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7775Y1 - 사무기기의 자동 급지장치 - Google Patents

사무기기의 자동 급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7775Y1
KR200217775Y1 KR2019990004911U KR19990004911U KR200217775Y1 KR 200217775 Y1 KR200217775 Y1 KR 200217775Y1 KR 2019990004911 U KR2019990004911 U KR 2019990004911U KR 19990004911 U KR19990004911 U KR 19990004911U KR 200217775 Y1 KR200217775 Y1 KR 2002177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feeding
spring
separating means
spring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49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8740U (ko
Inventor
윤갑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900049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7775Y1/ko
Publication of KR200000187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7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77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7775Y1/ko

Links

Landscapes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지 급지시에 용지 분리용 패드에 항상 일정한 힘을 부여하므로써 용지 적재 매수에 관계없이 중송(double feeding)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사무기기의 자동 급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힌지 고정된 용지 적재 수단을 용지 픽업 상태에 따라 승강 및 하강시키도록 회전축에 힌지 고정되는 승강 수단과, 상기 승강 수단의 상측에 설치되어 용지를 픽업하는 피드 롤러와, 상기 피드 롤러의 하측에서 일측부가 측벽 부재에 힌지 고정되는 용지 분리 수단과, 상기 용지 분리 수단의 자유단부측을 상기 피드 롤러에 접촉시키도록 상기 승강 수단과 상기 용지 분리 수단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력 부여 수단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사무기기의 자동 급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력 부여 수단은, 상기 용지 분리 수단의 자유단부측과 상기 회전축을 연결하는 연결선상에서 상기 승강 수단의 작동에 따라 상하로 슬라이드 작동되도록 상기 측벽 부재에 설치되는 스프링 홀더 부재와, 일단부가 상기 용지 분리 수단의 자유단부측을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스프링 홀더 부재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용지 급지시에 용지 적재 매수에 관계없이 상기 용지 분리 수단에 작용하는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이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승강 수단에 구비되는 캠 부재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용지 적재 매수와 무관하게 중송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무기기의 자동 급지장치{AUTOMATIC DOCUMENT FEEDER OF OFFICE AUTOMATED MACHINE}
본 고안은 용지 급지 여부에 따라 용지 픽업용 피드 롤러에 접촉 또는 접촉 해제되는 용지 분리용 패드를 구비하는 사무기기의 자동 급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지 급지시에 용지 분리용 패드에 항상 일정한 힘을 부여하므로써 용지 적재 매수에 관계없이 중송(double feeding)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사무기기의 자동 급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기기로는 소정 문서나 이미지 등을 용지상에 표현하기 위한 프린터와, 용지상의 문자나 이미지 등을 저장하거나 편집하기 위한 스캐너, 및 전술한 프린트와 스캔 기능을 선택적으로 하나의 기기 내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복합기 등이 있으며, 전술한 프린터, 스캐너 또는 복합기에는 프린트할 용지 또는 스캔할 용지를 소정 매수 이상 급지하는 자동 급지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급지장치에 저장된 용지는 복수개의 피드 로울러의 조합에 의하여 프린트 또는 스캔할 부분으로 이송되고, 이송되는 용지의 일면 또는 양면에는 원하는 내용이 프린트되거나 용지 표면의 내용이 스캔되고, 용지는 소정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된다.
상기 작동에 있어서, 연속되는 프린트 또는 스캔을 위하여 용지를 계속적으로 공급할 때에 용지는 항상 최상위에 위치한 것이 급지되며, 이 과정에서 그 하위의 용지는 상위 용지의 급지에 따라서 조금씩 급지 방향으로 흘러나오는 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전술한 현상으로 인하여 하위의 용지가 컬이 형성된 것이거나 두께가 얇은 것인 경우, 급지되는 용지의 하부에 위치한 일 매 또는 다수 매의 용지가 현재 급지되는 용지와 같이 배출되거나 한꺼번에 많은 분량의 용지가 급지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무기기의 자동 급지장치에는 일반적으로 용지 분리장치가 구비된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 급지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잉크젯 프린터의 자동 급지장치부는, 용지(P)를 수납 및 적재하며 일측부가 힌지 고정되는 용지 적재판(110)과, 용지 적재판(110)의 자유단부측을 승강 및 하강시키도록 작동되는 승강 레버(120)와, 용지(P) 급지시에 승강 레버(120)를 회동 작동시키도록 상기 승강 레버에 결합되는 사각 회전축(130)과, 용지 적재판(110)에 적재된 용지를 픽업하는 피드 롤러(140)와, 픽업 용지를 낱장으로 분리하도록 피드 롤러(140)의 하측에 설치되는 용지 분리용 패드(150)와, 용지 분리용 패드(150)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력 부여 수단(16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용지 분리용 패드(150)는 일측부가 측벽(170)에 힌지 고정되어 있고, 패드(150)의 자유단부측을 회동시키므로써 패드(150)와 피드 롤러(140)간의 접촉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탄성력 부여 수단(160)은, 승강 레버(120)의 상면과 형합되는 형상을 가지며 사각 회전축(130)의 전방에서 승강 레버(120)의 상면에 얹혀지는 스프링 홀더(161)와, 일단부가 용지 분리용 패드(150)의 자유단부측에 위치되도록 스프링 홀더(161)에 설치되는 코일 스프링(162)으로 구성되어 있고, 스프링 홀더(161)는 수직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측벽(170)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사각 회전축(130)은 캐리어의 이송 위치에 따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자동 급지장치에 있어서, 분리용 패드(150)에 작용되는 스프링(162)의 탄성력은 용지 적재 매수에 따라 서로 다른 값을 갖게 된다.
