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7148Y1 - 호일 케이스 - Google Patents

호일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7148Y1
KR200217148Y1 KR2019980013247U KR19980013247U KR200217148Y1 KR 200217148 Y1 KR200217148 Y1 KR 200217148Y1 KR 2019980013247 U KR2019980013247 U KR 2019980013247U KR 19980013247 U KR19980013247 U KR 19980013247U KR 200217148 Y1 KR200217148 Y1 KR 2002171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il
cover
cutting
body portion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32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3182U (ko
Inventor
김종성
Original Assignee
김종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성 filed Critical 김종성
Priority to KR20199800132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7148Y1/ko
Publication of KR200000031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31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71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7148Y1/ko

Links

Landscapes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호일(foil)의 보관이 용이함은 물론, 사용시 호일의 절단을 간편·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된 호일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호일의 절단시 덮개부와의 간섭발생을 제거하여 원하는 길이로의 절단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호일의 유출통로를 별도로 형성하여 덮개부가 닫혀진 상태에서도 호일을 유출시킬 수 있도록 하기위해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일정한 크기의 공간을 갖는 수납부가 형성된 육면체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절곡된 상면덮개와 양측 선단에 일정한 모양을 갖는 괘지편이 형성된 전면덮개로 이루어진 덮개부와, 상·하부에 톱니부가 형성되고 다수개의 결속부에 의해 상기 몸체부의 전면 상단에 결합된 절단부재와, 상기 전면덮개의 괘지편이 끼워지도록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절개홈이 형성된 케이스에 있어서, 몸체부의 전면 하단에 호일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며 상부와 좌·우측면이 절개되어 개폐가능하도록 보조 덮개부를 형성하여 호일의 보관 및 절단이 간편·용이하며, 또한 호일의 절단시 덮개부와의 간섭발생을 제거하여 원하는 길이로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어 불필요하게 버려져 낭비되는 호일을 절약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호일 케이스
본 고안은 호일(foil)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호일의 보관이 용이함은 물론, 사용시 호일의 절단을 간편·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된 호일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일은 알루미늄으로 된 박판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주로 음식의 보관시 청결유지 및 변질방지를 위해 사용되거나 불을 이용한 조리시 음식물이 용기에 눌어붙거나 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어 진다.
또한, 과일이나 채소류와 같이 신선도 유지가 요구되는 식품의 포장용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한편, 첨부 도면 도 1은 종래의 호일 케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케이스(1)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일정한 크기의 공간을 갖는 수납부(2)가 형성된 육면체형상의 몸체부(4)와, 상기 몸체부(4)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절곡된 상면덮개(6)와 양측 선단에 일정한 모양을 갖는 괘지편(8a)이 형성된 전면덮개(8)로 이루어진 덮개부(10)와, 상·하부에 톱니부(12)가 형성되고 다수개의 결속부(14)에 의해 상기 몸체부(4)의 전면 상단에 결합된 절단부재(16)와, 상기 전면덮개(8)의 괘지편(8a)이 끼워지도록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절개홈(18)이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롤(ROLL) 형태로 감겨진 호일(F)을 상기 수납부(2)에 넣은 후, 선단을 잡아당겨 일정한 길이를 확보 한 다음, 호일(F)을 절단부재(16)에 접촉시켜 하방으로 당기게 되면, 원하는 길이를 갖는 호일(F)을 얻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호일 케이스에서는 덮개부가 자유롭게 열려진 상태이므로 몸체부의 상면이 개방되어 그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롤형태의 호일이 절단시 당김에 의해 발생되는 힘에 의해 튕겨져 올라 몸체부로부터 이탈되거나 수납부내에서 회전하게 되어 호일의 전단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고, 또한 절단시 절단부재와 절단되어지는 호일 일부분이 덮개부에 가려지게 되어 원하는 길이로의 호일 절단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어 너무 짧게 절단될 경우에는 사용이 불가능하고 너무 길게 절단될 경우에는 사용시 많은 부분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호일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호일의 절단시 덮개부와의 간섭발생을 제거하여 원하는 길이로의 절단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호일의 유출통로를 별도로 형성하여 덮개부가 닫혀진 상태에서도 호일을 유출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이 간편·용이하도록 된 새로운 형태의 호일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일정한 크기의 공간을 갖는 수납부가 형성된 육면체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절곡된 상면덮개와 양측 선단에 일정한 모양을 갖는 괘지편이 형성된 전면덮개로 이루어진 덮개부와, 상·하부에 톱니부가 형성되고 다수개의 결속부에 의해 상기 몸체부의 전면 상단에 결합된 절단부재와, 상기 전면덮개의 괘지편이 끼워지도록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절개홈이 형성된 케이스에 있어서, 몸체부의 전면 하단에 호일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며 상부와 좌·우측면이 절개되어 개폐가능하도록 보조 덮개부가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호일 케이스의 덮개부가 열린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호일 케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호일 케이스의 덮개부와 보조 덮개부가 열린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호일 케이스에 호일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호일 케이스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케이스, 2:수납부,
4:몸체부, 6:상면덮개,
8:전면덮개, 8a:괘지편,
10:덮개부, 12:톱니부,
14:결속부, 16:절단부재,
18:절개홈, 20:보조 덮개부,
22:유출구, F:호일.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호일 케이스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호일 케이스(1)의 몸체부(4)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일정한 크기의 공간을 갖는 수납부(2)가 형성된 육면체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덮개부(10)는 상기 몸체부(4)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절곡된 상면덮개(6)와 양측 선단에 일정한 모양을 갖는 괘지편(8a)이 형성된 전면덮개(8)로 이루어지며 절단부재(16)는 상·하부에 톱니부(12)가 형성되고 다수개의 결속부(14)에 의해 상기 몸체부(4)의 전면 상단에 결합되며 절개홈(18)은 상기 전면덮개(8)의 괘지편(8a)이 끼워지도록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보조 덮개부(20)는 상기 몸체부(4)의 전면 하단에는 호일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며 상부와 좌·우측면이 절개되어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나타낸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호일 케이스에 롤 형태의 호일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케이스(1)의 몸체부(4)내에 형성된 수납부(2)에 롤 형태의 호일(F)을 삽입하고 몸체부(4) 전면 하단에 형성된 보조 덮개부(20)를 개방하여 유출구(22)를 형성한 후, 호일(F)의 선단을 유출구(22)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시킨 다음, 절단을 위해 절단부재(16)에 접촉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덮개부(10)는 수납부(2)에 호일(F)을 삽입할 때에만 개방되고 사용 중에는 호일(F)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항시 닫힌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4)의 전면 하단에 유출구(22)를 형성시킬 수 있도록 상부 및 좌·우측면을 절개하여 보조 덮개부(20)가 형성된 케이스(1)를 구비한 상태에서, 케이스(1)의 덮개부(10)를 열어 수납부(2)를 외부로 드러나지도록 한 다음, 롤 형태로 된 호일(F)을 수납부(2)에 삽입시킨 후, 보조 덮개부(20)를 개방하여 유출구(22)를 형성한 다음, 호일(F)의 선단을 유출구(22)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시키고 덮개부(10)를 닫아 호일(F)이 삽입된 몸체부(4) 내부를 외부와 차폐시킨다.
이상태에서, 유출구(22)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된 호일(F)을 전방으로 잡아 당겨 원하는 길이만큼 유출시킨 다음, 절단하고자 호일(F) 부위가 절단부재(16)에 접촉되도록 후방으로 절곡시킨 후, 하방으로 약간의 힘을 가하게 되면 호일(F)이 절단부재(16)의 톱니부(12)에 의해 절단되는 것이다.
이때, 케이스(1)의 덮개부(10)는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호일(F)과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절단시 케이스(1)의 취부가 용이하고 수납부(2)에 삽입된 롤 형태의 호일(F)이 절단시 가해지는 힘에 의해 튀게 되어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은 호일 케이스를 이용함에 따라, 호일의 보관 및 절단이 간편·용이하며, 또한 호일의 절단시 덮개부와의 간섭발생을 제거하여 원하는 길이로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어 불필요하게 버려져 낭비되는 호일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일정한 크기의 공간을 갖는 수납부(2)가 형성된 육면체형상의 몸체부(4)와, 상기 몸체부(4)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절곡된 상면덮개(6)와 양측 선단에 일정한 모양을 갖는 괘지편(8a)이 형성된 전면덮개(8)로 이루어진 덮개부(10)와, 상·하부에 톱니부(12)가 형성되고 다수개의 결속부(14)에 의해 상기 몸체부(4)의 전면 상단에 결합된 절단부재(16)와, 상기 전면덮개의(8) 괘지편(8a)이 끼워지도록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절개홈(18)이 형성된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4)의 전면 하단에 호일(F)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며 상부와 좌·우측면이 절개되어 개폐가능하도록 보조 덮개부(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일 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4)의 전면 하방에는 보조 덮개부(20)에 의해 유출구(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일 케이스.
KR2019980013247U 1998-07-18 1998-07-18 호일 케이스 KR2002171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3247U KR200217148Y1 (ko) 1998-07-18 1998-07-18 호일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3247U KR200217148Y1 (ko) 1998-07-18 1998-07-18 호일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182U KR20000003182U (ko) 2000-02-15
KR200217148Y1 true KR200217148Y1 (ko) 2001-04-02

