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8954Y1 - 이젤 - Google Patents

이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8954Y1
KR200208954Y1 KR2020000021213U KR20000021213U KR200208954Y1 KR 200208954 Y1 KR200208954 Y1 KR 200208954Y1 KR 2020000021213 U KR2020000021213 U KR 2020000021213U KR 20000021213 U KR20000021213 U KR 20000021213U KR 200208954 Y1 KR200208954 Y1 KR 2002089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hole
main frame
bolt
easel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12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천섭
Original Assignee
송천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천섭 filed Critical 송천섭
Priority to KR20200000212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89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89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8954Y1/ko

Link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그림을 그릴 때 캔버스나 화판을 받쳐주는데 사용하는 이젤에 관한 것으로 T홈이 형성된 메인프레임의 전면에 상단고정틀과 하단고정틀을 구비하고, 배면 및 하단부에는 절첩이 가능한 다리 및 보조다리를 설치하여, 다리를 펼치거나 절첩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단고정틀과 하단고정틀 사이에 캔버스 또는 화판을 고정시키되 임의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 화판 및 캔버스의 경사도를 임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이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젤 {Easel}
본 고안은 그림을 그릴 때 캔버스나 화판을 받쳐주는데 사용하는 이젤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히는 T홈이 형성된 메인프레임의 전면에 상단고정틀과 하단고정틀을 구비하고, 배면 및 하단부에는 절첩이 가능한 다리 및 보조다리를 설치하여, 다리를 펼치거나 절첩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단고정틀과 하단고정틀 사이에 캔버스 또는 화판을 고정시키되 임의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 화판 및 캔버스의 경사도를 임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이젤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젤에 관한 알려진 공지의 기술로는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131613호(이젤) 및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137731호(삼각대형 이젤)가 있으며 그 구성 및 특징은 다음과 같다.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131613호에 기재된 이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 프레임과 접거나 펼쳐지는 다리를 가진 것에 있어서, 길이 방향을 따라서 슬로트와 안내레일이 형성된 안내막대를 사다리꼴 프레임의 중앙에 고정하고, 안내막대의 안내레일 속에 회전되지 않도록 끼워 전체 안내레일을 따라서 움직일 수 있도록 끼워지는 헤드를 가진 볼트를 포함하는 제1화판받침과 제2화판받침을, 안내막대의 슬로트 밖으로 노출되는 상기 볼트의 나사봉과 체결되는 암나사 구멍을 가진 잠금 손잡이로 안내막대에 결합시켜서 된 이젤』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종래의 이젤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된다.
제1화판받침과 제2화판받침사이에 화판 또는 캔버스를 고정시킬 때에 제1화판받침을 사용자의 신체조건 또는 취향에 따라 임의 높이에 고정시키고 화판 또는 캔버스를 제1화판받침에 올려놓고 제2화판받침을 고정하는데 제2화판받침에 잠금 손잡이는 이젤의 배면 쪽으로 설치되어 있어 부득이 이젤의 뒤쪽으로 돌아가거나 팔이 꺾이는 부자연스런 상태로 조이게 되는 불편함이 발생하였으며, 제1화판받침과 안내막대가 수직수평을 이루도록 지지하는 부재가 없이 단지 잠금 손잡이와 볼트봉의 조임력에 의해서만 유지되므로 타인 또는 본인의 부주의로 화판을 건드려 졌을 때 화판이 쉽게 기울어져버리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또한, 이젤의 전후방 경사각을 임의로 조절할 수가 없고 단지 화판 또는 캔버스의 높낮이만을 변경할 수 있을 뿐이어서 화판 또는 캔버스를 높은 위치에 고정하여야할 때에는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화판까지의 거리가 자연히 멀어지게 되며, 부수적인 그림도구 즉, 붓, 물통, 팔레트 등을 얹어 놓을 수 없어 보조받침대를 별도로 준비해야만 하는 것이다.
