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1827Y1 - 목재 가공용 전동톱 - Google Patents

목재 가공용 전동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1827Y1
KR200211827Y1 KR2020000023655U KR20000023655U KR200211827Y1 KR 200211827 Y1 KR200211827 Y1 KR 200211827Y1 KR 2020000023655 U KR2020000023655 U KR 2020000023655U KR 20000023655 U KR20000023655 U KR 20000023655U KR 200211827 Y1 KR200211827 Y1 KR 2002118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cutting
saw
cutting means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36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화
안성순
Original Assignee
안성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성순 filed Critical 안성순
Priority to KR20200000236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18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18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1827Y1/ko

Links

Landscapes

  • Sa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목재 가공용 전동톱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원형톱이 전진방향으로 이동시에도 절단작업이 이루어지고, 후진방향으로 이동시에도 절단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생산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목재 가공용 전동톱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목재 가공용 전동톱은,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에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어 목재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수단과, 상기 절단수단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작업대에 설치되어 회전하며 이동하는 원형톱을 외부로부터 밀폐시킴과 동시에 목재를 고정하기 위한 커버부와, 상기 절단수단에 의해 절단된 목재를 일측으로 이동하기 위한 슈트부와, 상기 절단수단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목재 가공용 전동톱{ELECTRIC MOTOR SAW FOR WORKING WOOD}
본 고안은 목재 가공용 전동톱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원형톱이 전진방향으로 이동시에도 절단작업이 이루어지고, 후진방향으로 이동시에도 절단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생산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목재 가공용 전동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재나 합판(이하 '목재'라 함)등을 원하는 크기로 절단하기 위하여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원형톱이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한 원형톱은 작업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한 원형톱을 이용하여 목재를 원하는 크기로 절단하고자 할 때에는 작업자는 원형톱이 설치된 작업대에 목재를 안착시킨 후 구동모터를 작동하여 원형톱을 고속으로 회전시키고 작업자가 목재를 원형톱에 직접 손으로 밀어서 절단작업을 행하기 때문에 항상 안전사고의 위험이 따르고 있다.
상기한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을 해결하기 위한 대표적인 목재 가공용 전동톱은, 목재가 놓여지는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의 상부에서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원형톱과, 상기 원형톱이 일정한 절단방향을 갖고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재로 이루어져 있어서, 상기 작업대에 재치된 목재를 원형톱이 가이드부재를 따라 이동하며 절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목재 가공용 전동톱은 목재를 작업대에 단순히 안착시킨 상태로 절단작업을 행함으로써, 고속으로 회전하며 이동하는 원형톱에 의해 목재가 진동을 일으키게 되어 절단면이 매우 불규칙할 뿐만 아니라, 특히 원형톱을 전진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절단작업을 행한 후, 이어서 재치되는 목재를 절단하기 위해 상기 원형톱을 후진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고속으로 회전하는 원형톱의 톱날이 목재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회전하며 절단을 하게 되어 목재가 작업대에서 심한 진동을 일으키며 이탈하기 때문에 후진방향으로는 절단작업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목재가공용 전동톱은 절단면이 불규칙하고 일방향 즉, 전진방향으로만 절단작업이 가능하여 작업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됨으로써 이에 따른, 생산성 및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더욱이 고속으로 회전하며 이동하는 원형톱이 외부로부터 개방되어 있어서 작업자의 인체 또는 금속성 이물질로부터 무방비로 노출되어 절단작업시에 안전사고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절단하고자 하는 목재를 작업대에 견고하게 고정시킨 상태에서 원형톱을 전진방향 및 후진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절단하는 이른바, 양방향 절단작업이 가능하도록 하여 생산성 및 작업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절단작업시 인체 또는 이물질 등이 원형톱에 근접되면 이를 감지하여 즉시 원형톱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함으로써, 작업 도중 또는 작업전에 원형톱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는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함과 아울러 원형톱이 금속재의 이물질과 접촉하여 손상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목재 가공용 전동톱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에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어 목재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수단과, 상기 절단수단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작업대에 설치되어 회전하며 이동하는 원형톱을 외부로부터 밀폐시킴과 동시에 목재를 고정하기 위한 커버부와, 상기 절단수단에 의해 절단된 목재를 일측으로 이동하기 위한 슈트부와, 상기 절단수단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목재 가공용 전동톱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목재 가공용 전동톱의 일부절개사시도.
