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8214Y1 - 침입증거 기록장치 - Google Patents

침입증거 기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8214Y1
KR200298214Y1 KR2020020027015U KR20020027015U KR200298214Y1 KR 200298214 Y1 KR200298214 Y1 KR 200298214Y1 KR 2020020027015 U KR2020020027015 U KR 2020020027015U KR 20020027015 U KR20020027015 U KR 20020027015U KR 200298214 Y1 KR200298214 Y1 KR 2002982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rusion
unit
evidence
control unit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70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현
이용환
김기홍
Original Assignee
(주)에코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코마 filed Critical (주)에코마
Priority to KR20200200270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82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82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8214Y1/ko

Links

Landscapes

  • Alarm System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선제어에 의하여 침입자에 의한 침입현장의 사진과 소리를 물적 증거로 기록하는 침입증거 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며, 외부인의 침입을 센서에 의하여 감지하고 코드화된 침입신호로 변환하여 무선송신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무선수신되는 침입신호를 분석처리하여 증거기록 및 경보발생 제어신호를 무선출력하고 전화기에 침입상황을 통보하는 무선제어부와; 상기 무선제어부로부터 무선수신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침입상황의 증거를 사진으로 기록하는 증거기록부와; 상기 무선제어부로부터 무선수신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침입상황의 소리를 증거로 기록하는 동시에 경보소리 및 경보빛을 발생하는 사이렌부로 이루어지는 특징에 의하여, 무단침입자를 감지하고, 전화기를 이용하여 원거리 사용자에게 즉시 통보 및 필요한 조치를 취하도록 하는 동시에 침입현장의 사진과 발생된 소리를 기록하므로써 침입증거로 확보하고, 현장에서 사이렌 소리 및 경보빛을 발생하여 침입자를 퇴치하는 응급조치를 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침입증거 기록장치{A DEVICE OF RECORDING EVIDENCE FOR AN INVADER}
본 고안은 침입자에 의한 침입현장을 탐지하고 사진으로 촬영하여 침입자의 침입 물적 증거를 기록 및 확보하고 전화기로 통보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제어에 의하여 침입자에 의한 침입현장의 사진과 소리를 물적 증거로 기록하는 침입증거 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경보상태 또는 이상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는 종류가 매우 다양하며, 일 예로, 초음파,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출입문, 창문 등의 무단침입을 감지하는 열감지센서, 개스(GAS)의 누출을 감지하는 개스감지센서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센서 또는 감지기는, 해당 경보현상이 검출되는 경우에 검출신호를 발생하여 경보신호로 알리도록 되어 있으나, 경보발생상황을 원거리로 통보하는 기능이 없고, 또한, 무단침입을 감지하는 경우 침입사실을 증명하는 증거 기록장치 등이 없다.
또한, 화재감지기 및 개스감지기 등의 각종 해당 센서로부터 해당 경보발생 현상이 감지되었음을 탐지하고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기능이 없었다.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무선 도난 경보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도난경보 무선수신 장치의 기능 블록구성도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도난 경보장치는 무선송신기와 무선수신기로 구성되는 것으로, 고유한 코드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무선호출기와 동일한 원리에 의하여 동작하고, 고유코드별로 도난 정보를 무선송신하는 무선송신기와; 상기 무선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고유코드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무선수신기로 구성된다.
