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7588Y1 - 캔음료 자동판매기의 투출구 자동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캔음료 자동판매기의 투출구 자동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7588Y1
KR200207588Y1 KR2019950039851U KR19950039851U KR200207588Y1 KR 200207588 Y1 KR200207588 Y1 KR 200207588Y1 KR 2019950039851 U KR2019950039851 U KR 2019950039851U KR 19950039851 U KR19950039851 U KR 19950039851U KR 200207588 Y1 KR200207588 Y1 KR 2002075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guide
discharge port
dr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98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5768U (ko
Inventor
기호연
Original Assignee
배길성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길성,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길성
Priority to KR20199500398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7588Y1/ko
Publication of KR9700457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57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75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7588Y1/ko

Links

Landscapes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캔음료 자동판매기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투출도어가 회동식으로 구성되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임.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안내가이드(22)와 투출구(31)의 사이에 캔음료가 투출되면 선단이 하강하여 투출구(31)를 개방시킴과 동시에 캔음료를 투출구(31)의 외부로 안내하고, 투출된 캔음료가 인출되면 선단이 상승하여 투출구(31)를 폐쇄시키는 자동개폐부(60)와; 상기 투출구(31)의 전방에 동개폐부(60)가 투출구를 폐쇄시킬 때 선단의 상승동작을 정지시키고, 자동개폐부(60)가 투출구(31)를 개방시킬 때 선단의 하강동작을 정지시키는 지지부(70)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캔음료 자동판매기의 투출구 자동개폐장치

