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3223Y1 - 원두커피 볶음장치 - Google Patents

원두커피 볶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3223Y1
KR200203223Y1 KR2020000017009U KR20000017009U KR200203223Y1 KR 200203223 Y1 KR200203223 Y1 KR 200203223Y1 KR 2020000017009 U KR2020000017009 U KR 2020000017009U KR 20000017009 U KR20000017009 U KR 20000017009U KR 200203223 Y1 KR200203223 Y1 KR 2002032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grain
beans
coffee
grain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70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용익
Original Assignee
홍용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용익 filed Critical 홍용익
Priority to KR20200000170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32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32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3223Y1/ko
Priority to BR0101173-1A priority patent/BR0101173A/p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10Rotary roast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04Methods of roasting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7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rotating drums or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202/00Devices having temperature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Tea And Coffee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두커피 볶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의 체적을 갖는 곡물용기(10), 곡물용기를 회전 지지하고 가열하기 위한 가열본체(20), 곡물용기를 개폐하기 위한 곡물투입구 개폐부재(30), 곡물용기 내의 내부압력을 체크하는 압력게이지(40)를 포함하여 가열압력으로 본체 내에 수용된 곡물을 튀기거나 볶을 수 있도록 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곡물용기(10) 내의 원주방향에 수용된 생두를 자유분방하게 고르게 굴려가면서 간섭을 일으키는 돌기(11)가 다수개 형성되고, 곡물용기에는 내부의 온도를 체크할 수 있는 온도게이지(50)가 연결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통상적으로 가열압력을 이용하여 용기 내에 곡물을 볶거나, 튀기는 장치에 있어, 용기 내부에는 수용된 생두가 간섭을 받아가면서 뒤섞이게 할 수 있는 다수의 돌기를 형성시키고, 압력게이지와 더불어 용기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게이지를 통해 엄밀한 적당한 원두의 탄화정도를 맞출 수 있도록 하여 향의 손실이 적고, 원두자체의 분자구조 변형으로 티백으로도 우려내어 음용할 수 있는 양질의 원두커피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원두커피 볶음장치 {Broiled Apparatus of beans coffee}
본 고안은 원두커피 볶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기존의 생두커피를 볶아 원두커피를 제조하는 볶음장치 밀폐된 용기 속에서 고압력으로 온도를 가하여 좋은 품질의 고농도 커피 향을 내포한 양질의 원두커피를 생산할 수 있고, 원두커피의 분자구조를 변형시켜 커피 향 물질이 빠르면서 쉽게 우러나올 수 있는 티백으로 제품화하기에 적합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는 원두커피와 원두분쇄 커피 및 인스턴트 커피가 있고, 이중에서 원두커피는 맛과 향이 뛰어나 보통 정제 처리하여 제품화한 일반 커피와 함께 또 다른 맛의 커피를 즐길 수 있는 차(茶)이다. 원두커피는 특히 유럽지역 등에서 커피를 마시는 인구의 90%정도가 공장에서 구어 포장 판매하는 원두커피를 고가에 구입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원두커피를 즐기는 가정은 대부분 분쇄기구를 보유하여 가정에서 생원두를 구워 원두커피로 가공하여 신선한 맛과 향을 즐길 수 있다.
원두커피는 재배지에 따라서 또는 종자에 다라서 제각기 향(아로마)이 차이가 있으며, 이는 애호가들이 기호에 맞는 원두커피를 수입하여 그 나라자체에서 생두를 볶거나, 아예 원두커피로 가공된 상태를 수입된다.
원두커피의 생산지인 브라질, 멕시코 등의 유럽국가에서 원두커피를 얻기 위해 생두를 볶는 장치로서는 첨부된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대량의 원두를 수용할 수 있는 대형용기(1)와, 용기의 저면측에서는 용기를 가열할 수 있는 버너(2)를 구비하며, 용기의 상부에는 용기 내에 수용되는 원두를 휘저을 수 있는 교반장비(3)가 설치된 재래식 볶음장치가 이용된다.