상기 첨부된 도1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도난경보 무선수신기 장치를 설명하면, 상기 무선송신기로부터 송신되어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고유코드를 수신하는 무선수신부(1)와;
상기 무선수신부(1)를 통해 수신된 정보를 인가받고 분석처리하여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자신의 내장 메모리에 고유의 도난 코드와 복원 코드를 기억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무선수신부(1)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분석처리하고 파악하여 그 코드가 도난 코드인가 혹은 복원 코드인가를 판단하고 상기의 판단 결과에 의하여서 각 부분으로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자신의 물건이 도난되었음을 램프를 이용하여 주위에 표시하는 도난물건 표시램프부(3)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자신의 물건이 도난되었음을 스피커(5)를 이용하여 출력하는 경고음 발생부(4)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기기 동작을 위한 전원을 차단하거나 또는 차단상태를 복원시키는 전원구동부(6)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기기의 각 부분에 대한 기계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기 구동부(7)로 이루어져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기술에 의한 도난경보 무선수신기 장치를 첨부된 도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 기술의 일 실시 예로, 상기 도난경보 무선수신기 장치가 탑재되어 있는 캠코더를 도난 당했을 경우, 상기 캠코더에 탑재된 도난경보 무선수신기 장치에는 소유주만이 알고 있는 고유코드가 내장되고 코딩되어 있으며, 상기 도난 당한 캠코더의 소유주는 무선송신기를 이용하여 무선통신으로 상기 캠코더에 내장된 무선수신부(1)에 해당 경보발생을 표시하는 고유코드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캠코더에 내장된 무선수신부(1)는 수신된 코드를 마이크로 프로세서(2)에 출력하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는 수신된 코드 분석 결과에 의하여 기기의 각 부분을 제어하는 해당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출력한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로부터 분석 출력되는 코드가 도난 코드인 경우, 그 첫 번째 실시예로, 도난물건 표시램프부(3)의 램프에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므로써, 도난 물건임을 표시하는 램프가 계속 점등되게 하여 외부에서 보았을 때 해당 물건이 도난된 물건임을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두 번째 실시예로 도난 물건을 가지고 범행 또는 장물로서 거래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내부 모든 기능을 관장하는 전원 구동부(6)를 차단하거나 기기 구동부(7)를 차단함으로써, 상기 캠코더의 기기 동작 자체가 되지 않도록 하며, 마지막으로 경보음 발생부(4)로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경보기를 구동시켜 내장스피커부(5)를 통해 미리 저장해둔 내용의 경보신호 메시지를 외부로 발생시킴으로써 인접된 사람에게 용이하게 도난물건임을 알려줄 수 있다.
또한, 도난된 상기 캠코더 기기를 다시 되찾았을 경우, 정상 기능으로 복원시키기 위해서는 복원코드를 전송함으로써 가능하다.
즉, 상기 무선수신부(1)에서 수신되어 마이크로 프로세서(2)로 출력되는 정보 중에서 복원 코드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가 검출하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는 상기 전원 구동부(6), 기기 구동부(7), 도난물건 표시램프부(3)와 경보음 발생부(4)로 출력되는 해당 경보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원상태로 복구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도난방지를 위한 도난 경보 무선수신기 장치는 도난 물건임을 표시하거나 경보음을 발생시키고, 또한, 각종 센서에 의하여 동작하는 화재 감지기, 개스감지기, 무단침입 감지기 또는 탐지기 등은 발생된 경보 상황을 감지하는 즉시 해당 경보음을 발생하지만, 원거리에 위치하는 사용자는 경보상황을 확인할 수 없어 적절한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는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무단침입자가 발생하는 경우에 사진 등을 이용하는 현장의 많은 물적 증거를 기록으로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각종 센서에 의하여 동작하는 열감지기, 화재감지기, 개스감지기 등의 외부 검출장치와 무선연결되고, 경보 상태가 감지 또는 검출되면 공중통신망을 통하여 원거리의 사용자에게 통보하며, 또한 경보발생 현장을 사진 및 소리로 기록하여 물적증거를 획득 