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6380Y1 - 전화 경보장치 - Google Patents

전화 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6380Y1
KR200236380Y1 KR2020000034940U KR20000034940U KR200236380Y1 KR 200236380 Y1 KR200236380 Y1 KR 200236380Y1 KR 2020000034940 U KR2020000034940 U KR 2020000034940U KR 20000034940 U KR20000034940 U KR 20000034940U KR 200236380 Y1 KR200236380 Y1 KR 2002363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user
alarm
signal
intru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49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양우
Original Assignee
이양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양우 filed Critical 이양우
Priority to KR20200000349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63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63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6380Y1/ko

Links

Landscapes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무단침입자를 센서가 감지하면 전화벨을 울려 무단침입자에게 경고를 함과 동시에 설정된 곳으로 전화를 발신하여 무단침입 발생을 알려주어 장거리에서도 무단침입에 대하여 신속하게 조치하게 되므로 귀중품의 분실방지 및 인명의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전화 경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현관문 또는 창문등에 설치되어 무단침입을 감지하도록 한쌍의 전자칩이 근접설치되어 그 전자칩의 전파가 송/수신되지 않을 경우에 입력부로 신호를 전송하는 센서부와; 상기 입력부에 연결되어 센서부의 침입자 감지신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각종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사이렌소리 또는 경광등의 점등을 이용하는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경보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센서부에서 무단침입 발생을 감지하면 사용자에 의해서 미리 설정된 전화번호로 전화가 거는 전화연결부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각종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조작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전화 경보장치{A Alarm Device for phone}
본 고안은 전화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침입자를 감지하여 정해진 수신자에게 문자로 침입사실을 경보하여 사용자가 침임사실을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는 전화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사무실 등을 무단침입 당할 경우에는 각종 귀중품의 분실 및 기물의 파손은 물론 심할경우에는 인명피해가 발생되므로 이를 방지할 목적으로다양한 잠금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어떠한 잠금장치라 하더라도 반드시 개방가능한 것이며 그 잠금장치의 성능에 따라 설치비용이 증가하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도난방지의 일환으로 무단침입자가 발생할 경우에 경보시스템이 작동되어 업체의 직원이 직접 방문하여 무단침입자의 발생을 예방하는 다양한 경비업체가 영업을 하고 있다.
이러한 경비업체에 의뢰를 할 경우에는 그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됨은 물론 정기적인 비용이 발생하므로 영세한 영업장이나 각 가정에서 이용하기에는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되었다.
또는 각종센서를 부착하여 그 센서가 무단침입자를 감지할 경우 경보 또는 경광등을 점멸하는 경보장치가 개발되어 있으나 이러한 경보장치는 무단침입지역에 인접한 곳에서는 확인 가능하지만 장거리에서는 무단침입을 확인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무단침입자를 센서가 감지하면 전화벨을 울려 무단침입자에게 경고를 함과 동시에 설정된 곳으로 전화를 발신하여 무단침입 발생을 알려주어 장거리에서도 무단침입에 대하여 신속하게 조치하게 되므로 귀중품의 분실방지 및 인명의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전화 경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화 경보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화 경보장치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화 경보장치의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어부 20 : 조작부
30 : 표시부 40 : 입력부
50 : 경보부 60 : 송신부
70 : 전화연결부 80 : 센서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현관문 또는 창문등에 설치되어 무단침입을 감지하도록 한쌍의 전자칩이 근접설치되어 그 전자칩의 전파가 송/수신되지 않을 경우에 입력부로 신호를 전송하는 센서부와; 상기 입력부에 연결되어 센서부의 침입자 감지신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각종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사이렌소리 또는 경광등의 점등을 이용하는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경보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센서부에서 무단침입 발생을 감지하면 사용자에 의해서 미리 설정된 전화번호로 전화가 거는 전화연결부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각종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조작부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화 경보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화 경보장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화 경보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현관문 및 창문 등 사람이 출입할 수 있는 통로에 설치되는 센서부(80)가 마련되고 그 센서부(80)는 한쌍의 전자칩으로 이루어지며 그 센서부(80)는 사람이 출입하는 출입문 및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창문등에 설치되고 한쌍의 전자칩은 문과 문틀에 설치되어 문이 닫혀있는 상태에서는 근접한 거리에서 서로 마주보고 전파를 주고받는 것이고 문이 열리면 전파의 송/수신이 불가능하여 그때 신호를 발생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센서부(80)는 센싱값을 입력받아 증폭하는 입력부(40)와 전선으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입력부(40)는 각종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센싱값을 처리하는 제어부(10)와 연결되고 그 제어부(10)에는 제어부(10)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30), 무단침입 발생시 작동되어 침입자가 발생됨을 소리 또는 램프의 점등으로 알려줄수 있는 경보부(50), 상기 경보부(50)와 동시에 작동되어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60), 상기 송신부(60)와 연결되어 사용자에 의해서 미리 설정된 전화번호 예를 들어 인근 경찰서 또는 경비업체에 전화를 연결하는 전화연결부(70), 상기 제어부(10)에 사용자가 각종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조작부(20)로 이루어진다.