또한, 그림 그리기가 끝나고 이동하거나 정리할 때에는 배면에 설치된 보조다리를 접어 이동하게되며 사다리꼴프레임은 접히지 않는 고정된 상태로서 부피가 커 이동이 용이하지 못하고 정리 정돈할 때에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등 문제점이 지적된다.
종래 예의 또 다른 이젤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137731호의 삼각대형 이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이 『화판을 결합하여 그림을 그리도록 구성된 삼각대형 이젤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에 높이조절이 가능토록 삽설된 클램프의 지지봉을 좌우 한 쌍으로 구성하여 고정구로 고정하도록 하고, 상기 메인프레임에 하단에 절첩 가능토록 결합된 받침다리에 결합되어 길이조정을 자유롭게 조절하는 고정구 중 상기 전방받침다리에 설치된 고정구에 상 방향으로 길게 돌출 되도록 결합축핀으로 구성하는 것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받침다리를 한마디로만 구성하여 탁상용으로 사용하도록 구성하는 것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단에 절첩 가능토록 결합된 세 개의 받침다리 하단에 고리를 구성하고 상기 고리를 고리고정용 팩을 이용하여 땅에 견고히 고정토록 구성하는 것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높이조절이 가능토록 삽설되는 클램프의 상면에 손잡이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삼각대형 이젤』인 것이다.
상기 삼각대형 이젤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된다.
화판은 삼각대의 첫마디와 메인프레임의 클램프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전체적인 무게중심은 상측에 형성되므로 불안정한 상태로 작업을 하게되며, 특히 바람이 불거나 타인 또는 본인의 부주의로 화판을 건들 경우 쉽게 넘어지는 등의 안정적이지 못하고, 부득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리 끝을 바닥 등에 고정하여야 되는 번거로움이 지적된다.
또한, 받침다리는 길게 뻗쳐지게 됨으로서 화실에 설치될 경우 타인의 다리가 삼각대형 이젤의 다리에 걸려 넘어지는 경우가 빈번히 일어나며, 환봉 형상의 마디가 끼워져 결합된 세 개의 다리를 펼치기 위해서는 각각의 다리를 펼쳐야하므로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지적되고, 다리의 부품의 개수가 많음으로서 그만큼 제조시간이 소요되어 비효율적인 문제가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와 폐단을 해소할 수 있도록 개선된 이젤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절첩이 가능하도록 하여 최대한 부피를 줄여 이동 또는 보관에 편리함을 더할 수 있도록 된 이젤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화판 또는 캔버스를 임의의 높이에 고정하고 전후방향의 임의의 경사각으로 조절이 가능하며, 화판 또는 캔버스와 메인프레임이 언제나 수직수평을 이루도록 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그림을 그리는 데 필요한 도구 등을 얹혀 놓을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받침대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도록 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보조다리의 길이조절 기능 등 불필요한 기능을 제거하여 제품을 단순화시켜 제조원가를 낮추도록 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메인프레임, 다리 및 보조다리 등의 재질을 금속으로 제조하여 목재 재질의 이젤보다 견고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목적은,
