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2690Y1 - 전자 음악/영화 주문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음악/영화 주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2690Y1
KR200202690Y1 KR2020000005519U KR20000005519U KR200202690Y1 KR 200202690 Y1 KR200202690 Y1 KR 200202690Y1 KR 2020000005519 U KR2020000005519 U KR 2020000005519U KR 20000005519 U KR20000005519 U KR 20000005519U KR 200202690 Y1 KR200202690 Y1 KR 2002026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record
data
database
mon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55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헌주
이정한
Original Assignee
한헌주
이정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00009660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00024660A/ko
Application filed by 한헌주, 이정한 filed Critical 한헌주
Priority to KR20200000055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26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26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26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점과 같은 매장내에서 사용자가 각 테이블에 설치되어 음악 또는 동영상을 검색, 신청하고, 이 신청을 받아 음악/영화를 틀어주도록 고안된 전자 음악/영화 주문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 음악 또는 동영상 재생 방식의 단점을 보완하여 음악 및 동영상 데이터베이스를 구축, 사용자에게 원하는 곡 또는 영화를 찾기 쉽도록 하였으며 영화 또는 음반사진, 가사, 해설 등 여러 정보도 수록하여 사용자에게 음악 또는 영화에 관한 통합적 서비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자 음악/영화 주문장치{ELECTRONIC MUSIC AND VIDEO ORDERING SYSTEM}
본 고안은 전자 음악/영화 주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음료 매장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각 테이블에 설치되어 음악 또는 동영상을 검색, 신청하고, 이 신청을 받아 음악/영화를 틀어주도록 고안된 전자 음악/영화 주문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음악 감상실 또는 음악을 제공하는 식음료업체에서는 고객이 원하는 음악을 신청할 때 업체에서 제공하는 메모지에 신청곡을 적어 진행자에게 전달하면, 진행자는 그 메모지를 보고 LP 또는 CD를 틀어주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방식에서는 고객은 업체의 보유곡을 알 수 없어 보유하지 않는 곡을 신청할 경우 신청한 곡을 청취할 수 없으며, 보유곡을 검색조차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곡을 신청하기에 아주 애를 먹는 경우가 빈번하다.
또한, 고객이 일일이 신청곡을 적고, 전달하면, 운영자는 보유곡을 확인하고 신청곡이 있을 경우 틀어주고 없을 경우에는 사과방송을 하는 등의 매우 불편하고 구시대적인 방식으로 유지되고 있으며, 현재 연주되는 곡명과 가수명을 알고 싶어도 운영자 또는 진행자에게 일일이 물어보기 전에는 알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상기한 종래방식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식음료매장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각 테이블에 설치되어 음악 또는 동영상을 검색, 신청하고, 이 신청을 받아 음악/영화를 틀어주도록 고안된 전자 음악/영화 주문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자 음악/영화 주문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음악 정보 표시 및 신청 화면의 구성도.
도 3은 동영상 정보 표시 및 신청 화면의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초기화면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음악 정보 표시 및 신청 화면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모니터 11 : 키보드
31 : 스피커 32 : 오디오 재생장치
33 : 음반 데이터 베이스 40 : 중앙처리장치
100 : 음반 사진 표시창 101 : 음반 보유곡 리스트 표시창
102 : 가사 표시창 103 : 해설 표시창
104 : 음악신청 표시창 105 : 대기순번 표시창
106 : 가수검색 표시창 107 : 곡명검색 표시창
400 : 동영상 메인화면 또는 캡쳐화면 401 : 동영상 해설 402 : 배우와 감독에 대한 정보 403 : 미리보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전자 음악/영화 주문장치의 특징은, 그 화면에 다수의 음악정보가 표시되는 모니터; 고객에 의하여 선택된 특정의 음악을 신청하는 키보드; 상기 모니터에 표시하기 위한 음반 사진, 음반 보유곡 리스트, 가사, 해설, 가수, 곡명 등의 음악에 관련한 제반 정보를 저장하는 음악 정보 데이터 베이스; CD 또는 LP 등의 음반 데이터를 저장하는 음반 데이터 베이스; 상기 모니터에 상기 음악 정보 데이터 베이스 및 음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음반 사진, 음반 보유곡 리스트, 가사, 해설, 가수, 곡명 등의 음악에 관련한 제반 정보 등을 표시하고, 상기 키보드에서 요청된 음악 신청을 접수하고, 상기 키보드로부터 요청된 음악 신청을 상기 모니터에 표시함과 아울러, 그 음반 데이터를 상기 