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7331Y1 - 화물차의 적재화물 안전덮개장치 - Google Patents

화물차의 적재화물 안전덮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7331Y1
KR200207331Y1 KR2020000020762U KR20000020762U KR200207331Y1 KR 200207331 Y1 KR200207331 Y1 KR 200207331Y1 KR 2020000020762 U KR2020000020762 U KR 2020000020762U KR 20000020762 U KR20000020762 U KR 20000020762U KR 200207331 Y1 KR200207331 Y1 KR 2002073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plate
cargo
loading
loaded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07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미경
Original Assignee
최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미경 filed Critical 최미경
Priority to KR20200000207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73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73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73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8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 B60J7/1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foldable; Tensioning mechanisms therefor, e.g. struts
    • B60J7/1204Control devices, e.g. for compensating tolerances, for defining movement or end position of top, for tensioning the top or for switching to an emergency mo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8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 B60J7/1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foldable; Tensioning mechanisms therefor, e.g. struts
    • B60J7/1291Soft tops for closed vehicle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물차의 후방에 마련되는 적재판에 보다 간편하게 화물을 적재하거나 하역할 수 있도록 함 물론 적재한 화물을 보다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화물차의 적재화물 안전덮개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 있어서 개방형의 적재판을 갖는 화물차는 적재판에 적재한 화물을 견고하게 고정하지 않게 되면 운반도중 적재화물이 도로로 낙하하여 적재화물이 파손됨은 물론 각종 안전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고, 적재화물을 별도의 밀폐덮개를 이용하여 밀폐하지 않는 경우에는 기상조건에 따라 적재화물이 비와 눈, 서리 등을 맞게 되므로 적재화물이 손상될 우려가 많게 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밀폐형 적재판을 갖는 화물차는 적재판에 칸막이를 설치하는 작업이 번거롭고 칸막이공사 비용이 많이 들게 되어 화물차의 전체 가격이 비싸게 될 뿐 아니라 적재판의 양측과 상부가 밀폐되어 있기 때문에 지게차나 크레인 등의 적재보조수단을 이용하여 화물을 용이하게 적재할 수 없고 개폐 가능한 후방 도아를 열어 마련한 비좁은 개구부를 통해 적재공간의 내부에 화물을 적재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던 바, 적재판(12)의 양측에 레일(13)을 설치하고, 양측 하단부에 적재판(12)의 레일(13)에 결합되는 레일결합뭉치(14)가 마련된 다수의 지지프레임(15)과 각 지지프레임(15)의 사이마다에 설치되는 절첩프레임(16), 그리고 각 지지프레임(15)과 절첩프레임(16)을 절첩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간(17), 각 지지프레임(15) 및 각 절첩프레임(16)의 외곽 둘레에 설치되는 밀폐천(18)으로 이루어지는 밀폐덮개(19)를 적재판(12)의 상부에 전후방향으로 절첩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에 의하면 화물을 적재하거나 하역할 때는 적재판(12)을 개방시켜 지게차나 크레인 등의 적재, 하역보조수단을 사용하여 간편하게 화물을 싣거나 내릴 수 있게 되고, 화물을 운반할 때는 적재판(12) 및 적재화물을 밀폐덮개(19)로 밀폐하여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화물차의 적재화물 안전덮개장치 { a coverlet device to carry goods safety for a trailer truck }
본 고안은 화물차의 후방에 마련되는 적재판에 보다 간편하게 화물을 적재하거나 하역할 수 있도록 함 물론 적재한 화물을 보다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화물차의 적재화물 안전덮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적재판의 상부에 전후방향으로 절첩할 수 있도록 하는 터널형의 덮개를 설치한 것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캐빈의 후방에 적재판을 갖는 무동력의 트레일러가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화물차는 물론 캐빈의 후방에 적재판이 고정 설치되는 화물차에도 관계하는 것인 바, 이러한 화물차는 적재판의 양측과 후방이 개방된 개방형의 것과 적재판의 양측과 상부에 칸막이가 설치되고 후방에 개폐가능한 도아가 설치되어 칸막이 및 도아의 내부에 장방형의 적재공간이 마련된 밀폐형의 것으로 대별할 수 있다.
상기에서 개방형의 적재판을 갖는 화물차는 지게차나 크레인 등의 적재보조수단을 이용하여 적재판에 중량체의 화물을 간편하게 실을 수 있게 되는 잇점이 있는 반면 적재판에 적재한 화물을 견고하게 고정하지 않게 되면 운반도중 적재화물이 도로로 낙하하여 적재화물이 파손됨은 물론 각종 안전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가 있게 되고, 적재화물을 별도의 밀폐덮개를 이용하여 밀폐하지 않는 경우에는 기상조건에 따라 적재화물이 비와 눈, 서리 등을 맞게 되므로 적재화물이 손상될 우려가 많게 되는 문제가 있게 된다.
