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2341Y1 - 터널용 강재거푸집 콘크리트 타설장치 - Google Patents

터널용 강재거푸집 콘크리트 타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2341Y1
KR200202341Y1 KR2020000010907U KR20000010907U KR200202341Y1 KR 200202341 Y1 KR200202341 Y1 KR 200202341Y1 KR 2020000010907 U KR2020000010907 U KR 2020000010907U KR 20000010907 U KR20000010907 U KR 20000010907U KR 200202341 Y1 KR200202341 Y1 KR 2002023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steel formwork
pipe
steel
po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09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도
Original Assignee
김윤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도 filed Critical 김윤도
Priority to KR20200000109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23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23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23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04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 E21D11/10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with concrete cast in situ; Shuttering also lost shutterings, e.g. made of blocks, of metal plates or other equipment adapted therefor
    • E21D11/105Transport or application of concrete specially adapted for the lining of tunnels or galleries ; Backfilling the space between main building element and the surrounding rock, e.g. with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04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 E21D11/10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with concrete cast in situ; Shuttering also lost shutterings, e.g. made of blocks, of metal plates or other equipment adapted therefor
    • E21D11/102Removable shuttering; Bearing or supporting devic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2Workplatforms, railings; Arrangements for pouring concrete, attached to the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호퍼 일측부로부터 연결되는 콘크리트 압송관을 콘크리트 펌프카 일측면을 따라 후방까지 연설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콘크리트 압송관 단부측에 좌우 회동가능하도록 하는 회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회동수단에 취부되어 상하 회동되어지는 붐(boom)을 연결하여서 되는 구륜방식을 자주식으로 하는 콘크리트 펌프카와, 상기 콘크리트 펌프카의 붐 단부로부터 일자형으로 직선상 소정길이 콘크리트이송관을 순차적으로 연관 연설하여 각각의 강재거푸집 상단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타설공 위치까지 고정 위치되도록 한후 각각의 강재거푸집 타설공측으로 연결수단에 의해 상기 타설공에 콘크리트 이송관, 호스등이 삽입연설되어 콘크리트를 타설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레미콘 트럭으로부터 이송되어온 콘크리트를 콘크리트 펌프카의 호퍼내에 투입하여 혼합익(混合翼)에 의해 교반혼합하여서 되는 콘크리트를 콘크리트 이송관과 붐을 통하여 타설하고자 하는 위치까지 이송시킬시 그 이송거리를 최대한 짧게 구성 할 수 있도록 하여, 콘크리트 타설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고 타설작업이 완료된 후 콘크리트 이송관내에 잔존하는 콘크리트의 리바운드양을 현저하게 줄임과 동시에 폐기처분되는 콘크리트의 양을 줄일수 있도록 함은 물론, 타설하기 위한 콘크리트 펌프카의 구륜방식을 자주식으로 구성하여 작업조건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터널용 강재거푸집 콘크리트 타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터널용 강재거푸집 콘크리트 타설장치{A tunnel steel materials mold concrete operation equipment}