음반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검색/선곡하는 중앙처리장치;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음반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검색/선곡된 음반 데이터를 스피커를 통하여 매장내에 출력하는 오디오 재생장치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자 음악/영화 주문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그 화면에 다수의 음악정보가 표시되는 모니터(10); 고객에 의하여 선택된 특정의 음악을 신청하는 키보드(11); 상기 모니터(10)에 표시하기 위한 음반 사진, 음반 보유곡 리스트, 가사, 해설, 가수, 곡명 등의 음악에 관련한 제반 정보를 저장하는 음악 정보 데이터 베이스(42); CD 또는 LP 등의 음반 데이터를 저장하는 음반 데이터 베이스(33); 상기 모니터(10)에 상기 음악 정보 데이터 베이스(42) 및 음반 데이터 베이스(33)에 저장된 음반 사진, 음반 보유곡 리스트, 가사, 해설, 가수, 곡명 등의 음악에 관련한 제반 정보 등을 표시하고, 상기 키보드(11)에서 요청된 음악 신청을 접수하고, 상기 키보드(11)로부터 요청된 음악 신청을 상기 모니터(10)에 표시함과 아울러, 그 음반 데이터를 상기 음반 데이터 베이스(33)로부터 검색/선곡하는 중앙처리장치(40); 상기 중앙처리장치(4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음반 데이터 베이스(33)로부터 검색/선곡된 음반 데이터를 스피커(31)를 통하여 매장내에 출력하는 오디오 재생장치(32)로 구성된다. 도 2는 음악 정보 표시 및 신청 화면의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객 단말기(10)에는 음반 사진 표시창(100); 음반 보유곡 리스트 표시창(101); 가사 표시창(102); 해설 표시창(103); 음악신청 표시창(104); 대기순번 표시창(105); 가수검색 표시창(106); 및 곡명검색 표시창(107)이 표시된다.
도 3은 동영상 정보 표시 및 신청 화면의 구성도로서, 상기 고객 단말기(10)는 상기 네트워크(20)에 연결되어 그 화면에 동영상 사진 또는 캡쳐화면(400), 동영상 해설(401), 배우와 감독에 대한 정보(402) 및 미리보기 기능(403)을 표시한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의 초기화면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음악 정보 표시 및 신청 화면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매장을 이용하는 고객이 음악을 신청하기 위해 각 테이블 또는 벽면 등에 설치되어 있는 모니터(10)상에 표시된 웹브라우저를 이용하여 곡명, 가수명, 음반명 중 하나로 음악검색을 한다. 이때, 상기 모니터(10)의 화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로서 음반 사진 표시창(100), 음반 보유곡 리스트 표시창(101), 가사 표시창(102), 해설 표시창(103), 음악신청 표시창(104), 대기순번 표시창(105), 가수검색 표시창(106) 및 곡명검색 표시창(107)이 표시된다. 따라서, 고객은 키보드(11)를 이용하여 검색된 음반페이지의 곡명앞에 있는 확인상자를 체크하여 음악신청버튼을 클릭하면, 그 신청 내용이 중앙처리장치(40)에 전달되며, 고객이 신청한 곡명과 컴퓨터 번호를 보고 선별하여 오디오 재생장치(32)를 통하여 음악을 틀어주게 된다. 음반페이지에는 음반사진, 곡명, 가사 등의 정보가 수록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기존의 불편한 방식을 해소하고 완전 자동화함으로써 비주얼한 웹페이지를 제공하여 음악검색과 신청이 가능하도록 가수명, 음반명, 곡명의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음악에 관한 정보인 음반사진, 가사, 해설 등과 같은 많은 양의 웹페이지를 구비하여 음악검색은 물론 음반사진을 보면서 음악을 신청하고 신청한 곡의 가사와 해설을 볼 수도 있으며, 모니터를 통해 현재 연주되는 곡명과 가수명을 보여주게 되며, 동영상의 경우에도 다양한 동영상 관련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4)

  1. 그 화면에 다수의 음악정보가 표시되는 모니터(10);
    고객에 의하여 선택된 특정의 음악을 신청하는 키보드(11);
    상기 모니터(10)에 표시하기 위한 음반 사진, 음반 보유곡 리스트, 가사, 해설, 가수, 곡명 등의 음악에 관련한 제반 정보를 저장하는 음악 정보 데이터 베이스(42);
    CD 또는 LP 등의 음반 데이터를 저장하는 음반 데이터 베이스(33);
    상기 모니터(10)에 상기 음악 정보 데이터 베이스(42) 및 음반 데이터 베이스(33)에 저장된 음반 사진, 음반 보유곡 리스트, 가사, 해설, 가수, 곡명 등의 음악에 관련한 제반 정보 등을 표시하고, 상기 키보드(11)에서 요청된 음악 신청을 접수하고, 상기 키보드(11)로부터 요청된 음악 신청을 상기 모니터(10)에 표시함과 아울러, 그 음반 데이터를 상기 음반 데이터 베이스(33)로부터 검색/선곡하는 중앙처리장치(40);
    상기 중앙처리장치(4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음반 데이터 베이스(33)로부터 검색/선곡된 음반 데이터를 스피커(31)를 통하여 매장내에 출력하는 오디오 재생장치(3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음악/영화 주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반 데이터는 MP3 기록방식의 디지털 음악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음악/영화 주문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반 데이터는 CD, LD, VIDEO 또는 DVD 등의 동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디지털 음악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전자 음악/영화 주문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반 데이터는 MPEG 기록방식의 디지털 동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디지털 음악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전자 음악/영화 주문장치.
