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0788Y1 - 승용관리기용 작업기승,강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승용관리기용 작업기승,강 완충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10788Y1 KR200210788Y1 KR2019980019756U KR19980019756U KR200210788Y1 KR 200210788 Y1 KR200210788 Y1 KR 200210788Y1 KR 2019980019756 U KR2019980019756 U KR 2019980019756U KR 19980019756 U KR19980019756 U KR 19980019756U KR 200210788 Y1 KR200210788 Y1 KR 20021078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ft
- housing
- cylinder
- spring
- manager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Lifting Devices For Agricultural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리프트를 승,강시 발생하는 충격력을 흡수, 완화하여 승용관리기와 연결된 작업기의 스무드한 승,강이 가능하게 하여 작업효율의 증대와 더불어 승용관리기 및 작업기의 손상과 내구성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승용관리기용 작업기승,강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승용관리기(50)의 리프트(60)의 승,강을 위한 수단으로 구비되는 실린더(61)의 하우징(71) 후측에 형성되는 유압인렛(72)의 전방에 하우징(71)과 일체로 형성하는 스토퍼(73)와;
상기 하우징(71)이 자유롭게 슬라이딩 운동할 수 있도록 하우징(71)의 외측에 삽입되는 간격파이프(77)와;
상기 간격파이프(77)에 부싱(74)과 지지핀(75)을 가지고 스토퍼(73)의 전방에 삽입되는 브라켓(76);
상기 부싱(74)의 전방에 삽입되어 완충작용을 하는 스프링(80);
상기 스프링(80)을 단속하기 위한 수단으로 스토퍼(81)를 개재하여 하우징(71)의 선단과 나사결합되는 고정너트(82)를 포함하는 완충수단(70)을 구비하여 리프트(60)의 승,강시 발생하는 충격력을 흡수하여 스무드한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승용관리기용 작업기승,강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관리기의 후미프레임상에 구비되는 상,하부링크와 상,하부링크의 후미에 연결되는 히치로 구성되는 리프트를 승,강시켜주는 실린더를 개선하여 작업기 승,강시 발생하는 충격력을 줄여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승용관리기는 작업자가 작업기 또는 관리기와 함께 주행하면서 조작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보행형관리기와는 달리 작업자가 관리기에 탑승하여 조작하는 것으로서;
승용관리기의 후미에 중경제초기, 파종기, 방제기와 같은 전작작업용 작업기는 물론 이앙기와 같은 수도작용 작업기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작업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승용관리기(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방에는 주행과 작업기 구동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 엔진(51)이 탑재되고, 엔진(51)에 의하여 구동하는 바퀴(52)와 승용관리기(50)의 주행과 작업기 조작을 위한 운전석(53)이 구비된다.
상기 승용관리기(50)의 프레임(55) 후미에는 전측은 승용관리기(50)의 프레임(55)과 힌지로 움직임이 자유롭게 고정되고, 후측은 다양한 종류의 작업기를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수단을 구비하는 히치(57)와 역시 힌지로 고정되어 움직임이 자유롭게 한 상,하부링크(58,59)가 구비되어 연결되는 작업기를 승,강시킬 수 있는 리프트(60)가 구성된다.
상기 승용관리기(50)의 프레임(55)상에는 리프트(60)의 승,강을 위한 수단으로 실린더(61)가 구비되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승용관리기에서 히치에 다양한 종류의 작업기를 연결하여 실린더를 신장 또는 수축시켜 연결된 작업기를 승,강시켜 작업과 비작업을 선택함은 물론, 작업깊이를 조절하게된다.
상기와 같이 리프트의 히치에 연결된 작업기를 이용하여 작업하기 위하여 리프트를 하강시키거나 작업완료후 이동을 위하여 상승시킬 때, 작업기가 정지된 상태에서 실린더가 수축또는 신장되기 때문에 급격한 위치변경(승,강)으로 대단한 충격력이 발생한다.
리프트에 연결되는 작업기가 중량체로 된 경우에는 그 충격력이 더욱더 심하여 승용관리기 전체에 충력여파가 전달되고, 작업기 하강시 지면과 스무드한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연결된 작업기에도 상당한 충격이 전해진다.
특히, 리프트에 이앙기를 연결하였을 경우에는 승,하강으로 발생하는 충격력에 의한 뜬묘발생등으로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거나 이앙기의 관련부품의 손상이 더욱 심한 문제점을 가진다.
이앙작업의 경우에는;
이앙작업기(65)의 센터플로트(66)에 부착된 센서에 의하여 작업노면을 감지하고, 상기 센서는 리프트(60)의 승,강을 선택하는 실린더(61)로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콘트롤러와 연계된다.