본 고안은 터널의 굴착작업과 함께 터널내부에 강재거푸집을 형성한 후, 상기 강재거푸집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터널용 강재거푸집 콘크리트 타설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레미콘 트럭으로부터 이송되어온 콘크리트를 콘크리트 펌프카의 호퍼내에 투입하여 혼합익(混合翼)에 의해 교반혼합하여서 되는 콘크리트를 콘크리트 이송관과 붐을 통하여 타설하고자 하는 위치까지 이송시킬시 그 이송거리를 최대한 짧게 구성 할 수 있도록 하여, 콘크리트 타설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고 타설작업이 완료된 후 콘크리트 이송관내에 잔존하는 콘크리트의 리바운드양을 현저하게 줄임과 동시에 폐기처분되는 콘크리트의 양을 줄일수 있도록 함은 물론, 타설하기 위한 콘크리트 펌프카의 구륜방식을 자주식으로 구성하여 작업조건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터널용 강재거푸집 콘크리트 타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터널을 시공함에 있어서는 발파에 의하여 암반(巖盤)을 굴진(掘進)해 가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H-BEAM의 아아치형 스틸리브(Steel rib)를 설치하고 암벽면에 와이어매쉬를 현설하면서 건조상태의 모래와 자갈, 시멘트의 혼합물을 분사함과 동시에 별도의 노즐을 통하여 물을 분사하는 소위 숏크리팅(Shotcreting) 방법에 의하여 1차 지보를 형성한 다음 락볼트(Rock bolt)를 매립한 후 1차 지보인 숏크리트층 표면에 배수포와 방수막을 표면층에 현설한 후, 거대한 원통형 거푸집을 이용하여 라이닝 콘크리트층을 타설함으로써 터널을 완성하고 있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층을 타설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비가 주로 콘크리트 펌프카가 채용되어 사용되는바, 상기 콘크리트 펌프카는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장비로서 레미콘 트럭으로부터 운반해 온 콘크리트를 콘크리트 펌프카의 후미에 형성되는 호퍼에 하화 수용하여 내부에 구성되어 있는 혼합익(混合翼)에 의해 교반함과 동시에 상기 호퍼의 상부에는 콘크리트와 혼합된 큰 골재나 여타 유입물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그리드 또는 그래이팅과 같은 필터수단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호퍼에 수용된 콘크리트는 유압변환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왕복실린더의 토출압에 의해 콘크리트 수송관을 통해 타설하고자 하는 부위까지 수평 또는 수직으로 밀어 보내주게 되어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 이송관에는 콘크리트 타설작업시에 상당한 충격과 진동이 발생하게 되며, 한편 콘크리트 펌프카가 정차하고 있는 곳에서 콘크리트 타설지역까지 콘크리트 이송관을 통해 교합된 콘크리트가 보내지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콘크리트가 콘크리트 펌프카에서 상당히 먼 거리 또는 높은 위치까지 압송되므로, 여러개의 콘크리트이송관들을 상호 연결하여 높이 조절하게 되는데, 이때 각 콘크리트 이송관은 커플링에 의해 고정연결되고 상기 커플링은 이송관서포트에 결합되어 붐에 연결지지되고 있으며, 상기의 펌프카의 호퍼에 수용된 콘크리트는 콘크리트실린더에 유입되어 피스톤에 의해 콘크리트 이송관으로 압송되며, 상기 피스톤을 미는 힘은 유압펌프에서 나온 압유로 작동되는 플런저 실린더로부터 전달되는바, 상기의 콘크리트 실린더와 플런저 실린더는 각각 2개씩 형성되어 있어 흡입과 압송 행정을 교대로 반복하면서 콘크리트를 압송하는 통상의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콘크리트 이송관으로부터 연설되어 콘크리트 타설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붐은 보통 2단 위치의 붐과 3단 위치의 붐에 실린더로드가 힌지결합되어 있는 한편, 하방측 붐에는 힌지브라켓을 매개로 실린더 하우징이 힌지결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콘크리트 펌프카를 이용하여 터널의 굴착작업후 설치되는 강재거푸집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터널을 형성하게 되는데, 간략하게 터널 시공방법에 대해 약술한다.
일반적으로 터널은 굴착 -> 보강 -> 콘크리트 라이닝의 설치와 같은 공정을 통해 건설되는데, 상기의 콘크리트 라이닝은 통상적으로 현장타설 라이닝 공법에 따라 설치된다.
즉, 현장타설 라이닝공법은 굴착된 터널의 암반굴착면에 보강용 쇼크리트 (shotcrete)를 타설하고, 상기 쇼크리트의 외측면에 부직포와 방수시트를 부착한 후 라이닝폼을 거치하여 내측에 콘크리트를 주입, 양생시켜 30~40 cm 두께의 라이닝을 형성하게 되어, 터널에서 발생되는 용출수는 부직포와 방수시트 사이를 통해 배수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터널 라이닝을 형성하기 위해 강재 거푸집이 터널과 소정 거리를 유지하도록 설치되고, 터널 벽과 거푸집 사이의 공간에는 철근 조립체가 위치되며, 터널 벽과 거푸집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가 충전되어 콘크리트 라이닝이 완성된다.