화판 또는 캔버스의 상·하측 틀을 고정하여 지지하고, 이젤의 배면에 설치되는 다리를 절첩 가능하도록 하는 이젤에 있어서,
T홈(3)(4)이 전·후면에 형성되고 전면 T홈(3)의 양단으로 확장판(5)형성되는 메인프레임(2)을 구성하는 것과, 상기 메인프레임(2)의 전면 T홈(3)에 상단고정틀(13)과 하단고정틀(18)이 설치되고 배면 T홈(4)에 경첩(7)의 T볼트(9)가 끼워지며, 경첩(7)에는 다리(6)가 설치되고, 상기 메인프레임(2)의 하단부에는 보조다리고정부(25)가 형성되는 것과,
상기 다리(6)와 메인프레임(2)은 링크(11)로 연결되며 링크(11)의 양단부는 회동이 자유롭도록 힌지 결합되어지는 것과,
상기 상단고정틀(13)은 단면형상이 영문 소문자 ‘h’형상의 h형프레임(14)이며, 아래쪽에는 오목부(14-1)가 형성되고, 수직판(14-2)의 중앙에는 배면방향으로 돌출된 돌기(16)와 체결공(17)이 형성되며, 수직판(14-2)의 뒤쪽에는 부직포(15)가 부착되어 체결공(17)에 T볼트(9)가 끼워져 T볼트(9)의 헤드가 상기 메인프레임(2)의 전면 T홈(3)에 끼워져 고정너트(8)로 상단고정틀(13)을 고정시키는 것과,
상기 하단고정틀(18)은 단면형상이 ‘’자 형상의형프레임(19)으로 상판에는 오목부(19-1)가 형성되고, 받침판(20)의 하측에는 돌출편(20-1)이 형성되며, 받침판(20)의 일측에 사각체결공(20-2)이 형성되고, 사각체결공(20-2)에는 걸이편(21)이 사각목볼트(9-1)와 고정너트(8)에 의해 체결 고정되며, 수직벽(19-2)의 중앙에는 배면방향으로 돌출된 돌기(23)와 체결공(24)이 형성되고, 수직벽(19-2)의 뒤쪽으로 부직포(22)가 부착되며, 체결공(24)에 T볼트(9)가 끼워져 T볼트(9)의 헤드가 상기 메인프레임(2)의 배면 T홈(4)에 끼워져 고정너트(8)로 하단고정틀(18)을 고정시키는 것과,
상기 메인프레임(2)의 하단부에 브래킷(26)이 리벳(27)으로 고정되고, 브래킷(26)의 체결공(26-2)에는 리벳(28)을 끼워지며, 리벳(28)의 봉에 와셔(29), 보조다리(30)(31), 와셔(29-1) 및 고정편(32)의 순으로 체결되어 리벳팅되며 보조다리(30)(31)는 회전 자유롭게 고정되는 것과,
상기 보조다리(30)의 상단 일측에는 사각체결공(30-2)이 형성되고 사각체결공(30-2)에 사각목볼트(9-1)가 전면에서 배면 방향으로 끼워져 뒤쪽에서 고정너트(8)로 체결되는 것과,
상기 보조다리(31)의 상단 일측에 체결공(31-2)이 형성되고, 체결공(31-2)에는 리벳(28)이 끼워지고, 리벳(28)의 봉에 와셔(29) 및 지지편(33)의 체결공(32-1)이 끼워져 리벳팅되며 지지편(33)은 회동이 자유롭게 고정되는 것과,
상기 지지편(33)의 중앙에는 체결공(33-2)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걸림홈(33-3)이 아래 방향으로 개방되어 형성되며, 체결공(33-2)에는 T볼트(9)가 끼워져 고정볼트(8)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젤(1)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하단고정틀(13)(18)을 임의의 높이로 메인프레임(2)에 고정할 수 있고, 배면에 결합되는 다리(6)는 경첩(7)과 링크(11)에 의해 이젤(1)의 전후방향의 경사각을 임으로 조절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며, 하단고정틀(18)에 형성된 ‘’형 프레임(19)의 받침판(20)과 걸이편(21)에 붓, 팔레트 물통 등 미술도구를 올려놓거나 걸어 놓을 수 있는 것이다.
