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5913Y1 - 카세트 테입형 오디오 데이터 기록 및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카세트 테입형 오디오 데이터 기록 및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5913Y1
KR200205913Y1 KR2020000019091U KR20000019091U KR200205913Y1 KR 200205913 Y1 KR200205913 Y1 KR 200205913Y1 KR 2020000019091 U KR2020000019091 U KR 2020000019091U KR 20000019091 U KR20000019091 U KR 20000019091U KR 200205913 Y1 KR200205913 Y1 KR 2002059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el
audio
housing
audio data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90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두열
Original Assignee
이두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두열 filed Critical 이두열
Priority to KR20200000190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59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59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59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11B15/28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rollers driving by frictional contact with the record carrier, e.g. capstan; Multiple arrangements of capstans or drums coupled to means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drive; Multiple capstan systems alternately engageable with record carrier to provide reversal
    • G11B15/29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rollers driving by frictional contact with the record carrier, e.g. capstan; Multiple arrangements of capstans or drums coupled to means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drive; Multiple capstan systems alternately engageable with record carrier to provide reversal through pinch-rollers or tape rol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11B15/32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the reels or cores on to which the record carrier is woun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3Control or regulation of mechanical tension of record carrier, e.g. tape tens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 G11B15/48Starting; Accelerating; Decelerating; Arrangements preventing malfunction during drive chang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카세트 테입형 오디오 데이터 기록 및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오디오 카세트 테이프의 한 쌍의 테이프릴의 회전을 위해 그 테이프릴들에 결합 가능한 한 쌍의 릴테이블과 오디오 카세트 테이프의 정속주행을 위한 캡스턴과 핀치롤러가 구비된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릴테이블들에 결합되어 그 릴테이블과 함께 회전 가능한 한 쌍의 릴기어와, 오디오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릴기어의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기록된 데이터들이 순차적으로 또는 선별적으로 재생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또한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릴기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어연결된 구동풀리와,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종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와 종동풀리에 감아걸리며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캡스턴과 핀치롤러에 의해 정속으로 순환주행될 수 있도록 상기 캡스턴과 핀치롤러 사이에 위치되는 벨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시 한 쌍의 릴기어의 정속회전을 가능하게 하여 감지수단이 오작동할 염려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카세트 테입형 오디오 데이터 기록 및 재생장치{Apparatus of cassette tape type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audio data}
본 고안은 오디오 데이터 기록 및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일반 오디오 기기 및 차량용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에서 재생하여 청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PC사용자가 MP3를 이용하여 압축된 음악 또는 음성 데이터를 MP3 파일에 저장하는데 이러한 MP3는 MPEG 기술의 오디오 부분 가운데 하나이며, 오디오 데이터 코딩 기술을 이용해 만들어진 오디오 파일 포맷(파일 확장자 MP3)으로 기존 데이터를 음질 저하 없이 12분의 1 정도로 압축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때문에 제한된 전송선로를 사용해서 오디오 파일을 주고 받는데 안성맞춤이다. 한편, MP3형식으로 압축된 테이터를 PC를 이용하여 청취할 경우에는 PC의 이동이 자유롭지 못하여 일정한 위치에서 음악을 청취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일반적인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에서 청취하려면 별도의 인터페이스용 테입을 MP3 플레이어에 연결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그래서 본원 출원인은 각종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휴대용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나, 일반 오디오 기기 및 차량용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에서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1999년 7월 6일에 출원(출원번호 10-1999-027047)하여 공개(공개번호 특1999-0073363)된 바 있다. 상기 장치의 구체적인 작동은 상기 출원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으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카세트 테입형 오디오 데이터 기록 및 재생장치에 대해 대략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일반적인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10)의 한 쌍의 릴테이블(14,15)에 오디오 테이프(16)의 한 쌍의 릴(16a,16b)이 결합되며 상기 릴테이블(14,15)들의 회전에 따라 오디오 테이프(16)가 주행된다. 오디오 테이프에 기록된 자기 신호의 재생시에는 핀치롤러(12)가 캡스턴(13) 측으로 이동하여 오디오 테이프를 캡스턴(13)에 밀착시켜서 캡스턴(13)의 정속주행에 따라 오디오 테이프(16)가 정속주행을 한다. 헤드(11)는 상기 핀치롤러(12)와 함께 화살표(A) 방향으로 이동하여 오디오 테이프에 수록된 자기신호를 읽어 준다.
도 2는 상기 공개번호 특1999-0073363호의 카세트 테입형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기록 및 재생장치(20)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그 하우징(26)은 일반적인 오디오 카세트 테이프와 동일한 크기와 모양으로 되어 있다.
