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4160B1 - 자동 책장 넘기는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책장 넘기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4160B1
KR100284160B1 KR1019980041445A KR19980041445A KR100284160B1 KR 100284160 B1 KR100284160 B1 KR 100284160B1 KR 1019980041445 A KR1019980041445 A KR 1019980041445A KR 19980041445 A KR19980041445 A KR 19980041445A KR 100284160 B1 KR100284160 B1 KR 100284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shelf
piece
operating lever
roller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1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4765A (ko
Inventor
정남수
Original Assignee
정남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남수 filed Critical 정남수
Priority to KR1019980041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4160B1/ko
Publication of KR20000024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4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4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41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9/00Bookmarkers; Spot indicators; Devices for holding books open; Leaf turners
    • B42D9/04Leaf tur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6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characterised by association with auxiliary devices, e.g. line indicators, leaf turners, lampholders, book or page holder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으로 책장을 넘길 수 있도록 구성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책을 읽거나 악보 등을 보면서 연주를 할 경우 손을 사용하지 않고 책장을 자동으로 넘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이 증진되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는 한곡이 여러장의 악보로 형성된 오케스트라 등의 연주를 할 때 악기를 연주하면서 악보를 넘겨야하므로 연주의 흐름이 순간적으로 단절되어 정확한 연주와 완벽한 하모니를 연출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책을 보거나 악보 등을 보면서 연주를 할 때에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발을 사용하여 작동버튼(14)을 가볍게 밟아주면 작동레버(20)가 힌지(21)를 중심으로 좌측으로 회동되면서 작동레버(20) 상단의 로울러(61)가 책장을 한 장씩 넘길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곡이 여러장의 악보로 형성된 오케스트라 등의 연주에서 악기를 연주하면서 악보를 넘겨야 함에 따라 연주의 흐름이 순간적으로 단절되는 등의 폐단이 완벽하게 해소되어 정확한 연주와 완벽한 하모니를 연출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 책장 넘기는 장치
본 발명은 자동으로 책장을 넘길 수 있도록 구성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책을 읽거나 악보 등을 보면서 연주를 할 경우 손을 사용하지 않고 책장을 자동으로 넘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이 증진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을 읽거나 악보를 보면서 연주를 할 경우에는 손을 사용하여 읽고 난 다음 페이지를 넘기게 된다. 그러나, 한곡이 여러장의 악보로 형성된 오케스트라 등의 연주에는 악기를 연주하면서 악보를 넘겨야하므로 연주의 흐름이 순간적으로 단절되어 정확한 연주와 완벽한 하모니를 연출할 수 없었다.
이와 같이 연주를 하고 있는 도중에 다음 페이지의 악보를 넘기는 경우에는 연주 도중이기 때문에 연주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악보를 넘기는 동작이 상당히 부자연스러웠다.
또한, 단순하게 책을 읽는 경우에 책장을 넘긴 다음에는 한손을 이용하여 책장을 파지 한 상태에서 책을 읽게 되므로 평상시에는 별 문제가 발생되지 않으나, 양손을 사용하기가 어렵거나 다른 일을 하고 있을 경우는 책을 파지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넘긴 책장이 다시 복귀되어 항상 책을 파지하고 있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책받침대니 보면대 등이 다수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는 데, 주로 단순하게 책을 지지하여 고정 하는 수단으로서는 사용 가능하나 책을 읽고 난 다음에 책장을 자동으로 넘길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책을 읽거나 악보 등을 보면서 연주를하는 경우에 책장을 자동으로 넘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자동 책장 넘기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본 발명의 특징은,