도1a 및 도1b는 본 고안에 따른 이젤의 정면 및 배면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이젤의 분해사시도
도3a 내지 도3c는 본 고안의 주요 요부를 발췌한 분해사시도로서,
도3a는 상단고정틀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3b는 하단고정틀을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3b는 보조다리고정부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4a 및 도4b는 본 고안에 따른 이젤의 사용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이젤의 절첩 상태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 이젤 2: 메인프레임 3, 4: T홈 5: 확장판
6: 다리 7: 경첩 8: 고정너트 9: T볼트
9-1:사각목볼트 10: 패킹 11: 링크 12: 힌지축
13: 상단고정틀 14: h형프레임 14-1, 19-1: 오목부 15, 22: 부직포
16, 23: 돌기 17, 24: 체결공 18: 하단고정틀 19:형프레임
20: 받침판 21: 걸이편 25: 보조다리고정부 26: 브래킷
28: 리벳 30,31: 보조다리 32: 고정편 33: 지지편
33-3: 걸림홈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목적과 특징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1a 및 도1b는 본 고안에 따른 이젤(1)의 펼쳐진 상태를 보인 정면사시도 및 배면사시도이며,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이젤(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3a 내지 도3c는 주요 요부만을 발췌하여서 보인 분해사시도로서 도3a는 상단고정틀(13)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3b는 하단고정틀(18)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3c는 보조다리고정부(25)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4a 및 도4b는 절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도4a는 메인프레임(2)과 다리(6)의 절첩과정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4b는 메인프레임(2)과 보조다리(30)(31)의 절첩 또는 펼치는 과정을 보인 예시도이며,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이젤(1)을 완전하게 절첩한 상태를 보인 배면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이젤(1)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2)의 전면에는 상단고정틀(13)과 하단고정틀(18)이 설치되고 배면에는 다리(6)가 절첩되며, 하단부에는 보조다리(30)(31)가 설치된 것이다.
상기 메인프레임(2)은 프레임의 전·후면에 T홈(3)(4)이 형성되고, 전면 T홈(3)의 양쪽으로는 확장판(5)이 형성되며, 메인프레임(2)의 아래쪽 확장판(5)에는 차후에 설명되는 보조다리고정부(25)가 구성되어 체결되는 체결공(27-1)이 전후방향으로 뚫려지고, 체결공(27-1)보다 위쪽으로 메인프레임(2)에 좌우방향으로 힌지결합을 위한 체결공(12-2)이 뚫어져 차후에 설명되는 링크(11)와 힌지결합 된다.
상기 상단고정틀(13)은 도2 및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문소문자 ‘h’형상의 h형프레임(14)으로 구성되며, 아래 방향으로 오목한 요홈부(14-1)가 형성되어져 화판 또는 캔버스의 상측 틀을 지지 고정하도록 된 것이고, 특히 요홈부(14-1)의 단면 형상은 물결무늬형상으로 굴곡이 형성되어 화판 또는 캔버스의 틀 두께가 요홈부(14-1)보다 작을 때 틀의 모서리가 골 사이에 걸쳐져 전후방향으로 미끄러지는 현상이 억제되어 보다 견고하게 받쳐주도록 된 것이다.
수직판(14-2)의 중앙부에는 돌기(16)가 배면방향으로 돌출 성형되며, 수직판(14-2)의 중앙부 상단에는 체결공(17)이 뚫어져 T볼트(9)가 끼워지고 T볼트(9)의 나사부에 고정너트(8)가 체결되는 것이며, 메인프레임(2)에 상단고정틀(13)을 장착하였을 때에 T볼트(9)의 헤드부는 메인프레임(2)의 T홈(3)에 끼워지며 전방으로 돌출 되는 나사부에 고정너트(8)를 체결하여 상단고정틀(13)을 고정 지지하는 것이며 이때 돌기(16)는 T홈(3)에 삽입되어져 수직가이드 역할을 하도록 된 것이다.
