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6102Y1 - 건축물의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 받침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 받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6102Y1
KR200246102Y1 KR2020010010403U KR20010010403U KR200246102Y1 KR 200246102 Y1 KR200246102 Y1 KR 200246102Y1 KR 2020010010403 U KR2020010010403 U KR 2020010010403U KR 20010010403 U KR20010010403 U KR 20010010403U KR 200246102 Y1 KR200246102 Y1 KR 2002461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slab
support
building
steel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04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준
Original Assignee
박용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준 filed Critical 박용준
Priority to KR20200100104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61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61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6102Y1/ko

Links

Landscapes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구조물의 슬래브 형성을 위한 거푸집을 지지하고, 이 거푸집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턴버클을 포함하는 서포터를 가지며, 이 서포터와 슬래브 사이에 형강과 받침목으로 구성된 보강받침대를 개재한 건축물의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 받침장치에 있어서, 상기 받침목의 양측면에 접하면서 그 길이방향과 병행토록 설치되는 한쌍의 원형의 강관;과 상기 한쌍의 원형의 강관과 받침목을 수용하면서 강관과 받침목의 길이방향에 대해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고, 건축구조물의 슬래브 형성을 위한 거푸집과 이 거푸집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턴버클을 갖는 서포터 사이에 개재되는 한쌍의 원형의 강관; 및 상기 한쌍의 원형의 강관을 수용하면서 그 강관의 길이방향에 대해 등간격으로 고정설치되는 고정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보강받침대의 강도 및 받침면적이 증대됨에 따라 받침구조물의 설치수가 절감되어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건축물의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 받침장치인 것이다.

