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1039Y1 - 철도차량용 볼스타형 대차(Bolster Type Bogie For Rail way vehicle)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용 볼스타형 대차(Bolster Type Bogie For Rail way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1039Y1
KR200211039Y1 KR2019980024504U KR19980024504U KR200211039Y1 KR 200211039 Y1 KR200211039 Y1 KR 200211039Y1 KR 2019980024504 U KR2019980024504 U KR 2019980024504U KR 19980024504 U KR19980024504 U KR 19980024504U KR 200211039 Y1 KR200211039 Y1 KR 2002110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star
bogie
ball
star
bogi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45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1798U (ko
Inventor
유명종
Original Assignee
박계출
성신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계출, 성신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계출
Priority to KR20199800245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1039Y1/ko
Publication of KR200000117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17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10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1039Y1/ko

Links

Landscapes

  • Handcart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도차량용 볼스타형 대차{BOLSTER TYPE BOGIE}에 관한 것으로 대차(BOGIE)의 주요 기능장치들의 배열 구조에 있어
차체(1)와 대차후레임(4) 사이에 볼스타(2)가 있고, 볼스타(2)와 대차후레임(4) 사이에 볼스타스프링(7)과 볼스타앙카(8)가 설치되며, 차체(1)와 볼스타(2) 사이에 센타피봇(3)과 사이드베어라(9)가 설치되어 차체(1)와 볼스타(2) 사이에 회전과 적절한 회전저항을 갖도록 하여 고속운행에서도 주행안전성을 갖게 하고 차체 하중은 센타피봇(3)을 통하지 않고 사이드베어라(9)를 통하여 대차후레임(4)에 전달되며 대차후레임(4)에 취부되어있는 엑슬박스(11)에 의해 윤축(6)이 지지되는 구조로 하고 사이드베아라(9)와 볼스타앙카(8)를 볼스타스프링(7)에 근접하게 설치함으로서 대차를 경량화하고 분해조립을 용이하게 한 것이다.
[색인어]
철도차량, 대차, 볼스타 타입 대차, 주행장치, 볼스타, 대차후레임, 스프링

