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3363Y1 -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수동조작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수동조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3363Y1
KR200213363Y1 KR2019980015721U KR19980015721U KR200213363Y1 KR 200213363 Y1 KR200213363 Y1 KR 200213363Y1 KR 2019980015721 U KR2019980015721 U KR 2019980015721U KR 19980015721 U KR19980015721 U KR 19980015721U KR 200213363 Y1 KR200213363 Y1 KR 2002133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rod
fixing
conveying
hoist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57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5037U (ko
Inventor
백종대
Original Assignee
백영문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영문,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백영문
Priority to KR20199800157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3363Y1/ko
Publication of KR200000050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50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33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3363Y1/ko

Links

Landscapes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수동조작장치에 관한 것으로, 권상기(10)에 전원의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수동적으로 권상기(10)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시브(14)의 외면상에 일정각도로 분할되어 요입 형성되는 복수개의 고정홈(32)과, 그 고정홈(32)에 선택적으로 삽설되는 고정볼트(44)가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체결되고 상하방향으로 연통되는 가이드공(42a)이 형성된 이송부재(40)와, 그 이송부재(40)의 가이드공(42a)에 삽입되고 하단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외주연에 나사산(50a)이 형성된 소정길이의 이송봉(50)과, 그 이송봉(50)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베이스판(15)상에 고정브라켓(62)이 설치되고 그 고정브라켓(62)의 축받이공(62b)에 회동가능하게 힌지축(64)이 횡설되며 이 힌지축(64)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고정브라켓(62)의 축받이공(62b) 외측면에 이탈방지편(66)이 체결된 이송봉고정부재(60)와, 그 이송봉(50)에 삽입된 이송부재(40)의 상하부에 가압력이 작용되어 권상기(10)가 회동되도록 이송부재(40)의 상하측에 해당되는 이송봉(50)에 체결되는 이송너트(70)로 구성되어 수동조작으로 엘리베이터카(13)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까지 손쉽게 끌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수동조작장치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수동조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전이나 기타 이유로 엘리베이터의 전기적인 작동이 불가능할 경우에 나사의 원리를 이용하여 적은 힘으로도 엘리베이터카를 끌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는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수동조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종적 교통수단으로서, 개인주택에서부터 초고층빌딩에 이르기까지 매우 중요한 운반설비이다. 이러한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구성장치에는 엘리베이터카를 끌어올리거나 내리는 권상기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권상기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권상기(10)는 전동기(12)와, 전동기(12)에 의해 회동되면서 엘리베이터카(13)를 승,하강시키는 로프(14a)가 권취되는 시브(sheave)(14)와, 시브(14)를 지지하도록 베이스판(15)에 고정설치되는 베어링 하우징(16)과, 시브(14)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장치(18)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권상기에서는 정전이나 기타 이유로 인하여 전동기(12)의 작동이 중단될 경우, 엘리베이터카(13)를 끌어올리거나 내리기 위하여 시브(14)에 기어(22)를 형성하고, 그 기어(22)에 이맞물림되어 시브(14)를 구동하는 구동기어(24)와, 구동기어(24)가 적절한 감속비로 회동되도록 다수개의 감속기어(26a)가 설치된 감속기(26)와, 그 감속기(26)를 수동으로 회동시키는 수동핸들(28)로 구성된 수동조작장치(20)를 사용하여 왔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수동조작장치(20)를 사용하면 제작비가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고, 그 무게가 무거우며 기어로 이루어져 탈장착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그 부피가 커서 많은 설치공간이 요구되므로, 설치 및 유지보수시에 공간적인 제한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정전이나 기타 이유로 엘리베이터의 전기적인 작동이 불가능할 경우에 적은 힘으로도 엘리베이터카를 끌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수동조작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동기에 의해 회동되면서 엘리베이터카를 승,하강시키는 로프가 시브에 권취된 권상기에 있어서, 상기 권상기에 전원의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수동적으로 권상기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시브의 외면상에 복수개의 고정홈이 일정각도로 분할되어 요입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에 선택적으로 삽설되는 고정볼트가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체결되고 