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9833B1 -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9833B1
KR100819833B1 KR1020070017152A KR20070017152A KR100819833B1 KR 100819833 B1 KR100819833 B1 KR 100819833B1 KR 1020070017152 A KR1020070017152 A KR 1020070017152A KR 20070017152 A KR20070017152 A KR 20070017152A KR 100819833 B1 KR100819833 B1 KR 100819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flow
pillar
couple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7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범수
Original Assignee
서보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보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보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7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98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9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9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for coffered or ribbed cei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4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lintels, beams, or transoms to be encased separately;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양생 기간이 서로 다른 보와 플로우를 분리 시공하여 상대적으로 양생 기간이 짧은 플로우용 거푸집을 연속적으로 사용하고, 거푸집을 전용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며, 다수의 멍에재, 상기 멍에재 위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하부 장선재, 상기 하부 장선재 위에 결합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좌우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좌우 측판으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서포트에 의해 지지되는 보 거푸집(10)과; 평평한 판상이며 둘레부에 필라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 거푸집 및 상호 간에 필라구역을 두고 배치되어 다수의 서포트로 지지되는 플로우 거푸집(20)과; 상기 보 거푸집의 상면과 상기 플로우 거푸집의 필라안착부에 안착되어 상기 플로우 거푸집과 동일 평면을 이루는 필라로 구성된다.
슬라브, 거푸집, 보, 플로우

Description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BUILDING SLAB OF A CONCRETE BUIL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장치의 설치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장치에 적용된 보 거푸집의 설치 상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장치에 적용된 보 거푸집의 설치 상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방법에 의한 슬라브 설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방법의 공정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방법에 의해 제1필라가 설치되기 이전의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장치에 적용된 거푸집 지지수단의 사시도.
도 9a와 도 9b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장치에 적용된 거푸집 지지수단의 작동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보 거푸집, 20 : 플로우 거푸집
30,60 : 필라, 40,50 : 서포트
70 : 거푸집 지지수단,
본 발명은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생 기간이 서로 다른 보와 플로우를 분리 시공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양생 기간이 짧은 플로우 거푸집을 다른 층으로 운반하여 사용할 수 있고, 거푸집을 전용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건축할 경우 층과 층을 구획하는 슬라브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사각형상의 거푸집을 다수개 연결하여 보와 플로우가 형성되도록 틀을 형성하고, 틀을 완성한 후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며, 콘트리트가 양생된 후에는 다수의 거푸집을 해체하게 되고, 이 해체된 거푸집을 수작업으로 상부층으로 운반하여 다시 전체적인 틀을 형성하여 콘트리트를 타설하게 된다.