즉, 급지 대기시에는 사각 회전축(130)이 회전되지 않으므로 용지(P)가 적재되어 있는 용지 적재판(110)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지 대기 위치에 위치되어 있고, 이로 인해 용지 분리용 패드(150)의 자유단부측과 피드 롤러(140)간의 접촉은 해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캐리어의 작동에 의해 사각 회전축(13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승강 레버(120)에 의해 용지 적재판(110)이 피드 롤러(140)측으로 상향 이동되며, 승강 레버(120)의 회동량에 해당하는 만큼 스프링 홀더(161)가 수직 상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용지 분리용 패드(150)가 피드 롤러(140)에 접촉되는바, 용지 적재판(110)에 다수매(100매)의 용지(P)가 적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승강 레버(120)의 회동 각도가 작아 스프링(162)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L1만큼 압축되며, 이 압축분만큼의 탄성력이 용지 분리용 패드(150)에 작용된다.
그러나, 용지 적재판(110)에 1매 또는 2매 등 소수매의 용지(P)가 적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승강 레버(120)가 최대한의 회동 각도만큼 회동되므로, 스프링(162)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L2만큼 압축되며, 역시 이 압축분만큼의 탄성력이 용지 분리용 패드(150)에 작용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종래의 자동 급지장치에 의하면 용지 적재판에 적재되어 있는 용지의 적재 매수에 따라 용지 분리용 패드에 작용하는 스프링의 탄성력이 서로 다르게 되고, 다수매의 용지가 적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용지 분리용 패드에 작용하는 스프링 압력이 작아 중송(double feeding)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용지 급지시에 용지 분리용 패드에 항상 일정한 힘을 부여하므로써 용지 적재 매수에 관계없이 중송(double feeding)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사무기기의 자동 급지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 급지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은 급지 대기시의 상태도.
도 2는 다수매(100매)의 용지를 급지할 때의 상태도.
도 3은 소수매(1매)의 용지를 급지할 때의 상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 급지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4는 급지 대기시의 상태도.
도 5는 다수매(100매)의 용지를 급지할 때의 상태도.