Description

건축물의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 받침장치{A mold supporter for a sleeve forming of building}
본 고안은 시멘트몰탈을 이용해 주조식으로 축조되는 건축물의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 받침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거푸집을 안정적으로 견고히 지탱할 수 있도록 한 건축물의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 받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슬래브 성형은 측벽이 축조된 상태에서 그 측벽면에 대해 직교하는 수평방향으로 다수개의 거푸집을 설치하고, 이 거푸집상에 시멘트몰탈을 공급하여 슬래브를 양생한 다음 거푸집을 분리하게 된다. 여기서 슬래브 형성을 위한 거푸집의 설치는 거푸집의 저면부에 다수개의 서포트 및 보강받침대를 위치시켜 지탱하는 구조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상기한 거푸집은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체 및 판체의 저면에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각목들이 테두리와 중앙부에 설치되도록 제작되는데, 이렇게 소단위적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판체들을 평면적으로 정렬시켜 건축구조물의 슬래브를 성형하게 된다. 즉 슬래브를 성형하기 위한 거푸집들이 평면적으로 정렬되면 이들 거푸집을 지탱하는 보강받침대 및 이 보강받침대를 지지하기 위한 금속파이프의 서포트로 이루어진 받침구조가 설치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받침구조는 별도의 결속구조 없이 거푸집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시멘트몰탈의 공급 또는 공급된 시멘트몰탈의 다지기 작업시 발생되는외부충격이 보강받침대로 전달되면서 보강받침대를 유동시킴에 따라 보강받침대간의 간격에 변형을 가져와 거푸집의 단위면적당 받침력이 부분적으로 떨어지게 되었다. 따라서, 시멘트몰탈의 하중에 의해 그 부분이 내려앉으면서 슬래브의 저면이 불규칙해져 슬래브의 표면 마무리작업에 어려움을 갖게 되었고, 보강받침대의 유동이 심할 경우에는 받침구조가 이탈하면서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었다.
한편, 거푸집을 지지하고 있는 보강받침대는 소폭의 각목 등을 주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면적이 작아지면서 그 강도가 약해졌다. 따라서, 거푸집을 안정되게 지지하기 위해서는 보강받침대의 설치간격을 가능한 좁게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수의 보강받침대가 필요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보강받침대의 설치 및 해체작업이 용이하지 못할뿐만 아니라 자재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단점을 갖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적인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받침목의 길이방향 양측에 원형의 강관을 설치하고, 그 받침목 및 원형의 강관을 고정부재로 결합하므로써 보강받침대의 받침면적이 증대됨에 따라 거푸집의 받침상태가 안정되면서 거푸집의 단위면적당 보강받침대의 설치수를 줄일 수 있어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건축물의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는 건축물의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 받침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거푸집의 단위면적당 보강받침대의 설치수를 줄임과 동시에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건축물의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는 건축물의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 받침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건축구조물의 슬래브 형성을 위한 거푸집을 지지하고, 이 거푸집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턴버클을 포함하는 서포터를 가지며, 이 서포터와 슬래브 사이에 형강과 받침목으로 구성된 보강받침대를 개재한 건축물의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 받침장치에 있어서, 상기 받침목의 양측면에 접하면서 그 길이방향과 병행토록 설치되는 한쌍의 원형의 강관; 상기 한쌍의 원형의 강관과 받침목을 수용토록 상부가 개방되고, 그 양측에 수직으로 형성된 내측면과 강관의 외측면이 접하는 접점의 위치가 용접되어 받침목의 길이방향에 대해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고정부재 및 이 고정부재의 바닥면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고정핀이 끼워지면서 받침목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건축구조물의 슬래브 형성을 위한 거푸집과 이 거푸집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턴버클을 갖는 서포터 사이에 개재되는 한쌍의 원형의 강관; 및 상기 한쌍의 원형의 강관을 수용하면서 그 강관의 길이방향에 대해 등간격으로 고정설치되는 고정부재;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보강받침대가 적용된 건축구조물의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 받침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강받침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보강받침대가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요부 확대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시예를 보인 보강받침대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의 결합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측벽 2 : 슬래브
10 : 거푸집 20 : 서포터
30 : 보강받침대 40 : 강관
42 : 외측면 50 : 받침목
60 : 고정수단 62 : 내측면
64 : 바닥면 66 : 통공
70 : 고정핀 C : 곡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보강받침대가 적용된 건축구조물의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 받침장치를 보인 단면도로서, 건축물의 축조는 대략적으로 건축물의 측벽(1)을 양생시킨 후, 측벽(1)에 대해 교차하는 수평방향으로 건축물의 각 층을 구획시키기 위한 슬래브(2)를 양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슬래브(2)의 양생을 위해 평면적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거푸집(10) 저면부위에는 거푸집(1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턴버클(21)을 포함하는 서포터(20)가 다수개 설치되는데, 상기 거푸집(10)과 서포터(20)사이에는 거푸집(10)의 지지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받침대(30)가 개재되어 있다.
상기한 보강받침대(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금속재로 이루어진 원형의 강관(40)이 2개 1조로 한쌍을 이루게 되는데, 상기 강관(40)들 사이에는 거푸집(10)의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못박음질 된 못(3)에 의해 고정되는 받침목(50)이 개재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한쌍의 강관(40)과 받침목(50)의 저면부는 고정부재(6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바닥면(64)에 안착되고, 상기한 고정부재(60)의 양측에 수직으로 형성된 내측면(62)은 원형으로 이루어진 강관(40)의 외측면(42)과 접점을 이루면서 받침목(50)의 길이방향에 대해 등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된다.
이와 같이 강관(40)의 외측면(42)과 고정부재(60)의 내측면(62)이 접점상태를 이룰 때 별도의 공구(미도시)를 이용하여 접점부위를 용접하게 된다. 따라서, 받침목(50)의 양측에 장착된 강관(40)의 최대직경에 해당하는 외측면(42)으로 거푸집(10)의 저면부위가 접점을 이루면서 지탱됨에 따라 보강받침대(30)의 받침면적을 넓혀 줄 수 있으므로 받침목(50)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고정부재(60)의 바닥면(64)에는 강관(40)들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받침목(50)에 위치할 수 있도록 통공(6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통공(66)으로는 고정핀(70)이 끼워져 받침목(50)과 고정부재(60)를 결합하게 된다.
한편, 도 4에는 본 고안의 따른 고정부재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요부 확대단면도로서, 상기 고정부재(60)의 양측벽에 마련된 내측면(62)을 강관(40)의 외측면(42)과 동일한 형태의 곡면(C)으로 형성함으로써 강관(40)과 고정부재(60)의 결속력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는 것이며, 강관(40)과 받침목(50)을 고정부재(60)에 안착시킬 때 접점부위가 강관(40)의 외측면(42)과 동일한 형태로 접촉하기 때문에 용접을 더욱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받침목(50)의 강도를 한층 더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의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 받침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건축물의 축조시 건축물의 각 층을 구획시키기 위한 슬래브(2)를 양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슬래브(2)의 양생을 위해 평면적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거푸집(10) 저면부위에는 거푸집(1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턴버클(21)을 포함하는 서포터(20)가 다수개 설치되는데, 상기 거푸집(10)과 서포터(20)사이에는 거푸집(10)의 지지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받침대(30)가 개재되어 있다.
상기 보강받침대(30)는 통상의 금속재로 이루어진 원형의 강관(40)이 2개 1조로 한쌍을 이루면서 고정부재(6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바닥면(64)에 안착되고, 상기 고정부재(60)의 양측에 수직으로 형성된 내측면(62)은 원형으로 이루어진 강관(40)의 외측면(42)과 접점을 이루면서 강관(40)의 길이방향에 대해 등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된다.
이와 같이 강관(40)의 외측면(42)과 고정부재(60)의 내측면(62)이 접점상태를 이룰 때 별도의 공구(미도시)를 이용하여 접점부위를 용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각각의 강관(40)에 해당되는 반지름을 합한 거리가 거푸집(10)의 저면부위를 지탱하므로 보강받침대(30)의 받침면적을 넓히면서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의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 받침장치의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보강받침대(30)로 이루어지는 받침목(50)의 양측에 원형의 형상을 갖는 강관(40)을 한쌍으로 안착시킨 상태에서 고정부재(60)에 마련된 수직의 내측면(62)과 강관(40)의 외측면(42)을 용접함으로써, 보강받침대(30)의 강도가 용접력에 의해 한층 더 높아짐과 동시에 보강받침대(30)의 받침면적이 강관(40)의 반경만큼 증대됨에 따라 거푸집(10)의 설치상태도 안정적이면서 견고해질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한편, 보강받침대(30)를 한쌍의 원형의 강관(40)과 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60)를 등간격으로 고정설치함에 따라 건축시공비를 줄이면서 슬래브(2) 형성을 위한 거푸집(10)을 지지하기 위한 보강받침대(30)의 보강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따라서, 거푸집(10)의 단위면적당 보강받침대(30)를 지지하는 받침구조물의 설치수를 절감할 수 있으므로 설비구조가 간소화되어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작업이 용이해져 건축시공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는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1. 건축구조물의 슬래브 형성을 위한 거푸집을 지지하고, 이 거푸집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턴버클을 포함하는 서포터를 가지며, 이 서포터와 슬래브 사이에 형강과 받침목으로 구성된 보강받침대를 개재한 건축물의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 받침장치에 있어서,
    상기 받침목의 양측면에 접하면서 그 길이방향과 병행토록 설치되는 한쌍의 원형의 강관;
    상기 한쌍의 원형의 강관과 받침목을 수용하면서 강관과 받침목의 길이방향에 대해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고정부재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 받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부가 개방되고, 그 양측이 강관의 외측면과 접하도록 수직의 내측면이 형성되어 접점부위가 용접되며, 그 바닥면에는 고정핀이 끼워져서 받침목으로 결합되도록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 받침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양측에 형성된 내측면을 강관의 외측면을 따라 동일한 곡면으로 형성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 받침장치.
  4. 청구항4는 삭제 되었습니다.
KR2020010010403U 2001-04-13 2001-04-13 건축물의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 받침장치 KR2002461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403U KR200246102Y1 (ko) 2001-04-13 2001-04-13 건축물의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 받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403U KR200246102Y1 (ko) 2001-04-13 2001-04-13 건축물의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 받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6102Y1 true KR200246102Y1 (ko) 2001-10-11