즉, 층과 층 사이를 구축하는 방법은, 거푸집을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건 축물의 설계에 의해 결정된 높이)로 배치한 후 다수의 서포터들을 상기 거푸집과 바닥 사이에 세워 상기 거푸집을 지지하고, 이와 같은 방법으로 다수의 상기 거푸집을 수평으로 연결하여 상층 바닥의 틀을 구성한 후, 상기 거푸집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다수의 거푸집을 이용하여 슬라브를 형성시킬 경우, 첫째 다수 인원의 목수가 동원되어서 틀을 제작하여야 하므로 과다한 인력소모로 인해 공사비가 증대되고, 둘째 거푸집의 파손 등으로 다량의 폐기물이 발생되어서 현장의 정리정돈이 어려우며, 셋째 해체된 거푸집을 위험한 환경에서 인력으로 상측으로 운반하여야 하므로 다수건의 안전사고의 발생될 우려가 있고, 넷째 수작업으로 인한 공사소음이 과다하게 발생된다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 제599059호로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 및 그 설치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은,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건축물의 층과 층을 구획하는 슬라브를 형성시키기 위한 것으로, 보의 저면과 플로우의 저면이 단차져 있는 슬라브구조의 보부위와 플로우부위를 콘크리트로 타설하여 양생시킬 수 있도록 틀을 형성하는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과;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과 조립되며, 소정 기둥이 위치된 부위를 콘크리트로 타설하여 양생시킬 수 있도록 틀을 형성하는 기둥주위지지수단과;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 혹은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과 조립되며, 플로우를 콘크리트로 타설하여 양생시킬 수 있도록 틀을 형성하는 플로우지지수단;을 포함하는 한편,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과 기둥주위지지수단과 플로우 지지수단을 설치 혹은 해체시킬 경우, 지게차로 각 지지수단을 지지 및 이동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지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슬라브 거푸집이 시스템화되어 지게차 및 크레인을 이용하여 각종 수단을 설치 및 해체 그리고 이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최소의 인원으로 신속하게 공사가 가능하여 공사비를 최대한 절감하고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공사후 폐기물의 발생을 최소화시켜 현장의 정리정돈을 용이하게 하며 안전사고의 발생 및 공사소음의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지만, 보와 슬라브가 하나의 거푸집을 통해 시공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보와 플로어(floor)는 구조적 특성이 매우 다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보는 플로우의 뼈대 역할을 하기 때문에 플로어보다 그 단면적이 매우 큼을 통해 알 수 있다. 따라서, 보와 플로어는 그 양생기간이 서로 다르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하면, 보와 플로어를 구성하는 하나의 거푸집을 통해 보와 플로어가 시공됨에 따라 플로어의 양생기간이 경과되어도 보의 양생기간이 완료될 때까지 해체할 수 없으므로 효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보가 대칭 구조의 2개의 거푸집(보 및 플로우지지수단)에 의해 시공되며, 상기 거푸집은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높이를 맞추는 것이기 때문에 2개의 거푸집간에 높이가 서로 다를 수 있고, 따라서, 완성된 보의 표면이 균일하지 못한 문제점도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은 슬라브 거푸집을 건축물의 시공 현장에서 작업자가 설계에 따라 보 및 플로우 거푸집을 제작하여 설치 장소로 운반한 후 끼워 맞춤으로써 설치하는 것으로, 슬라브의 설계시 보 및 플로우 거푸집을 무시하기 때문에 제작된 보 및 플로우 거푸집을 어느 위치에 설치하여야 하는지를 알 수 없으므로 보 및 플로우 거푸집의 구조와 슬라브의 설계도면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숙련공들만 거푸집을 설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슬라브를 구성하지만 양생 기간이 서로 다른 보와 플로우의 시공을 위한 거푸집을 서로 분리하여 보가 양생되는 중에 양생 기간이 상대적으로 짧은 플로우 거푸집을 먼저 해체하여 그 다음 층으로 운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거푸집을 전용할 수 있도록 하려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포트를 제거하여도 보 거푸집을 보의 양생기간이 종료될 때까지 설치할 수 있도록 하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장치는, 슬라브의 설계시 분할된 구역의 크기에 맞도록 제작되며 둘레부에 여유의 필라구역이 구비된 보 거푸집 및 플로우 거푸집과, 상기 보 거푸집과 플로우 거푸집 사이의 필라구역에 끼워 맞춰져 콘크리트 타설면을 형성하는 필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방법은, 슬라브를 다수의 보 설치구역 및 플로우 설치구역을 분할 및 각 분할된 구역에 고유번호를 부여하고, 상기 분할된 구역에 맞는 보/플로우 거푸집을 제작 및 고유번호를 부여하며, 상기 설치구역의 고유번호와 일치되는 고유번호의 거푸집을 운반하여 해당 설치구역에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플로우의 양생 완료 후 보가 양생되는 중에 플로우 거푸집을 먼저 해체하여 다른 슬라브 시공 위치(다음 층)로 운반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장치는, 기둥(1,2)(도 4에 도시됨)에 각각 연결된 보(B)를 시공하기 위한 다수의 보 거푸집(10)과, 보 거푸집(10)들과 필라구역(S1)을 두고 배치되는 플로우 거푸집(20)과, 보 거푸집(10)과 플로우 거푸집(20) 사이의 필라구역(S1)에 결합되어 콘크리트 타설면을 형성하는 제1필라(Filler)(30)와, 보 거푸집(10) 및 플로우 거푸집(20)을 지지하는 다수의 서포트(40,50)로 구성되며, 이하, 각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에서 보이는 것처럼, 보 거푸집(10)은 다수의 멍에재(11), 멍에재(11) 위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장선재(12), 장선재(12) 위에 결합되는 바닥판(13), 바닥판(13)의 좌우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유로폼형 좌우 측판(14)으로 구성된다. 멍에재(11)는 각목일 수 있고, 장선재(12)는 각목 및 파이프(각관, 원형관)일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좌우 측판(14)들을 서로 결속하는 긴결재, 좌우 측판(14)들의 외부에서 지지하는 지지대가 더 적용될 수 있다. 장선재(12)는 후술하는 제2필라(60)가 안착되도록 그 양측이 바닥판(13)으로부터 돌출된다.
