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9644Y1 - 케이블 절연링 - Google Patents

케이블 절연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9644Y1
KR200209644Y1 KR2019980015239U KR19980015239U KR200209644Y1 KR 200209644 Y1 KR200209644 Y1 KR 200209644Y1 KR 2019980015239 U KR2019980015239 U KR 2019980015239U KR 19980015239 U KR19980015239 U KR 19980015239U KR 200209644 Y1 KR200209644 Y1 KR 2002096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portion
cable
hinge
toggle
s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52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4704U (ko
Inventor
최헌동
Original Assignee
크레이그 리처드슨
리치코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레이그 리처드슨, 리치코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크레이그 리처드슨
Priority to KR20199800152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9644Y1/ko
Publication of KR200000047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47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96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9644Y1/ko

Links

Landscapes

  • Insul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4절링크 형태로 결합관계를 이루는 힌지를 이용하여 섹터형 케이블 홀더가 중심부의 힌지를 기점으로 회동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토글바를 두어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케이블 절연링을 이용하여 소정범위내에서 서로 다른 외경을 가지는 여러 가지의 케이블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중심측에 서로 대향하는 케이블 홀딩면(30a)(32a)을 갖으며, 제 1힌지부(40)를 기점으로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선회되는 양측의 섹터형 케이블 홀더(30)(32)와, 상기 제 1힌지부(40)와 삼각꼴을 이루는 제 2힌지부(41) 및 제 3힌지부(42)에 의해 상기 섹터형 케이블 홀더(30)(32)에 각각 힌지결합되며, 중앙에 설치된 토글힌지(43)에 의해 절곡되면서 상기 제 2힌지부(41)와 제 3힌지부(42)를 잇는 가상직선(L)을 통과하면서 토글운동되는 복수의 토글바(34)(36) 및 이 토글바(34)(36)중 적어도 하나의 토글바(36)로부터 연장형성된 원호형의 손잡이(38)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케이블 절연링
본 고안은 케이블이 근접되면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피영향물과 케이블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케이블 절연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4절링크 형태로 결합관계를 이루는 힌지를 이용하여 섹터형 케이블 홀더가 중심부의 힌지를 기점으로 회동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토글바를 두어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정범위내에서 서로 다른 외경을 가지는 여러 가지의 케이블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 케이블 절연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 절연링은 첨부도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운관(2)과 같은 피영향물의 옆을 지나가는 고압이 걸린 케이블(20)과 이 피영향물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케이블(20)에 의한 스파크를 방지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종래 케이블 절연링(22)은 첨부도면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구된 "C"자형의 보강테(10)와, 서로 대향하는 C홈(11)(12)을 가진 일측이 개구된 형태의 케이블 홀딩부(13)를 상기 보강테(10)의 중심에 위치시킨 후 여러개의 보강리브(14) (15)(16)(17)를 이용하여 서로를 일체형으로 구성한 것으로, 이 보강리브(14)(15)(16) (17)중에 상기 케이블 홀딩부(13)와 보강테(10)의 끝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보강리브(16)(17)는 서로 "V"자 모양을 이루면서 안쪽으로 향할수록 좁아지는 내협외광(內狹外廣)의 형태로 형성되어 케이블(20)의 진입이 원활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즉, 이와 같은 케이블 절연링(22)의 개구부(23)로 케이블(20)을 끼우게 되면, 내측의 케이블 홀딩부(13)와 외측의 보강테(10)가 바깥쪽으로 벌어지면서 케이블(20)이 이 케이블 홀딩부(13)의 안쪽으로 