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4577Y1 - 케이크 박스 - Google Patents

케이크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4577Y1
KR200434577Y1 KR2020060025727U KR20060025727U KR200434577Y1 KR 200434577 Y1 KR200434577 Y1 KR 200434577Y1 KR 2020060025727 U KR2020060025727 U KR 2020060025727U KR 20060025727 U KR20060025727 U KR 20060025727U KR 200434577 Y1 KR200434577 Y1 KR 2004345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out
fitting protrusion
fitting
folded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57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용석
Original Assignee
차용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용석 filed Critical 차용석
Priority to KR20200600257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45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45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45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akery products, e.g. bis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025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 closures formed by inward folding of flaps and securing them by means of a tongue integral with one of the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1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 closures formed by inward-folding of self-locking flaps hinged to tubular body
    • B65D5/103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 closures formed by inward-folding of self-locking flaps hinged to tubular body one of the self-locking flaps having a tongue engaging into an opening of an opposite flap
    • B65D5/10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 closures formed by inward-folding of self-locking flaps hinged to tubular body one of the self-locking flaps having a tongue engaging into an opening of an opposite flap the opening being a sl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크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상호 대향된 면으로부터 접혀진 일측 덮개부에는 끼움 돌출부(42)가 형성되고, 타측 덮개부에는 상기 끼움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끼움 절개부(32)가 형성된 케이크 박스에 있어서, 상기 끼움 돌출부(42)에는 그 뿌리부의 양측에서 단부의 중앙을 잇는 선으로 접혀지는 절첩부(42b, 42b')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 절개부(32)는, 가로방향으로 절개된 가로 절개부(32a)와, 상기 가로 절개부의 중간에서 덮개부의 단부방향으로 절개된 세로 절개부(32b)와, 상기 세로 절개부의 단부에 절개된 원형 절개부(32c)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끼움 돌출부가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상기 가로 절개부의 양측에서 상기 원형 절개부를 향한 선으로 경사지게 접혀지는 절철부(32d, 32d')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덮개부를 간단하고 쉽게 개방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한층 증대시킨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케이크 박스{cake box}
도1은 종래 케이크 박스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종래 케이크 박스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3은 종래 케이크 박스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의한 케이크 박스의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5의 (a) 내지 (c)는 본 고안에 의한 케이크 박스를 포장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에 대한 설명>
20 : 케이크 박스 30 : 상측 덮개부
32 : 끼움 절개부 32a: 가로 절개부
32b : 세로 절개부 32c: 원형 절개부
32d, 32d' : 절첩부 40 : 하측 덮개부
42 : 끼움 돌출부 42b: 절첩부
본 고안은 케이크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편리성을 한층 증대시킨 케이크 박스에 관한 것이다.
케이크 박스는 케이크를 안전하게 보관하거나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포장재로서, 통상 육면체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다.
종래 케이크 박스의 한 예로서,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케이크 박스(10)는 종이재질로서, 받침대(B)에 의해 지지된 케이크(C)를 넣고 뺄 수 있도록 일측면이 폐쇄가능하게 개방되고, 운반이 용이하도록 상면에 손잡이부(12)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개방측면에 상하 덮개부(14)(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양 덮개부(14)(15)가 서로 결속되거나 해제됨으로써 박스(10)의 일측면이 폐쇄 또는 개방된다.
상기 양 덮개부(14)(15)의 결속구조는, 상측 덮개부(14)의 선단에 형성된 끼움돌기(141)가 하측 덮개부(15)에 형성된 가로 슬릿(15a)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로 슬릿(15a)의 양단에는 세로 슬릿(15b)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같은 각 슬릿(15a)(15b)의 조합형태는 끼움돌기(141)를 이탈시킬 때 양 세로 슬릿(15b)의 사이 부분이 약간 휘어짐으로써 끼움돌기(141)가 쉽게 이탈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케이크 박스는 개봉 시, 상측 덮개부(14)를 잡아 올려서 끼움돌기(141)를 하측 덮개부(15)에서 이탈시킴으로써 양 덮개부(14)(15)의 결속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한 케이크 박스에 따르면, 박스(10)의 개봉을 위해 끼움돌기(141)를 하측 덮개부(15)로부터 꺼낼 때, 통상적으로 한손으로 하측 덮개부(15)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상측 덮개부(14)의 일단을 잡고 들어올리게 되는데, 이와 같이 하면, 상측 덮개부(14)가 일측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끼움돌기(141)가 하측 덮개부(15)에 걸리기 때문에 가로 슬릿(15b)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는 등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덮개부(14)의 중심부에 걸림홀(14a)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홀(14a)을 이용하여 상측 덮개부(14)를 들어 올림으로써 박스(10)를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는 고안 등이 안출되었다.
