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9652Y1 - 자동으로 악보를 넘기는 악보대 - Google Patents

자동으로 악보를 넘기는 악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9652Y1
KR200209652Y1 KR2019980021929U KR19980021929U KR200209652Y1 KR 200209652 Y1 KR200209652 Y1 KR 200209652Y1 KR 2019980021929 U KR2019980021929 U KR 2019980021929U KR 19980021929 U KR19980021929 U KR 19980021929U KR 200209652 Y1 KR200209652 Y1 KR 2002096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sheet
crank
bar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19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8000U (ko
Inventor
서동천
Original Assignee
서동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동천 filed Critical 서동천
Priority to KR20199800219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9652Y1/ko
Publication of KR199900080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80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96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9652Y1/ko

Link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음악을 연주할 때 악보를 올려놓는 악보대에 있어서, 모터의 작동에 의하여 크랭크가 회전함에 따라 이동막대와 회전막대가 자동으로 악보를 밀어 넘길 수 있도록 되는 악보대에 관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현재 연주자들이 악기를 연주할 때 사용하는 악보대는 단순히 악보를 고정시키는 기능으로만 되어 있는 것으로 연주자가 악보를 보고 연주해야 할 경우에는 연주자가 손으로 악보를 넘기면서 연주하여야 하기 때문에 많은 연습이 필요하고 즉시 연주할 경우에는 악보를 넘기는 동안 연주가 잘못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는것이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악보대 하단 내부에 소형 회로 모터의 작동에 의하여 클랭크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막대와 이동막대가 자동으로 악보를 넘길 수 있는 장치를 장착함으로써 연주 중에도 자동으로 악보를 넘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악보대

Description

자동으로 악보를 넘기는 악보대
본 고안은 음악을 연주할 때 악보를 올려놓는 악보대에 있어서, 모터의 작동에 의하여 크랭크가 회전함에 따라 이동막대와 회전막대가 자동으로 악보를 밀어 넘길 수 있도록 되는 장치가 장착된 악보대에 관한 것이다.
현재 연주자들이 악기를 연주할 때 사용하는 악보대는 단순히 악보를 고정시키는 기능으로만 되어 있는 것으로 연주자가 악보를 보고 연주해야 할 경우에는 연주자가 손으로 악보를 넘기면서 연주하여야 하기 때문에 많은 연습이 필요하고 즉시 연주할 경우에는 악보를 넘기는 동안 연주가 잘못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악보대 하단 내부에 소형 회로 모터의 작동에 의하여 클랭크가 회전함에 따라 이동막대의 고무흡착기가 악보를 넘기는 방향으로 밀어주면 악보의 밀려진 사이의 틈으로 회전막대가 삽입되어 악보를 넘길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장착함으로써 연주 중에 손으로 악보를 넘기지 않고도 악보를 넘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악보대에 악보가 놓여진 상태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이동막대가 악보를 밀어내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충전기 2: 모터
3: 기어 4: 기어휘일
5: 클랭크 6: 회전막대
7: 슬라이드 바 8: 접촉돌기
9: 프레임 10: 이동막대
11: 고무흡착기 12: 프레임대
13,13a: 스프링 14: 악보
15: 클랭크축 16: 패달
이하 본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되는 명칭 및 부호가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과 동시에 서로 대칭되는 부분에 대하여는 부호 및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고안의 악보대는 충전기(1)에 의하여 전류가 공급된 모터(2)의 작동으로 기어(3)와 기어휘일(4)이 맞물려 회전하면 기어휘일(4)의 중심부와 외측지점이 클랭크축(15)으로 연결된 클랭크(5)와 클랭크축(15)의 상부에 형성된 회전막대(6)가 동시에 회전하면서 일측의 슬라이드 바(7)에 돌설된 접촉돌기(8)를 밀어내면 슬라이드 바(7)가 X축으로 이동하면서 슬라이드 바(7)의 타측이 프레임(9)과 수직으로 연결된 이동막대(10)의 하측을 밀어주면 이동막대가 40。정도 회전하면서 이동막대(10)의 상단에 고정된 고무흡착기(11)와 악보(종이)와의 마찰력으로 악보가 밀려지면서 악보(14)의 밀려진 틈 사이로 클랭크(5)와 동시에 회전중인 회전막대(6)가 삽입되어 악보(14)가 넘겨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고, 상기의 크랭크(5)가 회전이 완료되면 밀린 슬라이드 바(7)와 이동막대(10)는 프레임(9)과 프레임대(12)에 각각 연결된 스프링(13)(13a)의 복원력으로 제위치로 돌아오도록 되는 장치가 악보대 하단 내부에 장착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악보대는 전류를 공급받은 모토의 작동으로 기어(3)와 기어휘일(4)이 맞물려 회전하면 클랭크(5)의 회전운동이 직선운동으로 바뀌면서 슬라이드 바(7)를 이동시키는 힘으로 이동막대(10)를 40。정도 회전토록 함으로써 이동막대(10)의 고무흡착기(11)가 넘기고자 하는 악보(종이)를 들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악보의 밀려진 틈 사이로 회전중인 회전막대(6)가 삽입되어 악보를 완전히 넘겨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크랭크(5)의 회전이 완료되면 밀린 슬라이드 바(7)와 이동막대(10)는 프레임(9)과 프레임대(12)에 각각 연결된 스프링(13)(13a)의 복원력으로 제위치로 돌아오도록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악보대에 악보를 올려놓고 악기를 연주하게 되면 악보를 일일이 손으로 넘기지 않고 발로 패달(16)을 가볍게 눌러서 자동으로 악보를 넘길 수 있기 때문에 연주의 흐름이 중단되지 않는 것이고, 특히 악기 연주에 서투른 아이들이 학교에서 음악시간에 사용하면 악기를 연주하는데 집중이 되어 연주 능력 향상에도 도움이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악보대 이외에 독서대로 변환하여 손이 불편한 장애인이나 환자들에게 제공하여 편리하게 독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브리핑대, 작업지시대 등 다양하게 변환하여 사용이 가능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충전기(1)에 의하여 전류가 공급된 모터(2)의 작동으로 기어(3)와 기어휘일(4)이 맞물려 회전하면 기어휘일(4)의 중심부와 외측지점이 클랭크축(15)으로 연결된 클랭크(5)와 클랭크축(15)의 상부에 형성된 회전막대(6)가 동시에 회전하면서 일측의 슬라이드 바(7)에 돌설된 접촉돌기(8)를 밀어내면 슬라이드 바가 X축으로 이동함면서 슬라이드 바의 타측이 프레임(9)과 수직으로 연결된 이동막대(10)의 하측을 밀어주면 이동막대가 40。정도 회전하면서 이동막대(10)의 상단에 고정된 고무흡착기(11)와 악보(종이)(14)와의 마찰력으로 악보(14)가 밀려지면서 악보의 밀려진 틈 사이로 클랭크(5)와 동시에 회전중인 회전막대(6)가 삽입되어 악보(14)가 넘겨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고, 상기의 크랭크(5)가 회전이 완료되면 밀린 슬라이드 바(7)와 이동막대(10)는 프레임(9)과 프레임대(12)에 각각 연결된 스프링(13)(13a)의 복원력으로 제위치로 돌아오도록 되는 장치가 악보대 하단 내부에 장착되어 자동으로 악보를 넘길 수 있도록 구성된 악보대.
KR2019980021929U 1998-11-12 1998-11-12 자동으로 악보를 넘기는 악보대 KR2002096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1929U KR200209652Y1 (ko) 1998-11-12 1998-11-12 자동으로 악보를 넘기는 악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1929U KR200209652Y1 (ko) 1998-11-12 1998-11-12 자동으로 악보를 넘기는 악보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000U KR19990008000U (ko) 1999-02-25
KR200209652Y1 true KR200209652Y1 (ko) 2001-02-01

