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0850Y1 - 농약방제기 - Google Patents

농약방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0850Y1
KR200210850Y1 KR2020000019619U KR20000019619U KR200210850Y1 KR 200210850 Y1 KR200210850 Y1 KR 200210850Y1 KR 2020000019619 U KR2020000019619 U KR 2020000019619U KR 20000019619 U KR20000019619 U KR 20000019619U KR 200210850 Y1 KR200210850 Y1 KR 2002108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pulley
power unit
hose reel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96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완수
Original Assignee
김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완수 filed Critical 김완수
Priority to KR20200000196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08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08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0850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농약 방제기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 장방형 바닥프레임(11)의 전후부에 '┏┓ '형의 호스릴 고정프레임(12)을 형성하여 격자형태의 프레임(10)을 구성하고, 상기 호스릴 고정프레임 (12)상에는 그 축(21)이 베어링(22)에 의해 지지되는 호스릴(20)을 장착하며, 바닥프레임의 양측으로 각기 동력장치용 마운트(13)와 분무기용 마운트(14)를 형성하고, 해당 마운트에 각기 분무기(30)와 대소구경의 2단풀리(41)(42)를 갖는 동력장치(40)를 설치하며, 호스릴의 전방축(21)상에 풀리(23)를 결합하여 동력장치에 결합된 소구경풀리(42)와 벨트(50)로 연결하고, 동력장치에 결합된 대구경 풀리(41)와 분무기용 풀리(31)를 벨트(60)로 연결하며, 호스릴(20)과 동력장치를 연결하는 벨트(50)는 텐션조절장치(70)에 의해 단속되도록 한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차량의 적재함이나 트랙터의 적재함에 싣어 사용함으로서 대용량농약방제기로 사용할 수 있고, 자체 바퀴에 의해 자체 이동이 가능하게 함으로서 비닐하우스나 과수원등에서 자체 이동이동하면서 방제작업을 할 수 있는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농약방제기{AGRICULTURAL MEDICINES SPREADING DEVICE}
본 고안은 농약방제에 필요한 동력장치와 분무기 및 호스릴을 함께 결합하는 형태로 방제기를 구성하여 차량이나 트랙터 적재함에 싣고 방제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하고 바퀴를 장착할 경우에는 좁은 비닐하우스 내에서 방제작업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농약 방제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다양한 형태의 농약 방제기가 제시되고 있으나 대부분 트랙터와 같은 농용기계에 직접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 됨으로서 차량에 적재하여 사용하거나 비닐하우스 및 과수원등과 같은 좁은 공간에서 효율적으로 작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대용량 방제작업을 할 때는 트럭이나 트랙터의 적재함에 약액통과 함께 싣고 방제작업을 하고, 비닐하우스내나 과수원등 좁은 공간에서 방제작업을 할 경우에는 자체바퀴에 의해 이동시키면서 방제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여 방제 대상에 따라 사용형태를 달리할 수 있도록 하는 방제기를 제공할 목적으로 안출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구성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정면 상태도
도3은 변속판에 의한 다단계 변속이 이루어 지도록 구성한 본 고안의 실시례도
도4은 레버를 패달형태로 구성하여 무단 변속이 이루어 지도록 한 본 고안의 실시례도
도5는 본 고안을 차량에 적재하여 사용하는 실시례도
도6은 본 고안에 바퀴틀체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실시례도
*주요부호의 설명
10.프레임 11.바닥프레임 12.호스릴고정프레임
13.동력장치용 마운트 14.분무기용 마운트
15.체결구 20.호스릴 21.축 22.베어링
23.풀리 30.분무기 31.풀리
40.동력장치 41.대구경풀리 42.소구경풀리
50.호스릴용 벨트 60.분무기용 벨트
70.동력단속장치 71.레버 72.링크
73.작동간 74.텐션조절풀리 75.변속판
80.바퀴틀체 81.손잡이
도1 및 도2는 본 고안의 기본 구성을 도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장방형 바닥프레임(11)의 전후부에 '┏┓ '형의 호스릴 고정프레임(12)을 형성하여 격자형태의 프레임(10)을 구성하고, 상기 호스릴 고정프레임 (12)상에는 그 축(21)이 베어링(22)에 의해 지지되는 호스릴(20)을 장착하며, 바닥프레임의 양측으로 각기 동력장치용 마운트(13)와 분무기용 마운트(14)를 형성하고, 해당 마운트에 각기 분무기(30)와 대소구경의 풀리(41)(42)를 갖는 동력장치(40)를 설치하며, 호스릴의 전방축(21)상에 풀리(23)를 결합하여 동력장치에 결합된 소구경풀리(42)와 벨트(50)로 연결하고, 동력장치에 결합된 대구경 풀리(41)와 분무기용 풀리(31)를 벨트(60)로 연결하며, 호스릴(20)과 동력장치를 연결하는 벨트(50)는 동력단속장치(70)에 의해 단속되도록 한 구성을 갖는다.
