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7045Y1 - 소용량 건식 제습공조기 - Google Patents

소용량 건식 제습공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7045Y1
KR200217045Y1 KR2020000028328U KR20000028328U KR200217045Y1 KR 200217045 Y1 KR200217045 Y1 KR 200217045Y1 KR 2020000028328 U KR2020000028328 U KR 2020000028328U KR 20000028328 U KR20000028328 U KR 20000028328U KR 200217045 Y1 KR200217045 Y1 KR 2002170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ehumidification
main body
partition plate
outdoo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83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무근
주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일진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일진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일진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000283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70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70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7045Y1/ko

Links

Abstract

본고안은 본체 내부에 제습유닛과 함께 열교환유닛을 효율적으로 배치하고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흐름경로를 단축시켜서, 외형적인 부피를 최소화하여 주며, 제습과정에서 상승된 처리공기의 온도를 낮추어서 실내온도에 영향을 끼치지 않고 실내공기를 제습할 수 있게 하여 주는 소용량 건식 제습공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고안의 기술구성상의 특징은; 내부에 실내공기와 실외공기가 일정한 경로로 분리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제습하여 주는 제습유닛(200)과, 상기 본체(100) 내부에 실외공기가 통과하는 경로상에 배치되어서 통과하는 실외공기를 가온하여 상기 제습유닛(200)을 건조시켜 주는 히이터(30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직립되는 박스형상으로서 내측에 수직구획판(110)과 수평구획판(120)을 설치하며, 상기 수직구획판(110)의 하부에 그 수직구획판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걸쳐져서 실내 및 실외공기가 통과하도록 상기 제습유닛(200)을 수평하게 안치하고, 상기 수직 및 수평구획판(110)(120)의 중앙부에 대각으로 연통되는 쌍방향의 통기로 (411) (412)가 확보되도록 열교환유닛(400)을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소용량 건식 제습공조기{A Dry Type Dehumidfying Air-conditioner of a Small Capacity}
본고안은 실내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여 주는 건식 제습공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형적인 부피를 최소화한 구조로서 실내온도에 영향을 끼치지 않고 실내공기를 제습하여 주는 소용량 건식 제습공조기에 관한 것이다.
제습공조기는 실내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여 주기 위한 수단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제습공조기는 제습방식에 따라서 크게 냉각식 제습공조기와 건식 제습공조기로 구분되어 있다.
냉각식 제습공조기는 도1의 도시와 같이, 본체(1) 내부에 증발기(2), 응축기 (3)와 함께 압축기(4)를 설치하고, 상기 증발기(2) 및 응축기(3)의 전방에 흡입팬 (5)을 설치하여서, 본체(1) 내부로 유입된 실내공기가 결로점을 유지하는 증발기 (2)와 접촉할 때에 외기와의 온도차에 의하여 실내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습기를 액화시켜서 제습하여 주도록 구성되었다.
이러한 냉각식 제습공조기는 특성상 각 구성부품의 간격을 좁게 배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입되는 실내공기를 제습하기 위한 내부의 흐름경로를 단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외형적인 부피를 줄여서 소형화하기에 유리한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이 냉각식 제습공조기는 실내공기를 증발기(2)에 접촉시켜서 습기를 제거시킨 처리공기가 열을 빼앗겨서 온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실내에 공급되는 처리공기의 온도가 실내온도에 비하여 크게 낮아서 가급적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는 실내온도에 영향을 끼치게 될 뿐만 아니라, 주위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결로점을 유지하는 증발기(2)와의 온도차가 크지 않아서 실내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습기가 액화되지 못하는 관계로 제습능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이 냉각식 제습공조기는 실내공기를 제습하여 주기 위한 조건으로서 증발기(2)를 결로점 이하의 냉각상태로서 지속적으로 유지시켜야 하기 때문에, 운전시에 제습능력에 비하여 과도한 에너지를 사용하여서 유지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건식 제습공조기는 도2의 도시와 같이, 내부의 길이방향 중간부에 설치된 격벽(11)으로서 실외공기가 통과하는 재생측 통로(A)와 실내공기가 통과하는 처리측 통로(B)로서 구획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 내부의 격벽(11)을 관통하여서 재생측 및 처리측 통로(A)(B)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습유닛(20)과, 상기 재생측 통로(A)내에 설치되어서 제습유닛(20)을 건조 재생시켜 주는 히이터(30)로 구성되었다.