Family

ID=69710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1929U KR200209652Y1 (ko) 1998-11-12 1998-11-12 자동으로 악보를 넘기는 악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965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57847A1 (ko) * 2000-02-03 2001-08-09 Woo Sang Yong A auto music stand
KR20020076949A (ko) * 2001-03-31 2002-10-11 박지환 자동악보장치
KR100495303B1 (ko) * 2002-12-05 2005-06-14 정남수 자동 책장넘기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000U (ko) 199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9652Y1 (ko) 자동으로 악보를 넘기는 악보대
JPH037241U (ko)
US20070175046A1 (en) Cutting and forming tool assembly
KR830008217A (ko) 공작기계 주축의 위치 검출 장치
JPH0115134Y2 (ko)
KR100284160B1 (ko) 자동 책장 넘기는 장치
US3374701A (en) Page turning device
KR200221630Y1 (ko) 자동악보장치
JPH0159929U (ko)
KR200252975Y1 (ko) 자동 책장 넘김 장치
JP2019093647A (ja) ページめくり装置
JP4572440B2 (ja) ステージの駆動装置
KR200303934Y1 (ko) 낱장넘김용자동악보대
JPH0358697U (ko)
JPH02111837U (ko)
JP2805536B2 (ja) 自在平行定規のヘッド
JPS5815872A (ja) バンブ−ダンスの遊戯機械
JPH0416262Y2 (ko)
JPS595902Y2 (ja) 電子楽器におけるニ−レバ−式スイツチ操作装置
JPS589019Y2 (ja) ベルト切換機構
JPS6385825U (ko)
JPS5822875Y2 (ja) 自転車用変速レバ−
JPS595910Y2 (ja) 電子楽器におけるニ−レバ−式スイツチ操作装置
KR200234965Y1 (ko) 자동악보장치
JPS61165844A (ja) スタイラスのクリ−ニ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