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8567Y1 - 바닥에 돌기를 지니는 매트 - Google Patents

바닥에 돌기를 지니는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8567Y1
KR200208567Y1 KR2020000014294U KR20000014294U KR200208567Y1 KR 200208567 Y1 KR200208567 Y1 KR 200208567Y1 KR 2020000014294 U KR2020000014294 U KR 2020000014294U KR 20000014294 U KR20000014294 U KR 20000014294U KR 200208567 Y1 KR200208567 Y1 KR 2002085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mat
protrusion
rubber
pv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42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대균
Original Assignee
오대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대균 filed Critical 오대균
Priority to KR20200000142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85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85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8567Y1/ko

Links

Landscapes

  • Carp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무, PVC 등의 베이스판의 일면에 다수 일체로 형성된 미끄럼방지용 돌기가 그 외주연부에서 각지게 형성되고 나아가 버어가 형성됨으로써 미끄럼 내지 밀림을 최대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바닥에 돌기를 지니는 매트를 제공한다.
그 매트는, 일면에 미끄럼방지용 돌기(23)가 다수 일체로 형성된 고무, PVC 등의 베이스판(22)과, 그 베이스판(22)의 다른 일면에 주로 부직포, 카페트 등의 섬유층이 부착되어 형성된 쿠션판(2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실내바닥, 현관입구 또는 복도 바닥 등의 매트에 있어서, 미끄럼 내지 밀림을 최대로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돌기(23)의 외주연부(24)가 적어도 각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기(23)는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 등의 단면형상으로서 고무, PVC 등의 베이스판(22)이 응고 또는 경화하는 때에 형성되고, 그 돌기(23)의 외주연부(24)에는 예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버어(burr)(24')가 형성되며, 상기 쿠션판(21)은 고무, PVC 등의 베이스판(22)의 응고 내지 경화시에 별도의 접착제없이 가열 및 가압하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바닥에 돌기를 지니는 매트{MAT WITH MULTIPLE PROTRUSIONS}
본 고안은 바닥에 돌기를 지니는 매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고무, PVC 등의 베이스판의 일면에 다수 일체로 형성된 미끄럼방지용 돌기가 그 외주연부에서 각지게 형성되고 나아가 버어가 형성됨으로써 미끄럼 내지 밀림을 최대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바닥에 돌기를 지니는 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차량용 등의 매트(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베이스판(12)이 고무 또는 합성수지 등으로 성형되고, 그 위에 부직포, 카페트 등의 섬유층으로 쿠션판(11)이 형성되며, 그 베이스판(12)의 하면에는 대개 일체로 다수의 돌기(13)가 형성되어 미끄럼 내지 밀림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매트(10)의 종래의 제조방법의 일예에 있어서는, 도 2에서 돌기성형홈(3)이 형성된 하형(2)상에 고무, PVC 등의 베이스판(12)을 배치하고, 그 위에 부직포, 카페트 등의 섬유층을 형성시키고 상형(1)으로 가압함으로써 쿠션판(11)이 고정,부착되고 돌기(13)가 일체로 형성된 매트(10)가 성형되게 된다. 이때, 공급되는 베이스판(12)은 하면에서 돌기(13)의 성형성과 상면의 쿠션판(11)의 부착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가공성이 잔존하여야 하며, 열가소성 합성수지의 경우, 히터, 열매체오일, 스팀, 열풍 등에 의해 열을 가하여 성형성을 부여한다.