이와 같은 걸림홀(14a)이 형성된 박스(10)를 이용할 경우에는, 한손으로 하측 덮개부(15)를 잡고, 다른 손의 손가락을 걸림홀(14a)에 걸어서 상측 덮개부(14)를 들어 올리는 방식으로 박스를 개방하게 되는데, 걸림홀(14a)이 상측 덮개부(14)의 중간에 위치하므로 상측 덮개부(14)가 한방향으로 기울어지지 않기 때문에 박스 개봉 기능이 어느 정도 개선된다.
그런데, 종래 걸림홀(14a)이 구비된 케이크 박스에 의하면, 박스(10)가 닫힌 상태, 즉 끼움돌기(141)가 하측 덮개부(15)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상측 덮개부(14)의 후면에 하측 덮개부(15)가 밀착되기 때문에 걸림홀(14a)이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걸림홀(14a)을 통해 손가락을 쉽게 넣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걸림홀(14a)을 인식하지 못하고, 불편하게 상측 덮개부 (14)를 열 가능성이 있으며, 손가락을 걸림홀(14a)에 걸기 위해서는 상측 덮개부(14)와 밀착된 하측 덮개부(15)를 어느 정도 후방으로 밀어야 하는데, 각 덮개부(14)(15)는 절곡된 상태에서 양 가장자리가 박스(10)의 선단에 지지될 뿐만 아니라, 비교적 두꺼운 판지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하측 덮개부(15)를 밀기 위해서는 꽤 많은 힘을 가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덮개부를 간단하고 쉽게 개방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한층 증대시킨 케이크 박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케이크 박스는, 상호 대향된 면으로부터 접혀진 일측 덮개부에는 끼움 돌출부가 형성되고, 타측 덮개부에는 상기 끼움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끼움 절개부가 형성된 케이크 박스에 있어서, 상기 끼움돌출부에는 그 뿌리부의 양측에서 단부의 중앙을 잇는 선으로 접혀지는 절첩부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 절개부는, 가로방향으로 절개된 가로 절개부와, 상기 가로 절개부의 중간에서 덮개부의 단부방향으로 절개된 세로 절개부와, 상기 세로 절개부의 단부에 절개된 원형 절개부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끼움 돌출부가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상기 가로 절개부의 양측에서 상기 원형 절개부를 향한 선으로 경사지게 접혀지는 절철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끼움 돌출부가 형성된 덮개부에는 제조 판매자가 상기 원형 절개부를 통하여 손가락을 삽입하여 덮개부를 눌러 끼움 돌출부를 용이하게 끼우도록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케이크 박스(20)는 종이재질로서, 케이크를 넣고 뺄 수 있도록 일측면이 폐쇄가능하게 개방되고, 운반이 용이하도록 상면에 손잡이부(22)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개방측면에 상하측 덮개부(30)(4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 덮개부(30)(40)가 서로 결속되거나 해제됨으로써 박스(20)의 일측면이 폐쇄 또는 개방된다.
상기 하측 덮개부(40)에는 끼움 돌출부(42)가 형성되고, 상측 덮개부(30)에는 상기 끼움 돌출부(42)가 삽입되도록 끼움 절개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끼움돌출부(42)는 하측 덮개부(40)의 뿌리로 갈수록 넓어지게 절개되어 있으며 절개된 끼움돌출부(42)의 뿌리부(42a)의 양측에서 단부의 중앙을 잇는 선으로 접혀지는 절첩부(42b, 42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끼움 절개부(32)는, 가로방향으로 띠형태로 절개된 가로 절개부(32a)와, 상기 가로 절개부(32a)의 중간에서 상측 덮개부(30)의 단부방향으로 띠형태로 절개된 세로 절개부(32b)와, 상기 세로 절개부(32b)의 단부에 절개된 원형 절개부(32c)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끼움 돌출부(42)가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상기 가로 절개부(32a)의 양측에서 상기 원형 절개부(32c)를 향한 선으로 경사지게 접혀지는 절첩부(32d, 32d')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끼움 돌출부(42)가 형성된 하측 덮개부(40)에는 제조 판매자가 상기 원형 절개부(32c)를 통하여 손가락을 삽입하여 하측 덮개부(40)를 눌러서 끼 움 돌출부(42)를 용이하게 끼워 포장을 쉽게 하도록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슬릿(40a)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케이크 박스는, 도5의 (a) 내지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조 판매자가 박스의 상하측 덮개부(30)(40)를 덮어 끼움 돌출부(42)를 끼움 절개부(32)에 끼워 외측으로 돌출시키면 포장이 완료된다.