상기 경보부(50)는 연속적으로 점멸되는 경광등 또는 침입자 및 주변의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소리를 용하는 사이렌 중 어느하나를 사용하거나 경광등과 사이렌소리를 동시에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본 고안의 경보장치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화기(110)가 삽입되는 수용홈을 갖는 몸체(100)의 전면에 조작부(20)를 마련하고 일측면에는 사이렌소리가 발생하는 경보부(50)를 마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 하다.
한편, 전화연결부(70)에는 무단침입 발생시 침입자의 발생을 알려주어 신속하게 대항할 수 있는 곳에 전화가 연결되도록 전화번호를 입력한다.
예를 들면, 자신의 휴대폰, 경비실, 인근 파출소 등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것이며 송신부(60)에서는 전화연결 신호를 발생함은 물론 전화 연결시 문자로 메시지를 송신하거나 기억된 음성으로 무단침입을 알려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출을 할 경우에는 조작부(20)를 조작하여 외출모드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외출모드로 설정 후 일정 시간이 지난 다음 센서부가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외부로 나갈때까지의 여유를 두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경보장치가 작동되는 상태에서 무단침입자가 현관 또는 창문을 통하여 침입하면 센서부(80)에 설치된 한쌍의 전자칩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고 그 전자칩에서 전파의 송/수신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제어부(10)에 연결된 전선을 통하여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이때 제어부에서는 제어신호가 발생하게 되며 그 제어신호는 송신부(60)와, 경보부(50) 및 표시부(30)로 각각 전송된다.상기 송신부(60)에 제어신호가 전송되면 그 송신부(60)에서는 전화연결부(70)로 전화연결 신호가 전송되어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전화번호로 전화를 연결하게 됨과 함께 상기 전화연결부(70)에서는 전화벨이 울려 무단침입자에게 경고를 하게 된다.또한 상기 경보부(50)로 전송된 제어신호는 경보부(50)를 작동시켜 경광등을 점멸시킴과 함께 경보음을 발생시키게 된다.그리고 상기 표시부(30)로 전송된 제어신호는 현재 제어부(10)의 작동상황을 표시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작동상황은 사용자가 입력한 전화번호 즉 사용자, 경비실, 인근파출소 등으로 전화를 연결하는 상태를 표시하여 무단침입자가 표시부(30)를 확인할 경우에 자신의 칩입행위가 타인에게 알려지는 것을 인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송신부(60)에서 발생되는 신호에 의해서 전화연결부(70)에 입력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게되므로 무단침입자의 발생과 동시에 그 사실을 알리게 되므로 불의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무단칩입자에 의해서 작동되어 위험상황이 해제된 후 또는 본인 및 가족이 문을 열어 경보장치가 작동될 경우에는 경보장치의 작동을 중지시켜야 하며 이때에는 몸체(100)에 마련된 조작부(20)의 버튼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서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제어부는 그 비밀번호와 설정된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그 입력된 비밀번호와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경보장치는 연속적으로 작동하게 되고 일치하면 제어부(10)에서는 경보장치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신호가 발생된다.상기 신호는 송신부(60), 경보부(50) 및 표시부(30)로 각각 전송된다.이때 송신부(60)에서는 전화연결 신호가 발생되어 전화연결부(70)에 입력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 경보 해제상황을 알려 주게되고, 경보부(50)는 작동을 멈추고 표시부(30)에는 해제상태가 표시되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가 취침을 할 경우에는 취침모드로 설정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무단침입자가 현관 또는 창문을 통하여 침입하면 전화벨이 울림과 동시에 경보부(50)가 작동되어 경광등이 점멸되며 경보음이 발생하게되어 무단침입자에게 경보를 함은 물론 취침중인 본인 또는 가족에게는 무단침입자의 발생을 알려주어 위험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해준다.
한편 송신부(60)에서는 신호가 발생되어 전화연결부(70)에 입력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게되어 타인에게 무단침입자의 발생을 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무단침입자 발생시 경보 및 설정된 전화번호에 전화를 걸어 무단침입자의 침입을 신속하게 알려주어 별도의 경비업체와 계약을 하지 않고도 무단침입자로부터 재산과 생명을 보호하게 되므로 실질적인 방범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현관문 또는 창문등에 설치되어 무단침입을 감지하도록 한쌍의 전자칩이 근접설치되어 그 전자칩의 전파가 송/수신되지 않을 경우에 입력부(40)로 신호를 전송하는 센서부(80)와;
    상기 입력부(40)에 연결되어 센서부의 침입자 감지신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각종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10)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사이렌소리 또는 경광등의 점등을 이용하는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부(50)와;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경보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30)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센서부에서 무단침입 발생을 감지하면 사용자에 의해서 미리 설정된 전화번호로 전화가 거는 전화연결부(70)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60)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각종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조작부(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경보장치.
KR2020000034940U 2000-12-13 2000-12-13 전화 경보장치 KR2002363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940U KR200236380Y1 (ko) 2000-12-13 2000-12-13 전화 경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940U KR200236380Y1 (ko) 2000-12-13 2000-12-13 전화 경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6380Y1 true KR200236380Y1 (ko) 2001-09-26