한편 밀폐형 적재판을 갖는 화물차는 적재공간내에 적재된 화물이 비와 눈 등을 맞지 않게 됨은 물론 도로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비교적 안전하게 화물을 운반할 수 있게 되지만 칸막이를 설치하는 작업이 번거롭고 칸막이공사 비용이 많이 들게 되어 화물차의 전체 가격이 비싸게 될 뿐 아니라 적재판의 양측과 상부가 밀폐되어 있기 때문에 지게차나 크레인 등의 적재보조수단을 이용하여 화물을 용이하게 적재할 수 없고 개폐 가능한 후방 도아를 열어 마련한 비좁은 개구부를 통해 적재공간의 내부에 화물을 적재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이 적재과정에서 양측과 후방, 그리고 상부가 개방된 화물차의 적재판에 보다 간편하게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운반과정에서 적재판의 양측과 후방, 그리고 상부를 밀폐하여 적재화물을 보다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화물차의 적재화물 안전덮개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가 장착된 화물차의 덮개를 접은 상태의 측면도
도 2는 동 화물차의 덮개를 펼친 상태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지지프레임 및 절첩프레임의 사시도
도 4a는 동 실시예의 지지프레임 및 절첩프레임을 접은 상태의 측면도
도 4b는 동 실시예의 지지프레임 및 절첩프레임을 펼친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동 실시예의 레일 결합부위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동 실시예의 레일 결합부위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화물차 11 : 캐빈
12 : 적재판 13 : 레일
13a, 13b : 레일홈 14 : 레일결합뭉치
14a, 14b : 이송로울러 15 : 지지프레임
15a : 수평지지부 15b : 수직지지부
16 : 절첩프레임 16a : 수평지지부
16b : 연결지지부 17 : 연결간
18 : 밀폐천 19 : 밀폐덮개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재판의 상부에 다수의 프레임과 밀폐천 등으로 이루어지는 밀폐덮개를 전후방향으로 절첩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 등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 그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에서 도 6까지에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 바, 본 고안은 캐빈(11)의 후방에 양측과 후방, 그리고 상부가 개방된 적재판(12)이 마련되는 화물차(10)에 있어서, 적재판(12)의 양측에 레일(13)을 설치하고, 양측 하단부에 적재판(12)의 레일(13)에 결합되는 레일결합뭉치(14)가 마련된 다수의 지지프레임(15)과 각 지지프레임(15)의 사이마다에 설치되는 절첩프레임(16), 그리고 각 지지프레임(15)과 절첩프레임(16)을 절첩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간(17), 각 지지프레임(15) 및 각 절첩프레임(16)의 외곽 둘레에 설치되는 밀폐천(18)으로 이루어지는 밀폐덮개(19)를 적재판(12)의 상부에 전후방향으로 절첩 가능하게 설치하여서 되는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프레임(15)은 도 3과 같이 수평지지부(15a)의 양단부에 수직지지부(15b)가 마련되고, 각 수직지지부(15b)의 하단에 적재판(12)의 레일(13)에 결합되는 레일결합뭉치(14)가 고정 설치되는 형태를 갖으며, 각 지지프레임(15)의 사이에 설치되는 절첩프레임(16)은 수평지지부(16a)의 양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비교적 짧은 길이의 연결지지부(16b)가 형성되는 형태를 갖는다.
상기 지지프레임(15)과 절첩프레임(16)은 연결간(17)을 통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 바, 각 절첩프레임(16)의 각 연결지지부(16b)의 내측에 한 쌍의 연결간(17)의 상단부가 회동중심핀(21)을 통해 결합되고, 상기 양 연결간(17) 중에 일 연결간(17)의 하단부는 전방의 지지프레임(15)의 내측 중앙부에 회동중심핀(21)을 통해 결합되며, 다른 연결간(17)의 하단부는 후방 지지프레임(15)의 내측 중앙부에 회동중심핀(21)을 통해 결합된다.
따라서 상단부가 절첩프레임(16)에 접속된 한 쌍의 연결간(17)의 하단부가 벌어지게 되면 도 4a와 같이 각 지지프레임(15) 및 절첩프레임(16)의 사이가 좁아지게 되고, 한 쌍의 연결간(17)의 하단부가 오므려지게 되면 도 4b와 같이 각 지지프레임(15) 및 절첩프레임(16)의 사이가 넓어지게 된다.