받침대(10)의 후방에 받침판(11)이 구비된 것에 있어서, 함체로 이루어진 받침대(10)의 내부에는 모터(40)와 연동되는 워엄(41)과 워엄기어(42)가 설치되어 워엄기어(42)에 편심 설치된 링크(43)와 이에 연결된 작동편(44)에 의하여 모터(40)의 회전력이 직선왕복 운동되고, 상기 받침대(10)의 내부 중앙에는 스프링(23)으로 지지되는 작동레버(20)가 힌지(21) 결합되어 받침대(10) 상부의 안내홈(10a)을 통해 돌출되며, 작동레버(20)의 하단에 형성된 핀축(22)이 작동편(44)의 선단의 장공(45)에 결합되어 그 상단에 정,역회전이 제어되는 로울러(61)가 장착된 작동레버(20)가 소정의 범위내에서 회동되고, 상기 작동레버(20)의 일측에는 절곡부(31)와 공간부(32)(33)를 갖는 지지간(30)이 설치되어 스프링(34)으로 지지되고, 지지간(30)의 반대편에는 책장을 지지하는 지지편(50)이 설치되며, 상기 작동버튼(14)과 리미트스위치(13)에 의하여 그 작동이 제어되는 모터(40)의 구동으로 회동되는 작동레버(20) 상단의 로울러(61)에 의하여 책장을 넘길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책장 넘기는 장치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요부를 분해한 상태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내부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작동을 보인 정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책장을 넘기기 위한 로울러의 평면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받침대 10a : 안내홈 11 : 받침판
13 : 리미트스위치 14 : 작동버튼 20 : 작동레버
21 : 힌지 22 : 핀축 23, 34 : 스프링
30 : 지지간 31 : 절곡부 32, 33 : 공간부
40 : 모터 41 : 워엄 42 : 워엄기어
43 : 링크 44 : 작동편 45, 62 : 장공
50 : 지지편 51 : 경첩 60 : 케이스
61 : 로울러 61a : 축 63 : 마찰편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책의 후면을 지지하는 받침판(11)이 함체로 이루어진 받침대(10)의 후방에 장착되어 있고, 받침대(10)의 내부에는 모터(40)와 연동되는 워엄(41)이 설치되어 워엄기어(42)와 치합되어 있다.
상기 워엄기어(42)에는 링크(43)가 편심되어 축설되어 있고, 이 링크에는(43)에는 작동편(44)이 연결되어 모터(40)의 회전력이 직선왕복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작동편(44)의 선단에는 장공(4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받침대(10)의 내부 중앙에는 150。 범위내에서 회전운동이 되는 작동레버(20)가 힌지(21) 결합되어 스프링(23)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책장을 눌러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작동레버(20)의 하단에는 핀축(22)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작동레버(20)는 받침대(10) 상부에 형성된 안내홈(10a)을 통해 돌출되며, 작동레버(20)의 하단의 핀축(22)이 작동편(44)의 선단의 장공(45)에 결합되어 소정의 각 범위내에서 회동되고, 그 상단에는 정,역회전이 제어되는 로울러(61)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작동레버(20)의 우측에는 스프링(34)에 의하여 후방으로 힘을 받는 지지간(30)이 설치되어 있고, 이 지지간(30)에는 절곡부(31)와 공간부(32)(33)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간(30)의 반대편에는 지지편(50)이 경첩(51)에 의하여 설치되어 절첩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넘겨진 책장이 복귀되는 것을 방지토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작동을 자동으로 행할 수 있도록 작동버튼(14)이 설치되어 있고, 작동레버(20)의 1행정이 완료되면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리미트스위치(13)는 받침대(10)의 내부측, 즉 작동레버(20)가 정지되는 지점에 각각 설치됨은 당연한 것으로, 상기 작동버튼(14)의 설치위치는 별도로 연결하여 발로서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작동레버(20)가 힌지(21)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우측으로 이동할 때에는 로울러(61)의 축(61a)이 장공(62)의 내부에서 이동을 하여 마찰편(63)에 이탈된 상태에서 회전하게 되어 책장의 표면을 굴르면서 이동을 하고, 좌측으로 이동되어 책장을 넘기는 경우에는 케이스(60) 내부에 축설된 로울러(61)의 축(61a)이 장공(62)의 내부에서 반대로 이동되어 케이스(60) 내부의 마찰편(63)에 접면되어 굴름작용이 정지되므로 책장을 넘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책을 읽거나 악보 등을 보면서 연주를 하는 경우에 발을 사용하여 작동버튼(14)을 눌르면 모터(40)가 회전되면서 이와 연동되는 워엄(41)과 워엄기어(42)가 회전되고 워엄기어(42)에 편심 설치된 링크(43)가 회동되면서 작동편(44)이 직선으로 왕복운동된다.
동시에 작동편(44) 성단의 선단측 장공(45)에는 작동레버(20)의 핀축(22)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작동을 함에 따라 상기 작동레버(20)는 그 하단의 힌지(21)를 중심으로 회동된다.