확보하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고안에 의한 침입증거 기록장치는, 외부인의 침입을 센서에 의하여 감지하고 코드화된 침입신호로 변환하여 무선송신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무선수신되는 침입신호를 분석처리하여 증거기록 및 경보발생 제어신호를 무선출력하고 전화기에 침입상황을 통보하는 무선제어부와; 상기 무선제어부로부터 무선수신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침입상황의 증거를 사진으로 기록하는 증거기록부와; 상기 무선제어부로부터 무선수신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침입상황의 소리를 증거로 기록하는 동시에 경보소리 및 경보빛을 발생하는 사이렌부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도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도난경보 무선수신 장치의 기능 블록구성도이고,
도2 는 본 고안에 의한 침입증거 기록장치 기능 구성도 이며,
도3 은 본 고안에 의한 센서부의 상세 기능 구성도 이고,
도4 는 본 고안에 의한 사이렌부부의 상세 기능 블록도 이며,
도5 는 본 고안에 의한 무선제어부의 상세 기능 블록도 이고,
도6 은 본 고안에 의한 증거기록수신부의 상세 기능 블록도 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31,520 : 중앙제어부 33 : 플래시 메모리
34 : 부저출력부 39,40,130,440 : 오실레이터
43 : 임피던스 매칭부 51 : 백업 배터리
100 : 센서부 200 : 무선제어부
300 : 전화기 400 : 증거기록부
410,510 : 무선수신부 420 : 증폭부
430 : 디코더 450 : 현장음입력부
460 : 제어스위칭부 470 : 디스플레이부
490 : 기능부 500 : 사이렌부
530 : 모드제어부 540 : 전원제어부
550 : 작동제어부 560 : 기록장치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침입증거 기록장치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2 는 본 고안에 의한 침입증거 기록장치 기능 구성도 이며, 도3 은 본 고안에 의한 센서부의 상세 기능 구성도 이고, 도4 는 본 고안에 의한 사이렌부부의 상세 기능 블록도 이며, 도5 는 본 고안에 의한 무선제어부의 상세 기능 블록도 이고, 도6 은 본 고안에 의한 증거기록수신부의 상세 기능 블록도 이다.
본 고안은, 일 예로, 센서에 의하여 경보발생 유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경보상황을 해당 무선제어부에 무선통보하며, 상기 무선제어부는 원거리에 있는 사용자에게 전화기로 통보하는 동시에 해당 경보발생에 대한 응급조치와 현장의 사진및 소리를 기록하여 증거자료로 확보하는 장치이다.
상기 센서에는, 일 예로, 움직이는 동물체를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SENSOR), 창문 등으로의 무단침입자를 감지하는 초음파 센서, 개스 누출 및 화재 발생을 감지하고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등의 각종 센서가 있다.
상기 센서의 검출신호를 감지 및 분석처리하여 전화기 등을 통하여 원거리에 있는 사용자에게 경보현황을 소리로 통보하는 동시에 현장의 소리와 사진을 증거로 확보하며, 강력한 사이렌 소리 또는 경보음과 경보빛 등을 자체적으로 발생시키므로써 현장에서 경보발생에 대한 응급조치를 하는 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각 기능부는 반도체 집적회로(IC)로 구성하여 본체인 무선제어부(200)와 센서부(100), 증거기록부(400), 사이렌부(500)를 최소 사이즈로 일체화하여 구현한다.
상기 센서부(100)는 다수로 이루어지며, 강력한 초전도 적외선(PIR) 센서에 의하여 움직이는 동물체를 탁월하게 감지하는 기능을 발휘하고, 상기 감지 또는 검출된 경보신호는 해당 코드화된 침입신호로 변환하여 무선으로 상기 무선제어부(200)에 전송되므로써, 전화기(300)를 통하여 원거리에 있는 사용자에게 통보하고, 또한, 상기 증거기록부(400)와 사이렌부(500)에 통보하여 응급조치를 하고 증거를 기록한다.
상기 첨부된 도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침입증거 기록장치는, 각종 센서에 의하여 사람을 포함하는 각종 동물체의 출현 또는 침입을 감지하고, 각각의 고유번호가 포함되는 코드화된 침입신호를 무선으로 전송 또는 송출하는 센서부(100)와,
상기 센서부(100)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침입신호를 무선수신하고, 분석처리하여 증거기록 및 경보발생 제어신호를 각각 무선출력하는 동시에 전화기를 통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동시에 상기 전화기를 통하여 작동중지 요청신호를 인가받고 해당 제어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무선제어부(200)와,
상기 무선제어부(200)로부터 무선수신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침입상황의 증거를 설정된 소정의 모드에 의한 주기와 시간에 의하여 사진으로 기록하는 증거기록부(400)와,
상기 무선제어부(200)로부터 무선수신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침입상황의 소리를 증거로 기록하는 동시에 경보소리 및 경보빛을 발생하거나 또는 동작 중지하는 사이렌부(500)로 이루어져 구성된다.