상기한 프레임은 호스릴, 분무기 및 동력장치를 독립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호스릴 고정프레임(12)이 바닥프레임의 전후방에 평행하게 설치되고 그상부에 호스릴의 양축이 결합되고, 바닥프레임상에는 호스릴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분무기 및 동력장치축이 배열되도록 하여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축이 호스릴 및 분무기 축에 벨트에 의해 직접연결되고, 각기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함으로서 동력연결 구성을 단순하게 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바닥프레임상에는 각 모서리부분에 체결구(15)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구는 방제기를 차량의 적재함이나 트랙터의 적재함에 장착시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도록 하는 작용과, 별도의 바퀴틀체(80)를 장착하여 자체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호스릴(20)은 스풀형태로서 대략 100m내외의 분무용 호스가 감겨지며, 동력장치의 동력에 의해 호스를 감고, 호스를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풀리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호스릴의 동력연결은 벨트에 의해 이루어 지며, 상기 벨트는 동력단속장치(70)에 의해 단속된다.
동력단속장치(70) 는 호스릴에 연결되는 벨트의 장력을 조절함으로서 단속되도록 하는 장치로 호스릴에 연결되는 벨트(50)를 느슨하게 결합하고, 상기 벨트는 레버(71)와 링크(72)로 연결되는 작동간(73) 상에 설치되는 텐션조절풀리(74)에 접촉되게 구성하여 레버에 가해지는 힘에 따라 상기 텐션조절풀리가 벨트에 장력을 부여함으로서 동력연결이 이루어 지고, 레버에 가해지는 힘을 제거하면 텐션조절풀리와 벨트의 접촉이 해제되어 벨트가 걷돌게 됨으로서 동력이 끊어지도록 하는 구성을 갖는다.
한편, 상기 레버(71)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계 고정턱을 갖는 변속판(75)상에 결합함으로서 레버가 걸리는 위치에 따라 호스릴의 회전속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를 걸림이 없는 페달이나 손잡이 형태로 구성하여 작용하는 힘에 의해 무단 변속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는 레버가 걸리는 변속판의 턱위치에 따라 저속에서 고속상태로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상태에서 회전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후자의 경우에는 발 또는 손을 사용하여 레버에 힘을 가한 상태에서만 동력이 연결되고 힘의 크기에 따라 속도조절이 이루어지며, 레버에 힘을 떼면 텐션조절풀리에 의해 벨트에 가해지는 장력이 해소되어 동력연결이 끊어지도록 구성된 것으로 일시적으로 호스를 감아들일 때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해 적용되는 동력장치로 엔진, 유압모터, 전기모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한 동력장치는 동력장치마운트(13)에 의해 간단히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엔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자체동력에 의해 호스릴의 권취 및 분기기의 작동이 이루어 짐으로 트럭등의 적재함에 탑재하여 사용하거나 과수원 또는 비닐하우스내부에서 사용하는데 유리하고, 유압모터는 트랙터의 적재함에 탑재하여 트랙터로 부터 제공되는 유압을 사용할 때 편리하며, 전기모터는 전기 설비가 구비된 비닐하우스나 시설하우스등에서 사용할 때 편리하다.
이상의 동력장치는 종류에 관계없이 동력장치 축에 대소구경의 2단풀리를 결합함으로서 분무기 및 호스릴의 동력으로 즉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프레임상에 바퀴 틀체(80)을 결합하고, 프레임상에 별도의 손잡이(81)를 결합함으로서 자체이동이 가능하여 비닐하우스 내나 과수원에서 자체이동을 하면서 방제작업을 할 수 있고,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터의 적재함이나 트럭의 적재함에 싣을 경우에는 약액통과 함께 적재가 가능하여 이동범위가 넓은 광활한 토지에서 대용량 방제기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90은 호스릴에 감기는 호스, 91은 분사 건, 92는 약액통을 표시한 것이다.
본 고안은 대용량 방제작업을 할 때는 트럭이나 트랙터의 적재함에 약액통과 함께 싣고 방제작업을 하고 비닐하우스내나 과수원등 좁은 공간에서 방제작업을 할 경우에는 자체바퀴에 의해 이동시키면서 방제작업을 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방제대상에 따라 적합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9)

  1. 장방형 바닥프레임(11)의 전후부에 '┏┓ '형의 호스릴 고정프레임(12)을 형성하여 격자형태의 프레임(10)을 구성하고, 상기 호스릴 고정프레임 (12)상에는 그 축(21)이 베어링(22)에 의해 지지되는 호스릴(20)을 장착하며, 바닥프레임의 양측으로 각기 동력장치용 마운트(13)와 분무기용 마운트(14)를 형성하고, 해당 마운트에 각기 분무기(30)와 대소구경의 2단풀리(41)(42)를 갖는 동력장치(40)를 설치하며, 호스릴의 전방축(21)상에 풀리(23)를 결합하여 동력장치에 결합된 소구경풀리(42)와 벨트(50)로 연결하고, 동력장치에 결합된 대구경 풀리(41)와 분무기용 풀리(31)를 벨트(60)로 연결하며, 호스릴(20)과 동력장치를 연결하는 벨트(50)는 텐션조절장치(70)에 의해 단속되도록 한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 방제기.