이때, 상기 작동레버(20) 하단의 핀축(22)이 작동편(44)의 장공(45)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작동레버(20)가 회동되더라도 장공(45)에 결합된 핀축(22)은 장공(45)의 내부에서 자유롭게 이동되어 간섭에 의한 작동불능 현상이 방지된다.
상기 작동레버(20)는 받침대(10)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좌측으로 회동되어 안내홈(10a)을 통해 받침대(10) 상부로 돌출되면서 책장을 탄력적으로 눌르고 있는 지지간(30)의 하측의 공간부(33) 사이로 진입하여 절곡부(31)를 밀어내면서 상측의 공간부(32)로 진입을 하게 된다.
따라서 최초에 작동레버(20)가 하측의 공간부(33)를 진행하면서 절곡부(31)를 밀어내면서 이동을 하게 되면 한 장의 책장이 지지간(30)의 눌르는 힘에서 해제되어 작동레버(30) 상단의 로울러(61)에 의하여 상측으로 밀려 올라가게 되고, 연속적인 작동으로 절곡부(31)를 통하여 상측의 공간부(32)로 이동이 되면 나머지 책장들은 다시 지지간(30)에 의하여 눌려지고 한 장의 책장만이 지지간(30)으로부터 이탈이 되어 책장이 넘겨진다.
이때, 상기 작동레버(20)가 지지간(30)의 하측 공간부(33)를 진행하면서 책장을 밀게되면 지지간(30)의 상단이 책장의 상부를 눌러주므로 한 장의 책장만이 밀려올라가는 것이다.
한편, 상기 로울러(61)가 좌측으로 이동될 때 케이스(60) 내부의 마찰편(63)에 의하여 굴름작용이 정지되어 책장을 넘길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어서 작동레버(20)가 게속 회동되어 좌측으로 이동되어 책장이 지지편(50) 쪽으로 넘겨지면 작동레버(20)가 회동되면서 넘겨진 책장을 눌러주어 지지편(50)의 내측으로 밀려들어가 일단 넘어간 책장은 지지편(50)에 의하여 고정이 된다.
이와 같이 책장이 완전히 넘어가게 되면 전술한 바와는 반대로 링크(43)의 작동에 의해 정,역회전을 하지 않고도 작동편(44)의 장공(45)에 결합된 핀축(22)의 작동으로 원위치로 복귀가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서, 작동레버(20)는 반대방향인 우측으로 진행을 하여 지지간(30)의 공간부(32)(33)와 절곡부(31)를 통과하여 받침대(10)의 내부로 수납되면서 리미트스위치(13)를 작동시켜 모터(40)의 구동이 정지되어 한 장의 책장을 넘기는 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때 작동레버(20)가 우측으로 이동될 때 로울러(61)의 축(61a)이 장공(62)의 내부에서 이동을 하여 마찰편(63)에 이탈된 상태에서 회전하게 되어 책장의 표면을 구르면서 이동되어 넘어간 책장을 다시 반대로 끌고 오는 현상이 방지된다.
따라서, 책을 보거나 악보 등을 보면서 연주를 할 때에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발을 사용하여 작동버튼(14)을 작동시키면 한 장의 책장이 자동으로 넙어가는 것이므로 한곡이 여러장의 악보로 형성된 오케스트라 등의 연주에서 악기를 연주하면서 악보를 넘겨야 함에 따라 연주의 흐름이 순간적으로 단절되는 등의 폐단이 완벽하게 해소되어 정확한 연주와 완벽한 하모니를 연출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책을 읽거나 악보 등을 보면서 연주를 할 경우 손을 사용하지 않고 발을 사용하여 책장을 자동으로 넘길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이 증진되는 것으로서 상기 작동버튼(14)을 가볍게 밟아주면 작동레버(20)가 힌지(21)를 중심으로 좌측으로 회동되면서 작동레버(20) 상단의 로울러(61)가 책장을 한 장씩 넘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책을 읽거나 연주회와 같이 쉬지 않고 다음 페이지를 연속적으로 봐야 할 경우 연주에 지장을 주지 않고 자연스럽게 책장을 넘길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받침대(10)의 후방에 받침판(11)이 구비된 것에 있어서, 함체로 이루어진 받침대(10)의 내부에는 모터(40)와 연동되는 워엄(41)과 워엄기어(42)가 설치되어 워엄기어(42)에 편심 설치된 링크(43)와 이에 연결된 작동편(44)에 의하여 모터(40)의 회전력이 직선왕복 운동되고, 상기 받침대(10)의 내부 중앙에는 스프링(23)으로 지지되는 작동레버(20)가 힌지(21) 결합되어 받침대(10) 상부의 안내홈(10a)을 통해 돌출되며, 작동레버(20)의 하단에 형성된 핀축(22)이 작동편(44)의 선단의 장공(45)에 결합되어 그 상단에 정,역회전이 제어되는 로울러(61)가 장착된 작동레버(20)가 소정의 범위내에서 회동되고, 상기 작동레버(20)의 일측에는 절곡부(31)와 공간부(32)(33)를 갖는 지지간(30)이 설치되어 스프링(34)으로 지지되고, 지지간(30)의 반대편에는 책장을 지지하는 