각 프레임(15)(16)의 외곽 둘레에 설치되는 밀폐천(18)은 지지프레임(15)의 수평지지부(15a) 및 수직지지부(15b), 그리고 절첩프레임(16)의 수평지지부(16a)에 지지되며, 밀폐천(18)의 전방부는 적재판(12)의 전방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판(22)에 접속되고, 밀폐천(18)의 후방부에는 두루마리형으로 접을 수 있는 후방 밀폐천(18a)이 설치되며, 밀폐천(18)의 외부 양측 하단부에는 걸림구멍(23a)을 갖는 다수의 고정띠(23)가 전후방향으로 일정 간격만큼 이격 설치되고, 적재판(12)의 하단 양측에는 전후방향으로 상기 고정띠(23)의 걸림구멍(23a)에 대응되는 다수의 걸림돌기(12a)가 마련된다.
한편 각 지지프레임(15)의 수직지지부(15a) 하단에 고정 설치되는 레일결합뭉치(14)의 내측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이송로울러(14a)(14b)가 설치되며, 적재판(12)의 양측에 설치되는 레일(13)의 상단부와 외측 하부에는 상기 레일결합뭉치(14)의 각 이송로울러(14a)(14b)가 결합되는 레일홈(13a)(13b)이 마련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있어서는 밀폐덮개(19)를 접게 되면 도 1과 같이 적재판(12)의 양측 및 후방, 상부가 개폐되므로 적재판(12)의 양측부나 후방부에서 지게차나 크레인 등의 적재보조수단을 통해 간편하고도 용이하게 화물을 적재할 수 있게 되고, 화물적재를 마치고 밀폐덮개(19)를 펼치게 되면 도 2와 같이 적재판(12)의 양측 및 후방, 상부가 밀폐되므로 적재된 화물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게 되며, 운반을 마친 후에는 다시 밀폐덮개(19)를 접은 다음 지게차나 크레인 등의 하역보조수단을 사용하여 간편하게 적재화물을 하역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화물의 적재를 마친 후에 도 1과 같이 접혀진 상태에 있는 밀폐덮개(19)를 펼치고자 할 때에는 작업자가 밀폐덮개(19)의 일측 후방부위를 잡고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적재판(12)의 양측에 설치된 레일(13)의 레일홈(13a)(13b)에 결합된 레일결합뭉치(14)의 이송로울러(14a)(14b)가 회전하면서 각 지지프레임(15)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연결간(17)의 하단부가 당겨지게 되므로 절첩프레임(16)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절첩프레임(16)의 연결지지부(16b)에 접속된 한 쌍의 연결간(17)의 사이가 벌어지게 되어 도 2와 같이 밀폐천(18)이 적재판(12)의 양측부위 및 상부를 완전 밀폐할 수 있게 되며, 밀폐천(18)의 후방에 두루마리형으로 말린 상태의 후방 밀폐천(18a)을 내려서 풀어내려 그 하단부와 양측부를 고정하면 적재판(12)의 후방부위를 밀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밀폐덮개(19)를 통해 적재판(12)의 밀폐를 마친 후에는 밀폐천(18)의 양측 하단부에 마련된 각 고정띠(23)의 걸림구멍(23a)을 적재판(12)의 걸림돌기 (12a)에 결합하면 펼쳐진 상태의 밀폐덮개(19)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화물의 하역을 위해서 적재판(12)의 양측과 후방, 그리고 상부를 개방하고자 할 때는 우선 후방 밀폐천(18a)을 말아 올린 후 적재판(12)의 각 걸림돌기 (12a)에 결합된 각 고정띠(23)를 푼 다음 밀폐덮개(19)의 일측 후방부위를 잡고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적재판(12)의 양측에 설치된 레일(13)을 따라 각 지지프레임 (15)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연결간(17)의 하단부가 전방으로 밀리게 되므로 절첩프레임(16)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절첩프레임(16)의 연결지지부(16b)에 접속된 한 쌍의 연결간(17)의 사이가 좁혀지게 도 1과 같이 밀폐덮개(19)가 적재판(12) 전방의 수직판(22)쪽으로 접혀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화물을 적재하거나 하역할 때는 적재판(12)을 개방시켜 지게차나 크레인 등의 적재, 하역보조수단을 사용하여 간편하게 화물을 싣거나 내릴 수 있게 되고, 화물을 운반할 때는 적재판(12) 및 적재화물을 밀폐덮개(19)로 밀폐하여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다수의 프레임(15)(16)과 밀폐천(18)(18a)으로 밀폐덮개(19)를 비교적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되고 적재판(12)에 설치한 레일(13)에 지지프레임(15)의 레일결합뭉치(14)를 조립하는 것으로 간편하게 밀폐덮개(19)를 설치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밀폐덮개(19)를 전후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것에 의해 간편하게 적재판(12)을 밀폐하거나 개방할 수 있게 되므로 그 제작 및 사용 등이 극히 간편하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캐빈(11)의 후방에 양측과 후방, 그리고 상부가 개방된 적재판(12)이 마련되는 화물차(10)에 있어서, 적재판(12)의 양측에 레일(13)을 설치하고, 양측 하단부에 적재판(12)의 레일(13)에 결합되는 레일결합뭉치(14)가 마련된 다수의 지지프레임(15)과 각 지지프레임(15)의 사이마다에 설치되는 절첩프레임(16), 그리고 각 지지프레임(15)과 절첩프레임(16)을 절첩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간(17), 각 지지프레임(15) 및 각 절첩프레임(16)의 외곽 둘레에 설치되는 밀폐천(18)으로 이루어지는 밀폐덮개(19)를 적재판(12)의 상부에 전후방향으로 절첩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의 적재화물 안전덮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수평지지부(15a)의 