Family

ID=73061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4940U KR200236380Y1 (ko) 2000-12-13 2000-12-13 전화 경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638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571A (ko) * 2002-07-24 2004-01-31 (주)에프디엔 다기능 전화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571A (ko) * 2002-07-24 2004-01-31 (주)에프디엔 다기능 전화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18803A (ko) 스마트 배리어 경보 장치
KR20050093052A (ko) 무인 경비 시스템용 휴대폰 및 이를 이용한 방범 방법
GB2314659A (en) Wireless alarm system
JP6475402B2 (ja) 防犯システム
KR200236380Y1 (ko) 전화 경보장치
JP2001219817A (ja) 自動車の盗難通報警戒装置
KR200206843Y1 (ko) 도난경보시스템
RU72560U1 (ru) Домофон "мобифон"
KR20000059174A (ko) 인터넷을 이용한 방범장치
KR19980062968U (ko) 경계 경보 장치
JP6491723B2 (ja) 防犯システム
KR100375590B1 (ko) 주택 경보 장치
KR200373536Y1 (ko) 도난경보기
KR200262056Y1 (ko) 듀얼 pir방식 무선도난경보기
KR200352823Y1 (ko) 창호 보안시스템
KR200209444Y1 (ko) 침입자 감지 및 경보장치
KR100316203B1 (ko) 도난 경보장치를 가진 매입형 전화콘센트 및 도난경보장치제어 방법
KR820002258Y1 (ko) 매립식 자동 비상(강·절도) 방범기
RU2170458C1 (ru) Способ охранной сигнализации и электронное охра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способа
KR200195346Y1 (ko) 주거 침입 방지 시스템
KR200268740Y1 (ko) 위험을 감지하여 경보하는 보안 장치
KR20030008870A (ko) 홈 방범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0163386Y1 (ko) 적외선인체감지센서내장무선전화기
KR0140608Y1 (ko) 자동차의 도난 경보장치
KR200208367Y1 (ko) 침입자 감지 및 경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