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3549Y1 - 마감구조를 갖는 컨넥터 - Google Patents

마감구조를 갖는 컨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3549Y1
KR200203549Y1 KR2020000014700U KR20000014700U KR200203549Y1 KR 200203549 Y1 KR200203549 Y1 KR 200203549Y1 KR 2020000014700 U KR2020000014700 U KR 2020000014700U KR 20000014700 U KR20000014700 U KR 20000014700U KR 200203549 Y1 KR200203549 Y1 KR 2002035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nector
cable
inlet
clos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47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비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비클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비클시스템
Priority to KR20200000147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35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35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35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감구조를 갖는 컨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하우징의 내부에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결속되는 단자가 구비되어 제품의 각 부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을 결속시키는 컨넥터에 있어서, 케이블이 삽입되는 하우징의 입구측 단부에 밀착구비되어 입구를 은폐시키는 마감블록과; 상기 마감블록이 하우징과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마감블록의 하우징 측면에는 걸림편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걸림편이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결합홈의 내벽면에는 상기 걸림편과 대응결합되는 탄성편이 형성된 마감결합부로 이루어진 것에 그 특징으로 하는 컨넥터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케이블이 삽입되는 컨넥터의 하우징 입구를 은폐시켜 먼지등과 같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여 제품의 기능저하 및 제품수명 단축의 우려를 해소하고, 미관이 우수해지도록 하여 상품성이 높아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

