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0987Y1 - 방음패널 - Google Patents

방음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0987Y1
KR200210987Y1 KR2020000024934U KR20000024934U KR200210987Y1 KR 200210987 Y1 KR200210987 Y1 KR 200210987Y1 KR 2020000024934 U KR2020000024934 U KR 2020000024934U KR 20000024934 U KR20000024934 U KR 20000024934U KR 200210987 Y1 KR200210987 Y1 KR 2002109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panel member
sound
sound absorbing
fron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49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산컨설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산컨설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산컨설턴트
Priority to KR20200000249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09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09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0987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통상 다수가 하나의 방음벽을 구성하는 패널 부재의 제조시 패널의 6면을 이루는 각각의 구성 부분을 조립하여 패널 부재를 형성함과 아울러 조립된 각각의 패널 부재를 통상의 보울트 등으로 결합시켜 방음벽을 형성함에 따른 조립성 불량을 방지하고 일체로 형성된 패널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방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음벽용 패널 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각각 제작된 육면을 보울트 등으로 결합하고 여기에 흡음재를 삽입하여 구성한 방음 벽용패널 부재에 있어서, 소음 감쇄를 위해 다수의 흡음공(16)과 요철부(15)가 산포 형성되어 있고 수평 결합부(4)와의 사이에 빔 삽입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대향되는 양 측변에 장방형 홈(10)과 돌기(14)를 형성한 전면 패널(1)과, 흡음재(5)가 삽입되고 패널 부재의 수직 결합을 위해 상부에 원형 돌출부(30)가 형성되어 전면 패널(1)과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순차 배열되어 있는 다수 음재 삽입부재(3)와, 상기한 전면 패널(1)과 대향되도록 흡음재 삽입 부재(3)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수평 결합을 위해 양측면부에 반쪽형상의 빔 십입부(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전면 패널(1)과 동일하게 양 측변에 홈(20)과 돌기(26)를 형성한 후면 패널(2)과 상기한 전, 후면 패널(1, 2)의 사이 양 측변에 일체로 연결 형성되고 있고, I빔(A)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돌기(40)가 측변에 형성되어 있는 수평 결합부(4)를 일체로 형성하여 패널 부재를 구성한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방음패널{Sound proofing pannel}
본 고안은 방음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상 다수가 하나의 방음벽을 구성하는 패널 부재의 제조시 패널의 6면을 이루는 각각의 구성 부분을 조립하여 패널 부재를 형성함과 아울러 조립된 각각의 패널 부재를 통상의 보울트 등으로 결합시켜 방음벽을 형성함에 따른 조립성 불량을 방지하고 일체로 형성된 패널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방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음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음벽은 도로, 공항, 공장 등과 같이 소음이 발생되는 장소에 소음의 감소 또는 소멸의 목적으로 설치되는 바, 도로 또는 공항의 활주로에서는 방음벽에 소음원의 이동로와 평행하계 병렬 설치하고 공장 등과 같이 폐쇄된 장소에서는 소음원을 밀폐 또는 감싸게 설치하여 외부의 소음 유출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소음은 통상 청취하는 대상이 원하지 않는 소리를 지칭함과 아울러 여기에는 자동차 소음, 항공기 소음, 기차 소음 등 음량이 큰 소리들이 포함됨은 물론 청취하는 대상에 따라서는 음량이 큰 음악까지도 소음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청취하는 대항에 따라서 소리가 되는 수준은 매우 주관적이 되는 바, 통상 도로의 육상 운송 수단에 의해 발생된 교통 소리는 소음으로 지칭되며 상기한 교통 소음은 지속 배경 소음과 개별 차량 소음으로 구분되어 진다.