상기 센서가 감지한 값을 토대로 실린더(61)로의 유압공급을 제어함으로서 실린더(61)가 리프트(60)를 일정폭(작업노면의 높낮이 정도에 맞게)신장하고 수축함으로서 이앙작업기(65)의 하단부에 위치한 식부부(67)가 승,하강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실린더(61)에 의하여 리프트(60)가 승,강하여 이앙작업기(65)를 승,강시킬 때 종래기술에서는 완충작용이 없기 때문에 이앙작업기(65)가 순간적으로 급상승 및 급하강하여 이앙작업기의 식부부가 흔들리는 현상이 발생하고, 특히 뜬묘의 발생이 많아 이앙작업이 원활하지 못한 상태에 이른다.
이는 도 2,3에 도시된 종래기술의 리프트(1)에 적용된 리프트 승,강용 실린더(2)의 구조에 의하여 쉽게 확인할 수 있는데 이를 살펴보면;
종래의 리프트(1) 승,강용 실린더(2)는 전측은 승용관리기의 프레임과 힌지(3)고정되고 후측은 작업기를 연결할 수 있는 히치(4)와 연결된 상부링크(5)의 측방에 위치한다.
상기 실린더(5)의 하우징(6) 끝단부는 승용관리기의 프레임과 힌지로 고정되고 하우징(6)의 전방에 위치하여 신장 및 수축운동을 하는 피스톤(7)은 상부링크(5)의 전방에 리프트(1)와 실린더핀(10)으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리프트(1)를 승,강시켜주는 수단인 실린더(5)가 별도의 충격흡수 수단을 강구하지 않은채 단순 고정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실린더(5)가 신장 및 수축하여 리프트(1)를 승,강시킬 때 급격한(순간적인)승,강이 이루어짐으로서 충격력이 승용관리기와 기타의 연결된 작업기로 전달되기 때문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리프트를 승,강시켜주는 실린더상에 완충수단을 더 구비함으로서 리프트 승,강시 발생하는 충격력을 흡수, 완화하여 승용관리기와 연결된 작업기의 승,하강이 스무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작업노면을 따라 작업기가 완만한 곡선(작업노면과 동일한)을 그리면서 승,강하도록 함으로서 작업효율의 증대와 더불어 승용관리기 및 작업기의 손상과 내구성등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승용관리기의 측면도로서 이앙작업기를 장착한 상태의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이 적용된 작업기 승,강리프트를 발췌한 평면도.
도 3은 종래기술이 적용된 작업기 승,강리프트를 발췌한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작업기 승,강리프트를 발췌한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작업기 승,강리프트를 발췌한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작업기 승,강리프트용 실린더를 발췌한 단면도로서 실린더가 수축된 상태의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작업기 승,강리프트용 실린더를 발췌한 단면도로서 실린더가 신장한 상태의 도면.
도 8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작업기 승,강리프트용 실린더를 발췌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50; 승용관리기
60; 리프트
61; 실린더
70; 완충수단
71; 하우징
80; 스프링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승용관리기의 측면도로서 이앙작업기를 장착한 상태의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작업기 승,강리프트를 발췌한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작업기 승,강리프트를 발췌한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작업기 승,강리프트용 실린더를 발췌한 단면도로서 실린더가 수축된 상태의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작업기 승,강리프트용 실린더를 발췌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작업기 승,강리프트용 실린더를 발췌한 사시도로서 실린더가 신장한 상태의 도면으로서 함께 설명한다.
승용관리기(50)는;
주행과 작업기 구동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 전방에 탑재되는 엔진(51)과 엔진(51)에 의하여 구동하는 바퀴(52) 및 주행과 작업기 조작을 위한 운전석(53)이 구비된다.
상기 승용관리기(50)의 프레임(55) 후미에는 전측은 승용관리기(50)의 프레임(55)과 힌지로 움직임이 자유롭게 고정되고, 후측은 다양한 종류의 작업기를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수단을 구비하는 히치(57)와 역시 힌지로 고정되어 움직임이 자유롭게 한 상,하부링크(58,59)가 구비되어 연결되는 작업기를 승,강시킬 수 있는 리프트(60)가 구비된다.