멍에재(11), 장선재(12) 및 바닥판(13)은 현장에서 조립된 후 설치되고, 이 상태에서 좌우 측판(14)과 제2필러(60)를 현장 조립하여 완전한 보 거푸집(10)이 만들어질 수 있다.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플로우 거푸집(20)은, 콘크리트 타설면을 형성하는 플로우판(21), 플로우판(21)의 저부에 일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장선재(22) 및 장선재(22)의 저부에 장선재(22)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멍에재(23)로 구성된다. 이때, 플로우판(21)의 둘레부측에 결합되는 제1장선재(22a)는 플로우판(21)의 외부로 돌출되어 제1필라(30)가 안착되는 필라안착부(21a)를 형성하여 플로우판(21)과 제1필라(30)에 의해 콘크리트 타설면이 형성되도록 한다. 즉, 제1필라(30)는 플로우 거푸집(20)의 제1장선재(22a) 위인 필라안착부(21a)와 보 거푸집(10)의 측판(14) 위에 안착 고정되는 것이다.
장선재(22)는 각목, 파이프 등이 사용 가능하지만, 플로우 거푸집(20)의 둘 레부에 결합되는 제1장선재(22a)는 제1필라(30)와 결합(못으로 결합)이 용이한 각목이 사용되고, 제1장선재(22a)들 사이의 제2장선재(22b)들은 각관, 원형관 등이 사용 가능하다.
그리고, 제2장선재(22b)이 제1장선재(22a)들 사이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제2장선재(22b)들은 새들(24)을 통해 멍에재(23)에 고정된다.
필라(30)는 보 거푸집(10)과 플로우 거푸집(20) 사이의 필라구역을 막아 플로우판(21)과 함께 콘크리트 타설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도 2에서 보이는 것처럼, 플로우 거푸집(20)의 제1장선재(22a)와 보 거푸집(10)의 측판(14) 위에 안착 결합되어 플로우의 콘크리트 타설면을 구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보 거푸집(10)과 플로우 거푸집(20) 사이 뿐만 아니라, 보 거푸집(10)과 기둥(1,2) 사이에도 제2필라(60)가 적용된다.
도 1과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보 거푸집(10)의 바닥판(13)은 기둥(1,2) 사이의 간격보다 그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기둥(1,2)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고, 이 이격 공간에는 제2필라(60)가 설치되어 콘크리트 타설면을 형성하는 것이다.
제2필라(60)는 보 거푸집(10)의 둘레부측 장선재(12)와 기둥폼(1a,2a) 위에 안착 고정(못 등)된다.
한편, 본 발명은 서포트(40)로 보 거푸집(10)을 지지하지 않아도 될 존치기간이 경과되면, 서포트(40)를 제거하여 보(B) 저부에 작업공간을 확보하면서도 보 거푸집(10)이 보(B)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거푸집 지지수단(70)(도 3과 도 4)이 더 적용된다.
도 3, 도 4 및 도 8에서와 같이, 거푸집 지지수단(70)은, 상하 양단부에 각각 헤드(71a,71b)가 구비되며 도중에 보 거푸집(10)의 바닥판(13) 상에 안착되는 지지링(71c)이 형성된 봉 형상의 긴결재(71), 보 거푸집(10)의 멍에재(11) 저면에 지지되면서 그 저면에 긴결재(71)의 하부측 헤드(71b)가 지지되는 더블웨지(72)를 포함한다.