Family

ID=73054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403U KR200246102Y1 (ko) 2001-04-13 2001-04-13 건축물의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 받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610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45140A (ko) 고정작업이 필요없는 무해체 보 거푸집과 데크 플레이트의 결합구조
KR100819833B1 (ko)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장치 및 방법
JP2019526004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型枠、床システム、および建築方法
KR200436819Y1 (ko) 보 시스템 거푸집
KR20170022733A (ko) 구조체 연결유닛
KR200246102Y1 (ko) 건축물의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 받침장치
KR101215384B1 (ko) 플라잉 테이블 폼
US603616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a building unit
KR200201589Y1 (ko) 슬래브용 스프링 서포터
KR101728161B1 (ko)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 가설용 평탄패드 및 이를 이용한 천장거푸집 시공구조
KR101665626B1 (ko) 하이브리드 철골 접합구조의 시공방법
EP1416101A1 (en) Composite beam
KR20180136749A (ko) 슬라브 패널 시스템
KR101108283B1 (ko) 판넬 지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보 거푸집 지지시스템
KR101702957B1 (ko) 테이블 거푸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
JP2005213852A (ja) ガードレール用の基礎ブロック
KR100792735B1 (ko) 거푸집 지지구조
KR100583083B1 (ko) 인서트 기능을 가진 스페이서및 그 사용방법
KR20220059110A (ko) 무해체 구조용 강판 보 거푸집의 지지 장치
KR200151563Y1 (ko) 슬라브용 패널 지지장치
CN209837670U (zh) 预制楼板拼接支撑装置
KR102164351B1 (ko) 응력 분산형 구조물
JP3765086B2 (ja) Pc基礎部材据付位置調整治具
KR102249476B1 (ko) 거푸집 동바리에 연결되는 지지프레임
KR200307607Y1 (ko) 거푸집공사의 슬래브 양생용 가설재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