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3270Y1 - 거푸집 수평수직 조절기 - Google Patents

거푸집 수평수직 조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3270Y1
KR200213270Y1 KR2020000024959U KR20000024959U KR200213270Y1 KR 200213270 Y1 KR200213270 Y1 KR 200213270Y1 KR 2020000024959 U KR2020000024959 U KR 2020000024959U KR 20000024959 U KR20000024959 U KR 20000024959U KR 200213270 Y1 KR200213270 Y1 KR 2002132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ormwork
fixing
control tube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49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기식
Original Assignee
남기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기식 filed Critical 남기식
Priority to KR20200000249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32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32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3270Y1/ko

Links

Landscapes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거푸집 수평수직 조절기에 관한 것으로서, 거푸집과 라이너를 고정시키는 클램핑블록과; 콘크리트 타설시 높이 기준을 위한 수평면을 형성하는 상부판과, 상기 클램핑블록을 상기 상부판에 고정하는 블록고정부를 갖는 상부부재와; 슬라브의 플레이트 패널에 고정되며 상기 상부판과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하부부재와; 상기 상부판의 하부로부터 상기 하부부재를 향해 돌출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관상의 상부조절관과, 상기 하부부재로부터 상기 상부판을 향해 돌출형성되어 상기 상부조절관과 결합되는 하부조절관을 갖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클램핑블럭의 고정구조를 간단화하여 클램핑블럭의 해체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높이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거푸집 수평수직 조절기{FORM HORIZONTAL LEVELING SUPPORTER}
본 고안은 거푸집 수평수직 조절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클램핑블럭의 고정구조를 간단화하여 클램핑블럭의 해체가 간편하도록 한 동시에 높이조절이 용이하도록 한 거푸집 수평수직 조절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건축구조물, 특히 아파트 등의 건축물은 흔히 슬라브(Slab)공사로 지칭되는 바닥면이나 공간구획을 위한 내력벽의 시공을 위해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된다. 이러한 콘크리트 타설시 정확한 수평유지가 필수적인 것이나 넓은 면적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정확한 수평상태의 유지가 매우 어렵다. 이에 따라, 콘크리트를 타설한 다음, 불균일한 높이의 편차를 제거하기 위해 몰타르 등의 마감재로 추후 마감작업을 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콘크리트의 타설시 층마다 콘크리트 타설두께가 설계시와 상이하게 높아지거나 낮아지게 되고, 결국 전체적인 건축물의 높이에 편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높이의 편차를 제거하기 위해 바닥과 복도, 계단 등에 마감재 충진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불필요한 원자재의 손실이 발생하고, 거푸집 조립시의 정밀도가 현저히 낮아 내력벽의 수직상태에 불균형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거푸집 수평수직 조절기를 사용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거푸집 수평수직 조절기는, 콘크리트 건축구조물의 기초 바닥면 및 각 층의 슬라브를 포함한 건축물의 내부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중간 내력벽의 콘크리트 시공을 위한 거푸집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플레이트 패널과 거푸집의 정확한 대칭과 수직설치를 위해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거푸집 수평수직 조절기는,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6-25201호와 제97-26467호에 제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을 지지하는 받침판의 하부 양측에 나사공이 형성된 돌기편을 형성하고, 돌기편의 나사공에는 긴 볼트가 끼워져 있다. 그리고, 볼트 조절에 따라 받침판이 승하강되어 높이가 조정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조절기는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비가 상승하며, 설정높이와 높이조정의 치수를 맞추기가 어렵고, 양측 볼트를 조절하여 받침판의 높이를 조정해야 함에 따라 높이조절 등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조절기는 현장에서 그 높이를 맞춘다는 것은 현재의 현장여건상 매우 힘들고 번거롭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구조를 간단화하고 높이조절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거푸집 수평수직 조절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수평수직 조절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절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조절기가 설치된 상태의 시공도,