또한 수직판(14-2)의 배면에는 부직포(15)를 부착하여 상단고정틀(13)을 메인프레임(2)에서 높낮이 조절을 위해 이동시킬 때 금속과 금속의 마찰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면서 보다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하단고정틀(18)은 도2 및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형상의형프레임(19)으로 구성되며, 상단에는 상단고정틀(13)의 h형프레임(14)의 요홈부(14-1)와 대칭 되는 형상의 요홈부(19-1)가 형성되고, 특히 요홈부(19-1)의 단면 형상은 물결무늬형상으로 굴곡이 형성되어 화판 또는 캔버스의 틀 두께가 요홈부(19-1)보다 작을 때 틀의 모서리가 골 사이에 걸쳐져 전후방향으로 미끄러지는 현상이 억제되어 보다 견고하게 받쳐주도록 된 것이며, 받침판(20)의 아래쪽에는 돌출 성형된 돌기편(20-1)이 형성되어 차후에 설명되는 걸이편(21)이 걸쳐지면서 고정되어 걸이편(21)이 경사지도록 고정되도록 된 것이고, 받침판(20)의 평판 부의 일측에는 사각체결공(20-2)이 뚫어져 형성되며 사각체결공(20-2)에 사각목볼트(9-1)가 끼워지고 아래 방향으로 돌출된 나사부에 걸이편(21)의 체결공(21-1)과 고정볼트(8)가 순차적으로 체결되어 걸이편(21)이 지지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걸이편(21)에는 상술한바와 같이 걸이편(21)의 일측에 체결공(21-1) 형성되는 것이며 이때 체결공(21-1)이 뚫어지는 위치는 사각체결공(20-2)에서 돌기편(20-1)까지의 거리보다 큰 거리로서 걸이편(21)을 ??형프레임(19)에 고정될 때에 걸이편(21)의 단부가 돌기편(20-1)에 얹혀지도록 하여 걸이편(21)의 전방부가 상대적으로 들려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형프레임(19)의 수직벽(19-2)에는 중앙부에 2개의 돌기(23)가 배면방향으로 돌출 성형되며, 돌기(23)의 사이 중앙에는 체결공(24)이 뚫어져 상단고정틀(13)의 고정방법과 동일하게 고정되는 것으로 T볼트(9)가 체결공(24)에 끼워지고 T볼트(9)의 나사부에 고정너트(8)가 체결되는 것이며, 메인프레임(2)에 하단고정틀(18)을 장착하였을 때에 T볼트(9)의 헤드부는 메인프레임(2)의 T홈(3)에 끼워지며 전방으로 돌출 되는 나사부에 고정너트(8)가 체결되어 하단고정틀(18)이 고정 지지되는 것이고 이때 돌기(16)는 T홈(3)에 삽입되어져 수직가이드 역할을 하도록 된 것이다.
또한 수직판(19-2)의 배면에는 부직포(22)를 부착하여 하단고정틀(18)을 메인프레임(2)에서 높낮이 조절을 위해 이동시킬 때 금속과 금속의 마찰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면서 보다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다리(6)의 구성은 도1b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하단에는 고무재질의 패킹(10)이 끼워지고 상단에는 경첩(7)의 하단 판이 리벳팅되어 고정되며, 경첩(7)의 상단 판은 체결공(7-1)이 뚫어지고 체결공(7-1)에는 전방에서 후방 쪽으로 T볼트(9)가 끼워지며 돌출 되는 나사부에 고정너트(8)가 체결되는 것이고 T볼트(9)의 헤드부는 메인프레임(2)의 후면 T홈(4)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것이며, 다리(6)의 중간부에는 체결공(12-1)이 형성되어 상기 링크(11)와 힌지 결합되는 것으로 다리(6)와 링크(11)는 회동이 자유롭도록 체결 고정된다.
상기 보조다리고정부(25)는 도1b 내지 도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공(26-1)(26-2)이 뚫어진 U자형상의 브래킷(6)을 리벳(27)에 의해 메인프레임(2)의 확장판(5)에 형성된 체결공(27-1)과 체결공(26-1)에 리벳팅되어 고정되며, 체결공(26-2)과 와셔(29), 보조다리(30)(31)의 체결공(30-1)(31-1), 와셔(29-1) 및 고정편(32)의 체결공(32-1)에 리벳(28)이 끼워져 보조다리(30)(31)의 회동이 자유롭도록 리벳팅되어 고정된다.