상기 승용관리기(50)의 프레임(55)상에는 리프트(60)의 승,강을 위한 수단으로 하우징(71)은 프레임(55)과 힌지 결합되고 피스톤(71')상부링크(58)의 브라켓(68)과 힌지결합되는 실린더(61)가 구비되는 구성이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리프트(60)의 승,강을 제어하는 실린더(61)의 하우징(71)상에 완충수단(70)을 더 구비함으로서 리프트(60)의 승,강시 발생하는 충격력을 흡수하여 스무드한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작업기와 승용관리기(50)의 손상을 방지함은 물론 원활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한 상기 완충수단(70)의 구성은;
실린더(61)의 하우징(71) 후측에 형성되는 유압인렛(72)의 전방에 하우징(71)과 일체로 스토퍼(73)를 형성한다.
상기 스토퍼(73)의 전방에는 하우징(71)이 자유롭게 슬라이딩 운동할 수 있도록 삽입되는 간격파이프(77)의 외측에 부싱(74)을 가지고 승용관리기(50)의 프레임(55)과 힌지결합하기 위한 지지핀(75)을 측방으로 돌출시킨 브라켓(76)을 삽입한다.
상기 부싱(74)의 전방으로는 완충작용을 위한 스프링(80)을 삽입하여 하우징(71)의 선단에서 스토퍼(81)를 개재하여 나사결합되는 고정너트(82)에 의하여 마감되도록 구성한다.
물론, 상기 스프링(80)은 교환장착이나 고정너트(82)의 체결깊이를 조절하여 스프링(80)의 장력을 달리하여 승용관리기(50)에 연결되는 작업기의 종류(중량정도)에 대응하여 적합한 완충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초기상태에는 실린더(61)의 피스톤(71')이 수축된 상태에 있고 승용관리기(50)에 연결된 작업기는 하강된 상태에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실린더(61)로 유압을 공급하여 피스톤(71')을 신장시켜 리프트(60)를 상승시켜 연결된 작업기를 상승시키고, 상승된 상태에서 피스톤(71')을 수축시켜 작업기를 하강시키면 된다.
상기와 같이 작업기의 승,강을 위하여 실린더(61)를 작동시키면 실린더(61)의 하우징(71)에 더 구비되는 완충수단(70)에 의하여 1차적인 충격을 흡수하여 급격한 작동이 방지되어 서서히 승,강하게 됨으로서 충격력에 의한 작업기와 승용관리기(50)의 손상이 방지됨은 물론, 작업노면을 따라 작업기가 스무드한 승,강작동으로 원활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된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실린더(61)의 피스톤(71')을 신장시키면 피스톤(71')이 미는 힘이 상부링크(58)의 브라켓(68)에 직접전달되지 않고 실린더(61)의 하우징(71)이 후퇴하게된다.
상기 하우징(71)의 후퇴로 하우징(71)에 삽입된 스프링(80)이 압축되면서 실린더(61)의 수축시와 신장시에 발생하는 충격력을 흡수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80)의 수축정도는 스프링(80)의 장력과 작업기의 자중이 일치할때까지 압축되면서 충격력을 흡수하고 그 이후부터는 실린더(61)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여 작업기의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실린더(61)가 유압을 공급받아 피스톤(71')을 신장 또는 수축시킬 때 반작용으로 하우징(71)이 후퇴할 수 있는 것은 실린더(61)의 하우징(71)이 외측에 삽입된 간격파이프(77)상에 프레임(55)과 지지핀(75)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고정되고 내부에 부싱(74)을 가지는 브라켓(76)에 의하여 유지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피스톤(71') 신장 또는 수축 초기에 하우징(71)이 수축 또는 신장력의 반작용에 의하여 후퇴하면 부싱(74)과 하우징(71) 선단에 결합되어 스프링(80)의 이탈을 방지하고 있는 스토퍼(81)와 고정너트(82)상간의 스프링(80)이 압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승용관리기(50)에 이앙작업기(65)를 연결하였을 경우 특히 큰 효과를 얻을 수 있게된다.
즉, 이앙작업시 작업노면과 연접되는 센터플로트(66)에 구비되는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작업노면의 요철은 유압콘트롤러로 인가되어 실린더(61)로의 유압공급을 제어하게 된다.
유압콘트롤러에 의하여 유압공급을 제어받는 실린더가 신장과 수축작용을 반복하게 되더라도 실린더(61)의 하우징(71)에 더 구비되는 스프링(80)에 의하여 충격이 흡수되어 급격한 승,강이 자제됨으로서 뜬묘발생이나 이앙작업기의 흔들림현상등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리프트를 승,강시켜주는 실린더상에 완충수단을 더 구비함으로서 리프트 승,강시 발생하는 충격력을 흡수, 완화하여 승용관리기와 연결된 작업기의 스무드한 승,강이 가능하게 하여 작업효율의 증대와 더불어 승용관리기 및 작업기의 손상과 내구성등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등의 효과를 가진다.
