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5006Y1 - 브래킷을 이용하여 조립 가능한 전동기 - Google Patents

브래킷을 이용하여 조립 가능한 전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5006Y1
KR200205006Y1 KR2020000017811U KR20000017811U KR200205006Y1 KR 200205006 Y1 KR200205006 Y1 KR 200205006Y1 KR 2020000017811 U KR2020000017811 U KR 2020000017811U KR 20000017811 U KR20000017811 U KR 20000017811U KR 200205006 Y1 KR200205006 Y1 KR 2002050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fastening
caulking
motor
assem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78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정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178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50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50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50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14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6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브래킷을 이용하여 조립 가능한 전동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내부에 회전자 및 고정자가 구비되는 원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끝단면에 각각 장착되어 몸체의 내부 공간을 외부와 차단시키는 제 1브래킷 및 제 2브래킷을 포함하되, 상기 제 1브래킷과 제 2브래킷의 테두리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형태의 체결홈부가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몸체는 그 양단 중 상기 체결홈부과 대응되는 위치가 코킹(Caulking)되어 상기 제 1브래킷과 제 2브래킷의 테두리에 압입 결합됨으로써 기존의 스크류 없이 브래킷만을 이용하여 각 브래킷과 몸체의 결합이 가능하게 되므로 전동기의 조립공정에서 스크류 체결공정을 삭제할 수 있게 되어 재료비가 절감되는 동시에 조립공정 및 조립시간이 단축되고, 이에 따라 그 조립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브래킷을 이용하여 조립 가능한 전동기{MOTOR ASSEMBLED BY BRACKET}
본 고안은 전동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크류 없이 브래킷만을 이용하여 각 브래킷과 몸체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각 브래킷의 구조를 변경한 브래킷을 이용하여 조립 가능한 전동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스크류에 의하여 조립된 전동기의 구조가 도시된 요부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브래킷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상기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전동기는 원통형의 몸체(1)와, 상기 몸체(1)의 내측면에 고정된 고정자(3)와, 상기 고정자(3)와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회전되도록 상기 고정자(3)의 내측에 설치된 회전자(5)와, 상기 회전자(5)의 중심에 압입되어 회전자(5)의 회전력을 외부기기로 전달하는 회전축(7)과, 상기 몸체(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몸체(1)의 내부 공간을 외부로부터 차단하는 제 1브래킷(9) 및 제 2브래킷(1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1)와 상기 제 1브래킷(9) 및 제 2브래킷(11)은 몸체(1), 제 1브래킷(9), 제 2브래킷(11)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스크류(13)에 의해서 서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 1브래킷(9)과 제 2브래킷(11)에는 각각 상기 스크류(13)가 관통되어 결합되는 체결홀(9a)(11a)이 형성되고, 이 체결홀(9a)(11a)은 각 브래킷당 통상 4개가 90도 간격으로 배열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 1브래킷(9) 및 제 2브래킷(11)과 회전축(7) 사이에는 각각 상기 회전축(7)의 회전운동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15)이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동기는 조립시 몸체(1)와 제 1브래킷(9) 및 제 2브래킷(11)을 서로 결합하기 위해 스크류(13)를 사용하기 때문에 스크류(13)라는 체결용 부품을 추가적으로 구비해야 하여 재료비가 증가됨은 물론, 상기 스크류(13)를 체결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작업시간이 지연되고 조립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고안의 목적은, 기존의 스크류 없이 브래킷만을 이용하여 각 브래킷과 몸체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각 브래킷의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조립공정에서 스크류 체결공정을 삭제할 수 있게 되어 재료비가 절감되는 동시에 조립공정 및 조립시간이 단축되고, 이에 따라 그 조립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브래킷을 이용하여 조립 가능한 전동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스크류에 의하여 조립된 전동기의 구조가 도시된 요부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브래킷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브래킷을 이용하여 조립 가능한 전동기가 도시된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브래킷의 평면도,
도 6은 도 5의 B-B선 단면도,
도 7은 도 5의 C-C선 단면도,
도 8은 도 5의 D-D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 : 회전자 53 : 고정자
55 : 몸체 57 : 제 1브래킷
59 : 제 2브래킷 57a, 59a : 테두리
57b, 59b : 관통홀부 61 : 체결홈부
63 : 회전축
C : 몸체의 코킹(Caulking)된 부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부에 회전자 및 고정자가 구비되는 원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끝단면에 각각 장착되어 몸체의 내부 공간을 외부와 차단시키는 제 1브래킷 및 제 2브래킷을 포함한 전동기에 있어서, 상기 제 1브래킷과 제 2브래킷의 테두리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형태의 체결홈부가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몸체는 그 양단 중 상기 체결홈부과 대응되는 위치가 코킹(Caulking)되어 상기 제 1브래킷과 제 2브래킷의 테두리에 압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킷을 이용하여 조립 가능한 전동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브래킷을 이용하여 조립 가능한 전동기가 도시된 요부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브래킷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C-C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5의 D-D선 단면도이다.
상기한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브래킷을 이용하여 조립 가능한 전동기는 내부에 회전자(51) 및 고정자(53)가 구비되는 원통형의 몸체(55)와, 상기 몸체(55)의 양끝단면에 각각 장착되어 몸체(55)의 내부 공간을 외부와 차단시키는 제 1브래킷(57) 및 제 2브래킷(59)을 포함한 것으로서, 상기 제 1브래킷(57)과 제 2브래킷(59)의 테두리(57a)(59a)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형태의 체결홈부(61)가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몸체(55)는 그 양단 중 상기 체결홈부(61)와 대응되는 위치가 코킹(Caulking)되어 상기 제 1브래킷(57)과 제 2브래킷(59)의 테두리에 압입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홈부(61)는 각각 몸체(55)의 양끝단 측에서 중심 측을 향해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홈부(61)는 2개가 한쌍을 이루어 십자 방향으로 4지점에 각각 형성되어 총 8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브래킷(57)과 제 2브래킷(59)의 중심에는 회전축(63)을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홀부(57b)(59b)가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상기와 같이 각 체결홈부(61)와 관통홀부(57b)(59b)가 구비된 제 1브래킷(57) 및 제 2브래킷(59)은 알루미늄으로 다이캐스팅을 통해 성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전동기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다이캐스팅을 통해 알루미늄으로 제 1브래킷(57)과 제 2브래킷(59)을 제조한 후 상기 제 1브래킷(57)과 제 2브래킷(59)의 체결홈부(61)와 대응되는 몸체(55)의 양단을 지그 등을 이용해 코킹(Caulking)하여 상기 몸체(55)의 양단을 제 1브래킷(57) 및 제 2브래킷(59)의 테두리(57a)(59a)에 압입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각 체결홈부(61)는 물론 몸체(55)의 양단에 코킹된 부분(C)도 몸체(55)의 양끝단 측에서 중심 측을 향해 테이퍼지게 형성된 상태에서 서로 압입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몸체(55)와 제 1브래킷(57) 및 제 2브래킷(59)의 체결 상태는 확고해진다.
따라서, 상기 몸체(55)와 제 1브래킷(57) 및 제 2브래킷(59)은 별도의 체결기구 없이도 견고하게 결합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브래킷을 이용하여 조립 가능한 전동기는, 기존의 스크류 없이도 브래킷(57)(59)만을 이용하여 각 브래킷(57)(59)과 몸체(55)의 결합이 가능하게 되므로 전동기의 조립공정에서 스크류 체결공정을 삭제할 수 있게 되어 재료비가 절감되는 동시에 조립공정 및 조립시간이 단축되고, 이에 따라 그 조립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내부에 회전자 및 고정자가 구비되는 원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끝단면에 각각 장착되어 몸체의 내부 공간을 외부와 차단시키는 제 1브래킷 및 제 2브래킷을 포함한 전동기에 있어서,
    상기 제 1브래킷과 제 2브래킷의 테두리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형태의 체결홈부가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몸체는 그 양단 중 상기 체결홈부과 대응되는 위치가 코킹(Caulking)되어 상기 제 1브래킷과 제 2브래킷의 테두리에 압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킷을 이용하여 조립 가능한 전동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부는 테이퍼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킷을 이용하여 조립 가능한 전동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부는 2개가 한쌍을 이루어 십자 방향으로 4지점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킷을 이용하여 조립 가능한 전동기.
KR2020000017811U 2000-06-22 2000-06-22 브래킷을 이용하여 조립 가능한 전동기 KR2002050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811U KR200205006Y1 (ko) 2000-06-22 2000-06-22 브래킷을 이용하여 조립 가능한 전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811U KR200205006Y1 (ko) 2000-06-22 2000-06-22 브래킷을 이용하여 조립 가능한 전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5006Y1 true KR200205006Y1 (ko) 2000-12-01