Family

ID=69519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3247U KR200217148Y1 (ko) 1998-07-18 1998-07-18 호일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714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2850B1 (ko) * 2004-09-04 2013-01-09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2850B1 (ko) * 2004-09-04 2013-01-09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182U (ko) 2000-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1580A (ko) 두루마리 필름의 분배 케이스
KR200217148Y1 (ko) 호일 케이스
US2331204A (en) Package opener device
JP2009292535A (ja) ラップフィルム収納容器
JP3243277U (ja) まな板シートケース
KR200354681Y1 (ko) 캔 수용박스
JP3044588U (ja) ラップ用フィルムコイルボックス
JPH04239443A (ja) ラップフィルムの収納箱
KR200434577Y1 (ko) 케이크 박스
JPH1077047A (ja) ロール状フィルムの収容箱
JP2009107717A (ja) 段ボール箱
EP3771658A1 (en) Container for consumer goods
KR200292247Y1 (ko) 김치통
KR970000750Y1 (ko) 점화가 용이한 성냥 케이스
JP2010083520A (ja) 切刃付収容ケース
JPS635663Y2 (ko)
JP4545914B2 (ja) テープ印刷装置
KR940001402Y1 (ko) 개봉편이 형성된 지류포장용기
JPS6242892Y2 (ko)
KR960000494Y1 (ko) 호일 케이스
JP2997227B2 (ja) 包装用ラップフィルムの収納箱
JP2005280800A (ja) 包装箱
JP5695376B2 (ja) 粉末容器及び粉末容器のカバー体の出口開口部の開閉方法
JP2005022743A (ja) ラップフィルム収納カートン
JP3039384U (ja) フィルム等の収納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10519

Effective date: 2003013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