Description

캔음료 자동판매기의 투출구 자동개폐장치
제1도는 종래 캔투출부의 구성을 보인 자동판매기의 측면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자동판매기의 측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 자동자동개폐부의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20 : 캔랙크
21 : 출구 22 : 안내가이드
60 : 자동자동개폐부 61 : 캔 받침공간
62 : 개폐판 63 : 안내면
64 : 가동추 65 : 중심축판
70 : 지지부 71 : 인출공
72 : 상부걸림턱 73 : 하부걸림턱
본 고안은 캔음료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캔랙크에서 캔음료가 투출되면 투출구를 개방시키고 투출된 캔음료가 인출되면 투출구를 폐쇄시키는 자동판매기의 투출구 자동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캔음료 자동판매기는 캔랙크에 다단으로 적재된 캔음료를 소비자의 선택에 따라 자동으로 투출시켜 이를 소비자가 인출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캔음료 자동판매기에 있어 캔랙크로 부터 투출된 캔음료를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도록 종래에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후방에 수직으로 설치된 캔랙크(20)의 출구(21)와 대향하는 도어(30)의 후면에 안내가이드(22)로 경사지게 연결되는 캔받이(40)가 구비되고, 이 캔받이(40)의 전방이 외부로 개구되며, 이에 상부를 기점으로 회전하면서 개폐되는 투출도어(50)가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종래 캔음료투출구조에 의해 캔음료가 투출되고 투출된 캔음료를 인출시키는 과정을 보면, 먼저 소비자가 선택버튼을 눌러 원하는 종류의 캔음료를 선택하게 되면 캔랙크(20)에 적재되어 있는 캔음료는 출구(21)를 통해 캔랙크(20)로부터 투출되어 안내가이드(22)를 경유하여 캔받이(40)로 투출된다.
이렇게 캔받이(40)에 캔음료가 투출되면 소비자는 캔받이(40)로 캔음료가 투출될 때 발생하는 소리를 듣고 투출이 완료되었음을 인식하고 손을 캔투출 도어(50)로 밀어 개방시킨후 캔받이(40)에 투출되어 있는 캔음료(C)를 인출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캔음료를 투출시키기 위한 구조는 캔음료가 낙하할 때 발생하는 소리에 의존하여 투출상태를 인식할 뿐 유관으로는 확인이 불가능하며, 투출된 캔음료의 인출을 위하여 직접 도어를 개방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가 쉽게 개방됨으로서 투출구를 통해 캔랙크의 하부에 적재된 캔음료를 도난당하거나 부품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캔랙크에서 캔음료가 투출되면 투출구를 자동으로 개방시키고 투출된 캔음료가 인출되면 투출구를 자동으로 폐쇄시키는 자동판매기의 투출구 자동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투출구 자동개폐장치는 안내 가이드와 투출구의 사이에 캔음료가 투출되면 무게중심이 작은 선단이 하강하여 투출구를 개방시킴과 동시에 캔음료를 투출구측으로 안내하고, 투출된 캔음료가 인출되면 무게중심이 큰 후단이 하강함에 따라 선단이 상승하여 투출구를 폐쇄시킬 수 있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 일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자동판매기의 측면구성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 자동자동개폐부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이 적용되는 캔음료 자동판매기의 투출구조는 통상에서와 같이 본체(10)의 후방에 수직으로 설치된 캔랙크(20)의 출구(21)에 안내가이드(22)가 경사지게 연결되고, 이 안내가이드(22)와 대향하는 도어(30)에 외부로 관통된 투출구(31)가 구비된다.
이러한 캔투출구조에 있어 본 고안은 상기 안내가이드(22)와 투출구(31)의 사이에 캔음료가 투출되면 선단이 하강하여 투출구를 개방시킴과 동시에 캔음료를 투출구(31)측으로 안내하고 투출된 캔음료가 인출되면 선단이 상승하여 투출구(31)를 폐쇄시키는 자동개폐부(60)를 구성하고, 투출구(31)의 전방에 상기 자동개폐부(60)가 투출구를 폐쇄시킬 때 선단의 상승동작을 정지시키고, 자동개폐부(60)가 투출구(31)를 개방시킬 때 선단의 하강동작을 정지시키는 지지부(70)를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자동개폐부(60)는 상부로 개구된 캔 받침공간(61)이 형성되도록 바닥면의 전방이 수평을 이루며 선단에 상향으로 절곡되어 투출구(31)를 개폐시키는 개폐판(62)을 구성하고, 그 양측벽을 폐쇄시키며 바닥면의 후방은 후측 상향으로 만곡되게 경사를 이루어 캔음료를 전방으로 안내하는 안내면(63)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캔 받침공간(61)의 후방에는 가동추(64)를 일체로 구성하며, 이러한 가동추(64)와 안내면(63) 사이의 소정위치에 중심축(66)을 수평방향으로 축설한다. 이때 중심축(66) 후단의 가동추(64)의 무게는 중심축(66)의 선단보다 무거웁고 선단의 무게와 캔음료와 합산된 무게보다 가벼웁게 구성하며, 안내가이드(22)로부터 투출된 캔음료의 낙하 위치가 상기 중심축(66)의 전방이 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투출구(31)의 전방에 구성되는 상기 지지부(70)는 자동개폐부(60)의 개폐판(62)이 수용되도록 중앙에 인출공(71)을 개구시켜 이 인출공(71)의 상단에는 개폐판(62)의 상단이 걸려 상승동작을 정지시키는 상부걸림턱(72)을 구성하고, 인출공(71) 하부의 내측에는 자동개폐부(62)의 하강시 개폐판(62)의 상단면과 인출공(71)의 하단면이 일치하고 개폐판(62)의 전면과 하부의 절곡면이 일치하게 하부걸림턱(73)를 구성한다. 이 하부걸림턱(73)은 자동개폐부(60)의 하강동작시 안내면(63) 선단이 하향으로 소정각도경사를 이루어 안내면(63)의 후단으로 투출된 캔음료가 구름식으로 이동하여 개폐판(62)의 배면에 정지하도록 감안하여 구성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과정과 그에 따르는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소비자가 선택버튼을 늘러 원하는 종류의 캔음료를 선택하게 되면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랙크(20)에 적재되어 있는 캔음료(C)는 출구(21)를 통해 안내가이드(22)를 경유하여 자동개폐부(60)의 중심축(65) 전방에 위치한 안내면(63)의 만곡된 후방(a)으로 투출된다.
이렇게 캔음료(C)가 투출되면 가동추(64)에 의해 후방으로 치우쳐 있는 무게 중심이 캔음료(C)의 무게가 합산된 전방으로 전환되어 중심축(65)을 중심으로 선단이 하향으로 회동하여 투출구(31)와 인출구(71)를 개방시킴과 동시에 캔음료(C)는 안내면(63)을 따라 전방으로 구름 이동하여 개폐판(32)의 내측면에 근접하여 정지하고, 개폐판(32)의 하단이 지지부(70)의 하부걸림턱(73)에 걸려 투출구(31)와 인출구(71)를 완전히 개방시킨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투출구(31)의 개방이 완료되면 소비자는 인출구(71)를 통하여 캔받침공간(61)의 선단으로 투출되어 있는 캔음료(C)를 유관으로 직접 확인한후 이 캔음료(C)를 인출구(71)를 통해 인출하게 된다.
그리고 캔받침공간(61)으로 투출된 캔음료(C)가 인출되면 무게 중심이 중심축(65) 후방의 가동추(64)로 작용하여 가동추(64)가 하강함과 동시에 전방의 개폐판(62)측이 상향으로 회동하여 개폐판(62)의 상단이 지지부(70)의 상부걸림턱(72)에 걸려 상승동작이 정지됨으로서 투출구(31)를 폐쇄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캔랙크에서 캔음료가 투출되면 투출구를 자동으로 개방시킴과 동시에 투출된 캔음료를 전방으로 안내하고 투출된 캔음료가 인출되면 투출구를 자동으로 폐쇄시킬 수 있게 함으로서, 소비자가 선택한 캔음료를 유관으로 직접확인할 수 있고 외부로 투출된 캔음료를 도어를 직접 개방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인출시킬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캔음료가 투출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투출구를 외부에서 쉽게 개방시킬 수 없게 하여 캔랙크에 적재된 캔음료의 도난을 방지하고 내부의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Claims (5)