Family

ID=19661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7811U KR200205006Y1 (ko) 2000-06-22 2000-06-22 브래킷을 이용하여 조립 가능한 전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500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5006Y1 (ko) 브래킷을 이용하여 조립 가능한 전동기
KR100321829B1 (ko) 전동기
US10107287B2 (en) Balance shaft module
WO2019171098A1 (ja) 可変圧縮比内燃機関
KR100518022B1 (ko) 전동기용 엔드 브래킷의 마운트 링 체결구조
JP2000265957A (ja) コンプレッサ
JP2003239938A (ja) 軸受構造
JP3536893B2 (ja) 内燃機関の回転軸に対する動力伝達輪の取付け装置
KR200165099Y1 (ko) 공조기 모터의 브래킷 구조
KR100447166B1 (ko) 드럼세탁기의 모터 고정 구조
CN101907036B (zh) 旋转轴支撑箱构造
JPS62233564A (ja) 変速機ケ−スのベアリング取付構造
KR100209091B1 (ko) 엔진의 바란스 샤프트 스러스트 지지장치
KR200274552Y1 (ko) 모터의조립구조
JPH0429113Y2 (ko)
KR100527541B1 (ko) 클러치 마스터 실린더 조립체 및 그러한 클러치 마스터실린더 조립체의 조립 방법
KR100423044B1 (ko) 디퍼렌셜 드라이브기어와 디퍼렌셜 케이스의 체결구조
KR200200805Y1 (ko) 모터의 체결구조
KR20030077178A (ko) 스티어링 시스템용 기어박스의 마운팅부시
KR200239832Y1 (ko) 소형전동기 조립구조
KR200190494Y1 (ko) 모터 하우징
KR100517938B1 (ko) 동기 리럭턴스 모터의 회전자 체결구조
JPH054599Y2 (ko)
JPH10155251A (ja) 小型モータ
KR19980029501A (ko) 차량 엔진의 타이밍기어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