즉, 밑이 둥근 용기 내에 수용된 생두를 휘저어 가면서 일정시간동안 볶아 주면, 생두는 탄화되어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원두커피로 가공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재래방식을 이용하여 원두로 가공하는 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따른다.
먼저, 원두가 수용되는 대부분의 용기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어 생두를 볶아 탄화시키는 과정에서 원두 특유의 향인 아로마 손실이 40%정도 손실되며, 교반기를 이용하여 원두를 휘저음에 있어, 생두는 통상 일면이 납작하고 한쪽은 둥근 형상으로 되어 있어, 편중되게 볶아지는 단점이 있다. 이는 볶아진 원두커피를 분쇄할 때 그 품질의 차이가 충분히 가려지게 된다.
원두는 재배지에서의 품종도 원두의 품질을 가릴 수 있지만, 통상 1년 내지 2년 정도 숙성과정을 거치는 생두는 볶아진 상태에서 탄화된 정도에 따라 더욱이 그 향과 품질이 결정된다.
따라서, 기존의 재래방식에 의한 원두커피는 우선적으로 향의 손실이 많아 수출되어 각 나라별로 유통과정을 거치는 상태에서 향의 손실이 점진적으로 많아져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애호가들은 대부분 생두를 구입하여 가정에서 직접 소정량의 원두커피를 가공/분쇄시켜 차로 음용하기도 한다.
한편, 상기 재래방식에 의한 원두커피는 통상적으로 분쇄시켜 소정 입자상의 분말을 걸러 우려내는 방식으로 커피 메이트를 통해 즐길 수 있는 바, 탄화된 정도에 따라 분쇄상태에서 내부는 덜 볶아진 원두가 많다. 즉, 상기와 같은 볶음장치에 의해 가공된 커피는 대체적으로 겉 색깔은 어두운 밤색계통이지만 내부와 차이가 많아 커피의 고유 맛은 떫고 색 및 향이 현저히 떨어지고, 덜 우러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점에 대하여 원두커피는 티백으로 제품화하기에 적합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생두를 볶아 원두커피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 볶음장치를 개선하여 고압상태에서 상압보다 저온으로 생두를 볶을 수 있도록 하여 고품질의 커피향을 얻을 수 있고, 생두의 탄화정도를 균일하게 하면서 볶아지도록 하여 커피향의 손실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하여 운반 및 보관의 유통과정에서의 양질의 원두커피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면서 음용에 있어 티백으로 제품화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소정의 체적을 갖는 곡물용기, 곡물용기를 회전 지지하고 가열하기 위한 가열본체, 곡물용기를 개폐하기 위한 곡물투입구 개폐부재, 곡물용기 내의 내부압력을 체크하는 압력게이지를 포함하여 가열압력으로 본체 내에 수용된 곡물을 튀기거나 볶을 수 있도록 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곡물용기 내의 원주방향에 수용된 생두를 자유분방하게 고르게 굴려가면서 간섭을 일으키는 돌기가 다수개 형성되고, 곡물용기에는 내부의 온도를 체크할 수 있는 온도게이지가 연결 설치된 원두커피 볶음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원두커피 볶음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인 원두커피 볶음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볶음장치의 곡물용기 내부를 보여주기 위한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곡물용기 11: 돌기
20: 가열본체 30: 개폐부재
40: 압력게이지 50: 온도게이지
이하,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 첨부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본 고안인 원두커피 볶음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볶음장치의 곡물용기 내부를 보여주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소정의 체적을 갖는 곡물용기(10), 곡물용기를 회전 지지하고 가열하기 위한 가열본체(20), 곡물용기를 개폐하기 위한 곡물투입구 개폐부재(30), 곡물용기내의 압력을 체크하는 압력게이지(40)를 포함하여 가열압력으로 본체 내에 수용된 곡물을 튀기거나 볶을 수 있도록 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곡물용기(10)는 내부 원주방향에 소정길이를 갖는 돌기(11)가 일체로 다수개 배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돌기(11)의 길이는 불규칙하게 형성되거나 그 배열간격을 각각 달리 설정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대신 소정깊이를 갖는 반구형의 요홈(도면에서 생략함)을 불규칙하게 배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곡물용기(10) 측에는 내부의 온도를 체크할 수 있는 온도게이지(50)가 상기 압력게이지(40)에 근접되는 위치에 연결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구성된 본 고안인 원두커피 볶음장치의 사용상에 따른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정의 체적을 갖는 곡물용기(10)는 통상적으로 구동수단(도면에서 생략함)에 의하여 회전가능한 상태이고, 곡물용기의 외측으로 설치된 가열본체(20)는 곡물용기의 회전을 지지하면서 곡물용기와 가열본체 사이의 공간으로 버너를 통해 분사 가열되는 화염으로 곡물용기를 가열시켜 주며, 곡물용기의 일측으로 구비되는 개폐부재(30)에 의해 용기 내에 압력을 상승시켜 준다.
