 동시에 굴곡되는 정도의 연성을 지니고 있어야 하고, 플렉시블조인트(30)의 내부로 유동되는 용수의 높은 수압에 충분하게 견딜 수 있는 정도의 높은 강도도 지니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플렉시블조인트(30)의 나선부(36)와 직관부(37)는 교호 반복적으로 형성되어지며, 양자가 형성되는 길이 및 간격등은 플렉시블조인트(30)의 사용길이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나선부(36)는 용수의 흐름을 원할하게 유지하는 것이 목적이므 로 나선부(36)의 나선형상을 한줄 혹은 두줄 및 그 이상으로 형성하여 이동되는 용수의 흐름의 극대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나선부(36) 사이에 형성되는 직관부(37)는 플렉시블조인트(3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적절한 길이를 결정하도록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플렉시블조인트 결합체의 조립 상태를 도 4(a) 내지 도4(d)에 의거하여 살펴 보게 되면, 플렉시블조인트(30)의 걸림돌부(38)의 외주면에 절연부재(70) 및 결합너트(50)가 외주면에 끼워지고, 나선부(36)와 직관부(37)의 외주면에는 절연보강층(90)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조인트(30)의 캡고정부(32)에 상,하부절연캡(40)(45)을 이동시켜 결합시키게 되면, 상부절연캡(40)의 걸림후크(42)가 하부절연캡(45)의 걸림홈(47)에 걸려지면서 이탈이 방지된 상태로 캡고정부(32)의 외주면에 결합되어지고, 결합너트(50)를 걸림돌부(38)로 눌러주는 상태에 있게 된다.
그리고, 계속하여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부(38)의 링삽입홈(39)에 오링 혹은 패킹등과 같은 방수용부재인 누설방지링(80)을 끼워서 설치시킨 후에 플렉시블조인트(30)에 연결되어지는 연결관(60)을 결합너트(50)에 체결하기 위하여 이동시키도록 한다.
그 후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60)을 이동시켜 나사부(62)를 결합너트(50)의 나사홈부(52)에 체결하여 결합너트(50)를 손으로 돌리게 되면, 연결관(60)이 결합너트(50)로 점차적으로 진입하여 체결되어진다.
그리고,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너트(50)의 회전이 완전하게 이루어지면, 연결관(60)의 끝단부가 누설방지링(80)을 가압하는 상태로 눌러주면서 걸림홈부(38)에 압착된 상태로 눌려지므로 결합너트(50)와 연결관(60)의 나사부(62)의 틈새사이로 누출되는 용수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결합너트(50)에 연결되는 연결관(60)의 반대측에 있는 결합너트(50)에는 니플(100)의 나사부가 체결되어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결합되어진다.
이와 같이 조립된 플렉시블조인트(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도시된 주급수관으로 연결된 분지급수관(110)에 결합된 니플(100)에 일측에 있는 결합너트(50)를 체결하여 조립하고, 타측에 있는 결합너트(50)에 연결관(60)을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60)의 외주면에 제1고정바(120)를 따라 이동하는 고정브라켓(130)을 나비나사로 체결하여 고정하고 상기 제1고정바(120)의 하부에 있는 제2고정바(140)에는 상기 연결관(60)에 연결되는 스프링쿨러헤드(150)를 설치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니플(100)과 연결관(60)의 위치가 서로 어긋나 있는 경우에는 상기 플렉시블조인트(30)의 나선부(36)를 구부려서 니플(100)과 연결관(60)에 플렉시블조인트(30)를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분지급수관(110)을 통하여 물이 이동하고 플렉시블조인트(30)의 나선부(36)와 직관부(37)를 거쳐 연결관(60)의 하단부에 결합된 스프링쿨러헤드(150)에서 하측으로 물을 분사하여 화재가 발생된 부분에 용수를 공급하여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한편, 상기 주급수관과 분지급수관(110)등의 각종 시설물을 스파크용접으로 작업을 진행할 때 전원 일극이 스프링쿨러(30)의 플렉시블조인트(30)의 절연보강층(90)과 상,하부절연캡(40)(45)에 접속되더라도 전기적인 흐름을 차단하게 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너트(50)에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게 되면, 이 결합너트(50)의 내측에 있는 절연면(56)이 절연 부재(70)의 접촉면(76)에 의하여 플렉시블조인트(30)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므로 전기적인 흐름이 제한되어 플렉시블조인트(3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기밀성과 절연성을 향상시킨 플렉시블조인트 결합체를 사용하게 되면, 플렉시블조인트를 나선부와 직관부로 교호 반복하여 형성하여 물의 흐름을 좋게하고 강도를 보강하며, 플렉시블조인트의 캡고정부에 절연성을 향상시키는 절연캡과 절연부재를 설치하여 플렉시블조인트가 전기적인 충격에 의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기적인 절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고안인 것이다.
또한, 상기 플렉시블조인트의 나선부로 인하여 내부로 이동되는 용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나선부 상이에 형성된 직관부로 인하여 플렉시블조인트의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를 지닌다.
