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2788Y1 - 자동차 서브 프레임 리어 마운팅부의 충격흡수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서브 프레임 리어 마운팅부의 충격흡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2788Y1
KR200212788Y1 KR2019970035529U KR19970035529U KR200212788Y1 KR 200212788 Y1 KR200212788 Y1 KR 200212788Y1 KR 2019970035529 U KR2019970035529 U KR 2019970035529U KR 19970035529 U KR19970035529 U KR 19970035529U KR 200212788 Y1 KR200212788 Y1 KR 2002127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
subframe
long hole
rear mounting
absorb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55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3198U (ko
Inventor
김희수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355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2788Y1/ko
Publication of KR199900231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31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27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27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62D21/155Sub-frames or under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1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with resilient means for suspension, e.g. of wheels or engine; sub-frames for mounting engine or susp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엔진룸을 구성하는 주요 부재중의 하나인 서브 프레임의 충격에너지 흡수율을 높이기 위하여 프론트 사이드 멤버에 마운팅되는 부위에 장공을 형성하고, 안쪽에 탄성판을 매개로 원형의 부시를 충돌시 유동가능하게 설치한 자동차 서브 프레임 리어 마운팅부의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프론트 사이드 멤버(30)에 마운팅되는 서브 프레임(32)의 끝단부에 장공(33)을 형성하고, 그 장공(33)의 내벽면(33a)(33b)에 설치되는 탄성판(40)(42)을 매개로 원형의 부시(45)를 설치하여 충돌시 그 부시(45)가 상기 장공(33)에서 유동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서브 프레임 리어 마운팅부의 충격흡수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 서브 프레임 리어 마운팅부의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엔진룸을 구성하는 주요 부재중의 하나인 서브 프레임의 충격에너지 흡수율을 높이기 위하여 프론트 사이드 멤버에 마운팅되는 부위에 장공을 형성하고, 안쪽에 탄성판을 매개로 원형의 부시를 충돌시 유동가능하게 설치한 자동차 서브 프레임 리어 마운팅부의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의 서브 프레임은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부시(10)와 서브프레임 마운팅 볼트(11)에 의해 프론트 사이드 멤버(12)의 하측에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었고, 그 서브 프레임(13)의 끝단부에는 상기 부시(10)가 관통되는 원형 홀(13a)이 형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서브 프레임 마운팅 구조는 프론트 방향으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프론트 사이드 멤버(12)와 서브 프레임(13)의 연결부위에서 충격을 충분하게 흡수하지 못하고 그 충격에너지가 후방측의 차체로 진행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즉, 서브 프레임(13) 마운팅 부위에서 충격을 충분하게 흡수하지 못하므로, 차체의 변형속도 및 변형량을 감소시키지 못하여 변형되는 차체의 실내침입량 및 실내침입속도가 규정치보다 높게 되므로, 인체상해치가 높아진다는 매우 심각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차량의 충돌시에 자동차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에 결합되는 서브 프레임 마운팅 부위에서의 충격흡수율을 높임으로써 차체의 실내침입속도 및 실내침입량을 낮추어 인체상해치를 보다 낮출 수 있는 자동차 서브 프레임 리어 마운팅부의 충격흡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프론트 사이드 멤버에 마운팅되는 서브 프레임의 끝단부에 장공을 형성하고, 그 장공의 내벽면에 설치되는 탄성판을 매개로 원형의 부시를 설치하여 충돌시 그 부시가 상기 장공에서 유동되도록 자동차 서브 프레임 리어 마운팅부의 충격흡수장치가 제공된다.
도 1 은 종래 자동차 서브 프레임 리어 마운팅부의 구조를 보이는 사시도
도 2 는 종래 자동차 서브 프레임 리어 마운팅부의 구조를 보이는 측단면도
도 3 은 종래 자동차 서브 프레임 리어 마운팅부의 구조를 보이는 평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서브 프레임 리어 마운팅부의 충격흡수장치의 구조를 보이는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서브 프레임 리어 마운팅부의 충격흡수장치의 구조를 보이는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30 : 프론트 사이드 멤버 45 : 부시
32 : 서브 프레임 40a,42a : 포밍면
33 : 장공 40b,40c,42b,42c : 용접부
33a,33b : 내벽면 60 : 완충링
40,42 : 탄성판 62 : 관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서브 프레임 리어 마운팅부의 충격흡수장치의 구조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서브 프레임 리어 마운팅부의 충격흡수장치의 구조를 보이는 분해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사이드 멤버(30)에 마운팅되는 서브 프레임(32)의 끝단부에 장공(33)을 형성하고, 그 장공(33)의 내벽면(33a)(33b)에 설치되는 탄성판(40)(42)을 매개로 원형의 부시(45)를 설치하여 충돌시 그 부시(45)가 상기 장공(33)에서 유동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탄성판(40)(42)은 "디귿"자 모양으로 절곡되고 다시 그 끝단부가 재차 안쪽으로 절곡되며, 내측중앙에는 상기 부시(45)의 외주 일부면과 용접되는 포밍면(40a)(42a)을 가지며, 그 양끝단부에는 상기 부시(45)의 외주면에 용접되는 용접부(40b)(40c)(42b)(42c)를 형성하여 구성하였다.
상기 부시(45)의 중심에 중공형의 완충링(60)을 삽입하고, 그 완충링(60)의 중심에 다시 관(62)을 삽입하여 구성하였다.