그러나, 이러한 제조방법에 의하여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13)의 가압성형시 아무리 고압이라도 돌기성형홈(3)에 공기에 의해 공간부(4)가 형성되게 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13)의 외주연부(14)가 둥글게 성형되게 되기 때문에 매트(10)를 배치한 때에 그 돌기(13)에서 미끄럼 내지 밀림이 발생하게 되어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무, PVC 등의 베이스판의 일면에 다수 일체로 형성된 미끄럼방지용 돌기가 그 외주연부에서 각지게 형성되고 나아가 버어가 형성됨으로써 미끄럼 내지 밀림을 최대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바닥에 돌기를 지니는 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바닥에 돌기를 지니는 종래의 매트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2는 바닥에 돌기를 지니는 종래의 매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조장치의 개략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닥에 돌기를 지니는 매트의 구성을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4는 도 3의 바닥에 돌기를 지니는 매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조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개략구성도,
도 5는 도 3의 바닥에 돌기를 지니는 매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조장치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개략구성도,
도 6 및 도 7은 도 3의 바닥에 돌기를 지니는 매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조장치의 또다른 일예를 도시한 개략구성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의 설명***
1: 상형 2: 하형
3: 돌기성형홈 4: 공간부
10: 종래의 매트 11: 쿠션판
12: 베이스판 13: 돌기
14: 외주연부 20: 본 고안의 매트
21: 쿠션판 22: 베이스판
23: 돌기 24: 외주연부
24': 버어 31: 상형
32: 하형 33: 다공박판
34, 44, 54, 64: 성형부 35,45,55,65: 공기배출 틈새(접촉면틈새)
41: 하부롤러 42: 상부롤러
43: 다공박판 51: 상부롤러
51': 보조롤러 52: 하부롤러
53: 다공박판벨트 61: 중앙롤러
62: 보조롤러 63: 다공박판벨트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트는, 일면에 미끄럼방지용 돌기가 다수 일체로 형성된 고무, PVC 등의 베이스판과, 그 베이스판의 다른 일면에 주로 부직포, 카페트 등의 섬유층이 부착되어 형성된 쿠션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실내바닥, 현관입구 또는 복도 바닥 등의 매트에 있어서, 미끄럼 내지 밀림을 최대로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돌기의 외주연부가 적어도 각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기는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 등의 단면형상으로서 고무, PVC 등의 베이스판이 응고 또는 경화하는 때에 형성되고, 그 돌기의 외주연부에는 예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버어(burr)가 형성되며, 상기 쿠션판은 고무, PVC 등의 베이스판의 응고 내지 경화시에 별도의 접착제없이 가열 및 가압하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고안의 매트의 제조방법은, 일면에 미끄럼방지용 돌기가 다수 일체로 형성된 고무, PVC 등의 베이스판과, 그 베이스판의 다른 일면에 부착된 주로 부직포, 카페트 등의 섬유층으로 형성되는 쿠션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실내바닥, 현관입구 또는 복도 바닥 등의 매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미끄럼 내지 밀림을 최대로 방지할 수 있는 형태로 상기 돌기의 외주연부를 적어도 각지게 성형하기 위해 돌기의 가압,성형시 돌기의 외주연부에 대응하는 성형부의 외주연부로부터 공기가 배출되게 하면서 상기 베이스판의 응고 또는 경화시 상기 베이스판을 가압하여 돌기를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의 매트의 제조장치는, 일면에 미끄럼방지용 돌기가 다수 일체로 형성된 고무, PVC 등의 베이스판과, 그 베이스판의 다른 일면에 부착된 주로 부직포, 카페트 등의 섬유층으로 형성되는 쿠션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실내바닥, 현관입구 또는 복도 바닥 등의 매트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베이스판의 응고 또는 경화시 베이스판을 가압,성형하여 돌기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부를 지니는 가압성형수단을 지니며, 베이스판의 미끄럼 내지 밀림을 최대로 방지할 수 있는 형태로 상기 돌기의 외주연부를 적어도 각지게 성형하기 위해 돌기의 가압,성형시 상기 성형부의 외주연부로부터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배출 틈새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트(20)의 구성이 상세확대도와 함께 부분단면도로서 도시된다.
도 3에서 본 고안의 매트(20)는, 종래와 같이 일면에 미끄럼방지용 돌기(23)가 다수 일체로 형성된 고무, PVC 등의 베이스판(22)과, 그 베이스판(22)의 다른 일면에 주로 부직포, 카페트 등의 섬유층이 부착되어 형성된 쿠션판(21)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미끄럼 내지 밀림을 최대로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돌기(23)의 외주연부(24)가 적어도 각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외주연부(24)가 각지게 형성된 단면의 돌기(23)가 베이스판(22)의 바닥에 형성됨으로써 미끄럼 내지 밀림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돌기(23)의 외주연부(24)에 예각으로 버어(burr)(24')가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미끄럼 내지 밀림의 발생 방지에 더욱 효과적이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거의 완벽하게 미끄럼 내지 밀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매트의 제조 방법은, 그 제조장치와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 제조방법은, 종래와 같이 돌기(23)가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 등의 단면형상으로서 고무, PVC 등의 베이스판(22)이 응고 또는 경화하는 때에 형성되며, 상기 쿠션판(21)도 고무, PVC 등의 베이스판(22)의 응고 내지 경화시에 별도의 접착제없이 가열 및 가압하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뒤, 냉각되어 응고 내지 경화된다.