도 4는 도 3에서 라이너와 거푸집이 해체된 상태의 시공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수평수직 조절기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거푸집 수평수직 조절기 3 : 라이너
4 : 수용레일 5 : 클램핑블록
6 : 지그부 7 : 고정부
8 : 고정공 9 : 가압지그
10 : 상부부재 11 : 상부판
12 : 제1장착공 13 : 제2장착공
14 : 스토퍼 15 : 단차판면
16 : 절취편 17 : 절취공
20 : 블록고정부 21 : 고정쐐기
25 : 고정슬라이더 26 : 쐐기고정공
27 : 고정슬롯 30 : 하부부재
31 : 하부본체 33 : 결합플랜지부
35 : 플랜지커버 37 : 통과공
39 : 못공 40 : 높이조절부
41 : 상부조절관 43 : 하부조절관
45 : 간격조절판 46 : 걸림고리
47 : 연결관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거푸집 수평수직 조절기에 있어서, 거푸집과 라이너를 고정시키는 클램핑블록과; 콘크리트 타설시 높이 기준을 위한 수평면을 형성하는 상부판과, 상기 클램핑블록을 상기 상부판에 고정하는 블록고정부를 갖는 상부부재와; 슬라브의 플레이트 패널에 고정되며 상기 상부판과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하부부재와; 상기 상부판의 하부로부터 상기 하부부재를 향해 돌출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관상의 상부조절관과, 상기 하부부재로부터 상기 상부판을 향해 돌출형성되어 상기 상부조절관과 결합되는 하부조절관을 갖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수평수직 조절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클램핑블록은, 상기 거푸집과 라이너를 고정하기 위한 지그부와, 상기 상부판에 접촉고정되며 고정공을 갖는 고정부를 가지며, 상기 블록고정부는, 상기 고정공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판의 일영역에 고정되는 고정슬라이더와, 상기 고정부의 판면을 따라 형성된 상기 고정슬라이더의 쐐기고정공을 관통하여 장착되며 상기 클램핑블록 유격을 방지하는 고정쐐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판의 상기 블록고정부와 상기 라이너의 사이 영역에는 판면으로부터 절취절곡되어 기립형성되며 상기 라이너의 위치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됨으로써, 라이너의 위치설정을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조절관과 상기 하부조절관중 일측의 외경은 타측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일측이 타측에 수용되며, 유압장치에 의해 가압되어 상호 고정됨으로써, 높이조절이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상부조절관과 상기 하부조절관은 동일한 반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조절관과 상기 하부조절관의 외경면에 접하는 관상의 연결관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하부부재의 상호 대향되는 양단부에는,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플레이트 패널과 상호 고정되는 결합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플랜지부에는 플라스틱 수지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플랜지부의 적어도 일영역을 감싸는 플랜지 커버가 부착됨으로써, 녹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양단부가 동일 방향으로 절곡된 걸림고리가 형성된 일측으로 긴 판상의 간격조절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간격조절판은 상기 상부판의 일측에 고정되어 이웃하는 상부판과의 폭을 설정함으로써, 이웃하는 거푸집 수평수직 조절기와의 폭조절이 간편해진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거푸집 수평수직 조절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타설시 높이 기준을 위한 수평면을 형성하는 상부부재(10)와, 상부부재(10)와 소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어 플레이트 패널에 고정되는 하부부재(30)와, 상부부재(10)와 하부부재(30)간의 폭을 조절 가능하게 상호 고정하는 높이조절부(40)와, 상부부재(10)에 장착되어 거푸집(50)과 라이너(3)를 고정시키는 클램핑블록(5)을 갖는다.
클램핑블록(5)은, 라이너(3)와 거푸집(50)을 가압하는 '??'자 형상의 지그부(6)와, 상부부재(10)에 접하며 상부부재(10)와의 결합을 위한 고정공(8)이 형성된 판상의 고정부(7)를 가진다. 지그부(6)의 거푸집(50)을 향한 단부는 소정간격을 두고 분기되어 있으며, 지그부(6)의 단부에는 라이너(3)와 거푸집(50)을 견고하게 가압하도록 하향 돌출된 가압지그(9)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사각관 형상의 라이너(3)의 상부면에는 판면으로부터 함몰되어 거푸집(50)이 수용되는 수용레일(4)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거푸집(50)이 수용레일(4)에 수용된 상태에서 클램핑블록(5)의 가압지그(9)에 의해 가압되므로 거푸집(50)이 견고하게 지지된다.
상부부재(10)는, 클램핑블록(5)이 장착되며 일 측으로 긴 판상의 상부판(11)과, 클램핑블록(5)을 상부판(11)에 고정하기 위한 블록고정부(20)를 포함한다. 상부판(11)은 거푸집(50)을 향한 길이방향의 일측 단부가 소정의 단차를 가지도록 하향 절곡된 다음 다시 외측으로 절곡된 단차판면(15)을 가지며, 단차판면(15)의 중앙영역에는 판면이 절취된 다음 상부판(11)의 타측 단부를 향해 절곡된 절취편(16)이 형성되어 있고, 절취편(16)의 형성에 의해 단차판면(15)에는 사각형상의 절취공(17)이 형성된다.