더블웨지(72)는 양측이 상부를 향해 벤딩된 판상의 본체(72a), 본체(72a)에 긴결재(71)의 하부 헤드(71b)의 외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키공(72b), 키공(72b)의 일측에 연통되며 점진적으로 폭이 좁아져 긴결재(71)가 슬라이딩되는 고정장공(72c) 및 고정장공(72c)의 저부에 단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어 긴결재(71)의 하부헤드(71b)가 쐐기식으로 결합되는 쐐기부(72d)로 구성된다. 즉, 도 9a와 같이, 키공(72b)에 긴결재(71)를 맞춰 끼운 후 더블웨지(72)를 일측(고정장공(72c)의 단부측)으로 밀면 도 9b처럼, 하부헤드(71b)가 쐐기부(72d)에 서서히 지지되어 긴결재(71)가 고정된다.
도면과 설명에서는 거푸집 지지수단(70)이 보 거푸집(10)에만 적용된 것으로 한정하였으나, 거푸집 지지수단(70)은 플로우 거푸집(20)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5는 각각 인양고리이다.
보 거푸집(10)과 플로우 거푸집(20)을 시공 현장에서 직접 제작할 수도 있으며, 타 공장에서 정해진 규격에 맞추어 제작, 시공현장으로 운송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보 거푸집(10)과 플로우 거푸집(20)은 건축물의 설계시 설계도면 상에서 구획된 설치영역과 동일한 크기로 제작되어 동일 고유번호를 부여받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시공방법에서 설명한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S10) 슬라브 설계.
슬라브 설계시 설계 도면상에 다수의 보(B) 구역 및 플로우(A) 구역으로 구획하되, 보(B) 구역과 플로우(A) 구역에 필라(F)구역을 마련하면서 각 구역별로 고유번호(A,B,F)를 부여한다. 이때, 보(B) 구역과 플로우(A) 구역에 의해 보 거푸집(10)과 플로우 거푸집(20)의 크기가 결정되는 것이며, 한 동의 건축물에서 슬라브의 면적 및 보의 위치는 큰 변화가 없으므로 한 건축물의 시공시 보 거푸집(10)과 플로우 거푸집(20)을 모든 층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보 거푸집(10)과 플로우 거푸집(20)의 크기를 규격화한다.
(S20) 거푸집 제작.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보 거푸집(10)과 플로우 거푸집(20)을 제작한다. 보 거푸집(10)과 플로우 거푸집(20)의 구조는 상기에서 자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며, 상기 슬라브 설계 공정에서 설계한 보(B) 구역과 플로우(A) 구역에 맞는 크기의 보 거푸집(10)과 플로우 거푸집(20)을 제작한 후 고유번호(A,B)를 부여한다.
(S30) 서포트 설치. 슬라브 설계 도면을 참고하여 다수의 보 거푸집용 서포트(40)와 플로우 거푸집용 서포트(50)를 설치한다.
(S40) 보 거푸집 설치. 슬라브 설계 도면에 기재된 보 설치구역의 고유번호와 보 거푸집(10)의 고유번호를 확인하여 보 거푸집(10)을 크레인으로 이동하여 서 포트(40)에 결합한다.
(S50) 플로우 거푸집 설치. 슬라브 설계 도면에 기재된 플로우 설치구역의 고유번호와 플로우 거푸집(20)의 고유번호를 확인하여 플로우 거푸집(20)을 크레인으로 이동하여 서포트(50)에 결합한다.
보 거푸집 설치공정과 플로우 거푸집 설치공정시 작업자는 설계도면의 고유번호와 보 거푸집(10) 및 플로우 거푸집(20)의 고유번호만 확인하여 보 거푸집(10)과 플로우 거푸집(20)을 해당 설치구역으로 이동함으로써 슬라브를 시공할 수 있으므로 번호를 확인할 수 있는 능력을 갖는 미숙련공도 슬라브를 시공할 수 있다.
보 거푸집 설치공정과 플로우 거푸집 설치공정에서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 지지수단(70)을 각각 설치한다.
