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6558Y1 - 모터용 엔드 쉴드 - Google Patents

모터용 엔드 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6558Y1
KR200206558Y1 KR2020000018890U KR20000018890U KR200206558Y1 KR 200206558 Y1 KR200206558 Y1 KR 200206558Y1 KR 2020000018890 U KR2020000018890 U KR 2020000018890U KR 20000018890 U KR20000018890 U KR 20000018890U KR 200206558 Y1 KR200206558 Y1 KR 2002065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
motor
end shield
presen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88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캄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캄코
Priority to KR20200000188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65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65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65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0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channels or ducts for flow of cooling mediu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14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5Mounting arrangements for bearing-shields or end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시고정부에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는 슬릿을 형성하므로써, 회전축을 부시에 조립시 부시의 내부에서 압축공기에 의한 반발력의 발생을 막을 수 있고, 그러므로써, 모터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조립능률을 높일 수 있으며, 모터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터용 엔드 쉴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모터용 엔드 쉴드는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된 축심에 부시고정부를 형성하고, 상기 부시고정부에 모터의 회전축을 결합하기 위한 부시를 고정판으로 고정시키되, 부시(50)의 외표면과 접촉하는 부시고정부(30)의 내표면에 다수의 슬릿(31)을 형성하고, 이 슬릿(31)은 부시(50)의 경사진 모서리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는 장공으로서, 고정판(60)과 부시(50)의 외표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과 연결되어 있으며, 회전축(40)의 삽입시, 부시(50)의 내경쪽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공기를 부시(50)의 외부쪽으로 배출(a')시킨다.

Description

모터용 엔드 쉴드{Motor having noise reduction devices}
본 고안은 모터용 엔드 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 조립체의 측면을 마감하는 엔드 쉴드의 형상변경으로 인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터용 엔드 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터 조립체는 회전자가 되는 아마추어(amateur)와 고정자가 되는 원통형의 스테이터(stator)로 이루어져 있으며, 양 측면을 엔드 쉴드(end shield)로 마감하고 있다.
여기에서, 아마추어는 회전축에 코어(core)를 고정시킨후, 이 코어에 코일을 감아 만든것이고, 스테이터는 상술한 아마추어를 축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삽입시킨 후, 회전력을 발생하도록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있다(교류 모터의 경우).
이런 스테이터의 측면을 밀봉하는 엔드 쉴드는 소결물에 의해 디스크형상을 갖도록 형선된 것으로서, 아마추어의 회전축을 원활하게 회전시키도록 지지하는 역할과 함께, 모터의 측면 형상을 형성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모터용 엔드 쉴드(1)는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구조적 안전성을 위해 평면상에 다수의 돌기부(2)들을 형성하고 있고, 축심에 부시고정부(3)를 형성하고 있으며, 통기성을 위한 다수의 관통구들을 갖는다.
이런 모터용 엔드 쉴드(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시고정부(3)의 안쪽면에 부시(5) 또는 베어링(도시 안됨)을 고정시키도록, 원추형 탄성 고정판(6)을 구비하고 있다. 이렇게 형성된 모터용 엔드 쉴드(1)는 스테이터의 측면을 마감하도록 결합될 때, 아마추어의 회전축(4)을 부시(5)의 내경에 삽입고정시킨다(f).
그러나, 종래 기술의 모터용 엔드 쉴드는 회전축의 결합시에 발생하는 압축공기(a)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수단을 부시고정부에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이 압축공기(a)로 인하여 회전축이 삽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밀려나오게 되므로써, 모터의 조립성을 떨어뜨리며, 원활한 조립작업을 수행할 수 없게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모터용 엔드 쉴드는 불안전하게 회전축을 부시에 결합시키므로써, 모터의 품질을 상대적으로 떨어뜨리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모터용 엔드 쉴드는 작업자로 하여금 부가적인 축정렬 작업과 같은 불필요한 작업을 발생시키므로써, 조립능률을 떨어뜨리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부시고정부에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는 슬릿을 형성하므로써, 회전축을 부시에 조립시 부시의 내부에서 압축공기에 의한 반발력의 발생을 막을 수 있고, 그러므로써, 모터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조립능률을 높일 수 있으며, 모터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터용 엔드 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모터용 엔드 쉴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터용 엔드 쉴드의 중요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엔드 쉴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모터용 엔드 쉴드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조립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부 30 : 부시고정부
31 : 슬릿 40 : 회전축
50 : 부시 60 : 고정판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된 축심에 부시고정부를 형성하고, 상기 부시고정부에 모터의 회전축을 결합하기 위한 부시를 고정판으로 고정시킨 모터용 엔드 쉴드에 있어서, 부시의 외표면과 접촉하는 부시고정부의 내표면에 다수의 슬릿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용 엔드 쉴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슬릿은 부시의 경사진 모서리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는 장공으로서, 고정판과 부시의 외표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과 연결되어 있으며, 회전축의 삽입시, 부시의 내경쪽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공기를 부시의 외부쪽으로 배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엔드 쉴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도 3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엔드 쉴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모터용 엔드 쉴드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조립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모터용 엔드 쉴드는 종래의 기술에 연관하여 설명하면, 디스크 형상의 몸체부(10)의 축심에 부시고정부(30)를 형성하고 있으며, 통기성을 위한 다수의 관통구들을 갖는다.
이런 모터용 엔드 쉴드의 몸체부(10)는 부시고정부(30)의 안쪽면에 부시(50) 또는 베어링(도시 안됨)을 고정시킬 수 있게, 원추형 탄성 고정판(60)을 구비하고 있다.
본 고안의 모터용 엔드 쉴드의 몸체부(10)는 부시(50)와 접하는 내표면에 다수의 슬릿(31 ; slit)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부시(50)를 고정하는 원추형 탄성 고정판(60)은 부시고정부(30)의 표면에 접촉시, 미세한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는 결합유격을 갖는다.
본 고안에서, 슬릿(31)은 부시(50)의 경사진 모서리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는 장공으로서, 고정판(60)과 부시(50)의 외표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과 연결되어 있고, 부시(50)의 내경쪽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공기를 부시(50)의 외부쪽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한 슬릿(31)은 부시고정부(30)의 안쪽에서, 부시(50)의 끝단면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설명한 슬릿(31)을 갖는 본 고안의 모터용 엔드 쉴드의 몸체부(10)는 아마추어의 회전축(40)과 결합(f)될 때,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a')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모터용 엔드 쉴드는 회전축(40)의 삽입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반발력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모터용 엔드 쉴드는 회전축과 결합시 내부 공기를 부시고정부의 슬릿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모터의 조립성을 향상시키며, 원활한 조립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모터용 엔드 쉴드는 회전축의 단면을 부시고정부로 밀폐하고, 조립시에 발생하는 공기만을 외부로 빠져나가게 하므로써, 원래의 엔드 쉴드의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안전하게 회전축을 부시에 결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모터용 엔드 쉴드는 작업자로 하여금 부가적인 축정렬 작업과 같은 불필요한 작업을 최소화시키기 때문에, 조립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모터용 엔드 쉴드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2)

