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7980B1 - 콘크리트 구조물용 시스템 거푸집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용 시스템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7980B1
KR101367980B1 KR1020120070262A KR20120070262A KR101367980B1 KR 101367980 B1 KR101367980 B1 KR 101367980B1 KR 1020120070262 A KR1020120070262 A KR 1020120070262A KR 20120070262 A KR20120070262 A KR 20120070262A KR 101367980 B1 KR101367980 B1 KR 101367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reinforcing material
reinforcing
concrete structures
fila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0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3003A (ko
Inventor
이범수
Original Assignee
서보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보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보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0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7980B1/ko
Publication of KR20140003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7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7980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용 시스템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거푸집들을 동일방향으로 배열하여 이들을 지지하는 일방향의 제1보강재만을 설치하여도 거푸집들을 지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필라폼의 사용을 통해 규격화로 사용중 인 거푸집을 변형없이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거푸집을 제작하기 위한 비용을 줄일 수 있고 거푸집의 휨 변형으로 인한 구조물의 불량을 방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용 시스템 거푸집은, 다수의 거푸집(10)과; 시스템 거푸집의 설계상 크기에 맞는 크기로 제작되어 상기 다수의 거푸집의 둘레부에 배열되는 필라폼(20)과; 상기 거푸집의 저부에 상기 거푸집들의 배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거푸집을 지지하는 제1보강재(40)와; 상기 필라폼과 상기 거푸집의 이음부에 설치되어 상기 필라폼과 이웃하는 거푸집을 지지하는 제2보강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용 시스템 거푸집{SYSTEM FORM FOR CONCRETE STRUCTURES}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용 시스템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푸집의 배열과 필라폼의 사용을 통해 단일 방향의 보강재만을 사용하여도 견고한 시스템 거푸집을 제작할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시스템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 건축물을 시공하기 위하여는 내측에 먼저 철근 구조물을 형성한 후, 내외면을 판넬(거푸집, 목재, 금속재, 비금속재 등 다양한 재질)을 대어 형틀을 형성하고 그 외측을 프레임과 버팀목 등으로 지지시킨 다음 내측에 반죽 상태의 콘크리트를 주입 타설하여 굳혀 바닥, 벽체, 천정 등을 시공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비교적 면적이 넓은 슬라브, 벽체 등을 시공할 때 다수의 거푸집을 일일이 설치하여 시공할 수도 있고, 또는 다수의 거푸집을 하나로 결합하여 시공할 수도 있다(이를 소위 '시스템 거푸집'이라 칭함).
전자는 다수의 거푸집을 일일이 보관, 운반, 설치, 연결, 탈형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으로 인하여 공기가 길어지는 단점이 있고, 후자의 시스템 거푸집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시스템 거푸집에 관한 것이므로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 기술에 의한 시스템 거푸집은, 다수의 거푸집이 종횡방향으로 배열되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열된 거푸집들을 지지하기 위하여 제1보강재(소위 '멍에재'라 칭함)와 제2보강재(소위 '장선재'라 칭함)가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된다.
종래 기술에 의한 시스템 거푸집에 따르면, 다수의 거푸집을 종횡방향으로 배열함에 따라 제1,2보강재를 사용할 수밖에 없으므로 제조원가가 비싸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시스템 거푸집은 기성품의 거푸집을 이용하여 제작되는데, 시스템 거푸집의 크기에 따라 기성품의 거푸집을 조합하여도 설계상 크기의 시스템 거푸집을 제작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며, 이때 설계상 시스템 거푸집의 크기를 만족하도록 필라폼이 사용되고, 이때, 필라폼을 사용하여도 정확한 크기의 시스템 거푸집을 제작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필라폼의 손실이 발생되고 시스템 거푸집 제작을 위한 공기가 길어지는 문제점도 있다.