도 2는 도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1의 B-B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목재 가공용 전동톱의 길이조절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목재 가공용 전동톱의 톱밥배출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목재 가공용 전동톱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목재 가공용 전동톱은, 작업대(1)와, 상기 작업대(1)에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어 목재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수단(3)과, 상기 절단수단(3)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작업대에 설치되어 회전하며 이동하는 원형톱을 외부로부터 밀폐시킴과 동시에 목재를 고정하기 위한 커버부(도1에서는 원형톱을 나타내기 위하여 커버부의 중앙부분을 절개함)(5)와, 상기 절단수단(3)에 의해 절단된 목재를 일측으로 이동하기 위한 슈트부(7)와, 상기 절단수단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9)로 이루어진다. 이 제어부(9)는 회전과 회전정지 등을 제어하는 통상의 컨트롤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작업대(1)는 상측에 재치되는 목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한 상태로 절단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한 일종의 테이블 역할을 하는 것으로써, 통상의 사각 파이프나 앵글로 이루어지며, 하측에는 상기 절단수단(3)을 절단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재(13)를 구비하고 후측으로는 작업대의 상측에 재치된 목재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할 수 있도록 한 길이조절부(15)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부재(13)는 절단수단(3)을 절단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써 통상의 원형파이프가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작업대(1)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일측 가이드부재(13)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을 위한 랙기어(17)가 결합되고 타측 가이드부재(13)의 일측면에는 가이드 판(19)이 설치되어 구동모터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선들이 안정적으로 안착된다.
상기 길이조절부(15)는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작업대(1)의 후방에서 작업대(1)에 재치되는 목재의 길이를 조절하고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작업대(1)의 후방에서 목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틀부재(21)와, 상기 지지틀 부재(21)의 내측을 관통하고 일측 선단부에 조절핸들(25)을 구비한 회전축(23)과, 상기 회전축(23)의 양측 선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작업대(1)의 후방 측면 프레임에 결합된 랙기어(27)에 치합되어 이동하기 위한 피니언 기어(29)와, 상기 피니언 기어(29)와 랙기어(27)의 치합부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판(31)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틀부재(21)의 양측 선단부는 보호판(31)의 상측에서 이음판(33)에 의해 고정 결합되고 상기 일측 이음판(33)에는 록킹을 위한 수단이 설치된다.
상기 록킹을 위한 수단은, 상기 일측 보호판(31)의 상측에 고정결합되는 이음판(33)에 설치되며, 록킹핸들(35)을 구비한 스크류(37)의 선단부에 가압판(39)을 결합하여 상기 스크류(37)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축(23)을 압박하거나 해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절단수단(3)은, 상기 가이드부재(13)의 안내에 따라 이동이 가능하게 위치하는 이동프레임(41)과, 상기 이동프레임(41)의 상측에 설치되는 톱모터(43)와, 상기 톱모터(43)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며 목재를 절단하기 위한 원형톱(45)과, 상기 이동프레임(41)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프레임(41)을 절단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모터(47)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프레임(41)의 내측 및 측면에는 수직 및 측방향의 하중에 의해 상기 이동프레임(41)이 이동시에 가이드부재(13)와 접촉하여 발생하는 마찰을 억제하고 원활하게 안내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로울러부재(49)가 각각 결합된다.
상기 이송모터(47)는 상기 이동프레임(41)의 하측에서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이송모터(47)의 구동축에는 절단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피니언기어(51)가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부재(13)에 결합된 랙기어(17)와 치합된다.