물론, 교통량이 폭주하게 되는 고속 도로 또는 간선 도로에서 발생되는 교통소음은 많은 소음원이 혼합되어 발생되는 것으로서 통상 음량이 큰 지속 배경소음에 개별 차량 소음이 중첩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교통 소음이 도로에 인접한 주택가 등에 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로의 양 측변에 평행하게 방음벽을 설치하게 되는 바, 상기한 방음벽은 다수의 패널 부재를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연결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그 연결부가 밀폐되어야 연결부에 의해 형성된 틈새로 인하여 틈새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로의 양 측변에 방음벽을 평행하게 대향 설치함은 방음벽에 의해 반사된 소음이 대향 방향으로 반사됨으로써 방음 벽 설치 반대 방향의 청취인에게 도달되는 소음이 증가됨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특히, 소음의 흡수 또는 감소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패널 부재의 밀도와 높이 그리고 길이와 구조를 최적화해야 하는 바, 패널 부재의 밀도는 소리 전달 감쇄 효과를 얻기에 충분해야 하고 패널 부재의 반사성을 감소시켜야 할 뿐만 아니라 상기한 바와 같이 각각의 패널 부재 연결부는 필히 밀폐되어야 한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교통 소음은 통상 100∼l,000㎐정도의 저주파영역에서 발생되기 때문에 이의 흡수를 최대로 할 수 있게 패널 부재를 구성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도로 변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방음벽은 다수의 패널 부재를 통상의 보울트 등과 같은 고정 부재를 사용하여 결합시키기 때문에 차량 등의 진동에 따라 고정 부재가 느슨하게 됨으로써 각 패널간에 틈새가 발생되어 여기서 틈새소음이 발생됨과 아울러 고정 부재를 수작업으로 조여야 하기 때문에 조립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패널 부재는 6면이 별개로 제작되어 보울트 등과 같은 고정 부재로 결합되기 때문에 진동 등에 의해 느슨해져 틈새 소음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하나의 패널 부재를 각각 조립해야 하기 때문에 조립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방음벽을 구성하는 패널 부재의 6면을 고정 부재로 각각 조립함에 따른 조립성 저하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개개의 패널 부재를 고정 부재로 결합시킴에 따른 조립성 저하와 틈새 소음의 발생에 따른 방음 능률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방음벽용 패널 부재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방음패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도시되지 않은 방음패널의 전면을 도시한 부분 확대사시도.
도 3은 도 2의 B - B부분의 단면도.
도 4는 도 1의 방음패널을 수평으로 다수 연결하여 방음벽의 길이를 조절할 때 수평 연결부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5는 도 1의 방음패널을 수직으로 다수 연결하여 방음벽의 높이를 조절할 때 수직 연결부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전면패널 10 : 장방형 홈
11 : 빔 삽입부 12 : 홈
13 : 지지부 14 : 돌기
15 : 요철부 16 : 흡음 공
2 : 후면패널 20 : 장방형 홈
21 : 빔 삽입부 22 : 완충부
23 : 소음 감쇄실 24 : 홈
25 : 지지부 26 : 돌기
3 : 흡음재 삽입부재 30 : 원형돌출부
31 : 홈부 4 : 수평 결합부
40 : 돌기 41 : 굴곡부
5 : 흡음재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음원을 향해 다수의 흡음 공이 형성되어 있고 요철부가 형성된 전면 패널과, 빔 삽입부가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후면 패널과, 그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된 상태로 패널 부재의 수직 방향 결합을 위해 전, 후면 패널의 상부로 돌출되게 순차 배열되어 있는 다수의 흡음재 삽입 부재와, 패널 부재의 수평 방향 결합을 위해 전, 후면 패널의 사이 양 측변에 형성되어 있는 수평 결합부를 일체로 사출 성형한 패널 부재를 수직, 수평 방형으로 다수 결합 또는 단일로 사용하고 흡음재 삽입 부재에 소정의 흡음재를 삽입하여 방음벽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방음벽의 패널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한 패널 부재는 전면 패널(1)과 후면 패널(2)의 사이에 다수의 흡입재 삽입부재(3)가 순차 배열되어 있고 이의 양측변에 수평 결합부(4)가 플라스틱과 같은 사출물로써 일체로 연결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수평 결합부(4) 방향의 전면 패널(1)과 후면 패널(2)의 수직측변에 장방형 홈(10, 20)이 형성되어 있고 이와 연장된 후면 패널(2)쪽에는 빔 삽입부(21)가 형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완충부(22)와 소음 감쇄실(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에 다수의 돌기(40)가 순차 배열되어 있는 수평 결합부(4)가 연장되어 있고 상기한 수평 결합부(4)의 굴곡부(41)와 전면 패널(1)이 빔 삽입부(11)를 