통상 가열된 용기의 내부 압력은 압력게이지(40)를 통해 나타나게 되며 곡물용기 내에 소정량 수용한 곡물을 볶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설정 이상의 압력이 된 상태에서 개폐부재(30)를 서서히 열어주면 곡물을 볶는 정도에 해당되고, 순간 압력을 해제시키면 압력배출에 따른 곡물을 튀길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볶음장비에 숙성시킨 생두를 넣어 곡물용기를 회전시킴에 있어, 생두는 가열되는 곡물용기에 의해 탄화되고, 일정시간 즉, 여기서는 곡물용기에 연결 설치한 온도게이지와 압력게이지를 육안으로 확인한 뒤 개폐부재를 개방시켜 생두를 원두로 가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곡물용기 내에 수용되어 용기의 회전에 따라 생두는 돌기(11)에 간섭됨과 동시에 뒤섞여져 가면서 탄화된다. 즉, 불규칙하게 돌출 형성된 돌기는 생두를 이리저리 뒤집어 주는 역할을 하여 균일하게 원두를 탄화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소정의 압력상태에서 탄화되는 생두는 압력 및 온도 설정에 따라 탄화된 정도를 조절할 수 있어 같은 종류의 원두가공이라 할지라도 각 단계별로 나누어 진한 향을 선호하는 애호가 옅은 향을 선호하는 애호가의 입맛에 맞는 원두가공이 가능하여 여러 종류의 품질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원두의 탄화된 정도에 따라서는 원두를 분쇄시켜 티백으로 손쉽게 우려먹을 수 있는 제품의 생산을 기대할 수 있다. 이는 밀폐된 용기 내에 가열된 온도에 다라 상승된 고압속에서 커피를 볶은 후 개폐장치를 순간적으로 개방시킴에 있어, 튀겨지는 효과가 발생되어 원두커피 분자구조의 변형을 가져와 분쇄가 용이하고, 음용시 수분침투가 용이하여 많은 양의 커피향 물질이 우러나오게 되어 티백제품으로서 적당하다.