  1. 캔랙크(20)의 출구(21)에 안내가이드(22)가 경사지게 연결되고, 이 안내가이드(22)와 대향하는 도어(30)에 외부로 관통된 투출구(31)가 구비된 캔음료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상기 안내가이드(22)와 투출구(31)의 사이에 캔음료가 투출되면 선단이 하강하여 투출구(31)를 개방시킴과 동시에 캔음료를 투출구(31)의 외부로 안내하고, 투출된 캔음료가 인출되면 선단이 상승하여 투출구(31)를 폐쇄시키는 자동개폐부(60)와; 상기 투출구(31)의 전방에 동개폐부(60)가 투출구를 폐쇄시킬 때 선단의 상승동작을 정지시키고, 자동개폐부(60)가 투출구(31)를 개방시킬 때 선단의 하강동작을 정지시키는 지지부(70)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캔음료 자동판매기의 투출구 자동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자동개폐부(60)는, 상향으로 절곡된 개폐판(62)을 선단에 구비하며 바닥면의 전방은 평면을 이루고 후방은 후측 상향으로 만곡되게 경사진 안내면(63)을 구비하고 양측을 폐쇄시켜 상부로 개구된 캔받침공간(61)을 구성하고, 상기 캔받침공간(61)의 후방에 가동추(64)를 일체로 구성하고, 이 가동추(64)와 안내면(63)사이의 소정위치에 중심축(66)을 수평방향으로 축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음료 자동판매기의 투출구 자동개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가동추(64)는, 중심축(66)의 선단보다 무겁고 선단의 무게와 캔음료와 합산된 무게보다 가볍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음료 자동판매기의 투출구 자동개폐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중심축(66)이 안내가이드(22)로부터 투출되는 캔음료의 낙하 위치보다 후방에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캔음료 자동판매기의 투출구 자동개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지지부(70)는, 개폐판(62)이 수용되도록 인출공(71)을 개구시키고, 이 인출공(71)의 상단에 개폐판(62)의 상단이 걸려 상승동작을 정지시키는 상부걸림턱(72)을 구성하며, 인출공(71) 하부의 내측에 개폐판(62)의 상단면과 인출공(71)의 하단면이 일치하고 개폐판(62)의 전면과 하부의 절곡면이 일치하는 하부걸림턱(73)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캔음료 자동판매기의 투출구 자동개폐장치.
KR2019950039851U 1995-12-11 1995-12-11 캔음료 자동판매기의 투출구 자동개폐장치 KR2002075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9851U KR200207588Y1 (ko) 1995-12-11 1995-12-11 캔음료 자동판매기의 투출구 자동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9851U KR200207588Y1 (ko) 1995-12-11 1995-12-11 캔음료 자동판매기의 투출구 자동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5768U KR970045768U (ko) 1997-07-31
KR200207588Y1 true KR200207588Y1 (ko) 2001-01-15

Family

ID=60877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9851U KR200207588Y1 (ko) 1995-12-11 1995-12-11 캔음료 자동판매기의 투출구 자동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758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5768U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7588Y1 (ko) 캔음료 자동판매기의 투출구 자동개폐장치
KR20210007646A (ko) 냉장고
JP3829159B2 (ja) 弾球遊技機
JP4876527B2 (ja) カップ式自動販売機のストロー供給装置
KR100603176B1 (ko) 2인용 포크레인 전자 게임기의 배출구
KR200189018Y1 (ko) 상품인출용 오락기의 도난방지장치
JPH0730049Y2 (ja) パチンコ機における電動式入賞装置
KR100853302B1 (ko) 자동판매기
JPH0241019Y2 (ko)
JP4187515B2 (ja) 自動販売機の扉閉鎖装置
JPH04262488A (ja) 自動販売機の硬貨上昇装置
JP2001149599A (ja) パチンコ遊技機
JP4014675B2 (ja) パチンコ機
JP3288632B2 (ja) 商品搬送装置
JP3027714U (ja) 弾球遊技機の入賞装置
JP2776605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S6022460Y2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取出口装置
JPH04262489A (ja) 自動販売機の硬貨上昇装置
KR19980034414A (ko) 자동판매기의 상품투출구 개폐장치
JP2510498Y2 (ja) パチンコ機における不正防止構造
JPH0780141A (ja) 弾球遊技機
JPH04172592A (ja) 硬貨保留払出装置における硬貨返却機構
JP3152510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棚装置
JP3664366B2 (ja) パチンコ機
JPH04296993A (ja) 自動販売機の硬貨上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