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5016Y1 - 방범용 경보장치 - Google Patents

방범용 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5016Y1
KR200205016Y1 KR2020000018362U KR20000018362U KR200205016Y1 KR 200205016 Y1 KR200205016 Y1 KR 200205016Y1 KR 2020000018362 U KR2020000018362 U KR 2020000018362U KR 20000018362 U KR20000018362 U KR 20000018362U KR 200205016 Y1 KR200205016 Y1 KR 2002050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normal signal
abnormal
receiver
transmitter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83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후채
Original Assignee
이후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후채 filed Critical 이후채
Priority to KR20200000183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50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50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50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4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alarm systems, e.g. fire, police or burglar alarm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범용 경보장치에 관한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귀중한 물품이 보관되는 장소에 이상신호를 감지하는 발신기를 설치하고, 발신기의 이상신호 감지시에 이를 수신장치인 전화기로 송출하여 전화기에서는 미리 입력한 각 전화번호로 일제히 비상메세지를 전화선로로 통보해 주므로서, 긴급 상황에 신속히 대처 할 수 있게 하는 침입자 경보기능을 갖는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전화기와 한 조로 이루어진 이상감지 신호 발신기와 이상감지 신호의 발신에 의해, 이를 수신하게 되면 사용자가 미리 입력 시킨 음성녹음을 통해 외부의 특정 다수인에게 통보하도록 된 방범용 경보장치를 제공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방범용 경보장치{alarm system for crime prevention}
본 고안은 방범용 경보장치에 관한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귀중한 물품이 보관되는 장소에 이상신호를 감지하는 발신기를 설치하고, 발신기의 이상신호 감지시에 이를 수신장치인 전화기로 송출하여 전화기에서는 미리 입력한 각 전화번호로 일제히 비상메세지를 전화선로로 통보해 주므로서, 긴급상황에 신속히 대처 할 수 있게 하는 침입자 경보기능을 갖는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 방범에 의한 도난방지 또는 침입자 감지의 목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에 설치하도록 된 방범용 도난 경보기와 침입자 감지기등은 여러 형태의 것이 널리 알려져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유선일 경우에 침입자에 의해 선을 절단하게 되면 침입자 감지의 기능을 수행 할 수 없었으며, 무선일 경우에는 침입자 감지시에 단순히 경보를 울린다는지, 점멸등을 점등시켜 침입자로 하여금 경각심을 불러 일으켜 도주 하는 정도의 기술에 지나지 않았고, 침입자 감지시에 특정 발신지로 통보하도록 된것에 있어서도, 별도의 추가장치가 전화기와 연결되어야 하는 구조의 복잡성을 배제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화기와 한 조로 이루어진 이상감지 신호 발신기와 이상감지 신호의 발신에 의해, 이를 수신하게 되면 사용자가 미리 입력 시킨 음성녹음을 통해 외부의 특정 다수인에게 통보하도록 된 방범용 경보장치를 제공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품에 대한 구성도로서,
(가)는 전화기와 한조로 이루어진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나)는 발신기와 수신기로 이루어진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발신기 11...,감지센서
12...,감지부 13...,음향발생부
14...,이상신호 발생부 20,20'...,수신기
21...,수신부 22...,제어부
23...,음성저장부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인체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 또는, 초음파 신호 등에 의해 이상신호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상기 감지센서의 이상신호 감지시에 변화되는 출력값에 의해 이상상황임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 의해 이상상황시에 특정음을 발생되게 하는 음향 발생기; 상기 감지부의 감지 상태에 따라 이상신호를 발생하는 이상신호 발생부를 구비하는 발신기; 발신기의 이상신호 송출을 수신하는 이상신호 수신부; 이상신호 수신부의 출력값에 따라 미리 입력되어진 긴급상황 메시지가 지정된 각각의 주소로 송출하는 제어부를 갖는 전화기를 구비하여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첨부된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에 관한것으로서, 감지센서(11)는 원적외선 검출센서 내지는 초음파 감지센서 그 어떠한 것을 적용하여도 되는데, 침입자의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 라면 그 어떠한 것도 무방하다. 이러한 감지센서(11)에 의해 침입자가 감지되면, 감지에 따른 출력 신호가 변화 되는데, 이에 따라 감지부(12)에서는 변화된 신호에 의해 음향 발생부(13)와 이상신호 발생부(14)를 각각 동작 시키게 되고, 이때, 음향발생부(13)는 주변으로 강력한 경보음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이상신호 발생부(14)를 통해 전화기와 같은 수신기(20)에 내장된 이상신호 수신부(21)에 전달된다.
이어서, 이상신호 수신부(21)를 통해 이상신호가 제어부(22)에 입력되면 제어부(22) 에서는 음성저장부(23)에 미리 저장된 비상 메시지를 각각의 발신지로 송출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음성저장은 '역삼동 820번지에 외부 침입자가 있으니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와 같은 내용의 비상메시지를 저장할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음성녹음에 따라 용이하게 그 내용을 바꿀 수 있다.
한편, 도 2는 본 고안의 실제 제품을 도시한 것으로서 전화기 기능을 갖게한 본 고안의 수신기(20)와 발신기(10)에 대한 구성을 보여 주기 위한 것이고, 도 3은 수신기(20')가 전화기 형태가 아닌 휴대용으로서 침입자 감지에 따른 발신기(10)의 이상신호 감지시에 전술한 바와 같이 음성저장부에 미리 입력 되어진 음성이 외부로 송출 되게 한것으로서, 침입자 감지시에 경보음과 동시에 한 조로 이루어지는 다른쪽 발신기로 통보가 가도록 한 것으로서, 이동량이 많은 현장 작업자에게 적합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이는 본 고안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2)