이 카세트 테입형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기록 및 재생장치(20)가 일반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10)에 삽입되면 한 쌍의 릴테이블(14,15)이 한 쌍의 릴기어(21,22)와 각각 결합되어 상기 릴테이블(14,15)의 회전에 따라 상기 릴기어(21,22)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릴기어(21,22)의 회전속도 및 방향이 감지수단(미도시)을 통해 감지되고 그 감지수단의 출력에 근거하여 메모리부(25)로부터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선별하여 읽어내게 된다. 즉, 상기 속도 및 방향을 확인하여 해당의 동작, 예컨대 현재곡의 재생, 혹은 다음곡 또는 전곡으로의 이동, 현재 곡 내에서의 빨리가기, 뒤로 빨리가기 등을 행하여 해당 파일을 찾은 후 읽어내게 된다.
읽혀진 디지털 오디오 파일은 신호변환기(미도시)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헤드부(24)로 인가된다. 그 아날로그 신호는 상기 헤드부(24)에서 자기 신호로 변환되어 카세트 테입형 오디오 데이터 기록 및 재생장치가 삽입된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10)의 헤드(11)로 전달되어 음성이나 음향으로 재생된다.
그런데, 일반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10)의 기종에 따라 상기 릴테이블(14,15)을 구동하는 모터의 회전력이 다른 기종보다 큰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카세트 테이프의 재생시 상기 릴테이블(14,15)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상기 릴기어(21,22)의 속도가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10)의 기종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장치는 오디오 테이프가 게재되어 있지 않으므로 상기 릴기어(21,22)의 회전속도가 빨라질 위험이 있었다. 상기 릴기어(21,22)의 회전속도가 빨라지면 사용자가 재생을 하는 도중에 상기 감지수단이 상기 릴기어(21,22)의 속도를 오인하여 빨리감기로 잘못 인식하여 사용자가 현재곡의 재생을 원하는데 다음곡으로 넘어갈 염려가 있었다.
그리고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장치의 한 쌍의 릴기어(21,22)가 연결기어(23)들을 통해 기어연결되어 있으므로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10)의 릴테이블(14,15)의 구동을 위한 모터의 회전력이 너무 작으면 상기 릴기어(21,22)를 회전시키기 어려워 일반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10)에서 오디오 카세트 테이프(16)의 잔량이 없는 것으로 잘못 인식하여 오디오 카세트 테이프(16)가 튀어나올 염려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염려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오디오 테이프의 재생시에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릴기어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상기와 같은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카세트 테입형 오디오 데이터 기록 및 재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카세트 테입형 오디오 데이터 기록 및 재생장치의 개략적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 테입형 오디오 데이터 기록 및 재생장치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 테입형 오디오 데이터 기록 및 재생장치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의 Ⅴ-Ⅴ선 단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를 보충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 12. 핀치롤러
13. 캡스턴 14, 15 감기릴테이블
16. 오디오 카세트 테이프 21, 22 릴기어
25. 메모리부 26. 하우징
30,40. 카세트 테입형 오디오 데이터 기록 및 재생장치
32. 구동풀리 33. 종동풀리
34,44. 가압롤러 35,45. 회동레버
36,46. 토션스프링 37. 벨트
θ1, θ2. 벨트와 구동풀리와의 접촉각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카세트 테입형 오디오 데이터 기록 및 재생장치는 오디오 카세트 테이프의 한 쌍의 테이프릴의 회전을 위해 그 테이프릴들에 결합 가능한 한 쌍의 릴테이블과 오디오 카세트 테이프의 정속주행을 위한 캡스턴과 핀치롤러가 구비된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릴테이블들에 결합되어 그 릴테이블과 함께 회전 가능한 한 쌍의 릴기어와, 오디오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릴기어의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기록된 데이터들이 순차적으로 또는 선별적으로 재생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또한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릴기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어연결된 구동풀리와,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종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와 종동풀리에 감아걸리며 상기 캡스턴과 핀치롤러에 의해 정속으로 순환주행될 수 있도록 상기 캡스턴과 핀치롤러 사이에 위치되는 벨트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 테입형 오디오 데이터 기록 및 재생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 테입형 오디오 데이터 기록 및 재생장치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카세트 테입형 오디오 데이터 기록 및 재생장치(30)는 도 1과 같은 일반적인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10)에 장착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 테입형 오디오 데이터 또는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30)도 도 2에 도시된 장치와 마찬가지로 하우징(26)과, 메모리부(25)와, 헤드부(24)와 한 쌍의 릴기어(21,22) 및 연결기어(23)들을 구비하고 있다. 그 각 구성요소들은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므로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들 각각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카세트 테입형 오디오 데이터 기록 및 재생장치는 ,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종래 카세트 테입형 오디오 데이터 기록 및 재생장치와는 달리, 구동풀리(32)와 종동풀리(33)와 벨트(37)를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동풀리(32)는 상기 하우징(26)에 지지된 구동풀리핀(32c)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원형풀리부(32a)와 기어부(32b)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원형풀리부(32a)와 기어부(32b)는 동심축선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형풀리부(32a)와 기어부(32b)는 일체로 제작되어 있다.