상기 (S40) 보 거푸집 설치 공정과 (S50) 플로우 거푸집 설치 공정은 상술한 순서에 입각하여 진행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S60) 마감. 보 거푸집(10)과 플로우 거푸집(20)을 설치하면, 보 거푸집(10)과 플로우판(21)들의 사이에는 도 7에서처럼, 필라구역이 발생되며, 작업자는 필라구역에 맞는 제1필라(30)를 플로우판(21)의 필라안착부(21a)와 보 거푸집(10)의 측판(14)에 끼워 맞춘 후 못 등으로 고정하여 콘크리트 타설면을 마무리한다. 그리고, 보 거푸집(10)과 기둥(1,2) 사이의 필라구역에도 제2필라(60)를 설치한다. 슬라브 설계공정에서 보 (B) 구역과 플로우(A) 구역을 설계하면 그 사이의 필라구역의 크기를 알 수 있으므로 이 크기에 맞는 제1,2필라(30,60)을 미리 제작하여 마감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보 거푸집(10)이나 플로우 거푸집(20)이 설계위치와 다르게 비틀릴 수 있을 것이며, 이렇게 되면 필라(30,60)가 필라구역과 일치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때, 보 거푸집(10)과 플로우 거푸집(20)을 재설치할 필 요없이 제1,2필라(30,60)를 필라구역에 맞는 것으로 교체하거나 보수함으로써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S70) 콘크리트 타설. 상기의 공정을 거쳐 슬라브(보 및 플로우)의 타설면을 형성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콘크리트가 보 거푸집(10)의 내부 및 플로우 거푸집(20)의 플로우판(24)과 제1,2필라(30,60) 위에 타설된다.
(S80) 플로우 거푸집 해체.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일정 기간이 경과되어 양생되면 보와 플로우가 시공되는데, 이때, 보와 플로우는 그 양생기간이 서로 다르다. 즉, 보가 플로우보다 구조적 강성이 커야 하므로 보의 양생기간이 플로우의 양생기간보다 길다. 따라서, 플로우의 양생기간이 완료되면 보의 양생기간까지 대기할 필요없이 플로우 거푸집(20)을 해체한다. 플로우 거푸집(20)의 해체공정은 다음과 같다. 서포트(50)를 먼저 제거한다. 이처럼 서포트(50)가 제거되어도 플로우(T)에 매설된 거푸집 지지수단(70)을 통해 플로우 거푸집(20)이 플로우(T)에 고정되어 플로우 거푸집(20)은 플로우(T)에 고정 상태를 유지한다. 플로우(T)의 존치 기간이 경과되면 플로우 거푸집(20)의 저부에 인양장비(본 출원인에 의해 실용신안등록 출원된 제2004-37462호,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운반용 지지장치) 등을 배치하고, 거푸집 지지수단(70)의 더블웨지(72)를 제거하여 플로우 거푸집(20)이 상기 인양장비로 낙하하도록 하며, 상기 인양장비를 건축물의 바깥쪽으로 이동한 후 크레인 등을 통해 그 윗층으로 운반한다.
(S90) 보 거푸집 해체. 보의 양생이 완료되면 보 거푸집(10)을 해체한다. 보 거푸집(10)을 탈형할 정도의 존치기간은 경과되지 않았지만 서포트(40)를 제거하여도 가능한 존치기간이 경과되면 서포트(40)를 제거한다. 서포트(40)가 제거되어도 보(B)에 매설된 거푸집 지지수단(70)을 통해 보 거푸집(10)의 바닥판(13)이 보(B)에 고정되어 보 거푸집(10)은 보(B)에 고정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보(B)의 저부에 서포트(40)가 없기 때문에 작업자는 서포트(40)의 간섭을 받지 않고 편안한 자세로 작업을 할 수 있다.
보(B)의 존치기간이 경과되면 바닥판(13)의 저부에 인양장비를 거치하고, 거푸집 지지수단(70)의 더블웨지(72)를 제거한 후 바닥판(13)을 두드리면 바닥판(13)의 자중 등에 의해 바닥판(13)이 하부의 상기 인양장비에 낙하한다.
해체된 보 거푸집(10)의 바닥판(13)은 다음 층의 공사시 전용될 수 있다.
