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2795Y1 - 약제의 분배포장장치용 포장지 안내접이구 - Google Patents

약제의 분배포장장치용 포장지 안내접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2795Y1
KR200212795Y1 KR2020000024055U KR20000024055U KR200212795Y1 KR 200212795 Y1 KR200212795 Y1 KR 200212795Y1 KR 2020000024055 U KR2020000024055 U KR 2020000024055U KR 20000024055 U KR20000024055 U KR 20000024055U KR 200212795 Y1 KR200212795 Y1 KR 2002127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apping paper
main body
guide
guide folding
disp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40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제이브이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제이브이메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제이브이메디
Priority to KR20200000240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27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27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2795Y1/ko

Links

Landscapes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약제의 분배포장장치용 포장지 안내접이구는 역삼각형 형상의 본체부(1a)의 일측면에 설치부(1b)가 돌출 형성되어 설치로드(2)에 의하여 격판(3)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1a)의 하단을 라운딩 처리하게 되며, 본체부(1a)의 중앙부에 하나 이상의 타출공(1c)이 형성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약제의 분배포장장치의 격판에 고정 설치되어 포장지의 폭을 절곡 안내함과 더불어 포장지의 폭 중앙을 용이하게 접게 되기 때문에, 포장지의 폭 중앙부를 탁탁 치게 되는 기구를 제거하여 구조의 단순화를 실현하게 되며, 안내접이구의 본체부에 하나 이상의 타출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포장지와 안내접이구 사이의 접촉면적이 줄어 포장지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저감하게 되어 포장지의 손상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약제의 분배포장장치용 포장지 안내접이구{GUIDE FOLDING APPARATUS OF PACKING SHEET USED IN SHARING AND PACKING DEVICE OF MEDICINE}
본 고안은 약제의 분배포장장치에 설치되어 포장지의 폭을 연속적으로 접게 되는 포장지 안내접이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포장지의 폭 중앙부를 탁탁 치게 되는 기구를 제거함과 더불어 포장지와 접촉하는 면적을 줄임으로써 동력전달에 관련한 구조를 간단하게 하고 재료의 중량을 용이하게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약제의 분배포장장치용 포장지 안내접이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약제의 분배포장장치는 다수의 약제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분배하고, 환자가 1회씩 먹을 수 있도록 분배된 약제를 포장하는 것으로서,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투입이송판(101)의 약제보관부(101a)에 다양한 약제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투입하고, 상기 약제투입이송판(101)이 이동하여 약제투입이송판(101)의 약제보관부(101a)가 상부격판(102)의 구멍(102a)에 위치하면 약제투입이송판(101)이 일시 정지하게 되고, 지지체(103)의 개구부(103a)에 위치함으로써 개폐판(101b)이 자중으로 개방되며, 상기 개폐판(101b)에 의하여 지지된 상기 약제보관부(101a) 내의 약제가 하강하여 호퍼(104)에 투입된다.
이 때 종래의 포장지절곡부재(105)에 의하여 절곡되는 포장지(100)의 절곡 부위에 약제가 투입됨과 더불어 히터칼부재(106)와 포장지이송롤러(107)에 의하여 포장지(100)가 이송되면서 히터칼부재(106)에 의하여 접혀진 포장지(100)가 밀봉되어 약제를 밀봉 포장하게 되며, 상기 약제투입이송판(101)이 다시 회전함과 동시에 포장지(100)의 이송이 일시 정지되는 것으로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반복하게 된다.
여기서 종래에는 상기 포장지(100)가 포장지절곡부재(105)에 의하여 안내되어 일차적으로 절곡됨과 더불어 상기 포장지절곡부재(105)에 근접 위치하는 포장지때림부재(105a)가 포장지(100)의 폭 중앙부를 간헐적으로 톡톡 때림으로써 포장지(100)의 폭 중앙을 용이하게 절곡함과 동시에 상기 포장지(100)와 포장지절곡부재(105) 사이의 접촉면적을 줄여 접촉마찰을 저감하게 된다.
물론 상기 포장지때림부재(105a)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111)과 함께 회전되는 캠(112)에 의하여 선단부가 반복적으로 요동함으로써 포장지(100)의 중앙부를 간헐적으로 톡톡 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축(111)은 모터(113)에 의하여 회전되는 평기어(113a)가 다른 평기어(114)를 구동함으로써 회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모터(113)에 의하여 회전되는 베벨기어(113b)가 기어열을 구동하여 히터칼부재(106)와 포장지이송롤러(107)를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종래에는 포장지절곡부재(105)와 포장지때림부재(105a)에 의하여 포장지(100)가 절곡되어 히터칼부재(106)로 안내됨과 동시에 포장지(100)의 폭 중앙이 용이하게 접히게 되고, 포장지(100)와 포장지절곡부재(105) 사이의 마찰력을 줄이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포장지절곡부재와 포장지때림부재가 별도로 구성되어 포장지때림부재를 반복적으로 요동하는 기구가 필요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여 조립이 어려워 조립 시간이 증대하게 되고, 부품의 수가 증대하여 제품의 단가를 증대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포장지의 폭 중앙부를 포장지때림부재로 톡톡 쳐서 포장지와 포장지절곡부재 사이를 순간적으로 이격하여 포장지와 포장지절곡부재 사이의 마찰력을 줄이고자 하나, 포장지의 장력으로 인하여 포장지의 폭 중앙부를 간헐적으로 치는 것만으로는 근본적으로 포장지와 포장지절곡부재 사이의 마찰을 계속 줄이지 못한다는 단점이 더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포장지의 폭을 절곡 안내하면서 포장지와 접촉하는 면적을 줄임으로써, 포장지의 폭 중앙부를 탁탁 치게 되는 기구를 제거하여 구조를 간단하게 하고, 자체의 중량을 용이하게 줄일 수 있는 약제의 분배포장장치용 포장지 안내접이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약제의 분배포장장치용 포장지 안내접이구에 있어서, 역삼각형 형상의 본체부의 일측면에 설치부가 돌출 형성되어 설치로드에 의하여 격판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의 하단을 날카로울 정도로 라운딩 처리하되, 상기 본체부의 중앙부에 하나 이상의 타출공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약제의 분배포장장치용 포장지 안내접이구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포장지 안내접이구가 적용되는 약제의 분배포장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약제의 분배포장장치용 포장지 안내접이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종래에 관련하는 포장지 안내접이구가 적용되는 약제의 분배포장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 4는 종래에 관련하는 포장지 안내접이구가 적용되는 약제의 분배포장장치의 동력전달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안내접이구