상기 구동풀리(32)의 기어부(32b)는 연결기어(31)에 의해 상기 릴기어(21)에 기어연결되어 있다.
상기 종동풀리(33)들은 각각 상기 하우징(26)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벨트(37)는 상기 구동풀리(32)의 원형풀리부(32a)와 종동풀리(33)들에 감아걸리게 된다. 벨트(37)는 그 일부가 캡스턴(13)과 핀치롤러(12)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 테입형 오디오 데이터 기록 및 재생장치(30)는 또한, 벨트(37)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장력제공수단으로서 회동레버(35)와, 가압롤러(34)와, 토션스프링(36)을 구비한다.
상기 회동레버(35)의 일단은 하우징(26)에 지지된 지지축(38)과 결합되며 상기 지지축(38)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회동레버(35)의 일측에는 돌출부(35a)가 마련되며 상기 돌출부(35a)에는 관통공(35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압롤러(34)는 상기 회동레버(35)의 타단에 가압롤러핀(34a)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가압롤러핀(34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다.
상기 토션스프링(36)의 일단은 상기 하우징(26)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회동레버(35)의 돌출부(35a)에 형성된 관통공(36b)에 삽입되어 있다. 상기 토션스프링(36)은 회동레버(35)를 일방향으로, 즉 가압롤러(34)가 구동풀리(32)에 감긴 벨트(37)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역할을 하며, 그에 따라 상기 가압롤러(34)는 상기 구동풀리(32)에 걸려있는 벨트(37)를 그 구동풀리(32)에 탄력적으로 눌러 붙이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 테입형 오디오 데이터 기록 및 재생장치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 테입형 오디오 데이터 기록 및 재생장치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Ⅴ-Ⅴ선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를 보충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4 내지 도 6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 테입형 오디오 데이터 기록 및 재생장치(40)에서의 벨트(37)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장력제공수단도 상술한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회동레버(45)와, 가압롤러(44)와, 토션스프링(46)이 구비되지만 그 놓여지는 위치와 상기 벨트(37)를 가압하는 방향이 상기 일 실시예와 다르다.
상기 회동레버(45)의 일단은 하우징(26)에 지지된 지지축(48)과 결합되며 상기 지지축(38)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회동레버(45)의 일면에는 회동레버(45)와 직각으로 상기 토션스프링(46)이 걸리는 걸림부(451)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가압롤러(44)는 상기 회동레버(45)의 타단에 가압롤러핀(44a)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가압롤러핀(44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다.
상기 토션스프링(46)의 일단은 헤트지지부(241)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회동레버(45)의 걸림부(45a)에 걸리게 된다. 상기 토션스프링(46)은 회동레버(45)를 일방향으로, 즉 가압롤러(34)가 구동풀리(32)와 종동풀리(33) 사이에서 상기 벨트(37)를 도 6의 B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에 따라 상기 가압롤러(44)는 상기 구동풀리(32)와 종동풀리(33) 사이의 벨트(37)를 상기 구동풀리(32)와 벨트(37)가 접하는 접촉각이 θ1(도 6참조)에서 θ2(도 6참조)로 증대되는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눌러 붙이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카세트 테입형 오디오 데이터 기록 및 재생장치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장치의 하우징(26)의 외형은 카세트 테입과 동일한 크기와 모양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26)은 일반 오디오 기기 및 차량용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그대로 장착가능하다. 이 때 상기 장치의 한 쌍의 릴기어(21,22)는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10)의 릴테이블(14,15)과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26)이 장착된 후 사용자가 재생버튼을 누르면 상기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10)의 캡스턴(13)은 캡스턴모터(미도시)에 의해 정속주행을 하며, 상기 핀치롤러(12)는 상기 캡스턴(13)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캡스턴(13)과 핀치롤러(12) 사이에 상기 벨트(37)가 위치하고 있으므로, 이동되는 핀치롤러(13)는 벨트(37)를 캡스턴(13)에 눌러 붙이게 되며, 그에 따라 벨트(37)도 캡스턴(13)과 함께 정속주행을 하게 된다.