진입되다가 케이블(20)이 이 케이블 홀딩부(13)에 완전하게 끼워지게 되면, 벌어져 있던 케이블 홀딩부(13)와 외측의 보강테(10)가 탄성복원력에 의해 다시 원형으로 복원되면서 케이블 절연링(22)이 케이블(20)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피영향물(28)에 케이블(20)이 근접되는 경우 케이블 절연링(22)에 의해 피영향물(28)과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케이블 절연링(22)은 고정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었으므로, 소정범위(예를 들어 3.5 ∼ 4.5mm) 내에서 각기 다른 외경을 가지는 케이블(20)에 끼우는 경우 케이블 홀딩부(13)의 내경이 서로 다르게 제작된 케이블 절연링(22)을 필요로 하므로, 이에 따른 금형수의 증가와 함께 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하나의 케이블 절연링을 이용하여 소정범위내에서 서로 다른 외경을 가지는 케이블에 적용할 수 있는 케이블 절연링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심측에 서로 대향하는 케이블 홀딩면을 갖으며, 제 1힌지부를 기점으로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선회되는 양측의 섹터형 케이블 홀더와, 상기 제 1힌지부와 삼각꼴을 이루는 제 2힌지부 및 제 3힌지부에 의해 상기 섹터형 케이블 홀더에 각각 힌지결합되며, 중앙에 설치된 토글힌지에 의해 절곡되면서 상기 제 2힌지부와 제 3힌지부를 잇는 가상직선을 통과하면서 토글운동되는 복수의 토글바 및 이 토글바중 적어도 하나의 토글바로부터 연장형성된 원호형의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도 1 은 종래 케이블 절연링이 브라운관의 옆을 지나가는 고압케이블에 끼워진 상태를 보이는 사용상태예시도
도 2 는 종래 케이블 절연링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 3 은 종래 케이블 절연링의 구성을 보이는 정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절연링의 제 1실시예를 보이는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절연링이 닫힌 상태를 보이는 정면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절연링이 열린 상태를 보이는 정면도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후크의 구성을 보이는 도5의 A-A선 단면도
도 8 은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절연링의 제 2실시예를 보이는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30a,32a : 케이블 홀딩면 L : 가상직선
40 : 제 1힌지부 34,36 : 토글바
38 : 손잡이 30,32 : 섹터형 케이블 홀더
41 : 제 2힌지부 51,52,53,54a,54b : 힌지링
42 : 제 3힌지부 90,91,92,93 : 힌지핀
43 : 토글힌지 500,520 : 후크
38a,30t,32t,32m : 미끄럼 방지용 요철면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4은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절연링의 제 1실시예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절연링이 닫힌 상태를 보이는 정면도이며, 도6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절연링이 열린 상태를 보이는 정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섹터형 케이블 홀더(30)(32), 토글바(34)(36)가 도면중 파선으로 표시된 것과 같이 제 1힌지부(40), 제 2힌지부(41), 제 3힌지부(42), 토글힌지(43)에 의해 4절링크 형태로 연결관계를 이루게 된다. (도면에 표시한 파선은 설명을 위하여 표시한 것일 뿐 실제의 물건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상기 복수의 토글바(34)(36) 중 적어도 하나의 토글바(34)와, 상기 양측의 섹터형 케이블 홀더(30)(32) 중 적어도 하나의 섹터형 케이블 홀더(32)에 후크(500) (520)를 각각 추가로 설치하여 상기 섹터형 케이블 홀더(30)(32)가 닫힐 때 이들 후크(500)(520)가 결합되고, 이들 후크(500)(520)를 옆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휘게 되면, 분리되도록 구성하였다.
여기에서 상기 후크(500)(520)는 첨부도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볼 때 부분적으로 걸리는 직각삼각형 모양의 단면모양으로 형성하였으며, 위아래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하여 케이블(50)을 홀딩할 때는 서로 맞물리며, 분리시에는 옆으로 밀게 되면, 탄성에 의해 휘면서 서로 분리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섹터형 케이블 홀더(30)(32)는 중심측에 서로 대향하는 케이블 홀딩면(30a)(32a)을 갖으며, 제 1힌지부(40)를 기점으로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선회되도록 구성되며, 그 외측에 형성되는 원호형의 보강테(30h)(32h)와, 그 중심에 위치되는 케이블 홀딩부(30d)(32d), 이 보강테(30h)(32h)와 케이블 홀딩부(30d) (32d)를 잇는 보강리브(30e)(30f)(30k)(32e)(32k)들이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된 것이다.