상기 커버부(5)는, 상기 절단수단(3)의 이동방향으로 작업대에 설치되어 원형톱의 하부를 밀폐시키기 위한 제1 커버부재(53)와, 상기 제1 커버부재(53)의 상측에 위치하고 작업대(1)의 상측에서 보조프레임(55)에 의해 결합된 가압실린더(57)에 의해 작업대(1)에 적재되는 목재를 고정하기 위한 제2 커버부재(59)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커버부재(53)는 상측이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일측면에는 톱모터(43)의 구동축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이송홈(61)이 형성되고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부 일측에는 톱밥 배출을 위한 톱밥배출구(63)가 형성되며 상기 톱밥배출구(63)의 타측 선단부에는 압축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공기분사노즐(65)이 결합되어 목재의 절단 후 발생하는 톱밥을 상기 톱밥배출구(63)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 톱밥배출구(63)에는 배출되는 톱밥을 저장하기 위한 톱밥 저장부(67)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커버부재(59)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이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압실린더(57)의 피스톤로드에 결합되어 되어 상하 이동에 의해 적재되는 목재를 고정하거나 해제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슈트부(7)는, 상기 제1 커버부재(53)의 후측에 형성된 작업대(1)의 일측 프레임에 힌지결합되어 절단된 목재를 적재시키기 위해 수평 또는 경사지게 각도가 가변되는 제1 트레이(69)와, 상기 제1 트레이(69)의 후방에서 연장되어 작업대(1)의 후방 일측에 형성된 프레임에 경사지게 고정결합되는 제2 트레이(71)와, 상기 제1 트레이(69)를 수평 또는 경사지게 각도를 가변시키기 위한 슈트실린더(73)가 상기 작업대(1)의 후방 측면 프레임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한 가압, 슈트실린더(57,73) 및 제1 커버부재(53)의 공기분사노즐(65)의 에어 공급은 도면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별도의 압축공기공급기(미도시)에 연결관(미도시)을 연결하여 에어가 공급되는 것이며, 상기 압축공기공급기는 제어부(9)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한 절단수단(3)의 이동프레임(41) 일측에는 원형톱(45)의 회전에 의한 각종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인체 또는 이물질이 근접되면 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11)가 제공된다.
상기한 센서부(11)는 이에 감지된 신호를 인가받아서 제어부(9)에 전달하여 상기 제어부(9)에서 경고음 또는 경고등을 표시함과 동시에 즉시 원형톱(45)의 회전을 순간 정지시켜 주고 이송모터(47)를 반대로 구동시켜서 원형톱(45)을 즉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센서부(11)는, 절단수단(3)의 이동프레임(41) 상측에서 원형톱(45)을 사이에 두고 브라켓트(79)에 의해 이격되어 설치되고 이물질 즉, 목재에 포함된 못, 금속재등을 감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이물질 감지센서(81)와, 상기 일측의 이물질 감지센서(81)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브라켓트(79)에 설치되는 목재감지 센서(8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작업대(1)의 양측 선단부 프레임에는 가이드부재(13)를 따라 이송모터(47)에 의해 이동하는 절단수단(3)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리미트스위치(85,85a)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절단수단(3)이 절단방향으로 이동하다가 리미트스위치(85,85a)에 제어될 때 그 즉시 정지하지 않고 이동하는 탄력에 의해 가이드부재(13)의 선단부까지 더욱 이동하여 작업대(1)의 양측 선단부의 측면 프레임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부재(13)의 양측 선단부에는 스토퍼부재(75,77)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스토퍼부재(75,77)는 이동프레임(41)과의 접촉시에 충격을 최대한 완화하기 위해 코일스프링 또는 공압, 유압에 의해 일정한 탄성력을 갖고 슬라이드 되는 로드부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본 고안의 목적을 만족하는 스토퍼부재(75,77)는 모두 포함한다.