등록특허 제10-0819833호 등록특허 제10-0761964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거푸집과 필라폼의 배열을 이용하여 보강재의 수량을 대폭으로 감소할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시스템 거푸집을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용 시스템 거푸집은, 다수의 거푸집(10)과; 시스템 거푸집의 설계상 크기에 맞는 크기로 제작되어 상기 다수의 거푸집의 둘레부에 배열되는 필라폼과; 상기 거푸집의 저부에 상기 거푸집들의 배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거푸집을 지지하는 제1보강재와; 상기 필라폼과 상기 거푸집의 이음부에 설치되어 상기 필라폼과 이웃하는 거푸집을 지지하는 제2보강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용 시스템 거푸집에 의하면, 다수의 거푸집들을 동일방향으로 배열하여 이들을 지지하는 일방향의 제1보강재만을 설치하여도 거푸집들을 지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필라폼의 사용을 통해 규격화로 사용 중인 거푸집을 변형없이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거푸집을 제작하기 위한 비용을 줄일 수 있고 거푸집의 휨 변형으로 인한 구조물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a와 도 1b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용 시스템 거푸집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용 시스템 거푸집의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용 시스템 거푸집의 요부 발췌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용 시스템 거푸집에 적용된 제2보강재의 설치 상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용 시스템 거푸집에 적용된 제1보강재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용 시스템 거푸집에 적용된 제1보강재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a 내지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용 시스템 거푸집은, 다수의 거푸집(10)[도면에서는 중앙부에 배열되는 제1거푸집(11), 제1거푸집(11)의 둘레부에 배열되는 제2거푸집(12)으로 도시하였으며, 제2거푸집(12)은 필요에 따라 사용된다], 거푸집의 둘레부에 배열되어 설계상 거푸집의 크기를 맞추는 필라폼(20), 거푸집(10)과 필라폼(20)을 지지하는 제1보강재(30), 제2거푸집(12)과 필라폼(20)을 지지하는 제2보강재(40)로 구성된다. 거푸집(10)은 도 1b에서처럼 한 종류의 거푸집만 사용될 수도 있다.
거푸집(10)은 콘크리트 토목, 건축 구조물에서 사용되는 모든 거푸집(유로폼 등)이 사용 가능하며, 예를 들어 타설판, 상기 타설판의 둘레부에 형성되는 프로파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거푸집(10)은 제1보강재(30)만 사용하여도 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다수개가 동일 방향으로 배열되고, 볼트와 너트, 핀 등 다양한 체결구를 통해 조립된다.
필라폼(20)은 거푸집(10)의 둘레부에 예를 들어 사각 띠 형태로 배열되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성품인 규격의 거푸집(10)을 사용할 때 시스템 거푸집의 크기로 인하여 규격의 거푸집(10)만으로는 설계상 크기의 거푸집을 제작하지 못하여 거푸집(10)의 둘레부에 빈 공간이 생기고, 필라폼(20)은 이 빈 공간을 메우는 것으로, 시스템 거푸집과 거푸집(10)의 크기에 따라 자신의 크기가 달라진다.
제1보강재(30)는 거푸집(10) 및/또는 필라폼(20)의 일면(타설면의 반대면)에 설치되어 거푸집(10)과 필라폼(20)을 지지하며, 다수의 거푸집(10)들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거푸집(10)들이 벌어지지 않도록 지지한다.
제1보강재(30)는 각관, 봉 등 다양한 단면이 사용 가능하고, 1 개 또는 2 개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된다.
도 5와 도 6은 제1보강재(30)의 설치 예를 도시한 것으로, 제1보강재(30)는 2 개가 함께 사용되며, 고정브래킷(31)을 통해 설치된다.
고정브래킷(31)은 2개의 제1보강재(30)를 감싸 저부에서 지지하는 구조이며, 고정볼트(32)와 너트를 통해 거푸집(10)[필라폼(20)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에 설치된다. 고정볼트(32)는 이웃하는 2개의 거푸집(20)의 프로파일에 형성된 체결공들에 관통되고, 반대쪽에서 너트가 체결된다. 즉, 고정브래킷(31)은 제1보강재(30)를 거푸집(10)에 설치하면서 거푸집(10)들을 결속하는 기능도 겸할 수 있다.