Description

철도차량용 볼스타형 대차(Bolster Type Bogie For Rail way vehicle)
우리나라 철도차량의 화차 운행속도가 시속 80㎞에서 120㎞로 고속화되었으며, 종래 화차용 볼스타형 대차의 구조는 기능장치 배열 [도1]와 같이 차체(1)와 볼스타(2) 사이에 센타피봇(3)과 사이드베어라(9)가 설치되고 볼스타(2)는 좌측과 우측의 사이드후레임(10)에 끼워 조립되어 볼스타 스프링(7)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구조로되어있어 대차 주행시 [도7]과 같이 볼스타(2)와 사이드후레임(10)사이의 틈새만큼 좌측와 우측의 사이드후레임(10)이 마름모꼴로 변형되어 고속주행에 필수적인 특성인 차륜정렬이 되지 못하는 구조적인 결함으로 인하여 대차의 주행 안전성이 나빠지고 조립부분에 이상마모가 발생하여 유지보수에 많은 문제가 있어 그 대체 모델로 화차용 용접대차[도8]로 대체되고 있는 단계에 있으나 화차용 용접대차[도8] 또한 엑슬스프링(5)의 장치 구조가 복잡하여 취급 및 보수성이 좋지 않다는 단점이 있어 우리 나라 철도에 적합한 화차용 대차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대차구조는 차륜정렬이 확보될 수 있는 대차후레임 구조를 채택하고 분해조립이 용이하도록 주요기능 장치들의 배열을 재 구성함으로서 차체 하중의 전달경로를 간략하게 하여 고속주행에 안전하고 취급 보수성이 양호한 우리 나라 철도에 적합한 화차용 대차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제 1 도는 종래 화차용 볼스타형 대차의 기능창치 배열
제 2 도는 전동차용 볼스타형 대차의 기능창치 배열
제 3 도는 본 고안의 볼스타형 대차의 기능창치 배열
제 4 도는 본 고안의 대차 평면도
제 5 도는 본 고안의 대차 정면도
제 6 도는 제 4 도 대차의 A-A 단면도
제 7 도는 종래 화차용 볼스타형 대차의 정면도
제 8 도는 종래 화차용 용접 대차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차체 {CAR BODY} 2. 볼스타 {BOLSTER}
3. 센타피봇 {CENTER PIVOT} 4. 대차후레임 {BOGIE FRAME}
5. 엑슬스프링 {AXLE SPRING} 6. 윤축 {WEEL&AXLE}
7. 볼스타스프링 {BOLSTER SPRING} 8. 볼스타앙카 {BOLSTER ANCHOR}
9. 사이드베어라 {SIDE BEARER} 10. 사이드후레임 {SIDE FRAME}
11. 엑슬박스 {AXLE BOX}
본 고안은 철도차량용 볼스타형 대차에 관한 것으로 종래 화차용 볼스타형 대차의 차륜정렬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도3]과 같이 대차후레임(4) 구조를 채택하고 [도5]와 같이 대차후레임(4)에 고정된 엑슬박스(11)에 의해 윤축이 탄성지지 되도록 하여 차륜정렬을 확보하고, 대차구조를 간략하게 하기 위하여 전동차용 볼스타형 대차의 기능 장치 배열[도2]에서 차체(1)와 볼스타(2) 사이에 배치된 장치들과 볼스타(2)와 대차후레임(4) 사이에 배치된 장치들을 서로 바꾸어 배치함으로서 대차의 분해조립을 용이하게 한 것으로 본 고안은 볼스타형 대차의 기능장치 배열을 [도3]과 같이 차체(1)와 대차후레임(4) 사이에 볼스타(2)가 있고 차체(1)와 볼스타(2) 사이에 사이드베어라(9)와 센타피봇(3)이 있으며 볼스타(2)와 대차후레임(4) 사이에 볼스타스프링(7)과 볼스타앙카(8)가 있으며 [도5]와 같이 대차후레임(4)에 취부되어 있는 엑슬박스(11)에 의해 윤축(6)이 지지되는 배열구조를 갖으며 [도6]과 같이 차체(1)에 취부 되어있는 센타피봇(3)은 볼스타(2)의 중앙부에 있는 관통된 구멍에 끼워져 조립되어 차체(1)와 불스타(2)간에 회전에 대한 안내작용과 견인력을 전달하게 하여 차체(1)의 하중은 센타피봇(3)을 통과하지 않고 사이드베어라(4)를 통하여 볼스타(2)에 전달하게 함으로써 차체 하중의 전달경로를 간략하게 한 것이며 [도5]에서 볼스타(2)와 대차후레임(4)는 볼스타스프링(7)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볼스타앙카(8)에 의해 연결되어 차체(1)의 견인력을 대차 후레임(4)으로 전달하며 [도6]에서 사이드베어라(9)와 볼스타앙카(8)는 볼스타스프링(7)의 취부 위치에 근접하게 설치하여 굽힘응력을 최소화 함으로서 볼스타(2)와 대차후레임(4)을 경량화한 것이다.
대차후레임과 볼스타가 있는 대차구조를 채택하고 차체와 볼스타 사이에 센타피봇과 사이드 베어라가 있어 차체와 볼스타 간에 회전과 적절한 회전저항을 갖도록 하여 고속운행에서도 주행안전성을 갖게 하고 차체 하중은 센타피봇은 통하지 않고 사이드베어라를 통하여 대차후레임에 전달되는 구조를 하고 사이드베어라와 볼스타앙카를 볼스타스프링에 근접하게 설치함으로서 하중 전달 경로를 간략하게 하여 대차를 경량화하고 분해 조립을 용이하게 한 것이다.