이 건식 제습공조기는 제습유닛(20)으로서 처리측 통로(B)에 유입되어서 통과되는 실내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를 흡착하여서 제습하고, 제습유닛(20)에 흡착된 습기는 재생측 통로(A)에 설치되는 히이터(30)로서 건조 재생시키는 동작을 반복하여서 실내공기를 제습하여 줌으로써, 주위의 온도변화에 구애됨이 없이 우수한 제습능력을 발휘하면서도, 운전시에 최소한의 에너지를 사용하여서 유지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시켜 주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건식 제습공조기는 실내공기를 히이터(30)로서 건조 재생되는 제습유닛(20)에 통과시켜서 제습할 때에, 제습유닛(20)에 의하여 습기가 제거된 처리공기가 더운열을 함께 전달받아서 온도가 상승되기 때문에, 실내로 공급되는 처리공기의 온도가 실내온도에 비하여 크게 높아져서 가급적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는 실내온도에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따라서, 건식 제습공조기에 있어 상승된 처리공기의 온도를 효율적으로 낮추어 주기 위해서는 별도의 열교환기를 갖추어야 할 필요가 있으나, 열교환기를 설치하기 위한 점유공간을 확보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실외공기와 실내공기가 경유할 수 있도록 일정한 흐름경로를 갖추어야 하기 때문에, 외형적인 부피를 감축시키는 데에 커다란 장애가 되어서 소형화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고안은 본체 내부에 제습유닛과 함께 열교환유닛을 효율적으로 배치하고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흐름경로를 단축시켜 주도록 구성하여, 첫째 외형적인 부피를 최소화하여서 소형화를 실현시켜 주며, 둘째 실내온도에 영향을 끼치지 않고 실내공기를 제습하여 주는 소용량 건식 제습공조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 냉각식 제습공조기를 나타낸 일측면도
도2는 종래 건식 제습공조기를 나타낸 평면도
도3은 본고안 소용량 건식 제습공조기의 분리사시도
도4는 본고안 소용량 건식 제습공조기의 정면도
도5는 본고안 소용량 건식 제습공조기의 작용상태를 개략도
도6은 본고안 소용향 건식 제습공조기의 일부분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체 110: 수직구획판 120: 수평구획판
130: 수평받침 140: 함실 141: 처리공기 통기공
142: 실외공기 통기공 150: 실내공기 흡입팬 160: 실외공기 흡출팬
170a: 실외공기 유입관 170b: 실외공기 유출관 180: 일측막이판
190: 전면판 190a: 실내공기 흡기그릴 190b: 처리공기 배기그릴
A1: 처리측 공간 A2: 처리공기 배출실 B1: 재생측 공간
B2: 실외공기 유입실 200: 제습유닛 210: 흡습회전체
210a: 회전휠 211: 외부커버 212: 고정봉
213: 대접로울러 220: 감속모터 221: 구동벨트
300: 히이터 310: 고정틀 311: 방열판
320: 온수순환관 330: 온수유입관 340: 온수유출관
400: 열교환유닛 410: 통기판 411, 412: 쌍방향의 통기로
본고안도 내부에 실내공기와 실외공기가 일정한 경로로 분리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제습하여 주는 제습유닛(200)과, 상기 본체(100) 내부에 실외공기가 통과하는 경로상에 배치되어서 통과하는 실외공기를 가온하여 상기 제습유닛(200)을 건조시켜 주는 히이터(300)로 구성된 점에 있어서는 종래의 것과 기술개념을 같이 한다.