제2보강재(40)는 제1보강재(30)에 의해 보강되지 못하는 부분에 설치되며, 예를 들어 도 3과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제2거푸집(12)의 저부에 삽입되면서 아래쪽에 제1보강재(30)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1보강부(41), 제1보강부(41)의 길이방향 양측에서 각각 제1보강재(30)가 제1보강부(41) 저부에 삽입되도록 저부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이웃하는 제1거푸집(11)과 필라폼(20)에 각각 지지되는 제2,3보강부(42,43)로 이루어진다.
제2보강재(40)는 각관, 환봉, 철편 등 모든 구조가 사용 가능하고, 거푸집(10)과 필라폼(20) 중에서 어느 하나에 직접 결합[제1보강재(40)와 거푸집(10)간의 결합 구조와 동일할 수 있음]될 수도 있고, 또는 제1보강재(40)에 의해 별도의 결합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설치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예를 들어 제2보강재(40)의 제2보강부(42)는 이웃하는 제1거푸집(11)의 대향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삽입편, 제1거푸집(11)의 대향면에 각각 형성된 핀공과 삽입편에 체결되는 체결핀이 구비되어, 이웃하는 제1거푸집(11)에 고정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제1보강재(30)는 제2보강재(40)의 제1보강부(41) 아래쪽 즉 제1거푸집(11)의 반대쪽에서 제2보강재(40)를 지지하는 방식으로 설치되며, 이때, 제1보강부(41)가 제2거푸집(12)의 내부에 삽입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거푸집의 전체적인 두께를 두껍게 하지 않으면서 제2보강재(40)가 설치된다.
도면과 설명에서 제2,3보강부(42,43)가 함께 있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예를 들어 도 1b의 경우 제1보강부(41)의 일측에만 제2보강부(42)[또는 제3보강부]가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즉, 제1보강부(41)의 길이방향 일측 이상에 제2,3보강부(42,43)가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용 시스템 거푸집은 다수개가 함께 사용되며, 이때, 이웃하는 시스템 거푸집들은 클램프를 통해 결합된다. 상기 클램프는 이웃하는 거푸집의 프레임을 함께 클램핑하는 방법으로 거푸집들을 결합한다.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용 시스템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슬래브, 벽체 등의 크기에 맞춰 본 발명의 시스템 거푸집을 제작하며, 예를 들어 슬래브의 크기에 맞춰 거푸집(예컨대 유로폼)(10)을 결정하고, 슬래브의 전체 크기 등을 감안하여 필라폼(20)을 제작한다.
거푸집(10)을 배열한 후 거푸집(10)의 둘레부에 필라폼(20)을 배열하고, 거푸집(10)과 필라폼(20)의 배열 방향에 따라 제2보강재(40)를 적용한다.
제2보강재(40)의 결합이 완료된 후 제1보강재(30)를 거푸집(10)들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 및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 거푸집의 제작을 완료한다.
제1보강재(30)는 다수의 거푸집(10)들과 이들 거푸집(10)과 이웃하는 필라폼(20)에 전체적으로 설치되어 일방향[거푸집(1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만 설치되어도 거푸집(10)과 필라폼(20)을 견고하게 결합한다.
또한, 제1보강재(30)의 방향성으로 인하여 제2거푸집(12) 및/또는 필라폼(20)을 지지할 수 없는 부분에서는 제2보강재(40)가 설치되어 제2거푸집(12) 및/또는 필라폼(20)을 지지함으로써 전체적으로 휨변형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견고한 시스템 거푸집을 제작한다.