상기한 터널 라이닝 타설용 거푸집 시스템을 도 3을 참조하여 간단하게 설명하면, 터널 단면과 유사한 윤곽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그 천단부에 다수의 콘크리트 타설공(111)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강재 거푸집(110) 및 콘크리트 타설장치(콘크리트 펌프카)로부터 도입된 콘크리트 이송관(220) 및 상기 천단부 타설공(111)을 상기의 콘크리트 이송관(220)에 각각 연결하는 수직 이송관으로 구성된 콘크리트 이송관을 포함한다.
콘크리트 압송관(220))을 통해 콘크리트가 강재거푸집(110)의 천단부 타설공(111)으로 공급되며, 도 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설공(111)으로 공급된 콘크리트는 거푸집(110)의 외주면을 따라 흘러 내려가서 터널 벽과 거푸집(110) 사이의 공간을 채우게 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이 완료되며, 소정 시간의 양생 과정을 거친 후, 탈형 함으로써 터널 라이닝이 형성되는바, 상기와 같이 터널을 굴착함에 있어서는 굴착면에 콘크리트를 뿜어 붙여서 밀착시키는 작업을 행하는데, 이와 같이 뿜어 붙이는 콘크리트를 숏크리트(shotcrete)라 칭한다. 숏크리트는 원지반의 표층부와 협동해서 응력집중에 의한 원지반의 균열 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풍화를 방지하고 굴착 후의 안정을 도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같은 숏크리트 작업은 터널 굴착이 진행됨에 따라 일정한 거리 단위로 이루어지며, 터널 굴착이 완료된 후에는 복공 작업을 수행하여 터널 내면을 매끈하게 만들게 된다.
상기의 숏크리트 타설 방법은 재료의 상태에 따라 건식과 습식으로 구분되는데, 건식 숏크리트는 시멘트, 골재, 급결제 등의 건식혼합된 재료를 압축공기에 의하여 호스 내로 압송시킨 후 노즐 또는 그 직전에 압력수를 가하여 뿜어 붙이는 방식을 말하고, 습식 숏크리트는 시멘트, 골재, 물등을 반죽한 습식 혼합된 재료를 펌프 또는 공기로 압송하여 노즐 부근에서 급결제를 첨가하여 뿜어 붙이는 방식을 말하는바, 노즐(즉 콘크리트 압송관)을 통해 뿜어 붙이는 방법으로 타설되어 왔다.
한편 이와는 달리 콘크리트를 포밍시켜 타설하는 폼크리트방식에 의한 시공도 하고 있으며, 상기의 폼크리트 방식은 숏크리트방식의 문제점을 보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상기의 터널을 시공함에 있어 가장 기초로 되는 것은 강재거푸집(110)의 설치인바, 터널벽에는 굴삭된 갱도 내주벽의 붕괴를 방지하고, 본 바닥을 영구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하나의 긴 콘크리트 구조물인 터널 라이닝(120)이 구축된다. 터널 라이닝(120)은 대체로 길므로 콘크리트를 그 전 구간에 대해 일시에 타설하기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여, 통상 적당한 길이의 강재거푸집(110)을 설치 및 탈거작업을 반복수행하여 이동시켜 가면서 한 스판(SPAN)의 세그먼트 콘크리트를 차례로 이어주어 시공할 수도 있는바, 상기와 같은 이동식 거푸집은 크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강재거푸집(110) 본체와 이의 이동설비 그리고 그 설치 및 탈형을 위한 유압작동설비의 세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의 강재 거푸집(110)은 굴삭된 터널벽 또는 거기에 1차 지보재로서 복공된 숏콘크리트 내주벽의 단면 모양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탈형을 위해 크라운부(113)와 좌우측벽부 및 좌우양단부로 분할되어 있다. 