1a : 본체부
1b : 설치부
1c : 타출공
2 : 설치로드
3 : 격판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약제의 분배포장장치용 포장지 안내접이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면부호 1은 안내접이구를 지칭한다.
상기 안내접이구(1)는 설치로드(2)에 의하여 격판(3)에 고정되어 포장지(4)를 안내하면서 접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본체부(1a), 설치부(1b) 그리고 타출공(1c)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약제의 분배포장장치는 공지한 바와 같이, 긴 길이의 평면 형상의 감긴 포장지(4)로 약제를 분배하여 1회분씩 포장하는 것으로서, 약제투입이송판(11)의 약제보관부(11a)에 다양한 약제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투입하고, 상기 약제투입이송판(11)이 이동하여 약제투입이송판(11)의 약제보관부(11a)가 상부격판(12)의 구멍(12a)에 위치하면 약제투입이송판(11)이 일시 정지하게 되고, 지지체(13)의 개구부(13a)에 위치된 개폐판(11b)이 자중으로 개방되어 약제보관부(11a) 내의 약제가 하강하여 호퍼(14)에 투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약제가 상기 안내접이구(1)에 의하여 절곡되는 포장지(4)의 절곡 부위에 투입되는데, 본 고안의 약제의 분배포장장치용 포장지 안내접이구(1)는 역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배포장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포장지(4)의 폭을 접어서 히터칼부재(15) 측으로 안내하는 구조이다.
즉 상기 안내접이구(1)는 역삼각형 형상의 본체부(1a)의 일측면에 설치부(1b)가 돌출 형성되어 설치로드(2)에 의하여 격판(3)에 고정 설치되고, 본체부(1a)의 하단부를 상기 히터칼부재(15) 측으로 절곡하며, 상기 본체부(1a)의 하단을 날카로울 정도 즉 포장지를 절단하지 않으면서 포장지를 접을 수 있을 정도의 작은 직경으로 라운딩(rounding) 처리하게 되며, 상기 본체부(1a)의 중앙부에 하나 이상의 타출공(1c)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안내접이구(1)는 상기 설치부(1b)에 장공을 형성하여 설치로드(2)와 결합하는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1a)의 하단부를 절곡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안내접이구(1)의 본체부(1a)의 하단부를 절곡할 경우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각도(a)가 5도 내지 15도임이 바람직하며, 안내접이구(1)를 격판(3)에 고정 설치할 때에 안내접이구(1)의 하단부를 히터칼부재(15) 측으로 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안내접이구(1)의 본체부(1a)의 하단이 날카롭게 뾰족할 경우에 포장지(4)의 폭 중앙을 절단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본체부(1a)의 하단을 작은 직경 즉 0.5 ∼ 4㎜의 직경으로 라운딩 처리하게 된다.
물론 상기 포장지(4)는 히터칼부재(15)에 의하여 밀봉 포장되며, 포장지이송롤러(16)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의한 안내접이구(1)는 포장지(4)를 상측으로 개구되도록 포장지(4)의 폭 중앙을 연속적으로 접게 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약제가 약제보관부(11a), 지지체(13)의 개구부(13a) 및 상부격판(12)의 구멍(12a)을 경유하여 호퍼(14)에 의하여 포장지(4)의 절곡 부위에 투입된다.
그리고 상기 약제가 상기 안내접이구(1)에 의하여 절곡되는 포장지(4)의 절곡 부위에 투입됨과 더불어 포장지(4)가 히터칼부재(15)와 포장지이송롤러(16)에 의하여 포장지(4)가 이송되면서 히터칼부재(15)에 의하여 접혀진 포장지(4)가 밀봉되어 약제를 밀봉 포장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안내접이구(1)에 하나 이상의 타출공(1c)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안내접이구(1)의 한쪽 면에 접할 수 있는 포장지(4)의 접촉면이 줄게 된다.
물론 종래와 마찬가지로 상기 약제투입이송판(11)이 다시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히터칼부재(15) 및 포장지이송롤러(16)가 일시 정지되어 포장지(4)의 이송이 일시 정지되는 것이며, 이러한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약제를 포장지(4)로써 연속적으로 분배 포장하게 된다.
이렇게 본 고안에 의한 약제의 분배포장장치용 포장지 안내접이구는 포장지의 폭 중앙을 본체부의 하단부로 접게 됨과 더불어 포장지를 가볍게 접어서 히터칼부재로 안내하게 되며, 안내접이구와 포장지 사이의 접촉면적이 줄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약제의 분배포장장치용 포장지 안내접이구는 약제의 분배포장장치의 격판에 고정 설치되어 포장지의 폭을 절곡 안내함과 더불어 포장지의 폭 중앙을 용이하게 접게 되기 때문에, 포장지의 폭 중앙부를 탁탁 치게 되는 기구를 제거하여 구조의 단순화를 실현하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 비교하여 일부의 부품을 제거할 수 있어 부품의 수를 줄이게 되므로 분배포장장치의 조립 시간을 단축함과 더불어 제품의 단가를 용이하게 저감하게 된다는 다른 이점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안내접이구의 본체부에 하나 이상의 타출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포장지와 안내접이구 사이의 접촉면적이 줄어 포장지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저감하게 되고, 이에 포장지의 손상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상기 포장지의 폭을 접어서 히터칼부재 측으로 안내하는 역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약제의 분배포장장치용 포장지 안내접이구에 있어서,
    역삼각형 형상의 본체부의 일측면에 설치부가 돌출 형성되어 설치로드에 의하여 격판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의 하단을 날카로울 정도로 라운딩 처리하되,
    상기 본체부의 중앙부에 하나 이상의 타출공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약제의 분배포장장치용 포장지 안내접이구.
KR2020000024055U 2000-08-25 2000-08-25 약제의 분배포장장치용 포장지 안내접이구 KR2002127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055U KR200212795Y1 (ko) 2000-08-25 2000-08-25 약제의 분배포장장치용 포장지 안내접이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055U KR200212795Y1 (ko) 2000-08-25 2000-08-25 약제의 분배포장장치용 포장지 안내접이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2795Y1 true KR200212795Y1 (ko) 2001-02-15

