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0917Y1 - 전선관 연결구 방수구조 - Google Patents

전선관 연결구 방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0917Y1
KR200410917Y1 KR2020050034801U KR20050034801U KR200410917Y1 KR 200410917 Y1 KR200410917 Y1 KR 200410917Y1 KR 2020050034801 U KR2020050034801 U KR 2020050034801U KR 20050034801 U KR20050034801 U KR 20050034801U KR 200410917 Y1 KR200410917 Y1 KR 2004109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connector
annular
hole
conduit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48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석
Original Assignee
대승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승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승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348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09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09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09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2Heat or fire protective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02G3/0625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with means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conductors
    • H02G3/0683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with means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conductors with bolts operating in a direction transverse to the condu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중공으로 형성된 내부에 양방향으로 각각 대응되는 전선관이 삽입 고정되어 대응되는 전선관을 서로 연결시키는 전선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전선관과 전선관 연결구가 연결되는 부분을 외부에서 감싸도록 방수패킹이 결합되어 외부에서 물 또는 습기가 전선관 연결구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 연결구 방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전선관 연결구를 통해 서로 대응되는 전선관을 연결하거나, 단자함에 전선관을 연결하거나, 가요전선관과 전선관을 연결할 때 전선관과 전선관 연결구가 연결되는 부분을 방수패킹이 외부에서 감싸도록 결합되어 전선관 연결구 내부로 물 또는 습기가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는 효과가 있다.
전선관, 전선관 연결구, 방수패킹, 걸림홈, 전선관 밀착편

Description

전선관 연결구 방수구조{WATERPROOF STRUCTURE OF ELECTRIC CONDUIT CONNECTOR}
도 1은 종래의 전선관 연결구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선관 연결구 방수구조의 구성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리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전선관 연결구 방수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전선관 연결구 방수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결합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전선관 연결구 111: 나사공
112: 걸림홈 200: 방수패킹
210: 관통공 220: 전선관 밀착편
230: 걸림편 240: 연결구 밀착편
310,320: 전선관 330: 가요전선관
B: 볼트 W: 와셔
T: 단자함 N: 너트
본 고안은 전선관 연결구 방수구조에 관한 것으로, 전선관 연결구를 통해 서로 대응되는 전선관을 연결하거나 단자함에 전선관을 연결하거나 가요전선관과 전선관을 연결할 때, 전선관 연결구 내부로 물 또는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전선관 연결구 방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단독주택, 공동주택 혹은 건물 등의 시공시, 각종 전선들은 전선관에 의해 보호된 상태로 배선된다. 그리고, 이러한 전선관들을 서로 연결하거나 전선관을 단자함에 연결할 때 전선관 연결구가 사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일반적인 전선관 연결구(10)는 내주면에 암나사부(11)가 형성된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마련된다. 그리고, 연결하고자 하는 전선관 (20,30) 단부의 외면에 수나사부(21,31)를 형성하여 상기 전선관 연결구(10)의 양단에 체결 고정함으로써 전선관(20,30)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종래의 전선관 연결구는 연결하고자 하는 전선관의 단부 외주면에 파이프 머신 등의 나사내는 장치를 이용하여 나사산을 형성해야 했기 때문에 그 작업이 번거롭울 뿐만아니라 시간이 많이 걸려 작업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11827호에는 전선관을 신속하면서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전선관 연결구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전선관 연결구는 중공으로 형성되고, 양단에 서로 대응되는 전선관이 삽입되며, 외면에는 내부로 나사공이 관통 형성되고, 이 나사공을 통해 볼트가 체결되어 연결구에 삽입된 전선관을 가압 고정시키므로써 대응되는 전선관이 연결되게 구성된다.