상기 토글바(34)(36)는 상기 제 1힌지부(40)와 삼각꼴을 이루는 제 2힌지부(41) 및 제 3힌지부(42)에 의해 상기 섹터형 케이블 홀더(30)(32)에 각각 힌지결합되며, 중앙에 설치된 토글힌지(43)에 의해 절곡되면서 상기 제 2힌지부(41)와 제 3힌지부(42)를 잇는 도면중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가상직선(L)을 통과하면서 토글운동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토글바(34)(36)는 일자형으로 형성하였으며, 제 3힌지부(42)와 연결되는 토글바(36)와 손잡이(38)의 사이에는 서로 십자모양으로 교차하는 또 다른 보강리브(36s)(36t)가 이들 토글바(36) 및 손잡이(38)와 함께 일체로 형성되어 토글바(36)와 손잡이(38) 사이를 보강하도록 하였다.
도면중 일점쇄선으로 표시한 가상직선(L)은 설명을 위하여 표시한 것일 뿐 실제의 물건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상기 토글힌지(43)는 도면중 상기 가상직선(L)을 통과하여 이 가상직선(L)보다 아래쪽에 위치된 경우에는 홀딩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 가상직선(L)보다 위쪽에 위치된 경우에는 홀딩상태가 해제된다.
그리고, 상기 섹터형 케이블 홀더(30)(32)에 구비되어 있는 원호형의 보강테(30h)(32h)와 상기 원호형의 손잡이(38)는 케이블(50)을 홀딩하고 있는 상태에서 서로 동일중심을 이루는 원형링모양이 되도록 형성하였으며, 그들의 중심에는 상기 케이블 홀딩부(30d)(32d)가 위치되도록하여 이에 고정되는 케이블(50)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원호형의 보강테(30h)(32h)와 상기 토글바(36)에 형성되어 있는 원호형의 손잡이(38) 까지의 거리가 어느 정도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케이블 홀딩부(30d)(32d)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케이블 홀딩부(30d)를 만곡형으로 형성하여 보다 큰 직경을 가진 케이블(50)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 케이블 홀딩부(30d)(32d)의 케이블 홀딩면(30a)(32a)은 이로부터 케이블(50)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톱니형으로 각각 형성하였다.
여기에서 상기 손잡이(38)와 상기 섹터형 케이블 홀더(30)(32)에 구비되어 있는 원호형의 보강테(32h)의 외측면, 보강리브(30k)(32k)의 내측면에는 사용중 작업자의 손이 이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용 요철면(38a)(30t) (32t)(32m)을 형성하였다.
상기 섹터형 케이블 홀더(30)에는 홀딩시에 상기 손잡이(38)의 끝부분과 상기 보강리브(36s)의 일부분이 접촉되면서 걸리도록 상기 원호형의 보강테(30h)와 보강리브(30k)의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보강리브(30f)에 경사면(30g)를 형성하여 상기 섹터형 케이블 홀더(30)(32) 및 토글바(34)(36)가 닫혀진 상태로 있을 때 손잡이(38)와 원호형의 보강테(30h)가 만나는 부분인 외주면에 턱이 형성되지 않도록 구성하였다.
즉, 케이블 절연링(60)을 어느 방향에서 끼우더라도 케이블(50)과 피영향물(도시 않됨)간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제 1힌지부(40), 제 2힌지부(41), 제 3힌지부(42), 제 4힌지부(43)는 섹터형 케이블 홀더(30)(32), 토글바(34)(36)에 각각 일체로 성형되는 굴곡형으로 구성하였다.
첨부도면 도8은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절연링의 제 2실시예를 보이는 정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섹터형 케이블 홀더(30)(32), 토글바(34)(36), 손잡이(38), 미끄럼 방지용 요철면(38a)(30t)(32t)(32m) 등은 앞에서 설명한 제 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며, 다만 상기 제 1힌지부(40), 제 2힌지부(41), 제 3힌지부(42), 제 4힌지부(43)를 힌지핀(90)(91)(92)(93)에 의해 결합되는 힌지링(51)(52)(53)(54a)(54b)으로 구성되어 회동운동이 자유롭게 되도록 구성한 것이 다르다. (제 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부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음.)