형성함과 아울러 연결되어 있으며 전, 후면 패널(1, 2)의 하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패널 부재가 수직 결합되는 홈 부(12, 24)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지지부(13, 25)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장방형 홈(10, 20)은 상, 하 부분이 관통되게 절개된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상관없는 바,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하면 슬라이딩시키면서 끼울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패널 부재는 대칭 형상으로 수평 결합부(4)가 양측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수평 결합부(4)와 대향하는 수평 결합부(미도시)에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 후면 패널(1, 2)의 수직 측변에 형성되어 있는 홈(10, 20)에 삽입되는 돌기(14, 26)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전면 패널(1)에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부(1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요철부(15)의 요부(15')에는 서로 엇갈리게 다수의 흡음공(16)이 순차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한 흡음공(16)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 패널(2) 방향으로 좁아지는 테이퍼(t)가 형성되어 소음의 흡입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물론, 상기한 요철부(15)는 요부(15')와 철부(15')에 의해 증가된 면적만큼 소음과 접촉되는 표면적을 증가시킴과 아울러 요부(15')와 철부(15') 사이에서 소음이 갇혀 소음의 주파수가 감소한 상태로 흡음공(16)으로 감소된 주파수의 소음이 통과되도록 함으로써 통상적인 음향 감쇄 효과를 이용하기 위해서 형성되어있는 바, 상기한 흡음공(16)은 각 요부(15')별로 겹쳐지게 형성되어 전면 패널(1)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흡음재 삽입부재(3)의 상부에는 원형 돌출부(3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원형 돌출부(30)의 외경은 흡음재삽입부재(3)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패널 부재에서 흡음재 삽입부재(3)에 소정의 흡음재(5)를 삽입시키고 이를 사용하여 소정 길이와 높이의 방음벽을 형성할 때 일체형으로 사출된 패널 부재를 수평, 수직 방향으로 결합시켜 사용하는 바, 수평 방향 결합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 접촉되어 있는 2개의 패널 부재 사이에 통상의 I빔(A)이 삽입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2개의 패널 부재에서 서로 접촉되는 전, 후면 패널(1, 2)의 접촉 수직면에는 서로 끼워지는 돌기(14, 26)와 홈(10, 20)이 형성되어 돌기(14, 26)가 홈(10, 20)에 끼워짐으로써 결합되는 패널 부재 각각의 위치를 동일하게 함과 아울러 결합된 전, 후면 패널(1, 2)과 수평 결합부(4)에 의해 각각 반씩 형성되어 있는 상태의 빔 삽입부(11, 21)가 완성되어 상기한 빔 삽입부(11, 21)에 통상의 I빔(A)이 삽입되게 된다.
이때, 2개의 패널 부재 각각의 수평결합부(4)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돌기(40)는 I빔(A)의 수직부를 밀착하게 되어 I빔(A)의 유동이 방지됨과 아울러 I빔(A)의 삽입시 후면 패널(2)에 연장 형성되어 있는 완충부(22)가 탄성 작용을 하게 되어 I빔(A)이 용이하게 삽입되고 I빔(A)의 삽입 후에는 상기한 완충부(22)의 탄성력으로 I빔(A)을 압착하게 되어 I빔(A)이 견고하게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한 완충부(22)는 소정 간격으로 다수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I빔(A)의 여러 부분에 적절한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한 수평 결합부(4)와 대칭 형성되어 있는 수평 결합부(미도시)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홈(10, 20)과 돌기(14,26)에 의해 다른 패널 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은 수평 결합부(4)는 2개의 패널 부재가 결합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틈새가 발생되어 이 틈새에 의해 소음이 통과함과 아울러 틈새 소음이 발생됨으로써 이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완충부(22)와 연장되게 소음 감쇄실(23)을 형성하여 틈새 소음을 충분하게 감쇄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완충부(22)는 I빔(A)과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자체의 탄성력으로 I빔(A)이 외부 진동에 의해 진동함으로써 소음이 발생됨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그리고, 방음벽의 소정 높이를 얻기 위해 패널 부재를 수직 결합시킬 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음재 삽입부재(3)의 상부에 형성된 원형돌출부(30)를 또 하나의 패널 부재 하부에 