상기 보조다리(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단에 체결공(30-1)이 형성되어 브래킷(26) 및 고정편(32)과 리벳팅되며, 중간부에는 사각체결공(30-2)이 형성되어 사각목볼트(9-1)가 끼워지고 고정너트(8)가 체결되고, 하단부에는 고무재질의 패킹(10)이 끼워진다.
상기 보조다리(3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단에 체결공(31-1)이 형성되어 브래킷(26) 및 고정편(32)과 리벳팅되며, 중간부에는 체결공(31-2)이 형성되고, 체결공(31-2)에는 리벳(28)이 끼워지고 돌출 되는 리벳(28)의 봉에 와셔(29) 및 지지편(33)의 체결공(33-1)이 끼워져 지지편(33)의 회동이 자유롭도록 리벳팅된다.
상기 지지편(33)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일측에는 체결공(33-1)이 뚫어져 보조다리(31-1)와 리벳팅되며, 지지편(33)의 중간부에는 다른 체결공(33-2)이 뚫어지고, 체결공(33-2)에는 전방에서 후방 쪽으로 T볼트(9)가 끼워지며 돌출 되는 T볼트(9)의 나사부에 고정볼트(8)가 체결되고, 지지편(33)의 타단에는 아래 방향으로 개방된 걸림홈(33-3)이 형성되며, 지지편(33)에 끼워진 T볼트(9)의 헤드는 이젤(1)을 펼칠 때에 메인프레임(2)의 후면 T홈(4)에 끼워진다.
이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6)를 메인프레임(2)과 경사지도록 할 경우 도면상에서 표현한 ⓐ화살표 방향으로 움직이면 펼쳐지는 것이다.
즉, 고정너트(8)를 풀고 아래 방향(ⓐ방향)으로 내리게 되면 고정너트(8)에 체결된 T볼트(9)는 T홈(4)에서 슬라이딩하면서 동시에 내려오게 되며, 이때 경첩(7)은 자연스럽게 절첩되면서 내려가고 경첩(7)에 고정된 다리(6)는 동시에 내려가게 된다. 이때 다리(6)와 연결된 링크(11)에 의해 메인프레임(2)과 다리(6)는 벌어져지게 되며 적정한 각을 이루었을 때에 고정볼트(8)를 조임으로서 다리(6)와 메인프레임(2)을 고정시키는 것이며, 고정볼트(8)의 고정위치를 변화시킴에 따라 이젤(1)의 경사각이 조절되는 것이다.
펼쳐진 다리(6)를 절첩시키고자 할 때에는 도4a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움직이면 되는 것이다.즉, 고정된 고정볼트(8)를 풀고 고정볼트(8)를 위쪽으로 올리게 되면 경첩(7)에 연결된 다리(6)를 동시에 세워져 메인프레임(2)에 밀착되어 접혀지는 것이다.
보조다리(30)(31)의 전개방법은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보조다리(30)(31)를 적정한 각도로 벌리고 보조다리(31)에 설치된 지지편(33)의 T볼트(9)의 헤드부를 메인프레임(2)의 배면 T홈(4)에 끼워 올리고 보조다리(30)의 사각목볼트(9-1)의 나사봉에 지지편(33)의 걸림홈(33-3)이 걸리도록 지지편(33)을 내린 다음 고정볼트(8)를 조여주는 것이다.
보조다리(30)(31)의 절첩방법은 전개방법의 역순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도4b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너트(8)를 풀고 지지편(33)을 보조다리(30)에서 걸림을 해제하며 상측방향으로 회전시켜 올려주게 되면 절첩이 되는 것이다.
화판 또는 캔버스의 고정은 메인프레임(2)의 임의의 높이에 하단고정틀(18)고정시키고 화판 또는 캔버스를 하단고정틀(18)에 올려놓은 다음 화판 또는 캔버스의 상측 틀을 누르도록 상단고정틀(13)을 내려 고정하는 것이다.