도면중 미설명 부호 61은 케이블 절연링(60)의 개구부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도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섹터형 케이블 홀더(30)(32)의 사이가 벌어진 상태에서 케이블(50)을 개구부(61)를 통해서 중심부에 위치한 케이블 홀딩면(30a)(32a)으로 삽입한 다음 손잡이(38)를 도면중 화살표 K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타측의 토글바(34)는 제 2힌지부(41)를 기점으로 선회되고, 일측의 토글바(36)는 제 3힌지부(42)를 기점으로 선회되면서 동시에 이들을 연결하고 있는 토글힌지(43)가 절곡되면서 제 2힌지부(41)와 제 3힌지부(42)의 중심을 잇는 가상직선(L)을 향하여 움직이게 된다.
이후 케이블 홀딩부(30d)(32d)에 형성된 케이블 홀딩면(30a)(32a)에 케이블(50)이 물리게 되면, 토글바(34)(36)의 움직임에 저항이 있게 된다.
이때 토글힌지(43)는 도면중 가상직선(L)보다 위쪽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블 절연링(60)이 홀딩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할 수 없게 되는데, 이때 손잡이(38)를 더욱 강한 힘으로 누르게 되면, 케이블 절연링(60)이 지니고 있는 자체의 탄성 때문에 토글힌지(43)가 가상직선(L)을 통과하여 도5의 도면중 이 가상직선(L)보다 아래쪽에 위치됨과 동시에 케이블(50)에 가해지는 압력에 반발하는 힘에 의해 섹터형 케이블 홀더(30)(32)가 도면중 화살표 H, G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는데, 이 힘에 의해 토글바(34)(36)가 도면중 K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어 도5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절연링(60)이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 토글바(34)와 섹터형 케이블 홀더(32)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후크(500)(520)가 서로 맞물리게 된다.
한편, 첨부도면 도5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절연링(60)이 닫힌 상태에서 케이블(50)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먼저 후크(500)(520)의 옆에서 이들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휘게 되면, 서로의 맞물림이 해제되는데, 이때 손잡이(38)를 도면중 화살표 F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일측의 토글바(36)가 제 3힌지부(42)를 기점으로 동일방향으로 선회되며, 동시에 타측의 토글바(34)는 도면중 화살표 T방향으로 선회되어 토글힌지(43)가 가상직선(L)을 통과하여 이 가상직선(L)보다 위쪽에 위치되면, 케이블 절연링(60)이 지닌 자체의 탄성에너지에 의해 홀딩이 해제되는데, 이때 케이블 홀딩면(30a)(32a) 간의 간격이 커지면서 첨부도면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벌어진 상태로 되어 케이블(50)로부터 케이블 절연링(60)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또, 동일한 케이블 절연링(60)에 서로 다른 직경의 케이블(50)에 끼우는 경우 이 케이블(50)에 의해 작용되는 탄성복원력이 커지거나 작아질 뿐 다양한 직경을 가지는 케이블(50)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섹터형 케이블 홀더(30)(32)가 제 1힌지부(40)를 기점으로 벌어지거나 좁아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만곡형의 케이블 홀딩부(30d)가 있으므로, 다양한 직경의 케이블(50)을 홀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 1힌지부(40), 제 2힌지부(41), 제 3힌지부(42), 토글힌지(43)가 제 1실시예에서와 같이 굴곡형 힌지로 구성된 경우에는 이 부분이 절곡되면서 힌지기능을 하게 되고, 제 2실시예와 같이 구성된 경우에는 힌지핀(90)(91)(92)(93)을 중심으로 힌지링(51)(52)(53)(54a)(54b)이 회동되면서 이 힌지링(51)(52)(53)(54a)(54b)에 연결되어 있는 부분이 선회되면서 케이블 절연링(60)이 닫히거나 열리게 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38)와 섹터형 케이블 홀더(30)(32)의 내·외측면에 형성된 미끄럼 방지용 요철면(38a)(30t)(32t)(32m)은 작업자의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힌진에 의해 4절링크 형태로 움직이면서 케이블 홀딩면의 간격을 가변시킴과 동시에 토글바에 의해 홀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하나의 케이블 절연링을 이용하여 소정범위내에서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케이블에 끼울 수 있게 되어 기존과 같이 여러 가지 금형을 필요로 하지 않아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중심측에 서로 대향하는 케이블 홀딩면(30a)(32a)을 갖으며, 제 1힌지부(40)를 기점으로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선회되는 양측의 섹터형 케이블 홀더(30)(32);
