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7590U - 전선배관용 커플링 - Google Patents

전선배관용 커플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7590U
KR20090007590U KR2020080001012U KR20080001012U KR20090007590U KR 20090007590 U KR20090007590 U KR 20090007590U KR 2020080001012 U KR2020080001012 U KR 2020080001012U KR 20080001012 U KR20080001012 U KR 20080001012U KR 20090007590 U KR20090007590 U KR 2009000759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wire pipe
wire
piping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10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석
Original Assignee
대승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승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승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010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7590U/ko
Publication of KR200900075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759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Landscapes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전선배관과 전선배관을 연결하거나 전선배관과 단자함을 연결할 때 전선배관과 커플링간의 기밀성을 향상시켜 전선배관 내부로 시멘트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선배관용 커플링이 개시된다. 개시된 커플링은 외주면 양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외주면 측면에는 전선배관을 고정시키기 위한 조임볼트가 취부되어 있는 본체와; 내주면에는 상기 본체의 나사산에 치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턱이 형성된 너트체와; 하단은 상기 본체 상면에 지지되고 상단은 상기 너트체의 돌출턱 저면에 지지되어서, 외측면은 상기 너트체의 내면에 밀착되고 내측면은 전선배관의 외면에 밀착되는 밀봉패킹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선배관, 커플링, 밀봉패킹, 조임볼트, 너트체