지금까지는 거푸집(10)을 먼저 배열한 후 둘레부에 필라폼(20)을 배열하여 제작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대로 규격의 거푸집(10)의 크기를 알고 있으므로 시스템 거푸집의 설계상 크기와 규격의 거푸집(10)의 크기를 감안하여 필라폼(20)을 먼저 배열 내지 필라폼(20)을 사각띠 형태로 제작한 후, 필라폼(20) 내부에 규격의 거푸집(10)을 채워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10 : 거푸집, 20 : 필라폼
30 : 제1보강재, 40 : 제2보강재

Claims (5)

  1. 제1거푸집(11), 상기 제1거푸집의 둘레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제2거푸집(12)으로 이루어진 거푸집(10)과;
    시스템 거푸집의 설계상 크기에 맞는 크기로 제작되어 상기 다수의 거푸집(10)의 제2거푸집(12)의 둘레부에 배열되는 필라폼(20)과;
    상기 제1,2거푸집(11,12)의 저부에 상기 제1,2거푸집들의 배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1,2거푸집을 지지하는 제1보강재(30)와;
    상기 제1,2거푸집과 필라폼 및 상기 제1보강재의 사이에 상기 제1보강재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제1보강재를 통해 고정되면서 상기 제1,2거푸집과 필라폼을 함께 지지하는 제2보강재(40)를 포함하고,
    상기 제2보강재는 상기 제2거푸집의 저부에 삽입되는 제1보강부(41), 상기 제1보강부의 길이방향 양측에 상기 제1보강재가 상기 제1보강부의 저부에 삽입되도록 저부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이웃하는 제1거푸집과 필라폼을 지지하는 제2,3보강부(42,4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시스템 거푸집.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용 시스템 거푸집은 2개 이상이 클램프를 통해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시스템 거푸집.
KR1020120070262A 2012-06-28 2012-06-28 콘크리트 구조물용 시스템 거푸집 KR101367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0262A KR101367980B1 (ko) 2012-06-28 2012-06-28 콘크리트 구조물용 시스템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0262A KR101367980B1 (ko) 2012-06-28 2012-06-28 콘크리트 구조물용 시스템 거푸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003A KR20140003003A (ko) 2014-01-09
KR101367980B1 true KR101367980B1 (ko) 2014-03-03

Family

ID=50139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0262A KR101367980B1 (ko) 2012-06-28 2012-06-28 콘크리트 구조물용 시스템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798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833B1 (ko) * 2007-02-20 2008-04-08 서보산업 주식회사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833B1 (ko) * 2007-02-20 2008-04-08 서보산업 주식회사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003A (ko) 2014-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2260B1 (ko) 강재노출형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구조
KR101752275B1 (ko) 성형강판을 이용하여 내부에 t형 돌기를 갖는 기둥 영구거푸집
KR101523532B1 (ko) 기둥용 폐단면 강재조립체
KR101457077B1 (ko) 개량형 콘크리트 충전 기둥
KR101556334B1 (ko) 리브드 슬래브 거푸집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리브드 슬래브 시공방법
KR102011412B1 (ko) 매립철근의 일체화를 위한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공법
KR100966578B1 (ko) 단열재가 부착된 조립식 벽체 블록
KR101663132B1 (ko) 자립 기둥구조체
KR101758493B1 (ko) 프리캐스트 영구거푸집 및 그 시공방법
KR101645525B1 (ko) 트윈월 및 트윈월을 이용하여 제작된 트윈월 구조체의 시공방법
KR101619067B1 (ko) 보구조체의 범용 접합구조를 가진 조립 기둥구조체
KR102143636B1 (ko) 폼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보 거푸집
KR200481707Y1 (ko) 거푸집 겸용 외장벽판
KR101027973B1 (ko) 벽면 타설용 폼 블록 구조물
KR101636473B1 (ko) L형강을 이용한 중심부재가 구비된 개량형 콘크리트 충전 기둥(lfc 5)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367980B1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시스템 거푸집
KR20050112913A (ko) 벽 및 슬라브 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781492B1 (ko) 조립형강과 데크 플레이트를 활용한 일체화 구조를 갖는 수벽
KR101895898B1 (ko) 내다이아프램용 수평 철근콘크리트 블록이 내장된 cft기둥
KR20180098938A (ko) 힌지 결합 콘크리트 충전 강관 기둥
KR101688440B1 (ko) 빔의 상부 보강 부재, 빔의 상부 보강 부재가 설치된 빔, 및 이를 사용한 건설 구조물
KR20070117737A (ko) 콘크리트 벽체 시공용 유로폼 조립구조
KR20120028198A (ko) 벽면 타설용 폼 블록 구조물을 이용한 벽면 시공방법
JP2017002469A (ja) 型枠構造物
KR101954387B1 (ko) 격자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과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