단, 본고안의 소용량 건식 제습공조기는 도3 및 도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는 직립되는 박스형상으로서 내측에 수직구획판(110)과 수평구획판 (120)을 설치하며, 상기 수직구획판(110)의 하부에 그 수직구획판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걸쳐져서 실내 및 실외공기가 통과하도록 상기 제습유닛(200)을 수평하게 안치하고, 상기 수직 및 수평구획판(110)(120)의 중앙부에 대각으로 연통되는 쌍방향의 통기로(411)(412)가 확보되도록 열교환유닛(400)을 설치하여서 됨을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즉, 본고안은 직립되는 박스형상의 본체(100) 내부의 수직 및 수평구획판 (110)(120)를 설치하여서 처리공기와 실외공기의 흐름경로를 이루며, 수직구획판 (110) 하부에 제습유닛(200)을 수평하게 안치하고, 수직 및 수평구획판 (110)(120)의 중앙부에 쌍방향의 통기로(411)(412)가 확보되도록 열교환유닛(400)을 설치하여서, 상기 제습유닛(200)과 열교환유닛(400)이 서로 효율적으로 협동하도록 배치되며 처리공기와 실외공기의 흐름경로를 단축시킨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다시말해서, 본고안의 소용량 건식 제습공조기는 상기 제습유닛(200)을 통과하여 습기가 제거되는 동시에 온도가 상승된 처리공기와, 외부에서 유입된 실외공기가 상기 열교환유닛(400)의 쌍방향의 통기로(411)(412)를 따라 분리 교차되게 통과하면서 열교환되도록 구성하여서, 첫째 처리공기와 실외공기의 흐름경로를 단축시켜서 외형적인 부피를 최소화하여 주며, 둘째 제습과정에서 상승된 처리공기의 온도를 능동적으로 낮추어 주어서 실내온도에 영향을 끼치지 않고 실내공기를 제습할 수 있게 하여 주는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도시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고안의 기술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100)는 내부에 실내공기와 실외공기가 통과되도록 하면서 상기 제습유닛(200)과 열교환유닛(400)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여 주도록 한다.
본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100)는 도4 및 도5의 도시와 같이, 직립되는 박스형상으로서 내측에 수직구획판(110)과 수평구획판(120)을 설치하되, 상기 수직구획판(110)의 하부에 개구부(131)가 형성된 수평받침(130)을 설치하여 상기 제습유닛(200)을 수평하게 안치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수직 및 수평구획판(110)(120)의 중앙에 상기 열교환유닛(400)을 설치할 수 있는 크기로서 처리공기 및 실외공기 통기공(141)(142)들이 뚫어지는 함실(140)을 형성하여서, 상기 함실(140)을 기준으로 우하부에 처리측 공간(A1)을 두고 그 좌상부에는 처리공기 배출실(A2)이 위치되며, 상기 함실(140)을 기준으로 좌하부에는 재생측 공간(B1)을 두고 그 우상부에는 실외공기 유입실(B2)이 위치되도록 구획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이러한 본체(100)는 처리측 공간(A1)에서 상기 제습유닛(200)에 의하여 습기가 제거되어서 상부로 이동하는 처리공기와, 상기 실외공기 유입실(B2) 내에 유입된 실외공기가 상기 함실(140)의 처리공기 및 실외공기 통기공(141)(142)들을 따라 대각으로 교차되게 통과되도록 하여서, 처리공기와 실외공기의 흐름경로를 단축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 내부의 수평받침(130)의 하부 중간에 하부막이판 (132)을 수직으로 설치 구획하여서, 상기 하부막이판(132) 일측의 구획공간에는 실내공기를 강제로 흡입하도록 실내공기 흡입팬(150)을 설치하고, 상기 하부막이판 (132) 타측의 구획공간에는 상기 제습유닛(200)을 통과한 실외공기를 배출하도록 배기호스(161)를 가지는 실외공기 흡출팬(160)을 설치한다.
또, 상기 본체(100) 상부에 실외공기 유입실(B2)과 연통되도록 실외공기 유입관(170a)을 설치하고, 상기 본체(100) 상부 일정위치에 그 본체 내부에 일측막이판(180)으로서 형성된 구획공간에 연통되어서 상기 실내공기 흡입팬(150)의 배기호스(161)와 연결되도록 실외공기 유출관(170b)을 설치하여서 된다.