상기 첨부된 도3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센서부(100)의 대표적인 상세 기능 블록도로써, 일 예로, 열을 감지하는 적외선 감지 센서, 개스의 누출을 감지하는 개스 감지 센서, 빛을 감지하는 빛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각종 센서(SENSOR)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본 고안의 설명에서는, 일 실시예로, 적외선 센서로 이루어지는 센서(110)와,
상기 센서(110)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다수의 다른 센서(110)와 구분되는 해당 고유번호와 경보신호(ALARM SIGNAL)로 암호화(CODING) 변환하여 출력하는 인코더(120)와,
상기 인코더(120)가 동작하도록 하는 기준주파수 신호를 생성하여 공급하는오실레이터(OSC)(130)와,
상기 인코더(120)와 연결되는 상기 센서(110)의 종류와 해당 고유번호를 구분하는 코드화된 코드스위칭 데이터를 출력하는 코드스위칭부(140)와,
상기 인코더(1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무선신호(RF; Radio Frequency)로 변환하고 증폭하며 안테나(ANTENNA)를 통해 무선송신하는 무선송신부(150)로 구성된다.
상기 첨부된 도4 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이렌부(500)의 상세 기능 블록도로써, 안테나(ANTENNA)를 통해 무선수신된 상기 무선제어부(20)의 제어신호를 수신처리하는 무선수신부(410)와,
상기 무선수신부(410)로부터 출력되는 미약한 제어신호 또는 시그널 데이터를 증폭(AMPLIFYING)하여 출력하는 증폭부(420)와,
상기 증폭부(420)로부터 출력되는 시그널 데이터를 복호화(DECODING) 또는 해독하여 출력하는 디코더(430)와,
상기 디코더(430)가 동작하도록 하는 기준클럭 신호를 생성하여 공급하는 오실레이터(OSC)(440)와,
상기 무선수신부(410)가 해당 무선 제어신호를 수신하지 않으면, 경보가 발생된 현장 주위의 소리 또는 음을 입력하고 상기 디코더(430)로 출력하는 현장음입력부(450)와,
상기 디코더(430)로부터 출력되는 해당 제어신호가 상세히 후술하는 해당 기능부(490)와 해당 디스플레이부(27)로 전송되도록 스위칭(SWITCHING)하는 제어스위칭부(460)와,
상기 제어스위칭부(460)에서 스위칭되어 입력되는 것으로, 상기 디코더(43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무선제어부(20)의 해당 제어신호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시각적으로 판별하도록 하는 LED(Light Emitting Diode)(480)의 구동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부(470)로 구성된다.
상기 첨부된 도5 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선제어부(200)의 상세한 기능 블록도 로써, 상기 센서부(100)로부터 무선전송된 침입신호를 로우 액티브(LOW ACTIVE) 신호로써 입력하며, 무선제어부(200)의 각 기능부를 감시 운용하는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중앙제어부(CPU)(31)와,
상기 중앙제어부(CPU)(31)에서 처리할 음성데이터와 전화번호 데이터 신호를 저장하고, 상기 수신부(400)로부터 무선전송된 현장의 소리를 저장하는 플래시 메모리(33)와,
상기 중앙제어부(CPU)(31)의 제어에 의하여 경보음으로 부저음을 출력하는 부저출력부(34)와,
경보발생 현장의 소리를 입력하여 상기 중앙제어부(CPU)(31)로 입력되도록 하는 마이크 출력부(35)와,
상기 중앙제어부(CPU)(31)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플래시 메모리(33)에 저장된 음성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음성출력부(36)와,
상기 중앙제어부(CPU)(31)로부터 출력되는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를 분석하는 시그널 분석부(37)와,
상기 중앙제어부(CPU)(31)로부터 출력되는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를 분석하여 비지 시그널을 검출하는 시그널 분석부(38)와,
상기 중앙제어부(CPU)(31)와 비지 시그널 분석부(38)에 각각 기준클럭을 제공하는 오실레이터(39,40)와,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부(41,42)와,
상기 중앙제어부(CPU)(31)의 제어에 의하여 복수개의 라인으로 각각 해당되는 제어신호가 전송되도록 해당 라인을 제어하는 복수개의 라인 제어부(45)와,
상기 중앙제어부(CPU)(31)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공중통신망(30)을 경유하므로써 이동통신의 휴대단말기, 일반 유선전화기 또는 무선호출기 등과 접속하여 통신을 하도록 제어하는 전화기 제어부(46)와,
상기 중앙제어부(CPU)(31)를 포함하는 다수의 기능부에 해당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제2 전원(5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첨부된 도5 의 참조번호 43은 임피던스(IMPEDANCE)를 정합(MATCHING)하는 임피던스 매칭부이고, 44는 복수개의 훅(HOOK) 온/오프(ON/OFF) 제어부이며, 47과 48은 EMI(Electro Magnetic Interface) 필터이고, 50과 51은 각각 CPU(31)와 제1 및 제2 증폭부(41)(42)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 및 제2 전원이며, 51은 백업배터리(BACKUP BATTERY)이다.