해체된 플로우 거푸집(20)은 운반장비를 통해 그 다음 층으로 운반될 수 있다. 상기 운반장비는 예컨대 링크형 다리가 구비되어 승강 가능한 구조이면서 자체 이동하거나 지게차 등에 이동되도록 구성되며, 플로우 거푸집(20)측으로 승강하여 플로우 거푸집(20)을 받아 수용한 후 이 수용한 플로우 거푸집(20)을 건축물의 외곽으로 이동시켜 크레인 등에 의해 그 다음 층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보와 플로우의 타설을 위한 거푸집이 서로 분리되어 상대적으로 양생 기간이 짧은 플로우 거푸집을 보가 양생되기 전에 해체하여 다음 시공 위치에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공기를 단축할 수 있고, 보/플로우 거푸집들이 각각 필라를 통해 기타 거푸집 구조물과 결속되어 거푸집의 전용이 가능해지므로 시공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설계시 슬라브(보 및 플로우)를 다수의 구역으로 분할한 후 각 분할 된 구역에 고유번호를 부여하고, 각 구역의 고유번호에 일치되는 보/플로우 거푸집을 제작하여, 보/플로우 거푸집을 고유번호가 동일한 구역에 설치함으로써 슬라브 거푸집을 설치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고유번호만 확인할 수 있는 미숙련공도 슬라브 거푸집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고비용의 숙련공의 고용에 따른 인건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보 거푸집이 서포트에 의하지 않고 보에 고정되어 보의 존치기간이 완료되기 전에 서포트를 제거하여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용이해진다.
아울러, 콘크리트 타설, 양생 후 앵커 시스템을 이용한 테이블의 존치기간 연장과 적재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이 앵커 시스템을 테이블폼의 존치기간과 적재공간 확보 등의 용도로 사용하였으나 추후 슬래브 마감인 인세트시스뎀의 부속으로도 사용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다수의 멍에재(11), 상기 멍에재 위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하부 장선재(12), 상기 하부 장선재 위에 결합되는 바닥판(13), 상기 바닥판의 좌우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좌우 측판(14)으로 이루어지며 양측의 기둥 사이에 배치되면서 지면에 지지된 다수의 서포트(40)에 의해 상기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지지되는 보 거푸집(10)과;
    평평한 판상이며 둘레부에 필라안착부(21a)가 형성되고 상기 보 거푸집 사이에 필라구역을 두고 배치되어 다수의 서포트(50)로 지지되는 플로우 거푸집(20)과;
    상기 보 거푸집과 상기 플로우 거푸집의 사이 및 상기 보 거푸집과 상기 기둥의 사이에 안착되어 상기 보 거푸집과 기둥의 사이 및 상기 보 거푸집과 플로우 거푸집 사이의 공간을 막으면서 상기 플로우 거푸집과 함께 콘크리트 타설면을 형성하는 제1,2필라(30)(60)와;
    상기 보 거푸집과 플로우 거푸집의 바닥판과 다수의 멍에재에 고정되며 보와 플로우에 매설되는 긴결재 및 상기 긴결재를 상기 보 거푸집과 플로우 거푸집에 고정하여 상기 보 거푸집과 플로우 거푸집을 지지하는 더블웨지로 이루어진 거푸집 지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거푸집 지지수단의 상기 긴결재는 상하 양단부에 각각 헤드가 구비되며 도중에 상기 보 거푸집의 바닥판 상에 안착되는 지지링이 형성된 봉 형상이고,
    상기 더블웨지는 판상의 본체, 상기 본체에 상기 긴결재의 하부 헤드의 외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키공, 상기 키공의 일측에 연통되며 점진적으로 폭이 좁아져 상기 긴결재가 슬라이딩되는 고정장공 및 상기 고정장공의 저부에 단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긴결재의 하부헤드가 쐐기식으로 결합되는 쐐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우 거푸집은, 콘크리트 타설면을 형성하는 플로우판(21), 상기 플로우판의 저부에 일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플로우판의 둘레부에 상기 플로우판과 동일 높이로 상기 제1필라(30)가 안착되도록 필라안착부(100)를 형성하는 장선재(22), 상기 장선재의 저부에 상기 장선재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멍에재(2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 거푸집은, 다수의 멍에재(11), 상기 멍에재 위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며 단부가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필라(60)가 안착되는 다수의 장선재(12), 상기 장선재 위에 결합되는 바닥판(13), 상기 바닥판의 좌우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좌우 측판(1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장치.