  1. 인체의 접촉, 전파 차단등의 신호를 감지하여 출력값을 변화시키는 감지센서; 상기 감지센서의 변화되는 출력값에 의해 이상상황임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 의해 이상상황시에 특정음을 발생되게 하는 음향 발생기; 상기 감지부의 감지상태에 따라 이상신호를 발생하는 이상신호 발생부를 구비하는 발신기와 수신기로 이루어진 방범용 경보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발신기의 이상신호 송출을 수신하는 이상신호 수신부; 이상신호 수신부의 출력값에 따라 음성저장부에 미리 입력되어진 긴급상황 메시지가 지정된 각각의 전화선로로 송출시키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수신기를 전화기에 적용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용 경보장치.
  2. 인체의 접촉, 전파 차단등의 신호를 감지하여 출력값을 변화시키는 감지센서; 상기 감지센서의 변화되는 출력값에 의해 이상상황임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 의해 이상상황시에 특정음을 발생되게 하는 음향 발생기; 상기 감지부의 감지상태에 따라 이상신호를 발생하는 이상신호 발생부를 구비하는 발신기와 수신기로 이루어진 방범용 경보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발신기의 이상신호 송출을 수신하는 이상신호 수신부; 이상신호 수신부의 출력값에 따라 음성저장부에 미리 입력되어진 긴급상황 메시지와 경보음이 외부로 출력되게 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수신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용 경보 장치.
KR2020000018362U 2000-06-27 2000-06-27 방범용 경보장치 KR2002050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362U KR200205016Y1 (ko) 2000-06-27 2000-06-27 방범용 경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362U KR200205016Y1 (ko) 2000-06-27 2000-06-27 방범용 경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5016Y1 true KR200205016Y1 (ko) 2000-12-01

Family

ID=19662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8362U KR200205016Y1 (ko) 2000-06-27 2000-06-27 방범용 경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501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53107B2 (en) Multi-sensory alarming device
US4996517A (en) Household alarm system
US11735030B2 (en) Security system automatic bypass reset
GB2395336A (en) Portable security device
KR20090029149A (ko) 침입예방시스템
KR200205016Y1 (ko) 방범용 경보장치
KR200152279Y1 (ko) 경계 경보 장치
JP2968601B2 (ja) 警報検知器
JP2007233679A (ja) 住宅用防犯システム
JP2008065439A (ja) 盗難防止装置
JPH0779291A (ja) コードレス電話機を用いた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100375590B1 (ko) 주택 경보 장치
JP2008040854A (ja) 無線警報装置
JP2002109662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を備えた住宅及び住宅群
KR200236380Y1 (ko) 전화 경보장치
WO2002080514A1 (en) Anti-theft alarm system
RU105052U1 (ru) Извещатель для тревожной сигнализации
JP2002109661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200298214Y1 (ko) 침입증거 기록장치
KR200292171Y1 (ko) 적외선을 이용한 방범시스템
NL1016632C2 (nl) Alarmeringsinrichting.
KR200262056Y1 (ko) 듀얼 pir방식 무선도난경보기
KR200254696Y1 (ko) 공동주택용 방범시스템
JP2002092752A (ja) スーツケース盗難防止器
KR200182497Y1 (ko) 이상 탐지 전화통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