도 6은 소수매(1매)의 용지를 급지할 때의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용지 적재판 20 : 승강 레버
30 : 사각 회전축 40 : 피드 롤러
50 : 용지 분리용 패드 60 : 탄성력 부여 수단
61 : 스프링 홀더 62 : 코일 스프링
63 : 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사무기기의 자동 급지장치는, 힌지 고정된 용지 적재 수단을 용지 픽업 상태에 따라 승강 및 하강시키도록 회전축에 힌지 고정되는 승강 수단과, 상기 승강 수단의 상측에 설치되어 용지를 픽업하는 피드 롤러와, 상기 피드 롤러의 하측에서 일측부가 측벽 부재에 힌지 고정되는 용지 분리 수단과, 상기 용지 분리 수단의 자유단부측을 상기 피드 롤러에 접촉시키도록 상기 승강 수단과 상기 용지 분리 수단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력 부여 수단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사무기기의 자동 급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력 부여 수단은, 상기 용지 분리 수단의 자유단부측과 상기 회전축을 연결하는 연결선상에서 상기 승강 수단의 작동에 따라 상하로 슬라이드 작동되도록 상기 측벽 부재에 설치되는 스프링 홀더 부재와, 일단부가 상기 용지 분리 수단의 자유단부측을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스프링 홀더 부재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용지 급지시에 용지 적재 매수에 관계없이 상기 용지 분리 수단에 작용하는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이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승강 수단에 구비되는 캠 부재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캠 부재에는, 급지 대기시에 상기 스프링 홀더가 비작동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승강 수단의 상부면에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비작용면과, 용지 급지시에 상기 스프링 홀더가 작동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동일한 반경으로 상기 승강 수단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작용면이 구비되며, 상기 스프링 홀더는 상기 비작용면에 형합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용지 급지시에는 스프링 홀더가 작용면상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므로 스프링 압축 거리가 동일하게 되어 용지 분리용 패드에 작용하는 스프링 압력이 동일하게 되고, 이로 인해 용지 적재 매수에 관계없이 중송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 급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 급지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4는 급지 대기시의 상태도이고, 도 5는 다수매의 용지를 급지할 때의 상태도이며, 도 6은 소수매의 용지를 급지할 때의 상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부가 힌지 고정된 용지 적재판(10)의 자유단부측 하부면에는 회전축(30)에 의해 회전 작동되는 승강 레버(20)의 단부가 위치되어 있고, 승강 레버(20)의 상측에는 용지 적재판(10)에 적재된 용지(P)를 픽업하는 피드 롤러(40)가 설치되어 있으며, 피드 롤러(40)의 하측으로 측벽(70)에는 용지 분리용 패드(50)의 일단부가 힌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측벽(70)에는 용지 분리용 패드(50)의 자유단부측과 사각 회전축(30)을 연결하는 연결선상에서 상하로 슬라이드 작동되도록 스프링 홀더(61)가 설치되어 있고, 스프링 홀더(61)에는 일단부가 상기 패드(50)의 자유단부측에 위치하도록 코일 스프링(62)이 설치되어 있으며, 스프링 홀더(61)가 위치되는 승강 레버(20)의 상부면에는 용지 급지시에 스프링 홀더(61)를 용지 적재 매수와 무관하게 동일한 높이에 위치시키도록 하기 위한 캠(63)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스프링 홀더(61)와 스프링(62) 및 캠(63)은 용지 분리용 패드(50)에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탄성력 부여 수단(60)으로 작용된다.
상기 캠(63)은, 급지 대기시에 스프링 홀더(61)가 비작동 위치, 즉 용지 분리용 패드(50)의 자유단부측과 피드 롤러(40)의 접촉이 해제되는 위치에 위치되도록 승강 레버(20)의 상부면에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비작용면과, 용지 급지시에 스프링 홀더(61)가 작동 위치, 즉 용지 분리용 패드(50)의 자유단부측이 피드 롤러(40)에 접촉되는 위치에 위치되도록 회전축(30)으로부터 동일한 반경으로 승강 레버(2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작용면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스프링 홀더(61)의 좌측부는 비작용면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비작용면과 스프링 홀더의 경사 각도는 승강 레버가 시계방향으로 회동될 때 스프링 홀더가 비작용면을 타고 올라가 작용면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설정되며, 작용면은 승강 레버가 다수매(100매)의 용지를 급지하는 위치에 있는 경우에 스프링 홀더가 작용면상에 위치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자동 급지장치에 의하면 용지 분리용 패드에 작용하는 스프링의 탄성력은 용지 적재 매수와 무관하게 항상 일정한바, 이하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급지 대기시에는 사각 회전축(30)이 회전되지 않으므로 용지(P)가 적재되어 있는 용지 적재판(10)이 도 4에서와 같이 급지 대기 위치에 위치되어 있고, 스프링 홀더(61)는 캠(63)의 비작용면상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용지 분리용 패드(50)의 자유단부측과 피드 롤러(40)의 접촉은 해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은 캐리어의 작동에 의해 사각 회전축(3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승강 레버(20)에 의해 용지 적재판(10)이 피드 롤러(40)측으로 상향 이동되며, 이로 인해 스프링 홀더(61)가 용지 분리용 패드(50)의 자유단부측과 회전축(30)을 연결하는 연결선상에서 상향으로 이동되면서 캠(63)의 작용면상에 위치되게 되므로 패드(50)가 스프링(62)의 압력으로 피드 롤러(40)에 접촉된다.
이와 같은 작동에 있어서, 용지 적재판(10)에 다수매(100매)의 용지(P)가 적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승강 레버(20)의 회동 각도는 작지만 스프링 홀더(61)가 캠의 작용면상에 위치되므로 스프링(62)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L3만큼 압축된다.