하지만, 상기 전선관 연결구는 전선관 연결구와 전선관의 연결부분을 통해 물 또는 습기가 유입되어 결합부분에 녹이 발생되거나, 심지어는 전선관 내부로 유입된 물 또는 습기에 의해 전선이 쇼트되어 화재, 정전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반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 로, 그 목적은 서로 대응되는 전선관 연결구를 통해 전선관을 연결하거나, 단자함에 전선관을 연결하거나 가요전선관과 전선관을 연결할 때 전선관 연결구 내부로 물 또는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연결부분에 녹이 스는 것을 방지하고 전선이 쇼트되어 화재, 정전 등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하도록 한 전선관 연결구 방수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전선관 연결구 방수구조는 중공으로 형성된 내부에 양방향으로 각각 대응되는 전선관이 삽입 고정되어 대응되는 전선관을 서로 연결시키는 전선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전선관과 전선관 연결구가 연결되는 부분을 외부에서 감싸도록 방수패킹이 결합되어 외부에서 물 또는 습기가 전선관 연결구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선관 연결구의 외면 양단에는 외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방수패킹에는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관통공의 상단에는 전선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환형의 전선관 밀착편이 연장 형성되고, 관통공의 하단에는 상기 걸림홈과 대응되는 환형의 걸림편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전선관 밀착편과 걸림편의 사이에는 전선관 연결구의 일면과 밀착되는 연결구 밀착편이 환형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선관 연결구 방수구조의 구성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리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결합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양단에 각각 대응되는 전선관이 삽입 고정되는 전선관 연결구(100)와 전선관과 전선관 연결구가 연결되는 부분에 결합되는 방수패킹(2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선관 연결구(100)는 중공으로 형성되고, 양단에는 서로 대응되는 전선관(310,320)이 삽입되게 개방되며, 외면에는 내측으로 나사공(110)이 관통 형성되고, 이 나사공(110)을 통해 볼트(B)가 체결되어 삽입된 전선관(310,320)을 가압 고정시켜 대응되는 전선관(310,320)이 연결되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나사공(110)은 전선관(310,320)이 전선관 연결구에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삽입되는 전선관의 직경에 따라 나사공의 갯수를 증감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볼트에 와셔를 삽입하여 체결력을 높일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선관 연결구의 외면 양단에는 외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걸림홈(120)이 형성되어 후술할 방수패킹의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방수패킹(200)은 내부에 관통공(210)이 형성되고 상기 전선관(310,320)과 전 선관 연결구(100)가 연결되는 부분을 외부에서 감싸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관통공(210)의 상단에는 전선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환형의 전선관 밀착편(220)이 연장 형성되어 외부에서 물 또는 습기가 전선관 연결구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밀착편이 전선관의 외면에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밀착편의 내경은 전선관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방수효과를 높일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관통공(210)의 하단에는 상기 전선관 연결구의 걸림홈(120)에 대응되는 환형의 걸림편(230)이 연장 형성된다. 즉, 상기 걸림홈(120)에 걸림편(230)이 삽입 고정되어 방수패킹이 전선관 연결구에서 유동되지 않고 고정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전선관 밀착편(220)과 걸림편(230)의 사이에는 전선관 연결구의 일면과 밀착되는 연결구 밀착편(240)이 환형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연결구 밀착편(240)은 전선관 연결구의 일면에 밀착되어 상기 방수패킹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편(230)과 함께 전선관 고정구의 단부를 양방향에서 밀착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방수패킹이 전선관 연결구에서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게 한다. 또한, 전선관 연결구의 단부에서 전선관의 외면에 밀착되어 외부에서 물 또는 습기가 전선관 연결구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2차적으로 방지한다.
한편, 미설명된 부호 102은 전선관의 끼워짐을 제한하는 스토퍼이다.
이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도 3의 상태에서 전선관 연결구(100)의 양단에 형성된 걸림홈(120)에 방수패킹(200)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편(230)을 삽입 고정시켜 전선관 연결구에 방수패킹이 고정되게 한다. 여기서, 걸림편(230)은 연결구 밀착편(240)과 함께 전선관 고정구의 단부를 양방향에서 밀착 지지하여 전선관 연결구에 방수패킹이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그 후, 전선관 연결구(100)의 양단에 서로 대응되는 전선관(310,320)을 삽입한 후 나사공(110)을 통해 볼트(B)를 체결하여 삽입된 전선관(310,320)을 가압 고정시켜 대응되는 전선관을 연결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패킹(200)의 상단에 마련된 전선관 밀착편(220)이 삽입되는 전선관에 의해 신장되면서 전선관(310,320)의 외면에 견고하게 밀착되게 된다. 이에 따라, 전선관 연결구와 전선관 연결부분을 통해 전선관 연결구 내부로 물 또는 습기가 전선관 연결구 내부로 침투되는 것이 차단된다. 