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4583Y1 - 헬멧용 부속품 결합구 - Google Patents

헬멧용 부속품 결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4583Y1
KR200204583Y1 KR2019980014657U KR19980014657U KR200204583Y1 KR 200204583 Y1 KR200204583 Y1 KR 200204583Y1 KR 2019980014657 U KR2019980014657 U KR 2019980014657U KR 19980014657 U KR19980014657 U KR 19980014657U KR 200204583 Y1 KR200204583 Y1 KR 2002045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met
protruding tube
protruding
attachment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46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4305U (ko
Inventor
홍완기
Original Assignee
홍완기
주식회사홍진크라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완기, 주식회사홍진크라운 filed Critical 홍완기
Priority to KR20199800146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4583Y1/ko
Publication of KR200000043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43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45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45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32Collapsible helmets; Helmets made of separable parts ; Helmets with movable parts, e.g. adjustable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헬멧용 부착물 결합구에 대한 것으로서, 고안의 주된 목적은 에어 벤트 등의 부착물을 헬멧에 결합하되, 그 결합수단으로 특수한 형상의 돌출 튜브를 형성하므로써, 충격에 강하고 변형이 없으며, 결합 작업이 쉽고, 체결력이 더 커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특징적인 구성은 결합 구멍을 가진 헬멧에 부착물을 결합하되,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일측면으로 돌출시킨 돌출 튜브와, 상기한 돌출 튜브의 끝단에서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 확장부로 구성하는데 있으며, 이로써 상기한 돌출 튜브를 헬멧의 결합구멍에 끼웠을 때, 결합 구멍을 통과한 상기 확장부가 지지력을 발휘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헬멧용 부속품 결합구
본 고안은 헬멧용 부착물 결합구에 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에어 벤트 등, 각종 부착물을 신속 간단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돌출 튜브를 형성한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토바이와 같은 이륜차의 경우 이를 운용하는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또는 위험한 기구나 놀이기구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헬멧을 착용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헬멧은 그 내,외부 표면 등에 각종 부착물 예컨데,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에어 벤트(2a)(2e), 시야를 확보하고 눈을 보호하기 위한 전방 시일드(2c)와 그 힌지(2d) 등을 체결하여야 하기 때문에 결합수단이 필요하다.
종래의 대표적인 결합 수단으로 나사, 리벳 등이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결합수단은 가격이 비싸고, 조립 과정에서 많은 노력과 시간을 요하기 때문에 근래에는 그 사용이 크게 줄어 들었으며, 나사나 리벳을 대신하기 위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은 걸고리(20)로 이루어진 결합수단이 소개되었다.
즉, 도 2는 에어 벤트(2a)를 결합하기 위한 실시예로서, 헬멧(1)에 형성된 공기 구멍(11)의 양쪽 외측에 하나씩 통공(10)을 형성하고, 상기 에어 벤트(2a)에는 상기한 통공(10)에 대응된 가늘고 긴 돌출 걸고리(20)를 이면측에 형성하여, 이들 돌출 걸고리(20)들이 상기한 통공(10)에 끼워져 걸렸을 때, 체결이 완료되도록 구성된 것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체결되는 종래의 결합수단에서는 상기한 돌출 걸고리(20)의 강도가 매우 약하기 때문에 조립할 때, 또는 외부 충격이 발생 했을 때, 파손되는 경우가 있으며, 반대 방향으로 휘어져 체결력을 상실하는 경우가 허다하고, 또 다른 부착물을 고정할 때 적용하기에 부적합했으며, 또 상기 돌출 걸고리(20)의 길이가 헬멧(1)의 두께보다 약간만 짧더라도 상기 돌출 걸고리가 헬멧의 통공(10) 단부에 걸리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에어 벤트 등의 부품을 설치할 수 없게 되는 점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합수단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고안의 주된 목적은 에어 벤트 등의 부착물을 헬멧에 결합하되, 그 결합수단으로 특수한 형상의 돌출 튜브를 형성하므로써, 충격에 강하고 변형이 없으며, 결합 작업이 쉽고, 체결력이 더 커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특징적인 구성은 결합 구멍을 가진 헬멧에 부착물을 결합하되,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일측면으로 돌출시킨 돌출 튜브와, 상기한 돌출 튜브의 끝단에서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 확장부로 구성하는데 있으며, 이로써 상기한 돌출 튜브를 헬멧의 결합구멍에 끼웠을 때, 결합 구멍을 통과한 상기 확장부가 지지력을 발휘하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헬멧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결합구의 일례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구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결합구를 보인 정면도와 측단면도 및 평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구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 돌출 튜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 헬멧 2 : 결합구
11 : 공기 구멍 12 : 결합 구멍
22 : 플랜지부 23 : 돌출 튜브
24 : 확장부 25 : 평판부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플랜지부(22)와, 돌출 튜브(23)로 형성되어 있음을 볼 수 있고,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부착물(2a)의 평판부(25)를 플랜지로 하고, 그 평판부(25)로부터 둘 이상의 돌출 튜브(23)를 돌출시켜 형성함을 볼 수 있다.