    상기 제 1힌지부(40)와 삼각꼴을 이루는 제 2힌지부(41) 및 제 3힌지부(42)에 의해 상기 섹터형 케이블 홀더(30)(32)에 각각 힌지결합되며, 중앙에 설치된 토글힌지(43)에 의해 절곡되면서 상기 제 2힌지부(41)와 제 3힌지부(42)의 중심을 잇는 가상직선(L)을 통과하면서 토글운동되는 복수의 토글바(34)(36) 및 이 토글바(34)(36)중 적어도 하나의 토글바(36)로부터 연장형성된 원호형의 손잡이(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절연링.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토글바(34)(36) 중 적어도 하나의 토글바(34)와, 상기 양측의 섹터형 케이블 홀더(30)(32) 중 적어도 하나의 섹터형 케이블 홀더(32)에 후크(500)(520)를 각각 추가로 설치하여 상기 섹터형 케이블 홀더(30)(32)가 닫힐 때 이들 후크(500)(520)가 결합되고, 이들 후크(500)(520)를 옆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휘게 되면, 분리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절연링.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힌지부(40), 제 2힌지부(41), 제 3힌지부(42), 제 4힌지부(43)는 굴곡형 힌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절연링.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힌지부(40), 제 2힌지부(41), 제 3힌지부(42), 제 4힌지부(43)는 양측의 힌지링(51)(52)(53)(54)(55)(56)(57)(58)과, 이들 힌지링(51)(52) (53)(54)(55)(56)(57)(58)을 관통하는 힌지핀(90)(91)(92)(93)에 의해 회동운동이 자유롭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절연링.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38)와 섹터형 케이블 홀더(30)(32)의 내·외측면에 미끄럼 방지용 요철면(38a)(30t)(32t)(32m)을 추가로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절연링.
KR2019980015239U 1998-08-13 1998-08-13 케이블 절연링 KR2002096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239U KR200209644Y1 (ko) 1998-08-13 1998-08-13 케이블 절연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239U KR200209644Y1 (ko) 1998-08-13 1998-08-13 케이블 절연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704U KR20000004704U (ko) 2000-03-15
KR200209644Y1 true KR200209644Y1 (ko) 2001-01-15

Family

ID=69516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5239U KR200209644Y1 (ko) 1998-08-13 1998-08-13 케이블 절연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964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83068B (zh) * 2022-04-19 2024-05-17 湖南省醴陵市黄沙电瓷电器有限公司 一种高压输电用方便缠绕安装的陶瓷绝缘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704U (ko) 2000-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15013A (en) Connector fitting for connecting corrugated conduit sections
EP0870439B1 (en) Hair clip
EP1043518B1 (en) Guide chain
KR100449314B1 (ko) 플라스틱 집게
KR0141903B1 (ko) 직각 케이블 변형 해제 시스템
US4769985A (en) Guide chain
JP3010541B2 (ja) エネルギ導体用鎖状案内装置
AU1472299A (en) Vaginal specula
KR200209644Y1 (ko) 케이블 절연링
CN110604637A (zh) 仿生手指和机械手
JPH1084611A (ja) ワイヤハーネス外装用コルゲートチューブの継手部材
US7174902B2 (en) Hair ornament with a resilient attaching clip
EP0717483B1 (en) Angled cable clamp
US6140893A (en) Waveguide interconnection system
JP2021507481A (ja) 伸縮式レバーアセンブリを備えるコネクタ
CN211985796U (zh) 仿生手指和机械手
JP2002013680A (ja) コルゲートチューブ接続構造
JP3931522B2 (ja) 蓋構造
KR200191994Y1 (ko) 튜브 콘넥터 커버
JP3202740B2 (ja) 挟持具
KR200491244Y1 (ko) 원터치로 변형 가능한 휴대용 가방걸이
JP3940480B2 (ja) 電線保護管用継手
JPH11318020A (ja) ケーブルクランプ
US20240030652A1 (en) Plug lock mechanism
JPH0746829Y2 (ja) 継手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