이때 하단고정틀(18)의 받침판(20)에는 미술도구 등을 올려놓을 수 있는 것이며 특히 걸이편(21)을 전방을 향하도록 고정하였을 경우 보다 큰 팔레트를 얹혀 놓을 수 있고 물통 등을 걸어 놓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h형프레임(14) 및형프레임(19)의 수직벽(14-2)(19-2)에 형성된 돌기(16)(23)는 T홈(3)에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것으로 상·하단고정틀(13)(18)과 메인프레임(2)이 수평수직이 유지되는 것이다.
상·하단고정틀(13)(18)을 절첩하고자 할 때에는 하단고정틀(18)에서 걸이편(21)을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쪽으로 회전시켜 고정시키며, 각각의 고정볼트(8)를 풀고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시켜 메인프레임(2)과 동일한 길이방향으로 되었을 때에 고정볼트(8)를 조여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이젤(1)에서 체결요소로서 사각체결공(20-2)(30-2)에 사각목볼트(9-1)를 체결함으로써 사각목볼트(9-1)의 회전을 억제하여 고정볼트(8)의 고정이 보다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젤(1)은
모든 다리 및 상·하단고정틀의 절첩 또는 회전이 가능하여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한 부피를 줄여 휴대 및 보관이 유리하며 이동이 편리하여 유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며, 상·하단고정틀(13)(18)은 돌기(16)(23)와 메인프레임(2)의 T홈(3)의 가이드역할로 인해 언제나 수직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고정되는 화판 또는 캔버스는 수평수직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고, 보조다리의 길이조절 기능이 없어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화판 또는 캔버스의 고정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며, 전후방향의 임의의 경사각으로 조절이 가능하며, 그림을 그리는 데 필요한 도구 등을 얹혀 놓을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받침대를 구비하지 않도록 하고, 프레임 구성 재질을 목재보다 견고한 금속재질로 성형 제조함으로서 제품을 보다 견고하게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되는 단순한 설계변경의 범위는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5)

  1. 화판 또는 캔버스의 상·하측 틀을 고정하여 지지하고, 이젤의 배면에 설치되는 다리를 절첩 가능하도록 하는 이젤에 있어서,
    T홈(3)(4)을 전·후면에 형성하고 전면 T홈(3)의 양단으로 확장판(5)을 형성하여서 메인프레임(2)을 구성하는 것과,
    상기 메인프레임(2)의 전면 T홈(3)에 상단고정틀(13)과 하단고정틀(18)을 설치하는 것과,
    상기 메인프레임(2)의 배면 T홈(4)에 절첩이 가능한 다리(6)를 설치하는 것과,
    상기 메인프레임(2)의 하단부에는 보조다리고정부(25)를 구성하며, 보조다리고정부(25)에 보조다리(30)(31)를 구비한 것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젤.
  2. 제1항에 있어서,
    상단고정틀(13)과 하단고정틀(18)에는,
    요홈부(14-1)(19-1)가 대향되도록 형성하고, 수직벽(14-2)(19-2)에는 돌기(16)(23)와 체결공(17)(24)을 형성하며, 수직벽(14-2)(19-2)의 배면에는 부직포(15)(22)를 부착하고, 상기 체결공(17)(24)에는 T볼트(9)를 끼우되 T볼트(9)의 헤드부는 메인프레임(2)의 T홈(3)에 끼워져 슬라이딩하며, 돌출된 나사봉에는 고정너트(8)로 조여서 상·하단고정틀(13)(18)을 메인프레임(2)에 고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단고정틀(18)은, 받침판(20)의 하측에 돌출편(20-1)을 형성하고 받침판(20)의 일측에 사각체결공(20-2)을 형성하며 걸이편(21)의 일측에 체결공(21-1)을 형성하되 단부에서 체결공(21-1)까지의 거리가 돌출편(20-1)에서 사각체결공(20-2)까지의 거리보다 길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젤.