본 고안의 제조방법은, 기본적으로 상술한 종래의 제조과정에 있어서, 미끄럼 내지 밀림을 최대로 방지할 수 있는 형태로 상기 돌기(23)의 외주연부(24)를 적어도 각지게 성형하기 위해 돌기(23)의 가압,성형시 돌기(23)의 외주연부(24)에 대응하는 성형부(34,44,54,64)의 외주연부로부터 공기가 배출되게 하면서 상기 베이스판(22)의 응고 또는 경화시 상기 베이스판(22)을 가압하여 돌기(23)를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베이스판(22)의 일면에서 돌기(23)를 성형함과 동시에 주로 부직포, 카페트 등의 섬유층의 쿠션판(21)을 상기 베이스판(22)의 다른 일면에 배치시켜 가압하여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도 5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22) 및 쿠션판(21)을 롤로부터 연속, 공급하여 매트를 제조하는 것이 연속제조가 가능하게 되어 바람직할 것이지만,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품씩 공급하여 매트를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베이스판(22)의 응고 내지 경화는 그 재질에 따라 종래의 기술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베이스판(22)이 고무인 경우, 종래와 같이 응고되기 전에 베이스판(22)을 공급하여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며, 성형과 동시에 가열, 가황시켜 응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베이스판(22)이 열가소성 합성수지인 경우, 가열하여 연화상태로 된 때에 성형함으로써 제조되는 것이 가능하고, 열경화성수지인 경우, 베이스판(22)으로 성형한 후, 완전히 경화되기 전에 돌기(23)를 성형함과 동시에 쿠션판(21)을 부착시킴으로써 제조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제조방법을 위한 구체적인 제조장치의 실시예들이 개략구성도로서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다.
도 4 내지 도 7에서 본 고안의 제조장치는, 기본적으로 베이스판(22)의 응고 또는 경화시 베이스판(22)을 가압,성형하여 돌기(23)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부(34, 44, 54, 64)를 지니는 가압성형수단(31,32; 41,42; 51,52; 61,6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베이스판(22)의 미끄럼 내지 밀림을 최대로 방지할 수 있는 형태로 상기 돌기(23)의 외주연부(24)를 적어도 각지게 성형하기 위해 돌기(23)의 가압,성형시 상기 성형부(34, 44, 54, 64)의 외주연부로부터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배출 틈새(35,45,55,65)가 형성된다.
도 4에서 가압성형수단(31,32)은, 상형(31)과 하형(32)으로 구성되고, 상기 성형부(34)는 상형(31)과 하형(32)의 어느 하나위에 배치되는 다공박판(33)에 형성된 돌기성형관통공(34)으로 구성됨으로써 공기배출 틈새(35)가, 상기 상형(31)과 하형(32)의 어느 하나와 다공박판(33)사이의 틈새에 의해 형성되게 된다.
이에 따라, 다공박판(33)위에 성형성을 지니는 베이스판(22)을 배치시키고 그 위에 쿠션판(21)을 배치시킨 후, 가압함으로써 베이스판(22)이 도 4에서 돌기성형관통공(34)으로 유동되게 된다. 이때, 공기가 하형(32)의 상면과 다공박판(33)사이의 틈새인 공기배출 틈새(35)로 배출됨으로써 돌기(23)의 성형에 있어서 저항압력으로 되지 아니하게 된다. 이에 따라 베이스판(22)이 돌기성형관통공(34)의 외주연부까지 유동,충전될 수 있게 되어 성형된 매트(20)는 돌기(23)의 외주연부(24)가 각지게 된다. 또한, 성형을 위한 가압압력이 충분히 높은 때에는 그 돌기(23)의 외주연부(24)가 공기배출 틈새(35)로 밀려들어가게 되고, 이에 따라 버어(24')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판(22)은, 필요에 따라 소정의 성형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외주연부(24)이 각지게 형성되거나 버어(24')를 포함하여 형성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둥근 형상으로 성형되지 아니하게 되기 때문에 그 돌기(23)에 의해 매트(20)가 미끄러지거나 밀림이 없게 된다.