Family

ID=73079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4055U KR200212795Y1 (ko) 2000-08-25 2000-08-25 약제의 분배포장장치용 포장지 안내접이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279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5386A (ko) * 2002-08-12 2004-02-19 (주)제이브이메디 약제의 분배포장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5386A (ko) * 2002-08-12 2004-02-19 (주)제이브이메디 약제의 분배포장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10584A (ko) 고형 제제 포장 장치
KR102134797B1 (ko) Ptp 시트 가이드 장치 및 정제 취출 장치
JP2007098629A (ja) 平版印刷版の包装体及び包装装置
KR200212795Y1 (ko) 약제의 분배포장장치용 포장지 안내접이구
KR100906105B1 (ko) 포장용 카톤의 자동포장장치
KR200213404Y1 (ko) 약제의 분배포장장치용 포장지 안내접이구
AU2002348989A1 (en) Apparatus for wrapping groups of products
EP1884467A1 (en) Cigarette packing machine for producing rigid, hinged-lid packets
US5170608A (en) Device for closing a package provided with at least one flap
EP1884468A1 (en) Method and unit for folding a lid reinforcing flap of a rigid, hinged-lid packet of cigarettes
KR20030052988A (ko) 약포체반송장치
KR200220114Y1 (ko) 약제의 분배포장장치용 포장지 안내접이구
WO2008146111A1 (en) Weight-activated dunnage delivery system and method
JP4755387B2 (ja) パッケージ材を送る装置及びその方法
JP4612742B1 (ja) フラップ折込み装置およびカートニングマシーン
US7448190B2 (en) Machine for sealed cover for a set of documents
JP2001253418A (ja) 紙葉片装着装置
ITMI980435U1 (it) Dispositivo di apertura di almeno una pagina di un prodotto editoriale per l'introduzione di inserti editoriali
JP2005187072A (ja) ケーシング方法およびケーシング装置
KR200250328Y1 (ko) 약제분포기용 포장지의 동력배출장치
KR102158517B1 (ko) 접착테이프 디스펜서
EP395325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ackaging sachets into a container
CN220315439U (zh) 一种药品盒自动堆码线
KR101460506B1 (ko) 약제포장장치의 포장모듈
JP2529969B2 (ja) カ−トンの底折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1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