상기 구동풀리(32)의 원형풀리부(32a)에 벨트(37)가 걸려 있으므로 벨트(37)와 원형풀리부(32a)의 마찰력으로 인하여 벨트(37)의 주행에 따라 상기 구동풀리(32)도 정속 회전하게 된다.
상기 구동풀리(32)는 상기 원형풀리부(32a)와 동심축상에 기어부(32b)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구동풀리(32)의 회전은 상기 기어부(32b)를 통해 연결기어(31)에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기어(3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연결기어(31)와 맞물려 있는 상기 릴기어(21,22)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즉 기어물림에 의하여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상기 캡스턴(13)의 정속 회전이 상기 릴기어(21,22)에 전달되는 것이다.
따라서,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상기 릴테이블(14,15)의 회전력이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10)의 종류에 따라 약간씩 상이하거나 상기 릴테이블(14,15)에서 슬립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캡스턴(13)의 회전은 정속을 유지하므로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상기 릴기어(21,22)의 회전은 정속을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릴기어(21,22)가 정속회전하게 됨으로써, 상기 감지수단(미도시)은 릴기어(21,22)가 재생속도로 회전하고 있음이 오차없이 감지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의 출력을 받아서 상기 메모리부(25)로부터 현재곡의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디코딩하여 읽게 된다. 상기 제어부(미도시)에서 읽혀진 파일은 신호 변화부(미도시)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후 헤드부(24)에서 자기 신호로 바뀌어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헤드(11)에 전달되어 음성 또는 음향으로 재생된다.
한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회동레버(35)를 설치하고 그 회동레버(35)의 끝단에 가압롤러(34)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그 가압롤러(34)가 상기 구동풀리(32)를 압박하는 방향으로 회동레버(35)를 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37)을 설치하게 되면, 그 가압롤러(34)에 의해 벨트(37)는 구동풀리(32)에 확고하게 밀착될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벨트(37)에 장력이 부가되게 되어, 예를 들어 벨트(37)의 마모 등에 의해 발생될 수도 있는 벨트의 슬립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릴기어(21,22)는 보다 안정된 재생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벨트(37)에 장력을 부가하는 장력부가수단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와 같이 실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토션스프링(46)의 일단을 헤드지지구(도 4의 241)에 지지시키고 타단을 상기 회동레버(45)의 걸림부(451)에 걸리게 한다. 그러면 상기 토션스프링(46)의 탄성력으로 인해 상기 회동레버(45)가 도 6의 B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벨트(37)와 상기 구동풀리(32)가 접촉되는 접촉각이 θ1에서 θ2로 증대되는 방향으로 회동레버(45)가 상기 하우징(26)에 지지된 지지축(48)을 중심으로 회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회동레버(45)에 연결된 가압롤러(44)가 상기 구동풀리(32)와 종동풀리(33) 사이에서 상기 벨트(37)를 도 6의 B 방향, 즉 상기 구동풀리(32)와 벨트(37)가 접촉되는 접촉각이 θ1에서 θ2로 증대되는 방향으로 누르게 된다. 따라서 벨트(37)에는 장력이 부가되게 되며 또한 벨트(37)와 구동풀리(32)와의 접촉면적도 보다 넓어지게 된다. 이에 의하여 벨트(37)의 마모 등에 의해 발생될 수도 있는 벨트의 슬립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릴기어(21,22)는 보다 안정된 재생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빨리감기나 되감기 버튼이 눌려지면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상기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상기 핀치롤러(12)가 상기 캡스턴(13)과 떨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벨트(37)는 상기 핀치롤러(12)에 의한 압력에 없는 자유로운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벨트(37)는 재생모드시와는 다르게 상기 캡스턴(13)의 회전을 상기 구동풀리(32)에 전달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빨리감기나 되감기 시에는 상기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10)의 릴테이블(14,15)이 재생모드시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릴테이블(14,15)과 결합된 상기 릴기어(21,22)도 빠른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릴기어(21,22)의 회전속도 및 방향을 감지하는 상기 감지수단(미도시)은 재생모드시보다 빠른 속도의 감지출력과 빨리감기나 되감기에 따른 방향의 감지출력을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전달하게 되고 그 결과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감지출력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25)에서 현재곡의 다음곡 혹은 전곡에 해당하는 오디오 디지털 파일을 디코딩하여 읽어낸다. 상기 제어부(미도시)에서 읽혀진 파일은 이미 상술한 과정을 거쳐서 사용자가 청취하게 된다.