또, 상기 본체(100)의 전면에는 상기 실내공기 흡입팬(150)이 설치된 구획공간과, 상기 처리공기 배출실(A2)을 감안하여 해당위치에 각각 실내공기 흡기그릴 (190a) 및 처리공기 배기그릴(190b)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전면판(190)을 착탈가능하게 설치하여서 된다.
여기에서, 상기 실내공기 흡입팬(150)이 설치된 구획공간에 상기 실내공기 흡기그릴(190a) 내측에 위치하도록 에어필터(191)를 설치하여서, 상기 실내공기 흡기그릴(190a)를 통하여 흡입되는 실내공기를 청정하게 정화시켜 주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제습유닛(200)은 실내공기가 경유하는 처리측 공간(A1)과 실외공기가 경유하는 재생측 공간(B1)에 걸쳐지도록 수평하게 안치하여서 실내공기를 제습하여 주도록 한다.
상기 제습유닛(200)은 도3 및 도4의 도시와 같이, 상기 본체(100) 내부의 수평받침(130) 상부에 처리측 및 재생측 공간(A1)(B1)에 걸쳐지도록 수평하게 안치되며 흡습성이 양호한 소재로하여 허니콤구조로서 외주면을 원통형으로 감싸는 회전휠(210a)을 가지는 흡습회전체(210)와, 상기 흡습회전체(210) 일측의 수평받침 (130)을 관통하여서 설치되며 그 흡습회전체를 구동벨트(221)로 연결하여서 저속으로 회전시켜 주는 감속모터(220)로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흡습회전체(210)는 그 외주면 둘레에 외부커버(211)를 설치하여서 감싸지도록 하고, 상기 외부커버(211)를 관통하여 상기 수평받침(130)에 고정되는 고정봉(212)들의 중간에 설치되어 구름운동하는 대접로울러(213)로서 회전되도록 설치한다.
이러한 제습유닛(200)은 감속모터(220)로서 흡습회전체(210)를 저속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흡습회전체(210)의 일부는 상기 처리측 공간(A1)을 경유하면서 통과하는 실내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를 흡착하여 습기를 제거한 처리공기로 만들어 주며, 이와 동시에 그 흡습회전체(210)의 다른 일부는 상기 재생측 공간(B1)을 경유하면서 통과하는 실외공기에 의하여 건조되는 동작을 반복하여서 실내공기를 제습하여 주게 되는 것이다.
히이터(300)는 상기 재생측 공간(B1) 내부에 설치하여서 상기 제습유닛(200)의 흡습회전체(210)를 신속하게 건조시켜 주도록 한다.
상기 히이터(300)는 도4 및 도6의 도시와 같이, 상,하부면이 통기가능하도록 트여져서 방열판(311)들이 일체로 설치되는 고정틀(310)과, 상기 고정틀(310)의 내부를 관통하여서 지그재그로 설치되는 온수순환관(320)들과, 상기 고정틀(310) 일측면에 상기 온수순환관(320)들의 선단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일정위치에 온수유입구(331)를 가지는 온수유입관(330)과, 상기 고정틀(310) 일측면에 상기 온수순환관(320)들의 말단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일정위치에 온수유출구(341)를 가지는 온수유출관(340)들로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온수유입관(330)의 온수유입구 (331)와, 상기 온수유출관(340)의 온수유출구(341)는 연결호스(332)(342)로서 상기 본체(100) 상부에 설치되어서 별도의 온수보일러(미도시)와 연결되는 온수유입측 노즐(333)과 온수유출측 노즐(343)에 각각 연결시켜서 온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히이터(300)는 온수보일러로부터 공급되어서 온수순환관(320)을 따라 순환하는 온수로서 방열판(311)을 고온으로 유지시켜서, 상기 재생측 공간(B1)에 유입되어 상기 제습유닛(200)으로 향하는 실외공기를 대략 80∼85℃정도로 가온하여, 상기 제습유닛(200)의 흡습회전체(210)에 흡착되어 있는 습기를 신속하게 건조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히이터(300)는 상기 본체(100) 내부의 재생측 공간(B1)에 연하는 함실(140)의 일면에 고정앵글(350)로서 부착 고정하여서, 상기 히이터(300)를 설치할 때에 차지하는 점유공간을 최소화하여 주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열교환유닛(400)은 습기가 제거된 처리공기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실외공기를 분리 교차되게 통과시켜서 상승된 처리공기의 온도를 낮추어 주도록 한다.