또한, 전선관 밀착편(220)과 걸림편(230)의 사이에 마련되는 연결구 밀착편(240)이 전선관 연결구의 단부에서 삽입된 전선관의 외면에 밀착되어 외부에서 침투되는 물 또는 습기를 2차적으로 차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전선관을 서로 대응되는 전선관을 연결할 때 전선관과 전선관 연결구가 연결되는 부분을 방수패킹을 통해 외부에서 감싸도록 결합되어 전선관 연결구 내부로 물 또는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므로, 전선관과 전선관 연결구의 연결부분에 녹이 스는것을 방지하고 전선관 내부로 유입되는 물 또는 습기에 의해 전선이 쇼트되어 화재, 정전 등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단자함에 전선관을 연결할 때 사용되는 전선관 연결구에도 적용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일단은 단자함(T)에 고정되고 타단은 전선관이 삽입 고정되는 전선관 연결구(100)와 전선관과 전선관 연결구가 연결되는 부분에 결합되는 방수패킹(2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선관 연결구(100)는 중공으로 형성되고, 일단부 외면에는 수나사부(130)가 형성되어 단자함(T)에 끼워져 너트(N)를 통해 고정되고, 타단부는 내부에 전선관(310)이 삽입되고 전선관 연결구의 외면에 내측으로 관통 형성된 나사공(110)을 통해 볼트(B)가 체결되어 삽입된 전선관(310)을 가압 고정시켜 단자함에 전선관이 연결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선관 연결구(100)의 타단 외면에는 외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걸림홈(120)이 형성되어 방수패킹(200)의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방수패킹(200)에는 내부에 관통공(210)이 형성되며, 관통공(210)의 상단에는 전선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환형의 전선관 밀착편(220)이 연장 형성되고, 관통공(210)의 하단에는 상기 걸림홈(120)과 대응되는 환형의 걸림편(230)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전선관 밀착편(220)과 걸림편(230)의 사이에는 전선관 연결구의 일면과 밀착되는 연결구 밀착편(240)이 환형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는 단자함에 전선관을 연결할 때 전선관과 전선관 연결구가 연결되는 부분을 방수패킹을 통해 외부에서 감싸 결합되어 전선관 연결구 내부로 물 또는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므로, 전선관과 전선관 연결구의 연결부분에 녹이 스는것을 방지하고 단자함 내부로 물 또는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단자함 내부에 설치된 각종 설비들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후렉시블 전선관과 전선관을 연결할 때 사용되는 전선관 연결구에도 적용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일단은 가요전선관이 삽입 고정되고 타단은 전선관이 삽입 고정되는 전선관 연결구(100)와 전선관과 전선관 연결구가 연결되는 부분에 결합되는 방수패킹(2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선관 연결구(100)는 중공으로 형성되고 일단부는 관고정구(332)가 체결된 가요전선관(330)이 삽입되어, 일단부 외면에 형성된 수나사부(140)에 체결되는 캡너트(N)를 통해 관고정구(332)를 밀착 지지함으로써 가요전선관가 고정되고, 타단부는 내부에 전선관(310)이 삽입되고 전선관 연결구의 외면에 내측으로 관통 형성된 나사공(110)을 통해 볼트(B)가 체결되어 삽입된 전선관(310)을 가압 고정시켜 가요전선관과 전선관이 연결되게 구성된다. 한편, 캡너트 내부에는 수밀성의 고무링(R)이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선관 연결구(100)의 타단 외면에는 외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걸림홈(132)이 형성되어 방수패킹(200)의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방수패킹(200)에는 내부에 관통공(210)이 형성되며, 관통공(210)의 상단에는 전선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환형의 전선관 밀착편(220)이 연장 형성 되고, 관통공(210)의 하단에는 상기 걸림홈(120)과 대응되는 환형의 걸림편(230)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전선관 밀착편(220)과 걸림편(230)의 사이에는 전선관 연결구의 일면과 밀착되는 연결구 밀착편(240)이 환형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는 가요전선관과 전선관을 연결할 때 전선관과 전선관 연결구가 연결되는 부분을 방수패킹을 통해 외부에서 감싸 결합되어 전선관 연결구 내부로 물 또는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므로, 전선관과 전선관 연결구의 연결부분에 녹이 스는것을 방지하고 전선관 내부로 유입되는 물 또는 습기에 의해 전선이 쇼트되어 화재, 정전 등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전선관 연결구를 통해 서로 대응되는 전선관을 연결하거나 단자함에 전선관을 연결할 때, 전선관과 전선관 연결구가 연결되는 부분을 방수패킹을 통해 외부에서 감싸도록 결합되어 전선관 연결구 내부로 물 또는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므로, 전선관과 전선관 연결구의 연결부분에 녹이 스는것을 방지하고 전선관 내부에 전선이 쇼트되는 것을 방지하며 단자함 내부에 설치된 각종 설비들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 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중공으로 형성된 내부에 양방향으로 각각 대응되는 전선관이 삽입 고정되어 대응되는 전선관을 서로 연결시키는 전선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전선관과 전선관 연결구가 연결되는 부분을 외부에서 감싸도록 방수패킹이 결합되어 외부에서 물 또는 습기가 전선관 연결구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 연결구 방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관 연결구의 외면 양단에는 외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방수패킹에는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관통공의 상단에는 전선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환형의 전선관 밀착편이 연장 형성되고, 관통공의 하단에는 상기 걸림홈과 대응되는 환형의 걸림편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전선관 밀착편과 걸림편의 사이에는 전선관 연결구의 일면과 밀착되는 연결구 밀착편이 환형으로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 연결구 방수구조.