이때, 하측 덮개부(40)를 먼저 덮은 후, 상측 덮개부(30)를 덮은 다음 끼움 돌출부(42)를 끼움 절개부(32)에 끼우게 되는데, 제조 판매자는 상기 원형 절개부(32c)를 통해 손가락을 집어 넣어 상기 슬릿(40a) 부분을 누르면서 끼움 돌출부(42)를 걸어 당기면, 끼움 절개부(32)의 절첩부(32d, 32d')와 끼움 돌출부(42)의 절첩부(42b, 42b')가 접히면서 끼움 돌출부(42)가 외측으로 용이하게 빠지게 된다.
도5의 (a)는 상하측 덮개부(30)(40)를 덮는 상태를 나타내며, 도5의 (b)는 상기 끼움 돌출부(42)를 끼움 절개부에서 빼내는 상태를 나타내며, 도5의 (c)는 포장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다.
사용자는 이와 같이 포장된 케이크 박스를 상측 덮개부(30)의 하단부를 잡고 당기기만 하면, 끼움 절개부(32)의 절첩부(32d, 32d')와 끼움 돌출부(42)의 절첩부(42b, 42b')가 접히면서 끼움 돌출부(42)가 쉽게 빠지면서 상측 덮개부(30)가 열리므로 손쉽게 케이크 박스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본 고안에 의한 케이크 박스에 의하면, 덮개부를 간단하고 쉽게 개방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한층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상호 대향된 면으로부터 접혀진 일측 덮개부에는 끼움 돌출부(42)가 형성되고, 타측 덮개부에는 상기 끼움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끼움 절개부(32)가 형성된 케이크 박스에 있어서,
    상기 끼움 돌출부(42)에는 그 뿌리부의 양측에서 단부의 중앙을 잇는 선으로 접혀지는 절첩부(42b, 42b')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 절개부(32)는, 가로방향으로 절개된 가로 절개부(32a)와, 상기 가로 절개부의 중간에서 덮개부의 단부방향으로 절개된 세로 절개부(32b)와, 상기 세로 절개부의 단부에 절개된 원형 절개부(32c)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끼움 돌출부가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상기 가로 절개부의 양측에서 상기 원형 절개부를 향한 선으로 경사지게 접혀지는 절철부(32d, 32d')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 박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끼움 돌출부(42)가 형성된 덮개부에는 제조 판매자가 상기 원형 절개부(32c)를 통하여 손가락을 삽입하여 덮개부를 눌러 끼움 돌출부(42)를 용이하게 끼우도록 슬릿(40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 박스.
KR2020060025727U 2006-09-25 2006-09-25 케이크 박스 KR2004345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727U KR200434577Y1 (ko) 2006-09-25 2006-09-25 케이크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727U KR200434577Y1 (ko) 2006-09-25 2006-09-25 케이크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4577Y1 true KR200434577Y1 (ko) 2006-12-22

Family

ID=41782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5727U KR200434577Y1 (ko) 2006-09-25 2006-09-25 케이크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457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098U (ko) * 2020-07-02 2022-01-11 씨제이푸드빌 주식회사 케이크 받침의 고정이 가능한 케이크 상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098U (ko) * 2020-07-02 2022-01-11 씨제이푸드빌 주식회사 케이크 받침의 고정이 가능한 케이크 상자
KR200495573Y1 (ko) * 2020-07-02 2022-06-29 씨제이푸드빌 주식회사 케이크 받침의 고정이 가능한 케이크 상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059499A1 (ja) プラスチック箱
JP5978179B2 (ja) 包装用止め具及びそれを用いて連結された包装箱
EA007575B1 (ru) Упаковка с выдвижной крышкой
JP4536881B2 (ja) 蓋付き包装用紙箱
KR200434577Y1 (ko) 케이크 박스
MX2007008536A (es) Paquete de bolsillo de productos de confiteria.
KR200452620Y1 (ko) 과자 포장용 종이 상자
RU2572783C2 (ru) Пачка для табачных продуктов
KR100895643B1 (ko) 락수단을 갖는 치킨박스
KR200349327Y1 (ko) 케이크 포장 케이스
JP4661274B2 (ja) 再封機能を有する小型化可能な紙箱
KR200477098Y1 (ko) 덮개에 스토퍼가 부가된 포장용 케이스
RU121798U1 (ru) Комплект картонный для упаковки мороженого эскимо на палочке
JP3936416B2 (ja) 容器
JP4976093B2 (ja) 包装用容器の蓋体
KR200495573Y1 (ko) 케이크 받침의 고정이 가능한 케이크 상자
JP6234142B2 (ja) 包装箱
KR200397997Y1 (ko) 포장용 상자의 투명커버 결합구조
JP3224841U (ja) 改ざん防止機能付き包装箱
KR101030706B1 (ko) 음식물용기
JP3185125U (ja) プラスチックケース
KR200192367Y1 (ko) 케익용 상자
KR20120096249A (ko) 안전 캔 용기
KR20090030881A (ko) 즉석식품용 용기를 수납하기 위한 포장상자
JP6395109B2 (ja) 組合せカート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