상기 첨부된 도6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증거기록부(400)의 상세한 기능 블록도 로써, 상기 무선제어부(200)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해당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수신부(510)와,
상기 무선수신부(510)로부터 출력되는 코드화된 제어신호를 입력하고 해독하여 상기 증거기록수신부(400)를 지정하는 고유번호 코드화 신호로 판단되면, 상기 입력된 무선제어부(200)의 제어신호를 분석처리하므로써 각각의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중앙제어부(CPU)(520)와,
상기 중앙제어부(CPU)(52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인가받고, 후술하는 기록장치(560)가 설정된 소정의 시간 및 주기동안 연속/불연속의 사진촬영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모드제어부(530)와,
상기 중앙제어부(CPU)(52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인가받고, 후술하는 기록장치(560)의 동작전원 공급을 온/오프(ON/OFF) 제어하는 전원제어부(540)와,
상기 중앙제어부(CPU)(52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인가받고, 후술하는 기록장치(560)를 제어하므로써, 소정의 시간동안 침입증거의 사진을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작동제어부(550)와,
상기 모드제어부(530), 전원제어부(540), 작동제어부(550)로부터 인가되는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침입현장의 사진을 설정된 소정의 시간 및 주기 동안 연속촬영 또는 불연속 촬영하여 기록저장하는 것으로, 디지털 카메라 등으로 이루어지는 기록장치(560)와,
상기 각 기능부의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570)로 구성된다.
상기 첨부된 각 도면에 전원부가 도시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도시된 전원부로부터 전원 공급선이 상세히 도시되지 않는 것은 도면의 간단 및 명료화를 통하여 용이하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의한 경보탐지 기록 및 통보 장치를 상기 첨부된 도2 내지 도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고안에 의한 경보탐지 기록 및 통보장치를 사용하는 경우는, 각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공장 등에 설치하여 허가 받지 않은 제3자의 부당한 침입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 사용자에게 전화기를 통하여 침입상황을 통보하고 이에 대응하는 신속한 대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부당한 침입자에 의한 침입상황을, 원격지의 사용자에게 전화기(300)를 이용하여 통보하는 경우, 상기 플래시 메모리(33)에 임의 녹음시킨 것으로 경보상황 발생을 나타내는 음성신호를, 일 예로, 2회 정도 반복하여 출력하고, 현장 주위의 소리를 일정시간(예를 들면, 약 1분간) 기록저장한 다음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무선제어부(200)에 입력된 전화번호로 자동 통보하여 출력한다.