Description

마감구조를 갖는 컨넥터{CONNECTER HAVING PLUG STRUCTURE}
본 고안은 컨넥터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컨넥터에서 접속단자에 결합되는 전선의 투입구가 그대로 노출되어 먼지 등의 유입에 의한 오동작 방지 및 외부로 노출되는 컨넥터의 경우 외관이 우수하도록 한 마감구조를 갖는 컨넥터(이하, 컨넥터라 약칭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넥터는 각종 전자제품에 적용되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각 부분의 케이블을 결속하기 위한 장치이며, 이러한 컨넥터는 케이블과 연결된 단자가 각각 구비되어 이들 단자의 결합에 의해 각 부분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컨넥터의 종래 구성은 첨부된 도 1 및 도 2에 개시되어 있는데,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종래의 컨넥터는 각각의 내부에 케이블(1)과 결속된 도전체의 단자(2)가 구비되어 상호 결합에 의해 단자(2)와 단자(2)가 결속되도록 한 삽입하우징(10) 및 수납하우징(20)을 기본 구성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삽입하우징(10)의 일측에는 걸림돌기(12)가 형성된 단속편(11)이 형성되고, 이러한 단속편(11)과 대응되는 걸림편(21)이 수납하우징(20)의 일측에 형성되어 삽입하우징(10)이 수납하우징(20)에 결합되었을 때 결합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삽입하우징(10)의 단자(2)는 삽입하우징(10)의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편(13)에 의해 고정력을 제공받게 되는데, 도 1에서는 상기 단자(2)가 외력에 의해 걸림편(13)에서 이탈됨을 방지하기 위해 걸림편(13)의 외면에서 지지부재(14)를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내며, 도 2는 도 1과는 달리 돌기 형태의 걸림편(13)이 탄성편(15)에 형성되도록 하여 단자(2)를 하우징(10) 내로 밀어끼울때 보다 원할한 조립상태를 제공한다.
도 3은 도 2에서 나타낸 컨넥터의 삽입하우징의 외장을 나타낸 것이며, 여기서 삽입하우징(10)으로 케이블(1)이 삽입되는 입구(3)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상기된 구성에서 단자(2)와 케이블(1)의 결합, 단자(2)와 하우징(10)의 결합은 삽입하우징(10)의 경우만을 예시하였지만, 수납하우징(20)의 경우도 이와 동일한 것으로 간주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컨넥터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하우징(10)의 내부로 케이블(1)이 삽입되는 입구부분은 마땅한 마감수단이 없었기 때문에 입구(3)가 노출된 상태로 방치된다.
상기와 같이 입구(3)가 노출된 체로 방치되면 장기간 사용시 노출된 입구(3)로 먼지와 같은 각종 이물질이 유입되는데, 이와 같은 각종 이물질은 전기적 결선상태의 기능을 저하시키게 될 뿐만아니라 주로 금속의 재질로 된 단자가 부식되는 시기가 단축되어 결국, 제품의 수명이 짧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컨넥터가 외부로 노출되어 설치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노출된 입구(3)로 인해 미관이 불량해지게 되어 제품의 고급화 구현에 저해되는 요인이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케이블이 삽입되는 전선의 입구를 은폐시키는 마감수단을 제공하여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 미관이 우수해지도록 하며, 외부로 인출되는 전선의 방향이 자연스럽게 유도되도록 함과 동시에 유도된 전선이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컨넥터의 단면도.
도 2는 종래 다른 컨넥터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컨넥터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컨넥터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는 도 4의 B-B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하우징 31: 결합홈
32: 탄성편 40: 마감부
41: 마감블록 43: 마감결합부
44: 걸림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은 하우징의 내부에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결속되는 단자가 구비되어 제품의 각 부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을 결속시키는 컨넥터에 있어서,
케이블이 삽입되는 하우징의 입구측 단부에 밀착구비되어 입구를 은폐시키는 마감블록과; 상기 마감블록이 하우징과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마감블록의 하우징 측면에는 걸림편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걸림편이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결합홈의 내벽면에는 상기 걸림편과 대응결합되는 탄성편이 형성된 마감결합부로 이루어진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상기 특징이 적용되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컨넥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컨넥터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6은 상기 컨넥터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컨넥터(50)는 내부에 케이블(1)과 결합된 도전체의 단자(2)가 고정구비된 하우징(30)과, 상기 하우징(30)의 케이블(1)이 삽입되는 입구(3) 측 단부에 밀착구비되어 입구(3)를 은폐시키는 마감부(4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30)은 삽입하우징과 수납하우징을 필요로 하지만 삽입하우징이 수납하우징에 삽입된다는 외의 구성(단자와 케이블의 결합과 단자와 하우징의 결합)은 양 하우징이 동일하여 도면의 도시를 생략하며, 이들은 하우징(30)의 단일 명칭으로 통칭한다.
상기 마감부(40)는 하우징(30)의 입구(3) 측 단부에 밀착구비되어 입구(3)를 은폐시키는 마감블록(41)과, 상기 마감블록(41)이 하우징(30)과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마감결합부(43)로 이루어진다.
상기 마감결합부(43)는 마감블록(41)의 하우징(30) 측면에 걸림편(44)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30)에는 마감블록(41)에 형성된 걸림편(43)이 삽입되는 결합홈(31)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편(43)의 끝단에는 걸림돌기(45)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45)와 대응결합되는 걸림돌기(33)가 형성된 탄성편(32)이 결합홈(31)의 내측 벽면에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마감블록(41)의 하우징(30) 측면에는 하우징(30)에 삽입된 케이블(1)이 절곡되어 안치되는 케이블 안치홈(4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마감블록(41)에 형성된 걸림편(44)의 일측에는 가이드 돌기(46)가 형성되고, 하우징(30)의 결합홈(31) 일면에는 가이드 돌기(46)와 대응결합되기 위한 가이드 홈(34)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30)의 일측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삽입하우징과 수납하우징이 결합될 때 이들의 결합력을 제공하는 단속편 또는 걸림편이 형성되는데, 이들은 일반적인 기술사항으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된 구성의 컨넥터(50)에서 상기 마감블록(41)은 걸림편(44)의 걸림돌기(45)가 하우징(30)의 결합홈(31)에 형성된 탄성편(32)의 걸림돌기(33)와 결합됨으로 인해 위치고정된다.
상기 걸림편(44)이 결합홈(31) 내로 삽입될 때 상기 가이드 돌기(46)는 가이드 홈(34)과 대응결합되기 때문에 걸림편(44)이 결합홈(31)에 대하여 그 폭이 적을 경우에도 안정되게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걸림편(44)의 결합돌기(45)는 탄성편(32)의 결합돌기(33)와 결합될 때, 서로 간섭되는 구간은 상기 탄성편(32)의 탄력작용에 의해 해소되며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 안치홈(42)은 하우징(30)에 삽입된 케이블(1)을 제품의 설치 방향에 의해 절곡시켜야 할 경우에 작업자가 일일이 절곡시키는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단지 마감블록(41)을 하우징(30)에 밀착결합시키는 간단한 작업에 의해 수행되어 작업의 편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케이블 안치홈(42)에 의해 자연스럽게 유도된 케이블(1)은 마감블록(41)이 하우징(30)에 견고하게 밀착결합됨에 의해 지지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본 고안은, 케이블이 삽입되는 컨넥터의 하우징 입구를 은폐시켜 먼지등과 같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여 제품의 기능저하 및 제품수명 단축의 우려를 해소하고, 미관이 우수해지도록 하여 상품성이 높아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되는 케이블이 목적하는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유도되고 견고하게 지지되어 미관이 우수해짐과 동시에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1)