도 5에서는 가압성형수단(41,42)은, 상부롤러(42)와 하부롤러(41)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성형부(44)는 하부롤러(41)의 원주를 둘러싸고 용접 등에 의해 부착되는 다공박판(43)에 형성된 돌기성형관통공(44)으로 구성됨으로써 공기배출 틈새(45)는, 상기 하부롤러(41)와 다공박판(43)사이의 틈새에 의해 형성되게 된다. 또한,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롤러(42)와 하부롤러(41)사이에서 성형된 후, 일정한 각도만큼 상부롤러(42)에 접촉한 후에 롤로 권취될 수도 있다. 특히 고무류로 된 베이스판(22)의 성형시 바람직하다.
도 5에서 도시가 생략된 모터 등에 의해 회전되는 상부롤러(42)와 하부롤러(41)사이를 통해 성형성을 지니는 베이스판(22)과 쿠션판(21)을 가압상태로 통과시킴으로써 쿠션판(21)이 베이스판(22)에 들어붙게 됨과 동시에 돌기성형관통공(44)으로 베이스판(22)이 유동되어 돌기(23)가 성형되게 되며, 공기배출 틈새(45)를 통해 그 돌기성형관통공(44)내의 공기가 배출되게 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돌기(23)의 외주연부(24)가 각지게 형성되거나 버어(24')를 포함하여 형성되게 되고, 매트(20)의 미끄러짐이나 밀림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도 6에서는 다공박판(43)을 상부롤러(42)와 하부롤러(41)중 어느 하나의 원주를 둘러싸고 용접 등에 의해 부착시키는 대신에 보조롤러(51')를 이용하여 다공박판벨트(53)를 상부롤러(51)와 하부롤러(52)중 어느 하나의 롤러와의 사이에서 윤전시킴으로써 돌기성형관통공(54)이 성형부를 이루고, 그 어느 하나의 롤러와 다공박판벨트(53)와의 사이의 틈새를 공기배출 틈새(55)로 하여 돌기(23)의 성형시 공기를 배출시키는 구조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있어서는 다공박판벨트(53)를 이용함으로써 도 5에서와 같이 돌기(23)의 성형부(44)를 형성함에 있어 상부롤러(42)와 하부롤러(41)중 어느 하나의 원주를 둘러싸고 다공박판(43)을 용접 등에 의해 부착할 필요가 없어 장치의 제조가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작동은 도 5에서와 유사하게 이루어진다.
도 7에서의 제조장치는, 도 5 및 도 6에서의 제조장치에서 다공박판벨트(53) 내지 다공박판(43)이 롤러에 의해서만 가압,접촉하는 것과는 달리, 성형부로서의 다공박판벨트(63)의 돌기성형관통공(64)이 압력벨트(62')에 의해 넓은 각도에 걸쳐 가압,접촉하여 베이스판(22)에 돌기(23)를 성형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압력벨트(62')가 중앙롤러(61)에 넓은 각도에 걸쳐 접촉하면서 윤전하고, 다공박판벨트(63)도 도 6에서와 같이 중앙롤러(61)에 넓은 각도에 걸쳐 접촉하면서 윤전하도록 다수의 보조롤러(62)주위를 권취되어 구성되고, 중앙롤러(61)와 보조롤러(62)의 하나와 가압, 접촉하는 방식으로 성형될 수도 있지만, 도 7에서와 같이 넓은 각도에 걸쳐 접촉하면서 윤전하는 다공박판벨트(63)와 압력벨트(62')사이에서 가압되어 성형될 수 있으며, 고무류의 경우,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기본적인 작동은 도 6의 경우와 유사하지만, 보다 넓은 각도에 걸쳐 접촉하면서 성형하게 되어 보다 돌기(23)의 성형성이 보장될 수 있게 되고, 연속운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보조롤러(62)의 이동으로 성형성 및 가압력 등의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다양한 구조의 제조장치에 의해 일면에 미끄럼방지용 돌기(23)가 다수 일체로 형성된 고무, PVC 등의 베이스판(22)과, 그 베이스판(22)의 다른 일면에 부착된 주로 부직포, 카페트 등의 섬유층으로 형성되는 쿠션판(2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실내바닥, 현관입구 또는 복도 바닥 등의 매트(20)가 제조되게 되며, 이와 같은 구조의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매트(20)의 베이스판(22)의 돌기(23)는 종래의 돌기(13)와는 달리 둥근 외주연부(14)대신 적어도 각진 외주연부(24)가 형성될 수 있게 되어 매트(20)를 깔았을 때, 밀림이나 미끄러짐이 충분히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충분한 성형압력에 의해 외주연부(24) 주위에 버어(24')가 형성됨으로써 밀림방지효과는 더욱 증대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바닥에 돌기를 지니는 매트의 구성과 작용에 의하면, 매트(20)를 구성하는 고무, 합성수지 등의 베이스판(22)의 바닥에 형성되는 돌기(23)의 외주연부(24)가 각지게 형성되고, 더욱 뾰쪽한 버어가 형성됨으로써 매트(20)의 밀림이나 미끄러짐이 없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일면에 미끄럼방지용 돌기(23)가 다수 일체로 형성된 고무, PVC 등의 베이스판(22)과, 그 베이스판(22)의 다른 일면에 주로 부직포, 카페트 등의 섬유층이 부착되어 형성된 쿠션판(2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실내바닥, 현관입구 또는 복도 바닥 등의 매트에 있어서,