그리고, 용지 적재판(P)에 1매 또는 2매 등 소수매수의 용지(P)가 적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승강 레버(20)가 도 6에서와 같이 최대한의 회동 각도로 회동되는바, 이 때에는 스프링 홀더(61)가 도 5의 상태에서 캠(63)의 작용면상에서 슬라이드되므로 스프링(62)의 압축 거리는 도 5의 경우와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용지 급지시에 용지 분리용 패드(50)에는 항상 일정한 스프링 압력이 작용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사무기기의 자동 급지장치에 의하면, 용지 급지시에는 스프링 홀더가 캠의 작용면상에서 슬라이드 되면서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게 되므로, 용지 분리용 패드에 작용하는 스프링의 탄성력은 용지 적재 매수와 무관하게 항상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중송(double feeding)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힌지 고정된 용지 적재 수단을 용지 픽업 상태에 따라 승강 및 하강시키도록 회전축에 힌지 고정되는 승강 수단과, 상기 승강 수단의 상측에 설치되어 용지를 픽업하는 피드 롤러와, 상기 피드 롤러의 하측에서 일측부가 측벽 부재에 힌지 고정되는 용지 분리 수단과, 상기 용지 분리 수단의 자유단부측을 상기 피드 롤러에 접촉시키도록 상기 승강 수단과 상기 용지 분리 수단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력 부여 수단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사무기기의 자동 급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력 부여 수단은, 상기 용지 분리 수단의 자유단부측과 상기 회전축을 연결하는 연결선상에서 상기 승강 수단의 작동에 따라 상하로 슬라이드 작동되도록 상기 측벽 부재에 설치되는 스프링 홀더 부재와, 일단부가 상기 용지 분리 수단의 자유단부측을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스프링 홀더 부재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용지 급지시에 용지 적재 매수에 관계없이 상기 용지 분리 수단에 작용하는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이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승강 수단에 구비되는 캠 부재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기기의 자동 급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캠 부재에는, 급지 대기시에 상기 스프링 홀더가 비작동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승강 수단의 상부면에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비작용면과, 용지 급지시에 상기 스프링 홀더가 작동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동일한 반경으로 상기 승강 수단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작용면이 구비되며, 상기 스프링 홀더는 상기 비작용면에 형합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기기의 자동 급지장치.
KR2019990004911U 1999-03-26 1999-03-26 사무기기의 자동 급지장치 KR2002177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911U KR200217775Y1 (ko) 1999-03-26 1999-03-26 사무기기의 자동 급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911U KR200217775Y1 (ko) 1999-03-26 1999-03-26 사무기기의 자동 급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740U KR20000018740U (ko) 2000-10-25
KR200217775Y1 true KR200217775Y1 (ko) 2001-03-15

Family

ID=54760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4911U KR200217775Y1 (ko) 1999-03-26 1999-03-26 사무기기의 자동 급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777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740U (ko) 2000-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90586A1 (en) Paper-feeding mechanism of automatic document feeder
US6315280B1 (en) Paper feeding apparatus of a multi-functional machine
US7455294B2 (en) Paper-releasing mechanism
US7025347B2 (en) Sheet aligning apparatus
JP3680312B2 (ja) 給紙装置
CN1075984C (zh) 送纸装置
US6089562A (en) Device for feeding a recordable paper to an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217775Y1 (ko) 사무기기의 자동 급지장치
US20040124577A1 (en) Media handling mechanism
JP4265763B2 (ja) シート整合装置
JP3909160B2 (ja) 複数の媒体シート・スタックのための複数スタック選択機
KR100561478B1 (ko) 2 가지 방식의 용지 픽업 시스템
KR100343154B1 (ko) 인쇄기기의 급지장치
KR200167654Y1 (ko) 사무 기기의 자동 급지 장치
KR200168711Y1 (ko) 화상형성 장치의 용지 급지 장치
KR100296592B1 (ko) 스캐너와 프린터가 일체로 된 복합기
KR100299175B1 (ko) 용지기울음이방지되는프론트로딩타입자동낱장급지장치
KR200158791Y1 (ko) 화상형성장치의 용지픽업장치
KR200334915Y1 (ko) 화상형성장치의 경사급지트레이
JP2576875Y2 (ja) 給紙装置
KR100186594B1 (ko) 잉크젯 프린터의 용지공급 자동감지장치
KR20040107832A (ko) 프린팅기기의 용지카세트
KR20040019497A (ko) 화상형성기기의 급지 장치
JP2000185828A (ja) 給紙装置
JP2000191168A (ja) 自動原稿給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