또한, 상기 증거기록부(400)와 사이렌부(500)는 외부에서 전화기(300)를 통하여 무선제어부(200)에 접속하고 코드화된 해당 제어요청신호를 입력하므로써, 원격제어(REMOTE CONTROL)를 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외출한 경우, 외부에서 전화기(300)를 통하여 본 고안에 의한 침입증거 기록장치가 동작하도록 온(ON) 제어하면 즉시 동작되어, 일 예로, 허가되지 않은 제3 자에 의한 무단침입이 발생하였을 경우, 상기의 무단침입 상황을 경보소리 및 경보빛으로 퇴치하는 동시에 상기의 무단침입 상황을 원격지에서도 전화기(300)로 통보 받을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상기 센서부(100)가 검출 또는 감지한 제3자의 무단침입 경보신호를 해당 무선제어부(200)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전화기(300)로 원격 통보하고, 상기 원격통보를 받은 사용자는 해당 상황에 적합한 대책을 세워 조치하므로써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3자의 무단침입에 의한 경보상황을 원격지의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경우, 무선제어부(200)의 해당 메모리에 임의 녹음시킨 음성 경보신호를 2회 정도 반복 출력하여 통보하고, 상기 무선제어부(200)가 기록한 것으로써, 주위 현장으로부터 발생하는 소리를, 일 예로, 약 1분 정도 기록된 침입현장의 소리를 출력하여 전송하므로써 허락받지 않은 제3 자 또는 외부인의 무단침입 증거를 확인하도록 하 고, 다음 우선순위로 입력되어 기록저장된 해당 전화번호에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침입상황을 자동 통보한다.
상기와 같은 기본적인 기능을 갖는 본 고안의 동작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센서부(100)에서 검출된 해당 경보신호를 상기 무선제어부(200)에 무선으로 전송하고, 상기 증거기록부(400)는 무선제어부(200)로부터 출력되는 해당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침입현장의 사진을 촬영하여 증거로 확보하고, 상기 사이렌부(500)는 현장의 소리를 녹음 기록하는 동시에 경보소리인 사이렌소리와 시선을 집중시키는 경보빛을 발생하며,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음을 상기 디스플레이부(470)를 통해 표시한다.
일 예로, 움직이는 동물체를 상기 센서부(100)가 감지하면 상기 감지된 상황, 즉, 경보상황을 해당 경보신호로 변환하고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무선제어부(200)로 무선송신한다.
상기 무선제어부(200)는 센서부(100)로부터 전송되어 수신되는 경보신호를 분석처리하므로써 해당 제어신호를 상기 증거기록부(400)와 사이렌부(500)로 무선출력한다.
상기의 제어신호를 무선으로 통보 받은 사이렌부(500)는 상기 무선제어부(200)로부터 해당 제어신호의 수신이 완료되고, 기타 다른 제어신호도 수신되지 않는 사이에 동작하여 침입현장의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일정시간(예를 들면, 1분) 동안, 상기 현장음입력부(450)를 통하여 녹음기록한다.
상기 현장음입력부(450)는 또는 동일하게 현장의 소리를 녹음기록하는 기능부는 필요에 의하여 상기 무선제어부(200)에 부가되어 위치할 수도 있고 또한, 상기 센서부(100)에 부가되어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센서부(100)로부터 경보상황이 발생했음을 무선 통보 받은 무선제어부(200)는 복수개의 라인 제어부(45)와 전화기 제어부(46)를 통하여 플래시 메모리(33)에 미리 저장된 전화기(300) 고유의 호출번호, 일 예로, 이동통신 휴대전화기, 일반 유선전화기, 무선호출기 등으로, 설정된 우선순위에 의하여 다이얼링(DIALING)을 한다.
즉, 상기 센서부(100)로부터 검출된 것으로, 무단침입에 의하여 발생하는 침입신호를 인가받은 무선제어부(200)는, 상기 플래시 메모리(33)에 미리 저장된 다수개의 전화기(300) 고유 호출번호로부터 설정된 해당 우선순위의 순서대로 전화를 다이얼링한다.
즉,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전화기(300)의 고유 호출번호로 다이얼링하고, 상기 전화기(300)가 통화중일 경우에는 다음 우선순위 전화기(300)로 전화를 건다.