이상, 본 고안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카세트 테입형 오디오 데이터 기록 및 재생장치가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형태의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풀리(32)의 원형풀리부(32a)와 기어부(32b)는 일체로 제작되어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각각 별개로 제작되어 견고히 결합되는 형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카세트 테입형 오디오 데이터 기록 및 재생장치에 의하면, 재생시 한 쌍의 릴기어의 정속회전이 가능하여 재생모드시에 오작동할 염려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오디오 카세트 테이프의 한 쌍의 테이프릴의 회전을 위해 그 테이프릴들에 결합 가능한 한 쌍의 릴테이블과 오디오 카세트 테이프의 정속주행을 위한 캡스턴과 핀치롤러가 구비된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릴테이블들에 결합되어 그 릴테이블과 함께 회전 가능한 한 쌍의 릴기어와, 오디오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릴기어의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기록된 데이터들이 순차적으로 또는 선별적으로 재생될 수 있도록 구성된 카세트 테입형 오디오 데이터 기록 및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릴기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어연결된 구동풀리와,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종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와 종동풀리에 감아걸리며 상기 캡스턴과 핀치롤러에 의해 정속으로 순환주행될 수 있도록 상기 캡스턴과 핀치롤러 사이에 위치되는 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테입형 오디오 데이터 기록 및 재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장력제공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테입형 오디오 데이터 기록 및 재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제공수단은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레버와,
    상기 회동레버의 자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동레버의 일방향으로의 회동시에 상기 벨트를 상기 구동풀리에 밀착시키는 가압롤러와,
    상기 회동레버를 상기 일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테입형 오디오 데이터 기록 및 재생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제공수단은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레버와,
    상기 회동레버의 자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동레버의 일방향으로의 회동시에 상기 구동풀리와 종동풀리 사이의 벨트를 상기 구동풀리와의 접촉각이 증대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롤러와,
    상기 회동레버를 상기 일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테입형 오디오 데이터 기록 및 재생장치.
KR2020000019091U 2000-04-27 2000-07-04 카세트 테입형 오디오 데이터 기록 및 재생장치 KR2002059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9091U KR200205913Y1 (ko) 2000-04-27 2000-07-04 카세트 테입형 오디오 데이터 기록 및 재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12048 2000-04-27
KR2020000012048 2000-04-27
KR2020000019091U KR200205913Y1 (ko) 2000-04-27 2000-07-04 카세트 테입형 오디오 데이터 기록 및 재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5913Y1 true KR200205913Y1 (ko) 2000-12-01

Family

ID=26637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9091U KR200205913Y1 (ko) 2000-04-27 2000-07-04 카세트 테입형 오디오 데이터 기록 및 재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591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635A (ko) * 2000-07-27 2000-11-06 장승관 카세트 테입형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재생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635A (ko) * 2000-07-27 2000-11-06 장승관 카세트 테입형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재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5913Y1 (ko) 카세트 테입형 오디오 데이터 기록 및 재생장치
US6565030B2 (en) Tape simulator of cassette type digital audio/video devices
US4612590A (en) Tape drive device for telephone answering device
KR200221190Y1 (ko) 카세트 테이프형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기기의 테이프시뮬레이터
JP2635060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0117893Y1 (ko) 테이프 레코더의 릴 구동장치
KR200261973Y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릴 클러치 구조
KR100460948B1 (ko)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릴테이블 구동장치
KR100797177B1 (ko) 자기 기록/재생장치 및 이에 포함된 릴조립체 제동방법
KR810000881Y1 (ko) 자기녹음 재생기의 자동정지 선택장치
JPS604266Y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S59221852A (ja) テ−プ駆動装置
KR960006676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모드 진행방법
JPH0430704Y2 (ko)
JPH0210499B2 (ko)
JPH0755701Y2 (ja) テーププレーヤの張力付与機構
JP2563813Y2 (ja) オートヘッドクリーニング装置
KR20000063635A (ko) 카세트 테입형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재생장치
JP3141240B2 (ja) テープローディング装置
JPS63225959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765447A (ja) 記録または再生装置
JPS5823651B2 (ja) テ−プレコ−ダ−
JPS63313336A (ja) 回転ヘッド式ディジタル信号再生装置
JPS6025042A (ja) 超低速巻戻し付カセツトテ−プレコ−ダ
JPS5826742U (ja) テ−プレコ−ダの動作切換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