이때, 가장 중요한 점은 돌출 튜브(23)의 형상으로서, 이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다.
즉, 플랜지부(22) 또는 평판부(25)로부터 돌출시킨 후, 그 끝단에 확장부(24)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때의 확장부(24)는 상,하 방향으로는 확장 정도를 작게하여 직경(D1)이 작고, 좌,우 방향으로 확장 정도를 크게 하여 직경(D2)이 커서 타원형이 되도록 형성한 것이다.
이때의 방향은 도면상에서 한정된 예시 방향이며, 상,하 및 좌,우를 바꾸어도 무방하고, 다음에 제시된 방향도 마찬 가지이다.
또한, 상기 돌출 튜브(23)는 확장부가 없는 쪽에 경사부를 형성하되, 이 경사부는 그 단부에서 플랜지부(22)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역 경사부(T2)를 이루도록하고 상기 돌출 튜브(23)의 확장부(24)는 그 선단부의 외주가 이의 뿌리원 보다 돌출되게 형성하며 상기 돌출된 부분에서 뿌리원 방향으로 하향 경사부(T1)를 형성하여 확장부 전체에서 걸림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확장부(24)가 있는 좌,우 방향으로 탄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결합구는 도 6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결합구(2)를 이용해 헬멧(1)의 결합 구멍(12)에 부착물(2f)을 체결하는 형태이고, 도 7은 부착물인 에어 벤트(2a)의 평판부(25)를 플랜지로하여 헬멧(1)의 결합 구멍(12)에 체결하는 형태이다.
즉, 도 6에서는 결합구(2)의 플랜지(22)가 부착물(2f)을 눌러 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인바, 돌출 튜브(23)가 헬멧(1)의 결합 구멍(12)의 속으로 끼워질 때는 타원형의 큰 직경(D2)쪽, 다시 말해서 두께가 얇은 쪽에 확장부(24)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안쪽으로 눌려 있다가 완전히 끼워 졌을 때, 돌출 튜브(23)의 확장부(24)가 다시 벌어져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도 7에서는 부착물인 에어 밴트(2a)의 평판부(25)에 직접 돌출 튜브(23)를 형성하여 평판부가 플랜지부의 역할을 하며, 이때도 돌출 튜브(23)의 확장부(24)가 결합 구멍(12)의 속에서 눌렸다가 벌어져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8은 상기 돌출 튜브(23)의 양측에 콜릿부(23a)를 형성한 것으로 상기 콜릿부에 의하여 돌출 튜브의 탄력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확장부가 형성된 돌출 튜브를 플랜지부에 형성하고 이를 헬멧에 결합시키게 되면, 상기 확장부의 하향 경사부 전체에서 확장작용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헬멧의 두께가 상기 돌출 튜브의 길이 보다 짧거나 다소 길더라도 상기 하향 경사부에 의하여 부품이 견고하게 체결되는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에어 벤트(2a)나, 시일드(2c) 등을 헬멧(1)에 결합함에 있어서, 결합용 결합구(2)의 플랜지부(22) 일측에 타원형 확장부(24)를 가진 돌출 튜브(23)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부착물 결합시 그 확장부(24)가 지지력을 발휘 하게 되어 종래의 걸고리와 달리 조립시 또는 충격 발생시 파손되는 일이 없을 뿐만 아니라 장기간 경과 하여도 결속력이 약화되는 일이 없으며, 더 나가서 헬멧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Claims (5)

  1. 결합 구멍(12)을 가진 헬멧(1)에 부착물을 결합하되,플랜지부(22)와;
    상기 플랜지부의 일측면으로 돌출시킨 돌출 튜브(23)와;
    상기한 돌출 튜브의 끝단에서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 확장부(24);로