상하방향으로 연통되는 가이드공이 형성된 이송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이송부재의 가이드공에 삽입되고 하단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그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이송봉이 소정길이만큼 형성되고, 상기 이송봉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베이스판상에 대략 "ㅛ"형상을 갖고 가로방향으로 축받이공이 관통된 고정브라켓이 결합되고 상기 고정브라켓의 축받이공에는 힌지축이 회동가능하게 횡설되며 상기 힌지축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고정브라켓의 축받이공 외측면에 이탈방지편이 체결된 이송봉고정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이송봉에 삽입된 이송부재의 상하부에 가압력이 작용되어 상기 권상기가 회동되도록 상기 이송부재의 상하측에 해당되는 이송봉에 체결되는 이송너트로 구성된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수동조작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수동조작장치는 나사의 원리를 이용하여 시브를 정,역 회동시켜 엘리베이터카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까지 수동으로 손쉽게 끌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권상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수동조작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 2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수동조작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 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권상기, 12:전동기,
13:엘리베이터카, 14:시브,
14a:로프, 15:베이스판,
30:수동조작장치, 32:고정홈,
40:이송부재, 42:몸체,
42a:가이드공, 42b:나사공,
44:고정볼트, 50:이송봉,
50a:나사산, 60:이송봉고정부재,
62:고정브라켓, 62a:측판,
62b:축받이공, 64:힌지축,
66:이탈방지편 70:이송너트,
72:제1이송너트, 74:제2이송너트.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수동조작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 2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측면도로서, 종래 도면과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수동조작장치(30)는 전동기(12)에 의해 회동되면서 엘리베이터카(13)를 승,하강시키는 로프(14a)가 시브(14)에 권취된 권상기(10)에 있어서, 상기 권상기(10)에 전원의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수동적으로 권상기(10)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시브(14)의 외면상에 일정각도로 분할되어 요입 형성되는 복수개의 고정홈(32)과, 상기 고정홈(32)에 삽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이송부재(40)와, 상기 이송부재(40)에 삽입되고 하단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이송봉(50)과, 상기 이송봉(50)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베이스판(15)상에 설치되는 이송봉고정부재(60)와, 상기 이송봉(50)에 삽입된 이송부재(40)의 상하부에 가압력이 작용되어 상기 권상기(10)가 회동되도록 상기 이송부재(40)의 상하측에 해당되는 이송봉(50)에 체결되는 이송너트(70)로 구성된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이송부재(40)는 대략 사각의 고리형상을 가진 몸체(42)의 상,하면에 수직으로 연통되는 가이드공(42a)이 형성되어있고, 그 몸체(42)의 배면 중앙에는 나사공(42b)이 형성되어있으며, 그 나사공(42b)에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체결되는 고정볼트(44)가 상기 고정홈(32)에 선택적으로 삽입된다.
이송봉(50)은 소정길이를 갖고, 그 외주연에 나사산(50a)이 형성되며, 상단이 상기 이송부재(40)의 가이드공(42a)에 삽입되는 한편, 타단은 후술하는 상기 이송봉고정부재(60)의 힌지축(64)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고정너트(52)에 의해 고정된다.
이송봉고정부재(60)는 상기 이송봉(50)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베이스판(15)상에 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대략 "ㅛ"형상으로 양 측판(62a)에 축받이공(62b)이 관통된 고정브라켓(62)과, 상기 고정브라켓(62)의 축받이공(62b)에 양단이 회동가능하게 삽입된 힌지축(64)과, 상기 힌지축(64)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고정브라켓(62)의 축받이공(62b)이 막아지게 양 측판(62a)의 외측면에 볼트에 의해 고정 설치된 이탈방지편(66)으로 구성된다.
이송너트(70)는 상기 이송봉(50)의 나사산(50a)에 상,하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체결되어 이송부재(40)의 저면을 밀어서 상기 이송부재(40)가 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압력을 인가시키는 제1이송부재(72)와, 이송봉(50)의 나사산(50a)에 상,하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체결되어 이송부재(40)의 상면을 밀어서 상기 이송부재(40)가 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압력을 인가시키는 제2이송부재(74)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수동조작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 는 작동상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동조작장치(30)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베이스판(15)에 수동조작장치(30)를 고정시키고 고정볼트(44)를 상기 시브(14)의 고정홈(32)에 삽입한 후 제1이송너트(72)를 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회동시키면 상기 제1이송너트(72)가 이송부재(40)의 저면을 밀어주게 되어 이송부재(40)가 상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이송봉고정부재(60)의 힌지축(64)에 의해 이송봉(50)이 소정각도만큼 회동되므로 이에 따라 시브(14)도 중심축을 기준으로 소정각도만큼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