  4. 제 1항에 있어서,
    링크(11)로 연결되는 다리(6)와 메인프레임(2)은, 다리(6)의 상단부는 경첩(7)을 고정하고, 경첩(7)의 상부 판은 T볼트(9)와 체결하며, T볼트(9)의 헤드부를 메인프레임(2)의 배면 T홈(4)에 삽입하여 T홈(4)과 T볼트(9)가 슬라이딩하면서 다리(6)가 절첩 또는 전개하도록 한을 특징으로 하는 이젤.
  5. 제1항에 있어서
    보조다리고정부(25)는,
    메인프레임(2)의 하단부에 브래킷(26)이 리벳(27)으로 고정하고, 브래킷(26)의 체결공(26-2)에는 리벳(28)을 끼우며, 리벳(28)의 봉에 와셔(29), 보조다리(30)(31), 와셔(29-1) 및 고정편(32)의 순으로 끼워서 리벳팅하여 보조다리(30)(31)가 보조다리고정부(25)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고정하는 것과,
    상기 보조다리(30)의 상단 일측에는 사각체결공(30-2)을 형성하고, 사각체결공(30-2)에는 사각목볼트(9-1)을 전면에서 배면 방향으로 끼워 후방에서 고정너트(8)로 체결하는 것과,
    상기 보조다리(31)의 상단 일측에 체결공(31-2)을 형성하고, 체결공(31-2)에는 리벳(28)을 끼우며, 리벳(28)의 봉에 와셔(29) 및 지지편(33)의 체결공(32-1)을 끼우고 리벳팅하여 지지편(33)을 보조다리(31)에서 회동이 자유롭게 고정하는 것과,
    상기 지지편(33)의 중앙에는 체결공(33-2)을 형성하고, 타단에는 걸림홈(33-3)을 아래 방향으로 개방하도록 형성하며, 체결공(33-2)에는 T볼트(9)를 끼워 고정볼트(8)와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젤.
KR2020000021213U 2000-07-25 2000-07-25 이젤 KR2002089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213U KR200208954Y1 (ko) 2000-07-25 2000-07-25 이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213U KR200208954Y1 (ko) 2000-07-25 2000-07-25 이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8954Y1 true KR200208954Y1 (ko) 2001-01-15

Family

ID=73056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1213U KR200208954Y1 (ko) 2000-07-25 2000-07-25 이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895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32316A (zh) * 2018-12-09 2019-03-29 宁德职业技术学院 一种工艺美术用的旋转组合可调整画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32316A (zh) * 2018-12-09 2019-03-29 宁德职业技术学院 一种工艺美术用的旋转组合可调整画板
CN109532316B (zh) * 2018-12-09 2024-02-13 宁德职业技术学院 一种工艺美术用的旋转组合可调整画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8954Y1 (ko) 이젤
EP3106063A1 (en) Hanging table comprising folding and unfolding structure
CN211862488U (zh) 一种轴连接支撑脚架和衣帽架
US4627592A (en) Easel
JP2513258Y2 (ja) 棚の取付装置
KR20060122187A (ko) 캐노피
KR200156322Y1 (ko) 회화용 이젤
CN217447004U (zh) 一种桌子
JPH0710582Y2 (ja) 椅 子
RU2794442C1 (ru) Мольберт
JP3539905B2 (ja) ボード支持台
KR100317721B1 (ko) 절첩식 테이블의 이동받침
JP3066238U (ja) 野外用折畳みラック
CN210630939U (zh) 一种可折叠床架
KR970002949Y1 (ko) 절첩식 선반
KR200277896Y1 (ko) 조립식 안내판 걸이대
KR200258537Y1 (ko) 조립식 선반
KR870001599Y1 (ko) 낚시용 받침대
JPH08228869A (ja) 押圧固定具
JPS627274Y2 (ko)
JP3369113B2 (ja) 簡易設置棚
JP3020162U (ja) 折り畳み式クッキングテーブル
JPH0347554Y2 (ko)
KR200390986Y1 (ko) 디스플레이용 사다리꼴 이젤 스탠드
JP3012005U (ja) 折畳式ハンガーラ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