지지편(50)이 설치되며, 상기 작동버튼(14)과 리미트스위치(13)에 의하여 그 작동이 제어되는 모터(40)의 구동으로 회동되는 작동레버(20) 상단의 로울러(61)에 의하여 책장을 넘길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책장 넘기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20)가 힌지(21)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우측으로 이동할 때에는 로울러(61)의 축(61a)이 장공(62)의 내부에서 이동을 하여 마찰편(63)에 이탈된 상태에서 회전하게 되어 책장의 표면을 굴르면서 이동을 하고, 좌측으로 이동되어 책장을 넘기는 경우에는 케이스(60) 내부에 축설된 로울러(61)의 축(61a)이 장공(62)의 내부에서 반대로 이동되어 케이스(60) 내부의 마찰편(63)에 접면되어 굴름작용이 정지되므로 책장을 넘길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책장 넘기는 장치.
KR1019980041445A 1998-10-01 1998-10-01 자동 책장 넘기는 장치 KR100284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1445A KR100284160B1 (ko) 1998-10-01 1998-10-01 자동 책장 넘기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1445A KR100284160B1 (ko) 1998-10-01 1998-10-01 자동 책장 넘기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4765A KR20000024765A (ko) 2000-05-06
KR100284160B1 true KR100284160B1 (ko) 2001-03-02

Family

ID=19552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1445A KR100284160B1 (ko) 1998-10-01 1998-10-01 자동 책장 넘기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41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913B1 (ko) * 2000-12-21 2004-12-03 정남수 책장을 자동으로 넘기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5303B1 (ko) * 2002-12-05 2005-06-14 정남수 자동 책장넘기는 장치
CN108851619B (zh) * 2018-07-04 2019-12-27 重庆交通大学 书立系统
CN112971393B (zh) * 2021-03-10 2023-04-21 南阳师范学院 一种思政教育用课本放置装置
KR102409967B1 (ko) * 2021-12-02 2022-06-16 장한설 원핸드 북그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913B1 (ko) * 2000-12-21 2004-12-03 정남수 책장을 자동으로 넘기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4765A (ko) 2000-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77694A (ja) 操作子装置
US6978563B2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turning page of book
KR100284160B1 (ko) 자동 책장 넘기는 장치
US6237437B1 (en) Turn signal switch
JPH0115134Y2 (ko)
KR100284327B1 (ko) 자동 페이지 넘김장치
GB2422371A (en) Limited page turning device
KR200209652Y1 (ko) 자동으로 악보를 넘기는 악보대
KR20220112396A (ko) 악보 자동 넘김장치
JP3666368B2 (ja) 電子楽器の外装構造
JP3481029B2 (ja) スライド操作型スイッチの節度機構
KR200188700Y1 (ko) 자동 악보대
JP2006149985A (ja) ゲームコントローラ
JP3110877B2 (ja) チルトフット機構
KR20020076949A (ko) 자동악보장치
JPS6128238Y2 (ko)
JPS595910Y2 (ja) 電子楽器におけるニ−レバ−式スイツチ操作装置
WO2001057847A1 (ko) A auto music stand
JPH0347226Y2 (ko)
JP2002315632A (ja) ページめくり機能付読書機
JPS595907Y2 (ja) 電子楽器におけるニ−レバ−式スイツチ操作装置
KR20020064595A (ko) 자동악보대
JPH113635A (ja) 操作レバー付きスイッチ
JPS5812228Y2 (ja) デンシガツキヨウリズムエンソウソウチ
JPS623726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