상기와 같이 용기 내에서 탄화되는 원두는 첫째, 생두가 원두로 탄화되어 가는 과정에서 원두가 갖는 고유의 향 손실은 곡물용기로부터 탄화된 원두를 인출시키고자 하기 위하여 개폐부재를 개방할 때 손실되는 미량의 향을 제외하고는 거의 원두자체의 진한 향을 얻을 수 있게 되어 양질의 원두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향의 손실이 적은 원두의 경우 더욱이 유통과정에서 오랫동안 향을 유지시켜 줄 수 있어 원두 각 공급처까지 장기간 창고 등에 보관 또는 운송하는데 품질상태를 유지시켜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통상적으로 가열압력을 이용하여 용기내에 곡물을 볶거나, 튀기는 장치에 있어, 용기 내부에는 수용된 생두가 간섭을 받아가면서 뒤섞이게 할 수 있는 다수의 돌기를 형성시키고, 압력게이지와 더불어 용기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게이지를 통해 엄밀한 적당한 원두의 탄화정도를 맞출 수 있도록 하여 향의 손실이 적고, 원두자체의 분자구조 변형으로 티백으로도 우려내어 음용할 수 있는 양질의 원두커피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소정의 체적을 갖는 곡물용기(10), 곡물용기를 회전 지지하고 가열하기 위한 가열본체(20), 곡물용기를 개폐하기 위한 곡물투입구 개폐부재(30), 곡물용기 내의 내부압력을 체크하는 압력게이지(40)를 포함하여 가열압력으로 본체 내에 수용된 곡물을 튀기거나 볶을 수 있도록 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곡물용기(10) 내의 원주방향에 수용된 생두를 자유분방하게 고르게 굴려가면서 간섭을 일으키는 돌기(11)가 다수개 형성되고, 곡물용기에는 내부의 온도를 체크할 수 있는 온도게이지(50)가 연결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두커피 볶음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돌기(11)는 불규칙한 길이로 배열되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두커피 볶음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곡물용기(10) 내면에는 요홈을 다수로 배열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두커피 볶음장치.
KR2020000017009U 2000-06-15 2000-06-15 원두커피 볶음장치 KR2002032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009U KR200203223Y1 (ko) 2000-06-15 2000-06-15 원두커피 볶음장치
BR0101173-1A BR0101173A (pt) 2000-06-15 2001-03-14 Novo sistema de torração de grãos de caf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009U KR200203223Y1 (ko) 2000-06-15 2000-06-15 원두커피 볶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3223Y1 true KR200203223Y1 (ko) 2000-11-15

Family

ID=19660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7009U KR200203223Y1 (ko) 2000-06-15 2000-06-15 원두커피 볶음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203223Y1 (ko)
BR (1) BR010117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43542B (zh) * 2021-05-07 2022-10-28 杭州小帘栊餐饮管理有限公司 一种能源利用率高的炒制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0101173A (pt) 2002-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8127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partially roasted coffee beans and a combination roasting and brewing device
US2018000010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ffee preparation
JP5654021B2 (ja) インスタントフリーズドライコーヒー及びレギュラーロースト微粉砕コーヒーからなり、淹れたてのコーヒー味と香りをもったコーヒー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EP2575488B1 (en) A process of preparation of tea
CN107088462A (zh) 冲泡材料磨碎机
JPH11510703A (ja) 望ましい浸出酸味を伴う、浸出力の増強されたよりダークなカップカラーを提供する急速ローストコーヒー
US20140106038A1 (en)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of roasting, grinding, and brewing coffee
US20110217420A1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flavoring brewed beverages
KR100852293B1 (ko) 대추차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한 대추차
EP0405649B1 (en) Improved process for dark roasting coffee beans
KR200203223Y1 (ko) 원두커피 볶음장치
Kingston How to make coffee: The science behind the bean
US20050181108A1 (en) Coffee Sustitute Product and Process for Use
US20030180419A1 (en) Method for processing coffee and product produced thereby
GB2386543A (en) Tea production
KR101544596B1 (ko) 커피 원두 분말의 제조방법
KR101851369B1 (ko) 흑삼화 가공 커피원두의 제조 방법
CN106615487A (zh) 一种具有咖啡香气的茶叶烘焙方法
CN113163788A (zh) 适合提取单个咖啡饮料的咖啡豆压块形状以及对其的制备方法及装置
JP2020068768A (ja) 粉末茶及び粉末茶組成物の製造方法
WO2019156546A1 (es) Método para implementar elementos aromáticos y de sabor al grano y la bebida de café
JPH0488947A (ja) 水出しコーヒーの製造方法
JP2002191332A (ja) コーヒー葉茶及びその製造方法
CN106615486A (zh) 一种具有咖啡香气的茶叶及茶饮料
JPH01206955A (ja) コーヒー豆の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Ip right invalidated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