상기의 이물질감지센서(81), 목재감지센서(83), 리미트 스위치(85,85a) 및 톱모터(43), 이송모터(47), 슈트실린더(73), 가압실린더(57) 등은 상기 제어부(9)와의 전기적 연결구조에 의해 작동 및 제어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은 전기적 연결구조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 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써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한 제어부(9) 이외에도 도면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별도의 풋 스위치(미도시)를 작업장의 바닥면에 설치하여 작업상태에 따라 그 즉시 톱모터(43)의 구동 및 이송을 제어할 수 도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의한 목재 가공용 전동톱의 작동예를 도 1 및 도 3,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절단할 목재(W)의 크기가 정해지면 작업대(1)의 후방에 결합된 길이조절부(15)의 조절핸들(25)을 회전시켜서 랙기어(27)와 치합된 피니언기어(29)가 전진 또는 후진하여 지지틀부재(21)가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면 록킹하기 위한 수단 즉, 록킹핸들(35)을 회전시켜서 상기 지지틀부재(21)와 결합된 회전축(23)이 이동하지 않도록 가압판(39)으로 가압한다.
그리고 나서, 작업대(1)의 상측에 목재(W)를 재치시키면 목재감지센서(83)가 이를 감지하게 되고 작업자가 제어부(9)를 조작하여 가압실린더(57)의 피스톤 로드를 확장시켜 제2 커버부재(59)를 하측으로 이동시켜서 재치된 목재(W)를 작업대(1) 상측에 견고하게 지지한다.
상기의 상태가 완료되면 작업자는 목재(W)의 절단을 위해 다시 제어부(9)를 조작하여 가이드부재(13)의 일측 선단부에서 대기상태인 절단수단(3)이 절단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절단수단(3)의 이동프레임(41)하측에 결합된 이송모터(47)를 구동시키면, 상기 이송모터(47)에 결합된 피니언기어(51)가 회전하여 일측 가이드부재(13)의 측면에 결합된 랙기어(17)에 의해 이동프레임(41)이 가이드부재(13)에 안내되어 타측 선단부로 이동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이동프레임(41) 상측에서 톱모터(43)의 구동축에 결합된 원형톱(45)이 고속으로 회전하며 절단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작업대(1)에 재치된 목재(W)가 일정한 크기로 절단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 제2 커버부재(53,59)에 의해 원형톱(45)은 거의 밀폐된 상태가 유지되어 절단 작업중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센서부(11)에 의해 인체 및 이물질의 근접여부를 항상 감지하게 되어 작업중에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더욱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절단작업시에 제1, 제2 커버부재(53,59)가 밀폐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목재의 절단에 의해 발생하는 톱밥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고 상기 제1 커버부재(53)의 바닥면에 쌓이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원형톱(45)이 고속으로 회전하며 가이드부재(13)에 안내되어 타측 선단부로 이동하여 목재(W)의 절단작업이 완료되면 작업대(1)의 일측 선단부에 결합된 리미트 스위치(85a)에 의해 이동프레임(41)이 감지되어 더 이상 진행하지 않고 정지된 상태로 대기하게 된다.