  4. 삭제
  5. 삭제
  6. 건축물의 슬라브를 다수의 보 거푸집 설치구역 및 플로우 거푸집 설치구역으로 구획하되, 상기 보 거푸집 설치구역과 플로우 거푸집 설치구역 및 상기 플로우 거푸집 설치구역들의 사이에 필라구역을 마련하면서 각 구역별로 고유번호를 부여하는 설계 단계와;
    상기 보 거푸집의 설계에 맞는 크기이며 바닥판과 좌우 측판으로 이루어진 보 거푸집과 상기 플로우 거푸집의 설계에 맞는 크기의 플로우 거푸집을 각각 제작하여 상기 거푸집 설치영역의 고유번호와 일치되는 고유번호를 부여하는 거푸집 제작단계와;
    상기 보 거푸집 설치영역과 플로우 설치영역에 맞춰 다수의 서포트를 세우는 서포트 설치단계와;
    상기 보 거푸집의 고유번호와 설계단계의 고유번호를 확인한 후 상기 보 거푸집을 크레인에 의해 상기 보 거푸집 설치영역으로 이동하여 상기 서포트에 결합하는 보 거푸집 설치단계와;
    상기 플로우 거푸집의 고유번호와 설계단계의 고유번호를 확인한 후 상기 플로우 거푸집을 크레인에 의해 상기 보 거푸집 설치영역으로 이동하여 상기 서포트에 결합하는 플로우 거푸집 설치단계와;
    상기 보 거푸집 설치단계와 플로우 거푸집 설치단계를 통해 보 거푸집과 플로우 거푸집을 설치할 때 청구항 1에 포함된 거푸집 지지수단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보 거푸집 설치구역과 플로우 거푸집 설치구역 및 상기 플로우 거푸집 설치구역들 사이의 필라구역에 판상의 필라를 설치하는 마감단계와;
    상기 보 거푸집, 플로우 거푸집 및 필라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와;
    상기 플로우 거푸집과 상기 필라에 의한 플로우의 양생 완료 후 상기 플로우 거푸집을 해체하는 단계와;
    보의 양생 완료 후 상기 보 거푸집을 해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 거푸집 해체단계에서는 좌우 측판을 먼저 해체하고 이후 바닥판을 해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 거푸집과 플로우 거푸집 해체단계에서는, 상기 보 거푸집과 플로우 거푸집을 각각 하부에서 지지하는 서포트를 먼저 해체하여 상기 거푸집 지지수단에 의해 상기 보 거푸집과 플로우 거푸집을 지지토록 하고 상기 서포트를 상부층의 보 거푸집과 플로우 거푸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 거푸집은 각각 다수의 멍에재, 상기 멍에재 위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하부 장선재, 상기 하부 장선재 위에 결합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좌우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좌우 측판에 의해 일체화되고,
    상기 플로우 거푸집은 각각 다수의 멍에재, 상기 멍에재 위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하부 장선재, 상기 하부 장선재 위에 결합되는 바닥판에 의해 일체화되어 시공 현장으로 운송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장치.
KR1020070017152A 2007-02-20 2007-02-20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장치 및 방법 KR100819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7152A KR100819833B1 (ko) 2007-02-20 2007-02-20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7152A KR100819833B1 (ko) 2007-02-20 2007-02-20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9833B1 true KR100819833B1 (ko) 2008-04-08

Family

ID=39533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7152A KR100819833B1 (ko) 2007-02-20 2007-02-20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9833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357B1 (ko) 2007-03-20 2009-01-12 에스앤피시스템(주) 테이블폼 및 이를 이용한 슬라브용 거푸집 시스템
KR100992038B1 (ko) 2010-07-20 2010-11-04 한진수 콘크리트 충진형 건축부재
KR101367980B1 (ko) * 2012-06-28 2014-03-03 서보산업 주식회사 콘크리트 구조물용 시스템 거푸집
KR20160054940A (ko) 2014-11-07 2016-05-1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모듈러 도로용 슬래브 모듈 내에 삽입된 높이조절장치와 체결되는 인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양 방법
KR20170039553A (ko) 2015-10-01 2017-04-11 주식회사 선우씨앤에스 건축물 슬래브의 보 성형을 위한 거푸집 받침장치
KR20180102902A (ko) * 2017-03-08 2018-09-18 장윤근 천장 슬래브용 단위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천장 슬래브거푸집 시스템
KR20210006160A (ko) 2019-07-08 2021-01-18 주식회사 폼웍스 철근콘크리트 건축 구조물의 슬래브 성형을 위한 존치 서포트 유닛