    미끄럼 내지 밀림을 최대로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돌기(23)의 외주연부(24)가 적어도 각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에 돌기를 지니는 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23)는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 등의 단면형상으로서 고무, PVC 등의 베이스판(22)이 응고 또는 경화하는 때에 형성되고, 그 돌기(23)의 외주연부(24)에는 예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버어(burr)(24')가 형성되며, 상기 쿠션판(21)은 고무, PVC 등의 베이스판(22)의 응고 내지 경화시에 별도의 접착제없이 가열 및 가압하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에 돌기를 지니는 매트.
KR2020000014294U 2000-05-20 2000-05-20 바닥에 돌기를 지니는 매트 KR2002085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4294U KR200208567Y1 (ko) 2000-05-20 2000-05-20 바닥에 돌기를 지니는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4294U KR200208567Y1 (ko) 2000-05-20 2000-05-20 바닥에 돌기를 지니는 매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6733A Division KR100378040B1 (ko) 2000-05-18 2000-05-18 바닥에 돌기를 지니는 매트 및 그 제조방법과 그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8567Y1 true KR200208567Y1 (ko) 2001-01-15

Family

ID=73056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4294U KR200208567Y1 (ko) 2000-05-20 2000-05-20 바닥에 돌기를 지니는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856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7537A (ko) 2017-09-29 2019-04-08 이정옥 논슬립 매트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7537A (ko) 2017-09-29 2019-04-08 이정옥 논슬립 매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74991A (en) Process of laminating carpet to elastomeric backing
CN1374904A (zh) 用于制造防蠕动地板垫的形成防滑凸起的机织物
KR970705467A (ko) 플로어 매트 및 그의 연속제조방법(floor mat and continuous proces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US20140272278A1 (en) Slip resistant mat and method and system for making same
KR100378040B1 (ko) 바닥에 돌기를 지니는 매트 및 그 제조방법과 그 제조장치
KR200208567Y1 (ko) 바닥에 돌기를 지니는 매트
US2322226A (en) Method of making decorative fabric
KR19980071535A (ko) 탄성 매트의 제조 방법
WO1997004161A1 (fr) Tissu imprime en trois dimension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JPH0246736B2 (ko)
US20020074692A1 (en) Bathmat and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3644415B2 (ja) Frp成形品の成形方法
CN112172197B (zh) 用于机动车辆的天然纤维强化的装饰构件的制造方法
JPH0542754A (ja) ベルトスリーブへのマーク転写方法
US7115225B2 (en) Pseudo insert molding for trim parts using polyurethane spray process
KR200312133Y1 (ko) 자동차용 미끄럼방지 매트
JP3810910B2 (ja) 分割型成形型による樹脂成形方法
KR100598590B1 (ko) 매트의 제조장치 및 그 방법
JPH10329512A (ja) 硬化熱処理された飾り部材を側壁に付けた車両の空気タイヤ
CA2903425C (en) A method for making a slip resistant mat
JP3993696B2 (ja) マーク付きvリブドベ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99273Y1 (ko) 미끄럼 방지 돌기를 가진 자동차 매트지 제조장치용 성형롤
JPH08281828A (ja) 伝動ベルトの製造方法
JPS58138630A (ja) ゴム物品のマ−キング方法
KR200311880Y1 (ko) 자동차용 미끄럼방지 시트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1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