그러면 작업자는 제어부(9)를 조작하여 가압실린더(57)를 수축하여 상기 가압실린더(57)의 피스톤로드 선단부에 결합된 제 2 커버부재(59)를 상측으로 이동시켜서 목재(W)의 고정상태를 해제한 다음, 다시 제어부(9)를 조작하여 슈트부(7)의 슈트실린더(73)의 피스톤 로드를 수축하여 제1 트레이(69)를 제2 트레이(71)와 동일한 경사를 갖도록 함으로써, 절단된 목재(W)가 상기 제1, 제2 트레이(69,71)에 안내되어 일정한 장소에 적재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절단된 목재(W)의 적재과정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다시 슈트실린더(73)를 작동하여 제1 트레이(69)를 작업대(1)의 상측면에 수평이되도록 하고, 이어서 대기중인 목재(W)를 길이조절부(15)의 지지틀부재(21)에 밀착시킨 다음, 가압실린더(57)를 작동하여 제2 커버부재(59)를 하측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제2 커버부재(59)에 의해 재치된 목재(W)를 일측을 가압하여 작업대(1)의 상측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목재(W)의 고정이 완료되면 제어부(9)를 조작하여 절단수단(3) 즉, 원형톱(45)이 고속으로 회전하며 이동프레임(41)이 가이드부재(13)에 안내되어 다시 타측 선단부로 이동을 하게 되어 작업대(1)에 재치된 목재(W)를 절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은 원형톱(45)이 도면에서 보아 좌측으로 이동할 때와 우측으로 이동할 때 모두 절단작업을 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그리하여, 상기의 과정에 의해 이동프레임(41)이 가이드부재(13)에 안내되어 타측 선단부로 이동하여 목재(W)를 절단하게 되면 다시 리미트스위치(85)에 감지되어 더 이상 진행하지 않고 정지된 상태로 대기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후속으로 작업대(1)에 재치되는 목재(W)는 상기와 같은 절단과정을 통해 절단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의 절단작업시에 이물질 또는 인체가 원형톱(45)에 근접하게 되면 센서부(11)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9)에 신호를 보내면 상기 제어부(9)는 감지신호를 인가받아서 상기 원형톱(45)을 구동시키는 톱기어(43)의 구동을 즉시 정지시키고 이송모터(47)를 반대방향으로 구동시켜서 이동프레임(41)을 초기의 작업위치로 복귀시킨 후 대기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 작업자는 작업조건이 만족되도록 센서부(11)에 의해 감지된 이물질 등을 제거한 후 상기의 절단과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재차 절단작업을 행하여 안전하게 목재(W)를 절단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절단작업에 의해 제1 커버부재(53) 내측으로 쌓인 톱밥은 작업자가 수시로 공기분사노즐(65)을 통해 압축공기공급기(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공기분사노즐(65)의 타측 선단부에 형성된 톱밥 배출구(63)를 통해 톱밥저장부(67)로 배출하면 되는 것이다.(도5 참조)
그리고, 상기의 작동예에서는 절단작업시에 작업자가 매 공정마다 제어부(9)의 스위치를 조작하여 절단작업을 행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외에도 매 공정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부(9)의 콘트롤 패널을 셋팅하여 편리하게 절단작업을 행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작업대에 재치된 목재를 일시적으로 고정하거나 해제되도록 하여 원형톱이 양방향 즉, 전진 및 후진방향으로 이동하며 연속적으로 절단작업을 행할 수 있으며, 상기의 절단작업에 의해 절단된 목재를 순차적으로 적재되도록 함으로써 생산성 및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고속으로 회전하며 이동하는 원형톱을 외부로부터 밀폐시킴으로써 외부에서 인체 또는 이물질이 근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욱이 원형톱에 이물질 또는 작업자의 인체등이 근접하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즉시 원형톱의 작동을 정지시키게 되어 절단작업시에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원형톱이 금속재의 이물질과 접촉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7)

  1.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에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어 목재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수단과, 상기 절단수단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작업대에 설치되어 회전하며 이동하는 원형톱을 외부로부터 밀폐시킴과 동시에 목재를 고정하기 위한 커버부와, 상기 절단수단에 의해 절단된 목재를 일측으로 이동하기 위한 슈트부와, 상기 절단수단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목재 가공용 전동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수단은, 상기 가이드부재의 안내에 따라 이동하는 이동프레임과, 상기 이동프레임의 상측에 결합되는 톱모터와, 상기 톱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며 목재를 절단하기 위한 원형톱과, 상기 이동프레임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프레임을 절단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모터로 이루어지는 목재 가공용 전동톱.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절단수단의 이동방향으로 작업대에 설치되어 원형톱의 하부를 밀폐시키기 위한 제1 커버부재와, 상기 제1 커버부재의 상측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적재되는 목재를 고정 또는 해제하기 위한 제2 커버부재로 이루어지는 목재 가공용 전동톱.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부는, 상기 제1 커버부재 후측에 형성된 작업대의 일측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목재를 지지 또는 적재시키기 위해 수평 또는 경사지게 각도가 가변되는 제1 트레이와, 상기 제1 트레이의 후방에서 연장되어 작업대의 후방 일측에 형성된 프레임에 경사지게 고정결합되는 제2 트레이와, 상기 제1 트레이를 수평 또는 경사지게 각도를 가변시키기 위한 실린더부재로 이루어지는 목재 가공용 전동톱.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부재는 실린더부재의 피스톤로드에 결합되어 상하 이동하며 적재되는 목재를 고정하거나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가공용 전동톱.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수단의 원형톱은 양방향 절단작업 즉, 가이드부재에 안내되어 상기 가이드부재의 양측 선단부로 각각 전진 및 후진 이동하며 목재를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가공용 전동톱.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 가공용 전동톱은 상기 절단수단에 의해 절단되는 목재에 금속이물질이 있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중지신호를 보내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목재 가공용 전동톱.