따라서, 해당 전화기(300)와 연결되면, 플래시 메모리(33)에 기록 녹음된 음성신호를 일정횟수(예를 들어, 2회) 통보하고, 또한, 일 예로, 1 분간 녹음기록된 현장의 소리를 출력하여 들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무선제어부(200) 내의 전원은 CPU(31)에 대한 전원과 제1 및 제2 증폭부(41)(42)에 대한 전원을 분리하여 공급하도록 하고, 상용전원의 정전에 대비한 별도의 예비 전원인 백업배터리(51)를 장착 구비하며, 상기 동작전원은 일 예로, DC 어댑터 12V/300mA 를 사용하고, 백업배터리(51)는 9V를 사용한다.
상기 제2 전원(50)에 전원을 공급하는 상용전원인 AC 전원이 정전되면 자동으로 백업배터리(51)로 연결되어 무선제어부(200)의 정상동작 상태를 항상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플래시 메모리(33)는, 한번 저장된 해당 전화번호와 데이터를 동작전원이 오프(OFF)되어 공급되지 않더라도 별도의 변경 사항이 있을 때까지 영구 보존한다.
상기 무선제어부(200)에 기록저장되는 우선순위에 의한 전화번호는 복수 개(일 예로, 사용자가 수신할 수 있는 해당 고유 전화번호, 소방을 위한 119, 치안유지를 위한 112의 3개) 입력시키어 저장한다.
상기 전화기(30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경보발생상황을 통보하는 음성메시지는 설정된 일정시간(일 예로 약20초간 또는 임의 조정가능) 동안 녹음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음성메시지를 미리 플래시 메모리(33)에 저장하면, 일반전화기, 휴대전화기, 무선호출기 등으로 통보가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확실히 연락 받을 수 있고, 사용자의 휴대전화기 등에 긴급대처 가능한 전화번호(예를 들어, 112, 119, 경비실 등)를 미리 저장해 놓으면, 상기와 같은 경보상황 수신시에, 신속하고 정확한 대처를 할 수 있고, 무선호출기의 경우도 음성사서함을 통해 녹음기록된 현장의 소리를 청취를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은 열감지기가 아니고, 화재감지기 또는 개스감지기 등의 다양한 센서를 이용할 수 있으며, 검출되는 해당 장애에 의한 경보상황을 사용자가 있는 원격지 전화기로 신속하게 통보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그러므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한 침입증거 기록장치는, 해당 센서를 이용하여 동물체의 움직임 또는 무단침입자를 감지하고, 전화기를 이용하여 원거리의 사용자에게 즉시 통보하는 동시에 침입현장의 사진을 촬영기록하고 현장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녹음 기록하므로써, 침입증거를 확보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침입현장의 소리를 일정한 시간동안 기록 녹음하여 현장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침입이 발생한 현장에서 사이렌 소리 및 경보빛을 발생하므로, 부당한 침입자를 퇴치하는 응급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소형 경량의 반도체 집적회로로 구성되어 전력소모가 적으며, 무선으로 연결되므로 이동이 용이하여 점포, 사무실, 주택 등 어느 곳에서나 설치 조작이 가능한 공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와 증거기록부 그리고 사이렌부를 복수개 설치하면 복수의 장소에서 동시 감시가 가능하고, 설치장소에 따라 고유번호를 지정하면 한 사람이 여러 곳의 출입자를 동시에 감시할 수 있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가정에서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면, 노약자, 어린이에 의하여 전원스위치를 온 시키므로써 긴급 호출 할 수 있고, 자녀의 귀가시간을 체크할 수 있으며, 상점에서 잠깐 자리를 비울 경우 고객의 출입을 확인하고, 창고의 귀중품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외부인의 침입을 센서에 의하여 감지하고 코드화된 침입신호로 변환하여 무선송신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무선수신되는 침입신호를 분석처리하여 증거기록 및 경보발생 제어신호를 무선출력하고 전화기에 침입상황을 통보하는 무선제어부와,
    상기 무선제어부로부터 무선수신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침입상황의 증거를 사진으로 기록하는 증거기록부와,
    상기 무선제어부로부터 무선수신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침입상황의 소리를 증거로 기록하는 동시에 경보소리 및 경보빛을 발생하는 사이렌부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 증거 기록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열감지 센서에 의하여 동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결과를 코드화된 침입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무선제어부에 무선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 증거 기록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제어부는,
    상기 전화기로부터 작동중지 요청신호를 인가받고, 상기 사이렌부의 작동에 의한 경보소리 및 경보빛의 발생을 중지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 증거 기록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제어부는,