또한, 상부판(11)의 길이방향 중앙영역의 양 측부에는 외측으로 돌출한 돌출편(18)이 형성되어 있고, 돌출편(18)에는 '??'자 형상으로 절취된 다음 상향 절곡되어 판면으로부터 기립된 한 쌍의 스토퍼(14)가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14)의 절곡영역은 판면을 따라 노치된 노치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스토퍼(14)는 라이너(3)의 위치를 제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블록고정부(20)는, 클램핑블록(5)의 고정공(8)을 관통하여 장착되며 상부판(11)에 결합되는 고정슬라이더(25)와, 고정슬라이더(25)에 장착되어 클램핑 블록(5)의 유격을 방지하는 고정쐐기(21)를 포함한다.
고정슬라이더(25)는 상부영역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영역에는 고정쐐기(21)의 장착을 위한 쐐기장착공(26)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영역에는 상부판(11)의 판면방향을 따라 긴 장착슬롯(27)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부판(11)에는 고정슬라이더(25)의 고정을 위해 판면으로부터 함몰된 제1 및 제2장착공(12,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및 제2장착공(12,13)은 상부판(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장착공(12)의 폭은 고정슬라이더(25)의 삽입을 위해 고정슬라이더(25)의 하부영역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며, 제1장착공(12)과 제2장착공(13) 사이의 간격과 제2장착공(13)의 길이방향의 폭을 더한 길이는 고정슬라이더(25)의 장착슬롯(27)의 길이와 동일하도록 형성됨으로써 고정슬라이더(25)가 제1 및 제2장착공(12,13)에 장착시 유격이 방지된다.
이렇게 고정슬라이더(25)를 제1 및 제2장착공(12,13)에 장착시킨 후, 클램핑블록(5)의 고정공(8)이 고정슬라이더(25)를 통과하도록 클램핑블록(5)을 상부판(11)에 안착시키고, 고정슬라이더(25)의 쐐기장착공(26)에 고정쐐기(21)를 관통시켜 클램핑블록(5)을 상부판(11)에 유격 방지되도록 장착하게 된다.
이러한 상부부재(10)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부부재(30)는, 역'U'자 형상의 하부본체(31)를 가지며, 하부본체(31)의 판면에는 콘크리트의 통과를 위한 다수의 콘크리트 통과공(3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본체(31)의 하단부에는 외측으로 절곡되어 플레이트 패널과 철못에 의해 고정되는 결합플랜지부(33)가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플랜지부(33)에는 플라스틱 수지 등 녹이 슬지 않는 물질로 형성된 플랜지커버(35)가 장착되어 있다.
플랜지커버(35)에는 플레이트 패널과의 결합을 위한 콘크리트용 철못이 결합되는 다수의 못공(39)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부부재(10)와 하부부재(30)간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호 결합시키는 높이조절부(40)는, 각각 상부부재(10)에 용접결합된 상부조절관(41)과, 하부부재(30)에 용접결합된 하부조절관(43)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부조절관(41)은 하부부재(30)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소정 간격을 두고 한 쌍이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상부조절관(41)에 대응되어 하부부재(30)에 형성된 하부조절관(43)은, 그 직경이 상부조절관(4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부조절관(41)내에 삽입된다. 상부조절관(41)과 하부조절관(43)은 상부조절관(41)내에 삽입된 하부조절관(43) 영역을 유압장치로 가압하여 파지함으로써, 상호 결합되게 된다.
이러한 거푸집 수평수직 조절기(1)는 건축물의 평수에 따라 필요한 수량이 이미 산정되어 있으며, 바람직한 거푸집 수평수직 조절기(1) 사이의 적정간격은 약 1200m/ml 정도이다.
한편, 내력벽의 시공시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거푸집(50)을 각각 지지하기 위해 거푸집 수평수직 조절기(1)도 내력벽의 폭에 맞추어 배치해야 하며, 이를 위해, 본 거푸집 수평수직 조절기(1)는 조절기(1)간의 간격조절을 위한 간격조절판(45)을 사용한다. 간격조절판(45)은 양 단부가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된 걸림고리(46)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 걸림고리(46)는 상부판(11)의 단차판면(15)의 절취공(17)에 걸리도록 배치되어 거푸집 수평수직 조절기(1)간의 간격을 설정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거푸집 수평수직 조절기(1)로 거푸집(50)을 고정하는 경우,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 패널에 거푸집 수평수직 조절기(1)를 고정하게 된다. 이 때, 간격조절판(45)을 사용하여 조절기(1) 사이의 폭을 조절하여 조절기(1)의 위치를 설정한 다음, 하부부재(30)의 못공(39)에 철못을 망치질하여 결합시킨다. 그런 다음, 상부부재(10)의 상부조절관(41)내에 하부부재(30)의 하부조절관(43)이 삽입된 상태에서 레이저 및 레벨자동측정기를 이용하여 상부판(11)과 하부부재(30)의 결합플랜지부(33) 사이의 높이와, 상부판(11)의 수평상태를 조절한다. 높이와 수평상태가 조정되면, 상부조절관(41)과 하부조절관(43)이 상호 접하는 영역을 유압장치로 가압하여 상부조절관(41)과 하부조절관(43)이 상호 고정되도록 한다.