  1. 하우징의 내부에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결속되는 단자가 구비되어 제품의 각 부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을 결속시키는 컨넥터에 있어서,
    케이블(1)이 삽입되는 하우징(30)의 입구(3)측 단부에 밀착구비되어 입구(3)를 은폐시키는 마감블록(41)과;
    상기 마감블록(41)이 하우징(30)과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마감블록(41)의 하우징(30) 측면에는 걸림편(44)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하우징(30)에는 상기 걸림편(44)이 삽입되는 결합홈(31)이 형성되며, 결합홈(31)의 내벽면에는 상기 걸림편(44)과 대응결합되는 탄성편(32)이 형성된 마감결합부(4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구조를 갖는 컨넥터.
KR2020000014700U 2000-05-24 2000-05-24 마감구조를 갖는 컨넥터 KR2002035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4700U KR200203549Y1 (ko) 2000-05-24 2000-05-24 마감구조를 갖는 컨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4700U KR200203549Y1 (ko) 2000-05-24 2000-05-24 마감구조를 갖는 컨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3549Y1 true KR200203549Y1 (ko) 2000-11-15

Family

ID=19657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4700U KR200203549Y1 (ko) 2000-05-24 2000-05-24 마감구조를 갖는 컨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354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60557B2 (ja) シールドされた電気ケーブルのための丸型差込みコネクタ
JP3194230B2 (ja) シールド電気コネクタ
JP5230032B2 (ja) 電気コンタクト部材およびケーブル用の固定具を備えるプラグコネクタハウジング
JP5227599B2 (ja) コネクタ
JP2001244012A (ja) コネクタ
US20050159047A1 (en) Plug connector
US5830006A (en) Connector with rear holder
JPH08250176A (ja) コネクタ
AU2007349106C1 (en) Electric connector with a dust cover
JPH10334998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2004134187A (ja) コネクタ
JPH1012317A (ja) 防水コネクタ
JPH09245872A (ja) リヤホルダ及びこのリヤホルダを用いた防水コネクタ
KR200203549Y1 (ko) 마감구조를 갖는 컨넥터
JP2982100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7142088B2 (ja) プラグコネクタ部品
JP2001283967A (ja) 組み合わせ型の光学的及び電気的プラグ/ソケット接続のためのプラグ部品
KR102517170B1 (ko) 고전압 커넥터용 쉴드쉘
JPH0316228Y2 (ko)
JP3530042B2 (ja) コネクタ
JPH0350624Y2 (ko)
WO2022239555A1 (ja) コネクタを用いた接続装置
KR200180010Y1 (ko) 스피커 단자 고정용 컨넥터
KR102531942B1 (ko) 수직형 커넥터
JP3931398B2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