    상기 증거기록부가 소정 시간동안 설정된 주기에 의하여 침입 증거 사진을 촬영 기록하도록 하고,
    상기 사이렌부가 소정 시간동안 침입현장의 소리를 녹음기록하도록 하며,
    소정의 우선순위에 의하여 기록된 사용자, 119, 112를 포함하는 전화 호출번호를 순서대로 호출하여 소정의 음성신호로 경보상황을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 증거 기록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증거기록부는,
    상기 무선제어부가 전송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수신부와,
    상기 무선수신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분석처리하여 다수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중앙제어부와,
    상기 중앙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고 침입현장의 증거사진 촬영속도 및 촬영주기를 설정하는 운용모드를 변경하는 모드제어부와,
    상기 중앙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기록장치 동작전원을 온 오프 제어하는 전원제어부와,
    상기 중앙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기록장치 동작시간을 제어하는 작동제어부와,
    상기 모드제어부와 전원제어부와 작동제어부로부터 각각 인가되는 제어신호를 인가받아서 침입현장의 증거를 사진으로 기록하는 기록장치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보상황 기록장치.
KR2020020027015U 2002-09-10 2002-09-10 침입증거 기록장치 KR2002982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015U KR200298214Y1 (ko) 2002-09-10 2002-09-10 침입증거 기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015U KR200298214Y1 (ko) 2002-09-10 2002-09-10 침입증거 기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8214Y1 true KR200298214Y1 (ko) 2002-12-16

Family

ID=73078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7015U KR200298214Y1 (ko) 2002-09-10 2002-09-10 침입증거 기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821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276B1 (ko) * 2006-09-29 2008-01-10 동부건설 주식회사 아파트 단지에 설치되는 방범로봇.
WO2010137801A2 (ko) * 2009-05-29 2010-12-02 Chung Tae Hwang 모니터를 이용한 범죄 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276B1 (ko) * 2006-09-29 2008-01-10 동부건설 주식회사 아파트 단지에 설치되는 방범로봇.
WO2010137801A2 (ko) * 2009-05-29 2010-12-02 Chung Tae Hwang 모니터를 이용한 범죄 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0137801A3 (ko) * 2009-05-29 2011-02-03 Chung Tae Hwang 모니터를 이용한 범죄 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7547B1 (ko) 감시 시스템
US8504103B2 (en) Cellular home security system
RU2134908C1 (ru) Подвижное контро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арианты)
US20050255826A1 (en) Cellular telephone based surveillance system
US20070182543A1 (en) Intelligent Home Security System
KR20170118803A (ko) 스마트 배리어 경보 장치
GB2395336A (en) Portable security device
JP2007164474A (ja) 侵入警戒システム
KR100742754B1 (ko) 무인 감지 보안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US20170053520A1 (en) Alarm unit
JP2005056261A (ja) ホーム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200298214Y1 (ko) 침입증거 기록장치
KR20130097258A (ko) 무인 경비 시스템
RU2748703C2 (ru) Устройство наблюдения
JP2003223603A (ja) 事業所の異常事態防止集中管理システム
KR100360684B1 (ko) 홈 오토메이션 장치 및 방법
KR20010088971A (ko) 최첨단 방범 시스템
JP2005311995A (ja) 異常・緊急事態検知手段としての携帯電話機
JP2004038761A (ja) 家庭用ロボットを用いた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200332862Y1 (ko)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사무실 원격감시장치
TWM582666U (zh) Intelligent home protection system
KR200206843Y1 (ko) 도난경보시스템
KR200182497Y1 (ko) 이상 탐지 전화통보 장치
JP2005327227A (ja) セキュリティ情報及び安否情報の提供装置
KR20030094793A (ko) 무선 센서를 이용한 방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0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