이렇게 조절기(1)를 설치한 다음, 철근과 각종 배관을 배치하고, 상부판(11)의 하부까지 콘크리트에 매입되도록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수행한다. 그런 다음, 클램핑블록(5)을 조절하여 내력벽의 구축을 위한 라이너(3)와 거푸집(50)을 기립 설치하게 된다.
이 때, 라이너(3)의 수용레일(4)에 거푸집(50)이 수용되도록 기립 배치한 다음, 클램핑블록(5)을 거푸집(50)으로부터 이격 및 접근되도록 조절하거나 라이너(3)를 상부판(11)의 길이방향을 이동시켜 거푸집(50)의 위치를 설정하고, 고정쐐기(21)를 고정슬라이더(25)의 쐐기장착공(26)에 관통시켜 클램핑블록(5)의 유격을 방지하여 거푸집(50)을 설치하게 된다.
이 때, 라이너(3)는 상부판(11)에 형성된 한 쌍의 스토퍼(14)에 의해 위치가 제한된다. 이렇게 라이너(3)와 거푸집(50)을 고정한 다음, 거푸집(50) 사이에 내력벽의 형성을 위해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고정쐐기(21)를 고정슬라이더(25)의 쐐기장착공(26)으로부터 이탈시켜 클램필블록(5)을 자유롭게 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너(3)와 거푸집(50)을 해체하고, 고정슬라이더(25)를 제1 및 제2장착공(12,13)으로부터 삽입해제하게 된다. 그런 다음, 스토퍼(14)를 망치 등으로 가격하여 상부판(11)으로부터 분리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클램핑블록(5)의 장착시에는 고정슬라이더(25)와 고정쐐기(21)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위치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쐐기(21)를 고정슬라이더(25)의 쐐기장착공(26)으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간편하게 클램핑블록(5)을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클램핑블록(5)의 고정구조를 간편하게 구성함에 따라, 라이너(3)와 거푸집(50)의 고정 작업 및 해체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부부재(10)와 하부부재(30)에 상부조절관(41)과 하부조절관(43)을 설치하여 높이를 조절하도록 하고, 유압장치로 상부조절관(41)과 하부조절관(43)의 접촉부분을 가압하여 고정함으로써, 높이조절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높이조절부(40)를 상부부재(10)의 상부조절관(41)과 하부부재(30)의 하부조절관(43)으로 구성하였으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부재(10)의 상부조절관(41)과 하부부재(30)의 하부조절관(43)의 직경을 동일하게 형성하고, 상부조절관(41)과 하부조절관(43)의 접촉영역에 상부조절관(41)과 하부조절관(43)의 외경면에 접하는 연결관(47)을 삽입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부조절관(41)과 하부조절관(43)간의 이격 폭을 조절한 다음, 연결관(47)과 상부조절관(41) 및 하부조절관(43)이 접하는 영역을 유압장치로 가압하여서 상호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도 5의 실시예에서는 하부부재를 역'U'자 형상으로 형성하지 아니하고, 판상으로 평평하게 형성한 다음, 중앙영역을 결합플랜지부보다 약간 높게 형성하고 있다.