  3. 일단부 외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단자함에 끼워져 너트를 통해 고정되 고, 타단부는 내부에 전선관이 삽입 고정되어 단자함에 전선관을 연결시키는 전선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전선관과 전선관 연결구가 연결되는 부분을 외부에서 감싸도록 방수패킹이 결합되어 외부에서 물 또는 습기가 전선관 연결구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 연결구 방수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관 연결구의 타단 외면에는 외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방수패킹에는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관통공의 상단에는 전선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환형의 전선관 밀착편이 연장 형성되고, 관통공의 하단에는 상기 걸림홈과 대응되는 환형의 걸림편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전선관 밀착편과 걸림편의 사이에는 전선관 연결구의 일면과 밀착되는 연결구 밀착편이 환형으로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 연결구 방수구조.
  5. 일단은 가요전선관이 삽입 고정되고 타단은 전선관이 삽입 고정되어 가요전선관과 전선관을 연결시키는 전선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전선관과 전선관 연결구가 연결되는 부분을 외부에서 감싸도록 방수패 킹이 결합되어 외부에서 물 또는 습기가 전선관 연결구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 연결구 방수구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관 연결구의 타단 외면에는 외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방수패킹에는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관통공의 상단에는 전선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환형의 전선관 밀착편이 연장 형성되고, 관통공의 하단에는 상기 걸림홈과 대응되는 환형의 걸림편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전선관 밀착편과 걸림편의 사이에는 전선관 연결구의 일면과 밀착되는 연결구 밀착편이 환형으로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 연결구 방수구조.
KR2020050034801U 2005-12-09 2005-12-09 전선관 연결구 방수구조 KR2004109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4801U KR200410917Y1 (ko) 2005-12-09 2005-12-09 전선관 연결구 방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4801U KR200410917Y1 (ko) 2005-12-09 2005-12-09 전선관 연결구 방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0917Y1 true KR200410917Y1 (ko) 2006-03-10

Family

ID=41761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4801U KR200410917Y1 (ko) 2005-12-09 2005-12-09 전선관 연결구 방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091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729B1 (ko) 2012-02-23 2013-08-01 (주)진성테크 방수기능을 갖는 매입형 접속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729B1 (ko) 2012-02-23 2013-08-01 (주)진성테크 방수기능을 갖는 매입형 접속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6341B2 (en) Cable and flexible conduit gland assembly
US6988746B2 (en) Nut type raintight threadless couplings and connectors for electrical conduits
US9231397B2 (en) Cable gland assembly
CN103851559A (zh) 防水灯具及其电缆线接头结构
KR200428931Y1 (ko) 전선관 커넥터
KR20090001385U (ko) 파이프 고정용 유볼트
JP5274693B1 (ja) 電力ケーブル用接続器
KR100787577B1 (ko) 건축물내의 지중케이블 파형보호관 연결구조
KR102403590B1 (ko) 변압기에 접속되는 지중 송전선로의 케이블 고정 장치
KR200474526Y1 (ko) 가요전선관 연결구
PT1978616T (pt) Passa-muros e método de fabrico do mesmo
KR101290687B1 (ko) 케이블커넥터
KR200410917Y1 (ko) 전선관 연결구 방수구조
US20040069517A1 (en) Set screw type raintight threadless couplings & conncectors for electrical conduits
KR100706785B1 (ko) 지중 케이블 관로의 연결구
US5147979A (en) Threadless floor electric wire junction box with water-proof protection
CN104078792B (zh) 电缆接头组件以及包括电缆接头组件的电气设备
KR100914773B1 (ko) 공동주택용 누수차단용 전기배관장치
KR101996303B1 (ko) 공동주택의 전기 배전선로 누수차단용 배관구조
KR101023483B1 (ko) 케이블그랜드용 어댑터
KR20090007590U (ko) 전선배관용 커플링
JP6194069B1 (ja) ケーブルグランド
KR20090007546U (ko) 배전용 방수 클램핑 장치
KR100712315B1 (ko) 건축 전기배관 누수 방지시설구조
KR20130121267A (ko) 파이프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