KR102211474B1 (ko) 2020-07-23 2021-02-05 주식회사 비콘 마그네틱에 의해 멍에재가 고정되는 건축용 서포트 구조
KR102330671B1 (ko) 2020-06-29 2021-11-24 (주)성지알펙스 마그네틱이 결합된 멍에재를 갖는 건축용 서포트 구조
KR102618793B1 (ko) 2022-12-01 2023-12-27 유병문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 및 그 설치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317Y1 (ko) * 2004-12-20 2005-03-14 홍창모 슬라브테이블거푸집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317Y1 (ko) * 2004-12-20 2005-03-14 홍창모 슬라브테이블거푸집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357B1 (ko) 2007-03-20 2009-01-12 에스앤피시스템(주) 테이블폼 및 이를 이용한 슬라브용 거푸집 시스템
KR100992038B1 (ko) 2010-07-20 2010-11-04 한진수 콘크리트 충진형 건축부재
KR101367980B1 (ko) * 2012-06-28 2014-03-03 서보산업 주식회사 콘크리트 구조물용 시스템 거푸집
KR20160054940A (ko) 2014-11-07 2016-05-1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모듈러 도로용 슬래브 모듈 내에 삽입된 높이조절장치와 체결되는 인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양 방법
KR20170039553A (ko) 2015-10-01 2017-04-11 주식회사 선우씨앤에스 건축물 슬래브의 보 성형을 위한 거푸집 받침장치
KR20180102902A (ko) * 2017-03-08 2018-09-18 장윤근 천장 슬래브용 단위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천장 슬래브거푸집 시스템
KR101950568B1 (ko) * 2017-03-08 2019-02-20 장윤근 천장 슬래브거푸집 시스템
KR20210006160A (ko) 2019-07-08 2021-01-18 주식회사 폼웍스 철근콘크리트 건축 구조물의 슬래브 성형을 위한 존치 서포트 유닛
KR102330671B1 (ko) 2020-06-29 2021-11-24 (주)성지알펙스 마그네틱이 결합된 멍에재를 갖는 건축용 서포트 구조
KR102211474B1 (ko) 2020-07-23 2021-02-05 주식회사 비콘 마그네틱에 의해 멍에재가 고정되는 건축용 서포트 구조
KR102618793B1 (ko) 2022-12-01 2023-12-27 유병문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 및 그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9833B1 (ko)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장치 및 방법
KR101986990B1 (ko) 외단열 공법 및 그에 따른 외단열 벽체
KR102143637B1 (ko) 보급형 보 슬래브 대형 시스템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보 슬래브 시공 공법
KR101182536B1 (ko) 용도와 기능에 맞는 표면재와 구조용 철근을 적용하고 조립식 구조를 갖는 더블월 피씨패널
JP2019526004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型枠、床システム、および建築方法
KR101736749B1 (ko) 보 시공용 거푸집의 지지 장치
KR101668521B1 (ko) 다층 건축물의 지하층 콘크리트의 시공방법
JP6616629B2 (ja) グレーチングの取付構造及び取付工法
KR101826094B1 (ko) 트랜스퍼 매트의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트랜스퍼 매트
KR101118508B1 (ko) 콘크리트 표면 정착판석 설치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880813B1 (ko) 샌드위치 피씨 패널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JP6717656B2 (ja) 橋梁拡幅工法
JP4565331B2 (ja) 床の構造
JP3701078B2 (ja) 道路床版工法
JPH0657956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工法
JPH11158813A (ja) コンクリート橋脚の構築方法
JP6404013B2 (ja) 免震建物の建築方法
JPH1129910A (ja) コンクリート橋脚の構築方法
KR101702957B1 (ko) 테이블 거푸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
KR101576224B1 (ko) 건축물 시공용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
KR102149661B1 (ko) 피씨 슬래브를 이용한 건축물의 지상 전이층 시공방법
KR102337880B1 (ko) 각관을 이용한 중공형 구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42175B1 (ko) 조립식 더블 월 pc 제조 금형
KR101022448B1 (ko) 프리캐스트 패널 바닥판의 제작방법
JP2008150820A (ja) 壁コンクリート、壁コンクリートの製造方法及び壁コンクリート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