Claims (1)

  1. 본 고안은 철도차량용 볼스타형 대차에 관한 것으로 대차의 주요 기능 장치들의 배열 및 구조에 있어 차체(1)와 대차후레임(4) 사이에 볼스타(2)가 있고 차체(1)와 볼스타(2) 사이에 사이드베어라(9)와 센타피봇(3)이 있으며 볼스타(2)와 대차후레임(4) 사이에 볼스타스프링(7)과 볼스타앙카(8)가 있으며 대차후레임(4)에 취부되어 있는 엑슬박스(11)에 의해 윤축(6)이 지지되는 구조의 대차로서 차체(1)에 취부되어 있는 센타피봇(3)은 볼스타(2)의 중앙부에 있는 관통된 구멍에 끼워져 조립되며 차체(1)의 하중은 센타피봇(3)을 통하지 않고 사이드베어라(9)를 통하여 볼스타(2)에 전달하며 볼스타(2)와 대차후레임(4)는 볼스타스프링(7)에 의해 탄성지지 되고 볼스타앙카(8)에 의해 연결되어 차체(1)의 견인력을 대차후레임(4)로 전달하며 사이드베어라(9)와 볼스타앙카(8)은 볼스타스프링(7)의 취부 위치에 근접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의 볼스타형 대차
KR2019980024504U 1998-12-09 1998-12-09 철도차량용 볼스타형 대차(Bolster Type Bogie For Rail way vehicle) KR2002110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4504U KR200211039Y1 (ko) 1998-12-09 1998-12-09 철도차량용 볼스타형 대차(Bolster Type Bogie For Rail way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4504U KR200211039Y1 (ko) 1998-12-09 1998-12-09 철도차량용 볼스타형 대차(Bolster Type Bogie For Rail way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798U KR20000011798U (ko) 2000-07-05
KR200211039Y1 true KR200211039Y1 (ko) 2001-02-01

Family

ID=69507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4504U KR200211039Y1 (ko) 1998-12-09 1998-12-09 철도차량용 볼스타형 대차(Bolster Type Bogie For Rail way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103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798U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230213A1 (en) Arrangement of radial bogie
WO2017000547A1 (zh) 构架、低位牵引装置、万向轴驱动的转向架及轨道车辆
US8701564B2 (en) Self-steering radial bogie
US6910426B2 (en) Control arm system for steering bogie wheels and axles
JP2007331713A (ja) 低床式鉄道車両用台車
KR100454425B1 (ko) 철도차량의 궤간가변 대차장치
CN214028629U (zh) 一种跨座式单轨车辆迫导向径向转向架
CN112644537A (zh) 一种跨座式单轨车辆迫导向径向转向架
EP2184214A1 (en) Self-steering platform car
KR200211039Y1 (ko) 철도차량용 볼스타형 대차(Bolster Type Bogie For Rail way vehicle)
KR101252540B1 (ko) 3윤축 철도차량의 견인장치
CN109178022B (zh) 一种分布式驱动新轮轨高速列车系统
KR20130080528A (ko) 철도차량용 윤축 조향장치
KR101040376B1 (ko) 센터 피봇 요운동을 이용한 철도차량용 조향대차
CN201670247U (zh) 一种机车转向架径向机构
RU2284936C1 (ru) Рама двухосной тележки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тягов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KR100528098B1 (ko) 철도차량용 조향장치
CN110356171A (zh) 一种轨道拖车走行部
KR200266872Y1 (ko) 철도차량용 1축 대차
CN218463656U (zh) 转向架及具有其的轨道车辆
KR102479239B1 (ko) 철도차량용 림 대차
JPS6067259A (ja) 鉄道車両用電動台車
KR100516033B1 (ko) 철도차량용 조향대차
CN203666688U (zh) 低地板有轨电车编组用单铰接装置
RU2094273C1 (ru) Тележка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средств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