그리고, 상기 플렉시블조인트의 걸림돌부에 형성된 링삽입홈에 누설방지링이 삽설되어 긴밀하게 연결관과 결합너트가 결합되므로 용수가 누설되는 것을 절대적 으로 방지하는 잇점을 지닌다.
Claims (4)
- 물의 흐름을 향상시키는 나선부(36) 및 이 나선부(36) 사이에 강도를 보강하는 직관부(37)가 형성되며, 이 나선부(36)의 좌, 우 양측에 있는 돌기부(34)의 외측면으로 캡고정부(32)를 갖는 플렉시블조인트(30)와;상기 플렉시블조인트(30)의 캡고정부(32)의 끝단부 외측면에 용수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누설방지링(80)이 끼워지는 링삽입홈(39)을 형성한 걸림돌부(38)와;상기 플렉시블조인트(30)의 캡고정부(32) 외측면에 절연을 위하여 걸림후크(42)가 걸림홈(47)에 삽설되어 서로 결합되는 상,하부절연캡(40)(45)와;상기 걸림돌부(38)의 외주면에 나사홈부(52)가 끼워지는 결합너트(50)의 걸림턱(54)에 걸려지는 절곡부(72)가 형성되고, 끼움공(74)이 캡고정부(32)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결합너트(50)와 플렉시블조인트(30)를 절연하는 절연부재(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과 절연성을 향상시킨 플렉시블조인트 결합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절연캡(45)의 외주면에는 상부절연캡(40)의 걸림후크(42)를 눌러줄 수 있는 통공(4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과 절연성을 향상시킨 플렉시블조인트 결합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절연캡(40)(45) 및 절연부재(70)는 프라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과 절연성을 향상시킨 플렉시블조인트 결합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조인트(30)의 나선부(36) 및 직관부(37)의 외주면에 연질의 플라스틱 또는 섬유질로 된 절연보강층(90)이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과 절연성을 향상시킨 플렉시블조인트 결합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05944U KR200182905Y1 (ko) | 1998-04-15 | 1998-04-15 | 기밀성과 절연성을 향상시킨 플렉시블조인트 결합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05944U KR200182905Y1 (ko) | 1998-04-15 | 1998-04-15 | 기밀성과 절연성을 향상시킨 플렉시블조인트 결합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39615U KR19990039615U (ko) | 1999-11-15 |
KR200182905Y1 true KR200182905Y1 (ko) | 2000-06-01 |
Family
ID=19533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80005944U KR200182905Y1 (ko) | 1998-04-15 | 1998-04-15 | 기밀성과 절연성을 향상시킨 플렉시블조인트 결합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82905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01384A (ko) | 2021-12-29 | 2023-07-06 | 유윤상 | 플렉시블 조인트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28257B1 (ko) * | 2009-07-31 | 2012-03-23 | 김봉이 | 아파트용 엘보 일체형 플렉시블 조인트 스프링클러 장치 |
-
1998
- 1998-04-15 KR KR2019980005944U patent/KR20018290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01384A (ko) | 2021-12-29 | 2023-07-06 | 유윤상 | 플렉시블 조인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39615U (ko) | 1999-11-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20419B1 (ko) | 파이프 분무노즐 연결 어셈블리 | |
KR100942957B1 (ko) | 배관용 분기관 연결 피팅 | |
KR200182905Y1 (ko) | 기밀성과 절연성을 향상시킨 플렉시블조인트 결합체 | |
KR101865460B1 (ko) | 패킹의 기밀성을 높인 신축배관 | |
LT3292B (en) | Device for essembling of pipework and using the same | |
KR100488219B1 (ko) | 파이프와 플랜지의 연결구조 | |
KR200217907Y1 (ko) | 스프링쿨러 배관용 플렉시블조인트 고정장치 | |
KR200335463Y1 (ko) | 소방용 배관 연결 구조 | |
KR200260590Y1 (ko) | 스프링쿨러의 플렉시블조인트 결합구조 | |
KR200318955Y1 (ko) | 관 조인트의 구조 | |
KR200274207Y1 (ko) | 소화용 스프링쿨러의 레듀샤 고정구조 | |
KR102417641B1 (ko) | 연결 조인트 구조 | |
KR200487144Y1 (ko) | 소방 배관 연결구조 | |
KR102181354B1 (ko) | 조립형 파이프장치 | |
KR200206360Y1 (ko) | 관 조인트의 구조 | |
JPH09257175A (ja) | 接続管及び管体の接続方法 | |
KR200274871Y1 (ko) | 원형관 이음장치 | |
CN113975696B (zh) | 消防设备夹持装置 | |
KR200222236Y1 (ko) | 스프링쿨러의 연결관 조립구조 | |
KR102226691B1 (ko) | 스프링클러 연결구 | |
KR200163476Y1 (ko) | 샤워기연결용호스의손상방지장치 | |
KR101917607B1 (ko) | 소방용 배관 | |
KR19990039866U (ko) | 소화용 스프링클러의 플렉시블 연결관 | |
KR102688736B1 (ko) | 소방 모듈화 무용접 공법을 이용한 배관 이음용 조립체 | |
KR102705244B1 (ko) | Cpvc 연결부를 구비한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312 Year of fee payment: 13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