상기 열교환유닛(400)은 도6의 도시와 같이, 열전도율이 높은 판상체의 양끝단을 접합하여서 내부에 일방향으로 통기가능하도록 형성된 수개의 통기판(410)들을 상호 일정간격으로서 타방향으로 통기가능하도록 배치 조립하여서 쌍방향의 통기로(411)(412)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열교환유닛(400)은 그 통기판 (410)들을 상기 함실(140) 내에 서로 겹쳐넣어서 일방향의 통기로(411)는 상기 함실(140)의 처리공기 통기공(141)에 맞추어 대각으로 연통되도록 하고, 그 타방향의 통기로(412)는 상기 함실(140)의 실외공기 통기공(142)에 맞추어 대각으로 연통되도록 설치한다.
이러한 열교환유닛(400)은 상기 실외공기 유입실(B2)로부터 재생측 공간(B1)으로 향하는 실외공기를 타방향 통기로(412)로 통과시키고, 상기 처리측 공간(A1)에서 제습유닛(200)에 의하여 습기가 제거된 동시에 온도가 상승되어서 처리공기 배출실(A2)로 향하는 처리공기를 일방향 통기로(411)로 통과시키면서 서로 열교환되게 하여, 상승된 처리공기의 온도를 낮추어서 실내로 공급될 수 있게 하여 주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고안은 본체 내부에 제습유닛과 함께 열교환유닛을 효율적으로 배치하고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흐름경로를 단축시켜서, 외형적인 부피를 최소화하여 주며, 제습과정에서 상승된 처리공기의 온도를 낮추어서 실내온도에 영향을 끼치지 않고 실내공기를 제습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6)

  1. 내부에 실내공기와 실외공기가 일정한 경로로 분리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제습하여 주는 제습유닛(200)과, 상기 본체(100) 내부에 실외공기가 통과하는 경로상에 배치되어서 통과하는 실외공기를 가온하여 상기 제습유닛(200)을 건조시켜 주는 히이터(30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직립되는 박스형상으로서 내측에 수직구획판(110)과 수평구획판(120)을 설치하며, 상기 수직구획판(110)의 하부에 그 수직구획판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걸쳐져서 실내 및 실외공기가 통과하도록 상기 제습유닛(200)을 수평하게 안치하고, 상기 수직 및 수평구획판(110)(120)의 중앙부에 대각으로 연통되는 쌍방향의 통기로(411)(412)가 확보되도록 열교환유닛(400)을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용량 건식 제습공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직립되는 박스형상으로서 내측에 수직구획판(110)과 수평구획판(120)을 설치하되, 상기 수직구획판(110)의 하부에 개구부 (131)가 형성된 수평받침(130)을 설치하여 상기 제습유닛(200)을 수평하게 안치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수직 및 수평구획판(110)(120)의 중앙에 상기 열교환유닛 (400)을 설치할 수 있는 크기로서 처리공기 및 실외공기 통기공(141)(142)들이 뚫어지는 함실(140)을 형성하여서, 상기 함실(140)을 기준으로 우하부에 처리측 공간(A1)을 두고 그 좌상부에는 처리공기 배출실(A2)이 위치되며, 상기 함실(140)을 기준으로 좌하부에는 재생측 공간(B1)을 두고 그 우상부에는 실외공기 유입실(B2)이 위치되도록 구획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용량 건식 제습공조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유닛(200)은 상기 본체(100) 내부의 수평받침(130) 상부에 처리측 및 재생측 공간(A1)(B1)에 걸쳐지도록 수평하게 안치되며 흡습성이 양호한 소재로하여 허니콤구조로서 외주면을 원통형으로 감싸는 회전휠(210a)을 가지는 흡습회전체(210)와, 상기 흡습회전체(210) 일측의 수평받침 (130)을 관통하여서 설치되며 그 흡습회전체를 구동벨트(221)로 연결하여서 저속으로 회전시켜 주는 감속모터(220)로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용량 건식 제습공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이터(300)는 상,하부면이 통기가능하도록 트여져서 방열판(311)들이 일체로 설치되는 고정틀(310)과, 상기 고정틀(310)의 내부를 관통하여서 지그재그로 설치되는 온수순환관(320)들과, 상기 고정틀(310) 일측면에 상기 온수순환관(320)들의 선단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일정위치에 온수유입구 (331)를 가지는 온수유입관(330)과, 상기 고정틀(310) 일측면에 상기 온수순환관 (320)들의 말단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일정위치에 온수유출구(341)를 가지는 온수유출관(340)들로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용량 건식 제습공조기.