전술 및 실시예에서는 상부부재에 위치하는 클램핑블록에 있어서 이 클램핑블록에 설치되는 고정슬라이더를 고정슬롯에 삽입하여 일측으로 끼워맞춤 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한 고정슬라이더는 도면에 도시한 형식과 모양의 고정슬라이더에 한정하여 실시되는 것이 아니고, 그 삽입 구조를 달리하여 고정슬롯에 끼워질 수 있는 고정슬라이더라면, 어떠한 형상과 형식의 고정슬라이더라도 본 고안의 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 이외에도 상부부재의 선단에 형성된 절취편의 형상과 형식에 관계없이 상부부재의 선단부에 위치되어 라이너를 고정할 수 있는 형식이라면 이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실시가 가능하고 본 고안에 기술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클램핑블럭의 고정구조를 간단화하여 클램핑블럭의 해체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높이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Claims (7)

  1. 거푸집 수평수직 조절기에 있어서,
    거푸집과 라이너를 고정시키는 클램핑블록과;
    콘크리트 타설시 높이 기준을 위한 수평면을 형성하는 상부판과, 상기 클램핑블록을 상기 상부판에 고정하는 블록고정부를 갖는 상부부재와;
    슬라브의 플레이트 패널에 고정되며 상기 상부판과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하부부재와;
    상기 상부판의 하부로부터 상기 하부부재를 향해 돌출형성된 적어도 하나의관상의 상부조절관과, 상기 하부부재로부터 상기 상부판을 향해 돌출형성되어 상기상부조절관과 결합되는 하부조절관을 갖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수평수직 조절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블록은, 상기 거푸집과 라이너를 고정하기 위한 지그부와, 상기상부판에 접촉고정되며 고정공을 갖는 고정부를 가지며,
    상기 블록고정부는, 상기 고정공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판의 일영역에 고정되는 고정슬라이더와, 상기 고정부의 판면을 따라 형성된 상기 고정슬라이더의 쐐기고정공을 관통하여 장착되며 상기 클램핑블록 유격을 방지하는 고정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수평수직 조절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의 상기 블록고정부와 상기 라이너의 사이 영역에는 판면으로부터 절취절곡되어 기립형성되며 상기 라이너의 위치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수평수직 조절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조절관과 상기 하부조절관중 일측의 외경은 타측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일 측이 타 측에 수용되며, 유압장치에 의해 가압되어 상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수평수직 조절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조절관과 상기 하부조절관은 동일한 반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조절관과 상기 하부조절관의 외경면에 접하는 관상의 연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수평수직 조절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부재의 상호 대향되는 양단부에는,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플레이트 패널과 상호 고정되는 결합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플랜지부에는 플라스틱 수지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플랜지부의 적어도 일 영역을 감싸는 플랜지커버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수평수직 조절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양단부가 동일 방향으로 절곡된 걸림고리가 형성된 일 측으로 긴 판상의 간격조절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간격조절판은 상기 상부판의 일 측에 고정되어 이웃하는 상부판과의 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수평수직 조절기.
KR2020000024959U 2000-09-01 2000-09-01 거푸집 수평수직 조절기 KR2002132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959U KR200213270Y1 (ko) 2000-09-01 2000-09-01 거푸집 수평수직 조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959U KR200213270Y1 (ko) 2000-09-01 2000-09-01 거푸집 수평수직 조절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5814A Division KR20000063322A (ko) 2000-06-27 2000-06-27 거푸집 수평수직 조절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3270Y1 true KR200213270Y1 (ko) 2001-02-15

Family

ID=73057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4959U KR200213270Y1 (ko) 2000-09-01 2000-09-01 거푸집 수평수직 조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327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88107A (ko)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입되는 고정수단
KR100769999B1 (ko) 개량형 동바리, 자립식 개량형 동바리 및 이를 이용한거푸집 설치구조
KR100558596B1 (ko)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KR200213270Y1 (ko) 거푸집 수평수직 조절기
KR20090088104A (ko)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입되는 고정수단
KR20180057380A (ko) 거푸집용 연결지지장치
KR20000063322A (ko) 거푸집 수평수직 조절기
KR200352506Y1 (ko) 거푸집 지지구조
KR200182815Y1 (ko) 균일한 수평상태의 바닥면 시공장치
KR100338653B1 (ko) 콘크리트 건축구조물에 적용되는 슬라브 및 내력벽의 시공 공법
KR19980021188U (ko) 천정 콘크리트 거푸집의 지지장치
KR20010099532A (ko) 철근콘크리트 벽체 구축용 시스템 거푸집 및 시공방법
JPH0738310U (ja) アンカーボルト支持装置
KR100459011B1 (ko) 다층콘크리트 건축물의 연결부재 및 그 설치방법
KR200213257Y1 (ko) 거푸집 설치용 각재
KR200238510Y1 (ko) 건설용 철근의 이격구
KR200241654Y1 (ko) 거푸집 고정대
JP2002356853A (ja) アンカーボルト位置セット治具
CN212453710U (zh) 一种预埋锚栓定位装置
KR100609928B1 (ko)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
KR200418000Y1 (ko) 알루미늄폼용 위치 고정구
KR20180124434A (ko) 콘크리트 몰탈 타설량을 줄여주는 철근과 단열재가 일체화된 블럭
JPS603203Y2 (ja) アンカ−ユニツト
KR200364386Y1 (ko)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
KR200246102Y1 (ko) 건축물의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 받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2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