Description

전선배관용 커플링{COUPLING FOR ELECTRIC CONDUIT}
본 고안은 전선배관용 커플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선배관과 전선배관을 연결하거나 전선배관과 단자함을 연결할 때 전선배관과 커플링간의 기밀성을 향상시켜 전선배관 내부로 시멘트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선배관용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각종 건물의 시공시 건물벽체에는 전선배관이 내설된 후 콘크리트로 타설되는 데, 전선배관과 커플링 사이에 간극이 발생한 경우에는 콘크리트 타설 도중에 상기 간극 사이로 시멘트물이 유입되어 정전이나 화재가 발생할 우려가 있거나, 전선배관 내부에서 유입된 시멘트가 굳어 전선배관 내부로 전선을 인입하지 못하거나 인입된 전선이 시멘트에 굳어 교체작업을 할 수 없는 등 다양한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커플링의 일례가 국내 공개특허 제2002-11827호에 소개되어 있는 데,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선배관과 전선배관의 연결용 커플링(11)은 도1(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파이프 형상으로 외주면 측면에는 조임볼트(12)가 취부되어 있으며 중앙 내부에는 환형의 지지턱(13)이 돌설되어 있고 상기 지지턱 상하면에는 각각 밀봉패킹(14)이 배치되게 구성되어, 커플링 양측으로 전선배관(P)을 삽입하여 전선배관(P)의 단부를 밀봉패킹(14)에 밀착되게 한 다음 조임볼트(12)를 조여 전선배관(P)을 커플링내에 고정되게 하고 있다.
또한, 전선배관과 단자함의 연결용 커플링(21)은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 측면에 조임볼트(23)가 취부되어 있는 전선배관 연결부(22)와, 외주면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단자함 연결부(25)와, 상기 전선배관 연결부(22)와 단자함 연결부(25)의 연결부분 내부에 취부되어 있는 밀봉패킹(26)으로 구성되어 전선배관 연결부(22)측으로 전선배관(P)을 삽입하여 전선배관(P)의 단부가 밀봉패킹(26)에 밀착되게 한 다음 조임볼트(23)를 조여 전선배관(P)을 커플링내에 고정되게 하고, 단자함(T) 측에서 오링(27)과 로크너트(28)를 각각 단자함 연결부(25)에 조립하여 단자함(T)과 단자함 연결부(25)를 서로 결합되게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커플링은 전선배관 단부를 밀봉패킹에 견고하게 밀착시킨 다음 조임볼트를 통해 전선배관을 고정시키야 하지만, 작업자가 전선배관 단부를 패킹에 견고하게 밀착시키기 위해서는 전선배관을 밀봉패킹측으로 지속적으로 가압해야 하는 데 이에 대한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조임볼트를 조이는 과정에서 전선배관이 유동하여 전선배관 단부와 패킹간의 밀착력이 저하되어 간극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간극으로 시멘트물이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전선배관과 전선배관을 연결하거나 전선배관과 단자함을 연결할 때 전선배관과 커플링간의 기밀성을 향상시켜 전선배관 내부로 시멘트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선배관용 커플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외주면 양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외주면 측면에는 전선배관을 고정시키기 위한 조임볼트가 취부되어 있는 본체와; 내주면에는 상기 본체의 나사산에 치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턱이 형성된 너트체와; 하단은 상기 본체 상면에 지지되고 상단은 상기 너트체의 돌출턱 저면에 지지되어, 외측면은 상기 너트체의 내면에 밀착되고 내측면은 전선배관의 외면에 밀착되는 밀봉패킹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배관용 커플링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외주면 상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외주면 측면에는 조임볼트가 취부되어 있는 전선배관 연결부와,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단자함 관통공에 삽입되며, 패킹과 조립너트를 통해 단자함과 결합되는 단자함 연결부와; 내주면에는 상기 전선배관 연결부의 나사산에 치합되는 나사산이 형 성되며, 상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턱이 형성된 너트체와; 하단은 상기 전선배관 연결부 상면에 지지되고 상단은 상기 너트체의 돌출턱 저면에 지지되어, 외측면은 상기 너트체의 내면에 밀착되고 내측면은 전선배관의 외면에 밀착되는 밀봉패킹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배관용 커플링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전선배관용 커플링은 전선배관과 전선배관을 연결하거나 전선배관과 단자함을 연결할 때 전선배관과 커플링간의 기밀성을 향상시켜 전선배관 내부로 시멘트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전선배관용 커플링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본 고안에 따른 커플링은 전선배관과 전선배관을 연결하는 전선배관용 커플링과 전선배관과 단자함을 연결하는 커플링으로 대별될 수 있으므로, 이하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2는 전선배관과 전선배관을 연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전선배관용 커플링의 분리사시도이며, 도3은 도2의 단면도이다.
이를 참고하면, 전선배관과 전선배관을 연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전선배관용 커플링은 본체(110), 너트체(120) 및 밀봉패킹(13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10)는 파이프 형상으로 외주면 양단에는 나사산(111)이 형성되며, 외주면 측면에는 전선배관을 고정시키기 위한 조임볼트(112)가 취부되어 있다. 따라서, 전선배관(P)이 본체 양측으로 각각 삽입될 수 있으며 삽입된 다음에는 조임볼트(112)를 조이면 조임볼트(112)가 전선배관(P)의 외주측면을 가압하여 전선배관(P)이 본체(110) 내에서 고정되게 된다.
상기 너트체(120)는 내주면에 상기 본체의 나사산(111)에 치합되는 나사산(1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턱(1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밀봉패킹(130)은 본체(110)와 너트체(120) 사이에 개제되어 시멘트물이 커플링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밀봉패킹(130)은 그 하단이 상기 본체(110) 상면에 지지되고 상단이 상기 너트체(120)의 돌출턱(122) 저면에 지지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배치된 밀봉패킹(130)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면은 상기 너트체의 내면에 밀착되고 내측면은 전선배관의 외면에 밀착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밀봉패킹(130)에 의해 전선배관과 커플링간의 기밀성이 향상되어 전선배관 내부로 시멘트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또한, 도1에 도시된 종래의 커플링은 조임볼트로 전선배관을 고정시키기 전까지 작업자가 직접 전선배관을 밀봉패킹측으로 지속적으로 가압해야 했으나, 본 고안은 너트체를 조이면 전선배관과 밀봉패킹이 서로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조임볼트를 조여 전선배관을 고정시키면 되므로, 그 사용이 매우 용이하다는 잇점이 있다.
한편, 상기 밀봉패킹(130)의 상단과 하단은 내측에서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한 데, 이는 너트체(120)를 조일 때 조이는 힘이 밀봉패킹(130)에 대해 횡방향으로도 작용하게 하여 밀봉패킹(130)과 전선배관(P)간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첨부된 도4에는 전선배관과 단자함을 연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전선배관용 커플링의 결합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은 전선배관 연결부(210), 단자함 연결부(220), 너트체(230) 및 밀봉패킹(240)을 포함한다.
상기 전선배관 연결부(210)는 전선배관(P)이 연결되는 부분으로, 외주면 상 단에는 나사산(211)이 형성되며 외주면 측면에는 조임볼트(212)가 취부되어 있다. 따라서, 전선배관(P)을 전선배관 연결부(210)측으로 삽입한 다음 조임볼트(212)를 조이면 조임볼트(212)가 전선배관의 외주측면을 가압하여 전선배관이 전선배관 연결부 내에서 고정되게 된다.
상기 단자함 연결부(220)는 상기 전선배관 연결부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단자함 관통공에 삽입된다. 단자함 관통공에 삽입된 다음에는 단자함 측에서 오링(221)과 노크너트(222)를 순차적으로 조립하면 단자함 연결부(220)가 단자함(T)에 결합된다.
상기 너트체(230)는 내주면에 상기 전선배관 연결부의 나사산에 치합되는 나사산(231)이 형성되며, 상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턱(2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밀봉패킹(240)은 전선배관 연결부(210)와 너트체(230) 사이에 개제되어 시멘트물이 커플링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밀봉패킹(240)은 그 하단이 상기 전선배관 연결부(210) 상면에 지지되고 상단이 상기 너트체(230)의 돌출턱(232) 저면에 지지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배치된 밀봉패킹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면은 상기 너트체의 내면에 밀착되고 내측면은 전선배관의 외면에 밀착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밀봉패킹(240)에 의해 전선배관과 커플링간의 기밀성이 향상되어 전선배관 내부로 시멘트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으며, 너트체를 조이면 전선배관과 밀봉패킹이 서로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조임볼트를 조여 전선배관을 고정시키면 되므로 그 사용이 매우 용이하다는 잇점이 있다.
나아가, 상기 밀봉패킹(240)의 상단과 하단은 내측에서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한 데, 이는 너트체를 조일 때 조이는 힘이 밀봉패킹에 대해 횡방향으로도 작용하게 하여 밀봉패킹과 전선배관간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도1은 종래의 전선배관용 커플링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선배관용 커플링의 분리사시도이며,
도3은 도2의 단면도이며,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전선배관용 커플링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Claims (4)