  2. 제1항에 있어서, 바닥프레임(11)의 각 모서리부분에 체결구(15)를 형성하여 차량이나 트랙터의 적재함에 탑재시 적재함과 프레임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 방제기.
  3. 제1항에 있어서,바닥프레임(11)의 각 모서리부분에 체결구(15)를 형성하여 여기에 바퀴틀체(80)을 결합하고, 프레임상에는 손잡이(81)을 결합하여 비닐하우스 나 과수원 내에서 자체 이동하면서 방제작업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 방제기.
  4. 제1항,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텐션조절장치(70) 호스릴에 연결되는 벨트(50)를 느슨하게 결합하고, 상기 벨트는 레버(71)와 링크(72)로 연결되는 작동간(73) 상에 설치되는 텐션조절풀리(74)에 접촉되게 구성하고, 상기 레버(71)는 다단계 고정턱을 갖는 변속판(75)상에 결합함으로서 레버가 걸리는 위치에 따라 호스릴의 회전속도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 방제기.
  5. 제1항,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텐션조절장치(70) 호스릴에 연결되는 벨트(50)를 느슨하게 결합하고, 상기 벨트는 레버(71)와 링크(72)로 연결되는 작동간(73) 상에 설치되는 텐션조절풀리(74)에 접촉되게 구성하고, 상기 레버는 걸림이 없는 페달 형태로 구성하여 페달에 작용하는 힘에 의해 무단 변속시키는 구성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 방제기.
  6. 제1항,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텐션조절장치(70) 호스릴에 연결되는 벨트(50)를 느슨하게 결합하고, 상기 벨트는 레버(71)와 링크(72)로 연결되는 작동간(73) 상에 설치되는 텐션조절풀리(74)에 접촉되게 구성하고, 상기 레버는 걸림이 없는 손잡이 형태로 구성하여 손잡이에 작용하는 힘에 의해 무단 변속시키는 구성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 방제기.
  7. 제1항,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동력장치(40)는 자체엔진으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 방제기.
  8. 제1항,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동력장치(40)는 유압모터로 이루어져 트랙터의 유압에 의해 구동되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 방제기.
  9. 제1항,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동력장치(40)는 전기모터로 이루어져 비닐하우스나 시설하우스 내에 구비된 전기에 의해 구동되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 방제기.
KR2020000019619U 2000-07-10 2000-07-10 농약방제기 KR2002108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9619U KR200210850Y1 (ko) 2000-07-10 2000-07-10 농약방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9619U KR200210850Y1 (ko) 2000-07-10 2000-07-10 농약방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0850Y1 true KR200210850Y1 (ko) 2001-01-15

Family

ID=73056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9619U KR200210850Y1 (ko) 2000-07-10 2000-07-10 농약방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085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98746B2 (en) 2002-09-24 2019-02-05 Google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serving relevant advertisement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98746B2 (en) 2002-09-24 2019-02-05 Google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serving relevant advertisements
US10991005B2 (en) 2002-09-24 2021-04-27 Google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serving relevant advertisemen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8645B2 (en) Control handle for a crop sprayer
US20240042845A1 (en) Mobile robot drive system
KR20180109553A (ko) 방향 전환이 용이한 다기능 농업용 무인반송차량
KR200210850Y1 (ko) 농약방제기
KR100672743B1 (ko) 농업용 운반기구
KR101864715B1 (ko) 전휠타입의 시설원예용 다기능 플랫폼 무인반송장치
KR100479869B1 (ko) 농업용 분무기의 호스릴 권취장치
KR200166061Y1 (ko) 농약용 분무기 장치대
KR200337583Y1 (ko) 경운기용 유압식 농약 방제기
JP2004050915A (ja) 農作業用管理作業車
KR200278643Y1 (ko) 이중호스 릴을 갖는 트랙터용 농약분무기
JP2562464Y2 (ja) 防除用薬剤散布機
KR200304889Y1 (ko) 농업용 분무기의 호스릴 권취장치
KR200354480Y1 (ko) 농업용 분무기 장치대의 호스릴 구동장치
JP2979580B2 (ja) 農用走行車体
KR20000014115A (ko) 비닐 하우스용 손수레 약액살포기
JP2001046930A (ja) 押動式散布機
JP4653575B2 (ja) 歩行式移動作業車両の傾斜制御装置
JP2002096996A (ja) 高所作業車
KR200354479Y1 (ko) 농업용 분무기 장치대의 호스릴 구동장치
GB2233311A (en) Mobile hose-winding apparatus
JPS5921951Y2 (ja) 農用作業車等における作業機動力伝導装置
JPH09271275A (ja) 自動噴霧装置のノズル支持機構
KR20040016923A (ko) 양 방향 방제작업이 가능한 농업용 분무기 장치대
KR200216479Y1 (ko) 농,어업용 소형 운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