Claims (3)
- 엔진(51)과 바퀴(52) 및 운전석(53)이 구비되는 프레임(55)후미에서 전측은 프레임(55)과 힌지로 고정되고 후측은 작업기를 연결하기 위한 히치(57)와 힌지고정되는 상,하부링크(58,59)로 구성되는 리프트(60);상기 프레임(55)상에는 리프트(60)의 승,강을 위한 수단으로 하우징(71)은 프레임(55)과 힌지 결합되고 피스톤(71')상부링크(58)의 브라켓(68)과 힌지결합되는 실린더(61)가 구비되는 구성의 승용관리기(50)에 있어서;상기 실린더(61)의 하우징(71) 후측에 형성되는 유압인렛(72)의 전방에 하우징(71)과 일체로 형성하는 스토퍼(73)와;상기 하우징(71)이 자유롭게 슬라이딩 운동할 수 있도록 하우징(71)의 외측에 삽입되는 간격파이프(77)와;상기 간격파이프(77)에 부싱(74)과 지지핀(75)을 가지고 스토퍼(73)의 전방에 삽입되는 브라켓(76);상기 부싱(74)의 전방에 삽입되어 완충작용을 하는 스프링(80);상기 스프링(80)을 단속하기 위한 수단으로 스토퍼(81)를 개재하여 하우징(71)의 선단과 나사결합되는 고정너트(82)를 포함하는 완충수단(70)을 구비하여 리프트(60)의 승,강시 발생하는 충격력을 흡수하여 스무드한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관리기용 작업기승,강 완충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스프링(80)은 연결되는 작업기의 자중에 따라 교환장착하여 완충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관리기용 작업기승,강 완충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스프링(80)은 고정너트(82)의 체결깊이를 조절하여 스프링(80)의 장력을 달리하여 연결되는 작업기의 자중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관리기용 작업기승,강 완충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19756U KR200210788Y1 (ko) | 1998-10-13 | 1998-10-13 | 승용관리기용 작업기승,강 완충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19756U KR200210788Y1 (ko) | 1998-10-13 | 1998-10-13 | 승용관리기용 작업기승,강 완충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07843U KR19990007843U (ko) | 1999-02-25 |
KR200210788Y1 true KR200210788Y1 (ko) | 2001-02-01 |
Family
ID=69710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80019756U KR200210788Y1 (ko) | 1998-10-13 | 1998-10-13 | 승용관리기용 작업기승,강 완충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10788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90949B1 (ko) * | 2013-11-11 | 2015-02-06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리프트 장치 |
-
1998
- 1998-10-13 KR KR2019980019756U patent/KR200210788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90949B1 (ko) * | 2013-11-11 | 2015-02-06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리프트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07843U (ko) | 1999-02-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327709A (en) | Adjustable header flotation mechanism | |
US4230341A (en) | Vehicle suspension system | |
CN109795569A (zh) | 适用于丘陵山地的小型三角形履带底盘 | |
JP3583504B2 (ja) | 道路仕上げ機 | |
KR200210788Y1 (ko) | 승용관리기용 작업기승,강 완충장치. | |
JP3995621B2 (ja) | 水田作業機 | |
UA119690C2 (uk) | Сільськогосподарське знаряддя з додатковим шасі | |
US20090057045A1 (en) | Hydraulic system to deter lift arm chatter | |
KR101342394B1 (ko) | 트랙터의 차체 승강 장치 | |
WO2023175944A1 (ja) | 車両のシャフトロック装置、及び当該装置を備えた車両 | |
WO2016040326A1 (en) | Vibratory cable plow | |
JP4118179B2 (ja) | 乗用田植機 | |
JP2588253Y2 (ja) | メインフレ−ムの緩衝装置 | |
JP3450642B2 (ja) | 乗用型田植機の苗植付装置昇降機構 | |
CN112746649A (zh) | 可调节的行驶控制系统 | |
KR102059839B1 (ko) | 트랙터 차체 레벨 감지장치 | |
KR102199767B1 (ko) | 트랙터 차체 레벨 감지장치 | |
JP2006238790A (ja) | 水田作業機 | |
RU227440U1 (ru) | Лесопогрузчик | |
JP3374051B2 (ja) | 田植機の苗植付装置昇降操作構造 | |
KR101428976B1 (ko) | 트랙터의 후방 구조 | |
JPH0748002Y2 (ja) | 移動農機の後輪浮上装置 | |
JP3379013B2 (ja) | 路面整正ブレードの支持装置 | |
JPS646322Y2 (ko) | ||
JPH0343009A (ja) | 歩行型水田作業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5R | Request for early opening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51103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