  1. 외주면 양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외주면 측면에는 전선배관을 고정시키기 위한 조임볼트가 취부되어 있는 본체와;
    내주면에는 상기 본체의 나사산에 치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턱이 형성된 너트체와;
    하단은 상기 본체 상면에 지지되고 상단은 상기 너트체의 돌출턱 저면에 지지되어서, 외측면은 상기 너트체의 내면에 밀착되고 내측면은 전선배관의 외면에 밀착되는 밀봉패킹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배관용 커플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패킹의 상단과 하단은 내측에서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전선배관용 커플링.
  3. 외주면 상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외주면 측면에는 조임볼트가 취부되어 있는 전선배관 연결부와,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단자함 관통공에 삽입되며, 패킹과 조립너트를 통해 단자함과 결합되는 단자함 연결부와;
    내주면에는 상기 전선배관 연결부의 나사산에 치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턱이 형성된 너트체와;
    하단은 상기 전선배관 연결부 상면에 지지되고 상단은 상기 너트체의 돌출턱 저면에 지지되어서, 외측면은 상기 너트체의 내면에 밀착되고 내측면은 전선배관의 외면에 밀착되는 밀봉패킹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배관용 커플링.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패킹의 상단과 하단은 내측에서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전선배관용 커플링.
KR2020080001012U 2008-01-23 2008-01-23 전선배관용 커플링 KR2009000759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012U KR20090007590U (ko) 2008-01-23 2008-01-23 전선배관용 커플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012U KR20090007590U (ko) 2008-01-23 2008-01-23 전선배관용 커플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590U true KR20090007590U (ko) 2009-07-28

Family

ID=41292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1012U KR20090007590U (ko) 2008-01-23 2008-01-23 전선배관용 커플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759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523Y1 (ko) * 2012-10-30 2013-04-19 백순례 전선관연결체
KR101593841B1 (ko) 2014-12-12 2016-02-12 가온전선 주식회사 전선관용 조인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523Y1 (ko) * 2012-10-30 2013-04-19 백순례 전선관연결체
KR101593841B1 (ko) 2014-12-12 2016-02-12 가온전선 주식회사 전선관용 조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48372B2 (ja) 管継手
KR102505320B1 (ko) 입상관 고정용 클램프
KR20100009210A (ko) 이중관 수전 연결구
KR100787577B1 (ko) 건축물내의 지중케이블 파형보호관 연결구조
KR20070100005A (ko) 패킹 이탈 방지 구조 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된 관
KR200446280Y1 (ko) 커넥터 일체형 콘센트 세트
KR20090007590U (ko) 전선배관용 커플링
KR100992830B1 (ko) 관 연결용 소켓
US5147979A (en) Threadless floor electric wire junction box with water-proof protection
KR200471167Y1 (ko) 관통슬리브 시공을 위한 클램프 구조체
KR100786561B1 (ko) 지중구조물 조립식 관로구
KR200432862Y1 (ko)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KR200464418Y1 (ko) 지중관로용 관로구 몸체
JP4980146B2 (ja) ハンドホール設置構造
KR100975944B1 (ko) 관체결합수단을 갖는 인버터맨홀
KR20090011547A (ko) 관 이음장치
KR100765851B1 (ko) 합성수지관의 분기용 연결장치
EP2156083A1 (en) Clamp for suspending a pipe
KR101503819B1 (ko) 조립식 이경 관로구 어댑터
JP2005233209A (ja) フランジ接合装置
KR20100094048A (ko) 플랜지 타입 메카니컬 조인트
KR101238714B1 (ko) 파이프 연결장치
KR200410917Y1 (ko) 전선관 연결구 방수구조
KR100984227B1 (ko) 조임식 편수관 연결장치
KR101237792B1 (ko) 파이프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