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히이터(300)는 상기 본체(100) 내부의 재생측 공간(B1)에 연하는 함실(140)의 일면에 고정앵글(350)로서 부착 고정하여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용량 건식 제습공조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유닛(400)은 열전도율이 높은 판상체의 양끝단을 접합하여서 내부에 일방향으로 통기가능하도록 형성된 수개의 통기판(410)들을 상호 일정간격으로서 타방향으로 통기가능하도록 배치 조립하여서 쌍방향의 통기로(411)(412)를 가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용량 건식 제습공조기.
KR2020000028328U 2000-10-11 2000-10-11 소용량 건식 제습공조기 KR2002170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8328U KR200217045Y1 (ko) 2000-10-11 2000-10-11 소용량 건식 제습공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8328U KR200217045Y1 (ko) 2000-10-11 2000-10-11 소용량 건식 제습공조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7147A Division KR100324195B1 (ko) 1999-12-30 1999-12-30 소용량 건식 제습공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7045Y1 true KR200217045Y1 (ko) 2001-03-15

Family

ID=73089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8328U KR200217045Y1 (ko) 2000-10-11 2000-10-11 소용량 건식 제습공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704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692Y1 (ko) * 2009-10-30 2011-12-29 주식회사 일진엔지니어링 열교환효율이 증가된 소용량 건식 제습공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692Y1 (ko) * 2009-10-30 2011-12-29 주식회사 일진엔지니어링 열교환효율이 증가된 소용량 건식 제습공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44555A1 (en) Desiccant dehumidifier
CN100410590C (zh) 加湿器
KR20090116301A (ko) 제습기
JP2989513B2 (ja) 除加湿機能付き空気調和機
KR102207548B1 (ko) 교대 재생식 제습장치가 구비된 냉풍기
EP1318356B1 (en) Air conditioner
JP2000346400A (ja) デシカント空調装置
JP5007098B2 (ja) 吸着体、調湿装置及び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05024233A (ja) 調湿装置
KR200217045Y1 (ko) 소용량 건식 제습공조기
KR100324195B1 (ko) 소용량 건식 제습공조기
KR200184583Y1 (ko) 대용량 건식 제습공조기
CN217654015U (zh) 湿度调节装置
JP2009139071A (ja) コンデンサー及びそれを用いた除湿装置
WO2007040217A1 (ja) 加湿ユニット、および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4329584B2 (ja) 除湿装置
EP2116783A2 (en) Dehumidifier having dehimidifying rotor
KR200457692Y1 (ko) 열교환효율이 증가된 소용량 건식 제습공조기
JPH02187542A (ja) 除湿・加湿機及び除湿・加湿機を備えた空気調和機
KR101534170B1 (ko) 제습기
JP2006023079A (ja) 調湿装置
JP6305951B2 (ja) 除湿機
CN218763743U (zh) 空气调节装置
CN218065177U (zh) 除湿模块、除湿装置、浴霸
CN219177932U (zh) 一种进气结构及除湿转轮除湿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0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