양단부에 수직지지부(15b)가 마련된 지지프레임(15)의 각 수직지지부(15b)의 하단에 레일결합뭉치(14)를 설치하고, 수평지지부(16a)의 양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비교적 짧은 길이의 연결지지부(16b)가 형성된 절첩프레임(16)의 각 연결지지부(16b)의 내측에 한 쌍의 연결간(17)의 상단부를 회동중심핀(21)을 통해 접속하며, 상기 양 연결간(17) 중에 일 연결간(17)의 하단부를 전방의 지지프레임(15)의 내측 중앙부에 회동중심핀(21)을 통해 접속하는 동시에 다른 연결간(17)의 하단부를 후방 지지프레임(15)의 내측 중앙부에 회동중심핀(21)을 통해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의 적재화물 안전덮개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밀폐천(18)의 외부 양측 하단부에 걸림구멍(23a)을 갖는 다수의 고정띠(23)를 전후방향으로 일정 간격만큼 이격 설치하고, 적재판(12)의 하단 양측에 전후방향으로 상기 고정띠(23)의 걸림구멍(23a)에 대응되는 다수의 걸림돌기(12a)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의 적재화물 안전덮개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한편 각 지지프레임(15)의 레일결합뭉치(14)의 내측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이송로울러(14a)(14b)를 설치하고, 적재판(12)의 양측에 설치되는 레일(13)의 상단부와 외측 하부에 상기 레일결합뭉치(14)의 각 이송로울러(14a)(14b)가 결합되는 레일홈(13a)(13b)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의 적재화물 안전덮개장치.
KR2020000020762U 2000-07-20 2000-07-20 화물차의 적재화물 안전덮개장치 KR2002073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762U KR200207331Y1 (ko) 2000-07-20 2000-07-20 화물차의 적재화물 안전덮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762U KR200207331Y1 (ko) 2000-07-20 2000-07-20 화물차의 적재화물 안전덮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7331Y1 true KR200207331Y1 (ko) 2000-12-15

Family

ID=19665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0762U KR200207331Y1 (ko) 2000-07-20 2000-07-20 화물차의 적재화물 안전덮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733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9648B1 (ko) * 2019-04-10 2019-11-01 주식회사 코엘트 트레일러 장착형 복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9648B1 (ko) * 2019-04-10 2019-11-01 주식회사 코엘트 트레일러 장착형 복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11491A (en) Railway car
EP3197798B1 (en) Vertically collapsible semi-truck trailer
NL1028100C2 (nl) Transport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transporteren van stukgoed en vloeistof.
US6805395B2 (en) Tarpaulin rod securing device
CN101801802A (zh) 用于货车的货箱支撑机构
EP1135287B1 (de) Schienen-niederflurwagen für glasgestelle
US9809142B1 (en) Tailgate truck bed extension
US6877794B2 (en) Trailer particularly suited to hauling crushed and flattened vehicles
CN207890397U (zh) 集装箱
EP0835783A1 (en) Cargo transportation vehicle
KR200207331Y1 (ko) 화물차의 적재화물 안전덮개장치
RU172198U1 (ru) Рама сочленённого вагона-платформы
CN105416322A (zh) 一种具有端门和可折叠活动棚的铁路平车
RO117777B1 (ro) Armatura de prelata, cu arcuri de inlaturare
HU224203B1 (hu) Jármű, rakományt befogadó rekeszekkel
EP1090789B1 (en) Guide for movable coverings and movable covering comprising said guide
CN205220673U (zh) 具有端门和可折叠活动棚的铁路平车
IES80815B2 (en) A trailer
JP3285758B2 (ja) 荷物運搬車両
RU2081764C1 (ru) Способ контейнерного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я легковесных грузов и контейнер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я легковесных грузов
CN114801955B (zh) 一种货车车厢以及货车
CN115179979B (zh) 一种活动棚铁路运输平车
CN218892609U (zh) 一种物流运输车架
KR19990065668A (ko) 측면 승하역이 가능한 유개차형 화물차용 적재함
WO2009106523A1 (en) Movement device for sliding elements associated with a means of transport and means of transport thus equipp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0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