KR2020000005519U 2000-02-26 2000-02-28 전자 음악/영화 주문장치 KR2002026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5519U KR200202690Y1 (ko) 2000-02-26 2000-02-28 전자 음악/영화 주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9660A KR20000024660A (ko) 2000-02-26 2000-02-26 네트워크와 웹기술을 이용한 매장내의 양방향 전자 주문시스템
KR2020000005519U KR200202690Y1 (ko) 2000-02-26 2000-02-28 전자 음악/영화 주문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9660A Division KR20000024660A (ko) 2000-02-26 2000-02-26 네트워크와 웹기술을 이용한 매장내의 양방향 전자 주문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2690Y1 true KR200202690Y1 (ko) 2000-11-15

Family

ID=26636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5519U KR200202690Y1 (ko) 2000-02-26 2000-02-28 전자 음악/영화 주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269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285B1 (ko) 2006-02-28 2008-06-12 (주)한국소프트트레이드 디지털 멀티미디어 앨범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285B1 (ko) 2006-02-28 2008-06-12 (주)한국소프트트레이드 디지털 멀티미디어 앨범 제공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9357B2 (en) Audio user interface for computing devices
TW497045B (en) Virtual jukebox
US8135700B2 (en) Content providing system, content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content distribution server, and content receiving terminal
JP4779882B2 (ja) コンテンツリスト表示方法、コンテンツリスト表示装置、コンテンツ選択処理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選択処理装置
US9507863B2 (en) Content list display method, content list display apparatus, content selecting and processing method, and content selecting and processing apparatus
US20070005655A1 (en) Content providing system, content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content distribution server, and content receiving terminal
US20040013416A1 (en) Optical disc player
WO2006049141A1 (ja) 情報管理方法、情報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管理装置
TW200912734A (en) Electronic device media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H08306167A (ja) 記憶媒体へのデータ格納方法、記憶媒体の再生装置、及び記憶媒体を用いた情報の管理装置、及び記憶媒体の使用方法
US20060224703A1 (en) Slideshow system, rule server, music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s of controlling said server and apparatus
JP2000298978A (ja) 演奏曲関連情報表示装置,演奏曲関連情報表示処理方法および演奏曲関連情報表示プログラム記録媒体
US20070005617A1 (en) Display control method, content data reproduction apparatus, and program
US7882157B2 (en) Content data recording device and recording control method
KR200202690Y1 (ko) 전자 음악/영화 주문장치
KR20000024660A (ko) 네트워크와 웹기술을 이용한 매장내의 양방향 전자 주문시스템
JP2005285285A (ja) コンテンツ読出装置及び楽曲再生装置
JP4963261B2 (ja) 画像対応楽曲推薦提示システム
JP2009042265A (ja) デジタルオーディオプレーヤ並びにカラオケ楽曲の選択方法
JP2007066370A (ja)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JPH0561492A (ja) マルチメデイア用カラオケチエンジヤシステム
US20050289200A1 (en) Program, electronic device and data processing method
KR20010026276A (ko) 애니메이션을 제공하는 음악 재생 방법 및 장치
KR100689417B1 (ko) 복수의 파일 연결 재생장치 및 방법
KR20010090669A (ko) 인터넷을 통한 다중모드음악 시스템 및 그 판매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