KR2020000023655U 2000-08-21 2000-08-21 목재 가공용 전동톱 KR2002118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655U KR200211827Y1 (ko) 2000-08-21 2000-08-21 목재 가공용 전동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655U KR200211827Y1 (ko) 2000-08-21 2000-08-21 목재 가공용 전동톱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7606A Division KR100416909B1 (ko) 2000-08-17 2000-08-17 목재 가공용 전동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1827Y1 true KR200211827Y1 (ko) 2001-01-15

Family

ID=73057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3655U KR200211827Y1 (ko) 2000-08-21 2000-08-21 목재 가공용 전동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182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772B1 (ko) 2006-03-29 2007-09-11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연속적인 시트고무 절단 및 이송 장치와 절단 및 이송시스템
KR100917578B1 (ko) * 2002-12-28 2009-09-15 한라공조주식회사 절단기
KR20230143730A (ko) 2022-04-06 2023-10-13 김지태 공구보관용 집진부재를 갖는 전기 원형톱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578B1 (ko) * 2002-12-28 2009-09-15 한라공조주식회사 절단기
KR100757772B1 (ko) 2006-03-29 2007-09-11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연속적인 시트고무 절단 및 이송 장치와 절단 및 이송시스템
KR20230143730A (ko) 2022-04-06 2023-10-13 김지태 공구보관용 집진부재를 갖는 전기 원형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212961A1 (zh) 一种高速电脑裁板锯、控制系统及加工方法
US5205197A (en) Pallet cutting machine
US20080276775A1 (en) Endless blade trim saw for trimming lumber workpieces and methods
KR100416909B1 (ko) 목재 가공용 전동톱
US5765461A (en) Cut-off pieces feed and rest mechanisms for a steel cutting machine
KR102208731B1 (ko) 원형 톱날을 채용한 금속 판재 절단 장치
KR200211827Y1 (ko) 목재 가공용 전동톱
JP2001259949A (ja) 工作物固定装置
KR100367255B1 (ko) 공작기계
US6912762B2 (en) Pallet de-banding machine with improved analytical abilities
JPH07186126A (ja) 型枠締結用ねじ部材の締緩装置
US6571674B2 (en) Device for making a series of cuts at different angles in one or more panels
KR100326233B1 (ko) 목재 가공용 전동톱
US5813307A (en) Band saw woodworking machine
KR200173656Y1 (ko) 목재 가공용 전동톱의 안전 제어 시스템
KR20040026386A (ko) 와이어패드 절곡장치
JPH03128204A (ja) 送行丸のこ盤の安全装置
KR102051444B1 (ko) 절단기의 절단소재 배출장치
JPH02145209A (ja) 切断機
JP2006110691A (ja) 丸鋸切削装置
CN213036931U (zh) 一种工作台上产品推进装置
JPH09285912A (ja) 切断機におけるワークの切断方法及び同方法に使用する切断機
JP2000117533A (ja) 丸鋸切断機
KR101464596B1 (ko) 절단 장치
JP3396239B2 (ja) 帯鋸盤の自動鋸刃交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