  1.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된 축심에 부시고정부를 형성하고, 상기 부시고정부에 모터의 회전축을 결합하기 위한 부시를 고정판으로 고정시킨 모터용 엔드 쉴드에 있어서,
    상기 부시(50)의 외표면과 접촉하는 상기 부시고정부(30)의 내표면에 다수의 슬릿(31)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용 엔드 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31)은 상기 부시(50)의 경사진 모서리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는 장공으로서, 상기 고정판(60)과 상기 부시(50)의 외표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40)의 삽입시, 상기 부시(50)의 내경쪽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공기를 상기 부시(50)의 외부쪽으로 배출(a')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용 엔드 쉴드.
KR2020000018890U 2000-07-01 2000-07-01 모터용 엔드 쉴드 KR2002065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890U KR200206558Y1 (ko) 2000-07-01 2000-07-01 모터용 엔드 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890U KR200206558Y1 (ko) 2000-07-01 2000-07-01 모터용 엔드 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6558Y1 true KR200206558Y1 (ko) 2000-12-01

Family

ID=19663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8890U KR200206558Y1 (ko) 2000-07-01 2000-07-01 모터용 엔드 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655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1765B1 (ko) 2015-12-15 2018-09-28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분할된 구조를 포함하는 플럭스 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1765B1 (ko) 2015-12-15 2018-09-28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분할된 구조를 포함하는 플럭스 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기
US10931174B2 (en) 2015-12-15 2021-02-23 DOOSAN Heavy Industries Construction Co., LTD Flux shield having split structures and generator includ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35000A (ko) 회전 전기 기계
JP3373262B2 (ja) スピンドルモータ
EP3456977A1 (en) Blower device
KR100360239B1 (ko) 스러스트 베어링 결합구조
KR200206558Y1 (ko) 모터용 엔드 쉴드
US5619082A (en) Electric motor with sealing structure resisting the entry of sand and dust
JP2008136294A (ja) モータ
JP4849002B2 (ja) 送風装置
JP3639467B2 (ja) モータ
KR200185282Y1 (ko) 모터의 브러시 장치
CN112564357B (zh) 一种外转子单相电机
WO2016026364A1 (zh) 由电机驱动的转动部件、电机及风机
KR101104072B1 (ko) 모터
KR100306449B1 (ko) 모터용 틈새방지구
JP2000192893A (ja) 軸流ファン
JP2002161898A (ja) ファン装置
JP2005299842A (ja) プーリ
JP2002242882A (ja) 軸流ファン
JPH0847203A (ja) 電動機の回転子
KR200215766Y1 (ko) 소형 냉각팬용 회전 중심축의 결합구조
KR19980072452A (ko) 가전용 모터의 로터
KR200269673Y1 (ko) 전동기의 팬
KR200256748Y1 (ko) 소형 냉각팬용 소결함유 베어링의 윤활구조
JPH03203554A (ja) ポンプ用等のモータ
JPH07332294A (ja) 電動送風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