상기 완충링(60)은 예컨대, 폴리우레탄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나 꼭 이러한 재질에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관(62)은 금속관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판(40)(42)에 형성된 포밍면(40a)(42a)은 상기 부시(45)와 스포트 용접하며, 상기 용접부(40b)(40c)(42b)(42c)는 상기 부시(45)와 아크용접으로 접합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도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정면충돌을 일으켜 서브 프레임(32)이 후방측으로 밀리게 되면, 부시(45)는 서브 프레임 마운팅 볼트(도시 않됨)에 의해 프론트 사이드 멤버(도시 않됨)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그 힘은 부시(45)와 서브 프레임(32)을 연결하고 있는 탄성판(40)(42)과 부시(45) 안쪽의 완충링(60)에 집중된다.
이후 탄성판(40)(42)보다 완충링(60)이 먼저 압축되면서 압축한계에 이르게 되고, 이후에 탄성판(40)(42)에 힘이 집중되면서 탄성변형을 일으키다가 한계에 이르게 되면, 영구적인 변형을 일으키면서 부시(45)와 탄성판(40)(42)의 결합이 파괴되어 부시(45)가 서브 프레임(32)에 형성되어 있는 장공(33)을 타고 이동하게 된다.
이때 서브 프레임(32)과 프론트 사이드 멤버(30)의 마운팅부위에서 충격을 흡수하면서 차체의 변형속도를 지연시키는 것은 물론, 실내로 전달되는 충격에너지를 감소시켜 주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차량의 정면충돌시에 서브 프레임과 프론트 사이드 멤버의 마운팅 부위에서 충격에너를 흡수하는 것은 물론, 차체의 변형속도를 지연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차체의 실내침입량 및 실내침입속도를 보다 낮추어 인체상해치를 크게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프론트 사이드 멤버(30)에 마운팅되는 서브 프레임(32)의 끝단부에 장공(33)을 형성하고, 그 장공(33)의 내벽면(33a)(33b)에 설치되는 탄성판(40)(42)을 매개로 원형의 부시(45)를 설치하여 충돌시 그 부시(45)가 상기 장공(33)에서 유동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서브 프레임 리어 마운팅부의 충격흡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판(40)(42)은 "디귿"자 모양으로 절곡되고 다시 그 끝단부가 재차 안쪽으로 절곡되며, 내측중앙에는 상기 부시(45)의 외주 일부면과 용접되는 포밍면(40a)(42a)을 가지며, 그 양끝단부에는 상기 부시(45)의 외주면에 용접되는 용접부(40b)(40c)(42b)(42c)를 형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서브 프레임 리어 마운팅부의 충격흡수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45)의 중심에 중공형의 완충링(60)을 삽입하고, 그 완충링(60)의 중심에 다시 관(62)을 삽입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서브 프레임 리어 마운팅부의 충격흡수장치.
KR2019970035529U 1997-12-03 1997-12-03 자동차 서브 프레임 리어 마운팅부의 충격흡수장치 KR2002127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5529U KR200212788Y1 (ko) 1997-12-03 1997-12-03 자동차 서브 프레임 리어 마운팅부의 충격흡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5529U KR200212788Y1 (ko) 1997-12-03 1997-12-03 자동차 서브 프레임 리어 마운팅부의 충격흡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3198U KR19990023198U (ko) 1999-07-05
KR200212788Y1 true KR200212788Y1 (ko) 2001-02-15

Family

ID=53896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5529U KR200212788Y1 (ko) 1997-12-03 1997-12-03 자동차 서브 프레임 리어 마운팅부의 충격흡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278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3198U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49603A (en) Suspension for a front, especially a transversely-mounted motor vehicle power plant
JPH092174A (ja) 車両用バンパ取付構造
US6299227B1 (en) Impact damping member for motor vehicles
US20020074830A1 (en) Vehicle body structure
KR200212788Y1 (ko) 자동차 서브 프레임 리어 마운팅부의 충격흡수장치
JP2007230489A (ja) 車体前部構造
KR20110037399A (ko) 차량용 크래쉬 박스
KR101118960B1 (ko) 차량용 범퍼빔 유닛
KR102250297B1 (ko) 차량 전방구조
CN210126555U (zh) 铝合金前副车架
JP2002274299A (ja) フレーム先端部構造
KR100257315B1 (ko) 차량의 진동에 따른 갭 흡수용 범퍼 마운팅 구조물
KR0139594Y1 (ko) 자동차의 카울 크로스 바 결합구조
CN113460166B (zh) 一种模块化偏置碰加强结构
KR100293780B1 (ko) 자동차용 서브프레임
JPH0238119A (ja) 自動車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1902230B1 (ko) 차량용 크래시 박스 유닛
KR20170070981A (ko) 차량용 크래쉬 박스
KR200251544Y1 (ko) 자동차용 범퍼
KR900002661Y1 (ko) 자동차범퍼 보강재구조
KR200162905Y1 (ko) 전기자동차의 임펙트 빔
KR19990033754A (ko) 자동차의 리어범퍼 부착용 범퍼스테이
KR200147181Y1 (ko) 자동차의 라디에이터 로워 써포트 멤버의 구조
KR100214699B1 (ko) 차량 프런트 범퍼의 보강구조
KR19980047347U (ko) 충격 완충재 기능이 있는 연결 어댑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