    구성하여, 상기한 돌출 튜브(23)를 헬멧의 결합 구멍(12)에 끼웠을 때, 결합 구멍을 통과한 상기 확장부(24)가 지지력을 발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용 부착물 결합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돌출 튜브(23)의 확장부(24)는 상,하 방향으로 확장 정도를 작게하고, 좌,우 방향으로 확장 정도를 크게 하여 타원형이 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용 부착물 결합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돌출 튜브(23)는 확장부가 없는 쪽에는 역 경사부(T2)를 형성하고 확장부가 있는 쪽에는 확장부에서 뿌리원으로 향하여 하향 경사부(T1)를 형성하며 이 하향 경사부 전체면에서 걸림작용을 하도록 하고 상기 확장부(24)가 있는 좌,우 방향으로 탄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용 부착물 결합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플랜지부(22)는 부착물의 평판부(25)를 이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용 부착물 결합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 튜브(23)의 양측에 콜릿부(23a)를 형성하고 이 콜릿부에 의하여 돌출 튜브의 탄력성을 향상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용 부착물 결합구.
KR2019980014657U 1998-08-04 1998-08-04 헬멧용 부속품 결합구 KR2002045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657U KR200204583Y1 (ko) 1998-08-04 1998-08-04 헬멧용 부속품 결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657U KR200204583Y1 (ko) 1998-08-04 1998-08-04 헬멧용 부속품 결합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305U KR20000004305U (ko) 2000-03-06
KR200204583Y1 true KR200204583Y1 (ko) 2000-12-01

Family

ID=19536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4657U KR200204583Y1 (ko) 1998-08-04 1998-08-04 헬멧용 부속품 결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458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823B1 (ko) * 2001-10-31 2005-03-07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헬멧의 턱보호대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305U (ko) 2000-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41024C (en) Fastener for attaching panels to a vehicle
US20050002760A1 (en) Blind rivet fastener and workpiece assembly using same
US8845257B2 (en) Fastener
KR200204583Y1 (ko) 헬멧용 부속품 결합구
JP2000103364A (ja) アーチモールの取付構造
KR20210052806A (ko) 다단 결합형 차량용 고정구
KR100251841B1 (ko) 범퍼 장착구조
JPS623527Y2 (ko)
JPH0562713U (ja) プラグ装置
KR200250947Y1 (ko) 고장력 클램핑 밴드
KR860002458Y1 (ko) 끼움홈을 형성한 양면 리벳트(Rivet)
JP2553900Y2 (ja) ロッドに対するカバーの取付具
KR200161988Y1 (ko) 범퍼의 사이드브라켓 체결구조
JP2007185057A (ja) ワイヤーハーネス用クランプ
US5440906A (en) Fixing arrangement for a cylinder mounting body and a fixed hook member of a vehicle steering wheel lock assembly
KR100242064B1 (ko) 자동차용 루프 사이드 가니쉬 장착구조
KR200164968Y1 (ko) 모니터의 커버 체결 구조
KR890004869Y1 (ko) 스피커 고정장치
JPH059529Y2 (ko)
JPH0242292Y2 (ko)
KR200347365Y1 (ko) 프레임 연결구조
KR0167703B1 (ko) 자동차의 리어범퍼 싸이드 고정구조
JPS58224834A (ja) バンパ−表皮部材の取付構造
KR19990023233U (ko) 카오디오의 전면 섀시 조립구조
JPH11257329A (ja) スタッド係止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