형성된 홈부(31)에 삽입시킴과 아울러 전, 후면 패널(1,2)의 상부에 연장 형성된 지지부(13, 25)를 홈부(31)에 밀착시킴으로써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한 바와 같이 다수의 일체형 패널 부재가 결합된 방음벽은 소정의 지지 구조(미도시)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수직, 수평 결합이 가능하게 일체형으로 사출 형성된 패널 부재를 I빔으로 수평 결합하고 지지부와 홈부로 수직 결합하여 방음벽을 형성함으로써 조립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조립식 패널 부재 결합에 따른 틈새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각각 제작된 육면을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하고 여기에 흡음재를 삽입하여 구성한 방음 벽음패널에 있어서,
    다수의 흡음공(16)과 요철부(15)가 산포 형성되어 있고 수평 결합부(4)와의 사이에 빔 삽입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대향되는 양 측변에 장방형 홈(10)과 돌기(14)를 형성한 전면 패널(1)과,
    흡음재(5)가 삽입되고 패널 부재의 수직 결합을 위해 상부에 원형 돌출부(30)가 형성되어 전면 패널(1)과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순차 배열되어 있는 다수 음재 삽입부재(3)와,
    상기한 전면 패널(1)과 대향되도록 흡음재 삽입 부재(3)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수평 결합을 위해 양측면부에 반쪽형상의 빔 십입부(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전면 패널(1)과 동일하게 양 측변에 홈(20)과 돌기(26)를 형성한 후면 패널(2)과 상기한 전, 후면 패널(1, 2)의 사이 양 측변에 일체로 연결 형성되고 있고,
    I빔(A)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돌기(40)가 측변에 형성되어 있는 수평 결합부(4)를 일체로 형성하여 패널 부재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후면 패널(2)의 빔 삽입부(21) 전면 패널(1) 방향으로 I빔(A)의 삽입시 탄성 작용하여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삽입후 I빔(A)을 압착하는 완충부(22)을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패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전면 패널(1) 요부(15')에 형성된 흡음공(16)을 순차적으로 서로 겹쳐지게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패널.
KR2020000024934U 2000-09-01 2000-09-01 방음패널 KR2002109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934U KR200210987Y1 (ko) 2000-09-01 2000-09-01 방음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934U KR200210987Y1 (ko) 2000-09-01 2000-09-01 방음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0987Y1 true KR200210987Y1 (ko) 2001-01-15

Family

ID=73088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4934U KR200210987Y1 (ko) 2000-09-01 2000-09-01 방음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098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5823B1 (ko) 2004-08-13 2006-08-25 유니슨 주식회사 배후 공기층을 갖는 흡음형 경량 방음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5823B1 (ko) 2004-08-13 2006-08-25 유니슨 주식회사 배후 공기층을 갖는 흡음형 경량 방음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2881B1 (ko) 방음성능을 향상시킨 흡음패널 구조체
KR200210987Y1 (ko) 방음패널
KR102078507B1 (ko) 방음벽용 소음 감쇠기
KR100635234B1 (ko) 도로의 조립식 탄성부재 방음벽
KR950009609B1 (ko) 방음 벽용 판벽 부재
JPH07150525A (ja) 防音壁用板壁部材
JP2004037582A (ja) 吸音構造体
JP7361572B2 (ja) 遮音パネル及び遮音壁
KR200407837Y1 (ko) 도로의 조립식 탄성부재 방음벽
KR100412068B1 (ko) 일체형 플라스틱 청정 방음벽
KR101042326B1 (ko) 방음패널
KR100372327B1 (ko) 도로용 방음판
KR200265871Y1 (ko) 일체형 플라스틱 청정 방음벽
KR101608441B1 (ko) 방음벽 프레임
KR100417452B1 (ko) 목재 방음판넬
JP3290333B2 (ja) 防音装置およびそれが取付けられた防音壁
KR200401091Y1 (ko) 조립식 방음패널
JP3301680B2 (ja) 吸音構造体
KR200261486Y1 (ko) 양면방음패널
KR100626679B1 (ko) 방음판넬 및 이를 구비한 방음벽
KR20170138717A (ko) 분리식 흡음패널
KR100505844B1 (ko) 방음패널
KR20010056612A (ko) 도로 차음벽
JP2823755B2 (ja) 防音壁構造
JPH01226906A (ja) 屋外用防音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3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