또한, 상기 제2이송너트(74)를 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회동시키면 상기 제2이송너트(74)가 이송부재(40)의 상면을 밀어주게 되어 이송부재(40)가 하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이송봉고정부재(60)의 힌지축(64)에 의해 이송봉(50)이 소정각도만큼 회동되므로 이에 따라 시브(14)도 중심축을 기준으로 소정각도만큼 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그리고, 상기 시브(14)가 일정간격만큼 회동되면 고정볼트(44)를 고정홈(32)에서 이탈시켜 초기의 고정홈(32)에 삽입하여 상기와 같이 시브(14)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반복 회동시키면 엘리베이터카(13)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까지 수동으로 손쉽게 끌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수동조작장치에 의하면, 정전으로 인하여 전동기의 작동이 중단되는 경우, 나사원리를 이용하여 시브를 회전시키므로써 작업자가 엘리베이터카를 손쉽게 끌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무게와 부피가 축소된 수동조작장치가 제공되어 탈장착이 용이한 효과가 있고, 공간활용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제작이 간편하고 제작비용이 저렴하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전동기(12)에 의해 회동되면서 엘리베이터카(13)를 승,하강시키는 로프(14a)가 시브(14)에 권취된 권상기(10)에 있어서,
    상기 권상기(10)에 전원의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수동적으로 권상기(10)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시브(14)의 외면상에 일정각도로 분할되어 요입 형성되는 복수개의 고정홈(32)과;
    상기 고정홈(32)에 선택적으로 삽설되는 고정볼트(44)가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체결되고 상하방향으로 연통되는 가이드공(42a)이 형성된 이송부재(40)와;
    상기 이송부재(40)의 가이드공(42a)에 삽입되고 하단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그 외주연에 나사산(50a)이 형성된 소정길이의 이송봉(50)과;
    상기 이송봉(50)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베이스판(15)상에 결합된 고정브라켓(62)과, 상기 고정브라켓(62)의 축받이공(62a)에 회동가능하게 횡설되는 힌지축(64)과, 이 힌지축(64)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고정브라켓(62)의 축받이공(62a) 외측면에 체결되는 이탈방지편(66)으로 구성된 이송봉고정부재(60)와;
    상기 이송봉(50)에 삽입된 이송부재(40)의 상하부에 가압력이 작용되어 상기 권상기(10)가 회동되도록 상기 이송부재(40)의 상하측에 해당되는 이송봉(50)에 체결되는 제1이송너트(72)와, 제2이송너트(74)로 구성된 이송너트(7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수동조작장치.
KR2019980015721U 1998-08-21 1998-08-21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수동조작장치 KR2002133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721U KR200213363Y1 (ko) 1998-08-21 1998-08-21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수동조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721U KR200213363Y1 (ko) 1998-08-21 1998-08-21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수동조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037U KR20000005037U (ko) 2000-03-15
KR200213363Y1 true KR200213363Y1 (ko) 2001-05-02

Family

ID=69520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5721U KR200213363Y1 (ko) 1998-08-21 1998-08-21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수동조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336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786Y1 (ko) * 2008-01-29 2010-02-22 주식회사 새한특수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수동조작장치
KR102037852B1 (ko) * 2019-07-25 2019-10-30 주식회사 비티알수성 권상기용 시브의 수동 회전 조작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037U (ko) 2000-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66812B (zh) 电器开关柜用装卸滑车
CN112479050A (zh) 一种装配式建筑施工用吊装装置
KR100645890B1 (ko) 물체의 승강장치
CN112678682A (zh) 一种装配式建筑墙板用起吊机构
CN110921498A (zh) 一种混凝土预制箱梁快速起吊吊具
JP2001048450A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213363Y1 (ko)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수동조작장치
CN107658785B (zh) 丝杠驱动的柱式绝缘子快速更换装置
CN219341494U (zh) 一种数控机械自动化吊装机械
CN217920991U (zh) 一种装配式建筑预制构件吊具
CN217996684U (zh) 一种安全举升架
CN213171186U (zh) 一种减速机用葫芦门式起重设备
CN213445878U (zh) 一种用于下模具拆卸吊运的新型工装
CN211701334U (zh) 升降式机房走线架
CN211366716U (zh) 一种混凝土预制箱梁快速起吊吊具
JP4291457B2 (ja) エレベータ巻上機のブレーキ解放装置
CN113482371A (zh) 一种建筑幕墙装修自动化作业施工装置
JP3005779B2 (ja) 建築用揚重装置
CN218672033U (zh) 一种酒店宴会厅灯光升降调节装置
CN210048417U (zh) 一种用于电力线缆架设施工的绞磨机设备
CN216737284U (zh) 一种吊装设备
CN210710269U (zh) 丝杆旋转升降货梯
CN114314373B (zh) 一种建筑工程用吊装装置及施工方法
CN216371835U (zh) 一种转轴维修调整装置
CN219279327U (zh) 一种便于调节角度的建筑工程施工用提升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