그리고 강제거푸집(110)의 각부는 타설 콘크리트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강판슬래브(112)를 지지하며 각 부 상호간에 굴절가능하게 힌지(114)로 연결되는 리브(115)와 상기 리브(115)를 안정된 구조로 받쳐주도록 강빔을 사용하여 구축한 띠장(116)과 사보강재(117)로 구성되어 강재거푸집(110) 설치와 탈형을 위한 유압작동설비로서 강재거푸집(110) 각 부와 대차프레임(119) 사이에 다수의 유압잭(118)이 연결되어 있고, 탈형시에 강재거푸집(110)의 양단부와 좌우 측벽부가 차례로 회전한 다음 크라운부(113)가 하강되도록 그 다수의 유압잭(118)을 단계적으로 작동시키고, 설치시는 역순으로 작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여타의 방법들에 의해 터널을 시공하게 되며,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강재거푸집(110)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장비가 상기한 콘크리트 펌프카(200)이고, 이러한 콘크리트 펌프카(200)를 이용하여 종래에는 도 6내지 도 8에서 보는바와 같이 터널을 굴착한 다음, 강재거푸집(110)을 설치한 후 강재거푸집(110) 외부측에 콘크리트 펌프카(200)를 이동 대기시킨 다음, 콘크리트 펌프카(200)의 호퍼(210)로부터 연설되는 콘크리트 이송관(220)을 설치하게 된다.
이때 도 7에서 보는바와 같이 강재거푸집(110)은 소정길이(대략 3m)를 갖는 단위 강재거푸집(110)을 통상 3단으로 나뉘어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이 일반적인바, 상기 콘크리트 펌프카(200)의 호퍼(210)로부터 연설되는 콘크리트 이송관(220)을 직선 및 수직, 수평상으로 배열배치 되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자 하는 부위(도면상 최전단)까지 연결하되 강재거푸집(110)의 측면부를 따라 연결되도록 하는 1차이송관(221)을 설치하고, 엘보우등의 연결수단(260)을 이용하여 제1콘크리트이송관(221)으로부터 직교되는 제2콘크리트이송관(222)을 수직방으로 연결하여 측방의 강재거푸집(110)과 고정되도록 한 후, 그런 다음 제3콘크리트이송관 (223)을 강재거푸집(110)의 상단 중앙부위지점까지 수평연설하여 밴딩수단(270)을 이용하여 강재거푸집(110)과 고정되도록 한다.
그런다음, 제3콘크리트이송관(223) 단부에 길이가 짧은 이송관을 수직상으로 연결하거나 또는 호스(224)등을 연결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고자 하는 부위에 천공된 타설공(111)을 통하여 상기 호스(224)를 삽입한 후 콘크리트 펌프카(200)의 호퍼 (210)내로 레미콘에서 하화되는 콘크리트를 호퍼(210)내의 혼합익(미도시)등에 의해 교반시킴과 동시에 상기한 수평수직상으로 교호 연결되는 제1,2,3콘크리트이송관(220; 221,222,223)을 통하여 상기한 강재거푸집(110)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하나의 구간에 콘크리트 타설공정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상기의 제1,2,3콘크리트이송관(220; 221,222,223)을 모두 탈거한 상태에서 각각의 콘크리트이송관(200) 내부에 잔존하는 콘크리트 잔량을 모두 수거하고 콘크리트 펌프카(200)의 호퍼(210)와 연결되는 콘크리트 이송관(200)내부를 깨끗하게 청소한 후, 다음구간에 강재거푸집(110)을 설치하고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콘크리트 펌프카(200)의 호퍼(210)로부터 콘크리트 이송관(220)인 제1,2,3콘크리트이송관 (221~223)을 연결수단(260)등을 이용하여 여러차레 절곡되는 형상으로 하여 소정의 위치까지 상기의 이송관(221~223)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강재거푸집(110)내로 타설되는 것을 반복 시행하고 있다.
즉 상기와 같은 작업을 하기 위해서 요청되는 콘크리트 펌프카(200)는 도 6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콘크리트 펌프카(200)를 채택, 채용하여 실시하고 있는바,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이동식 콘크리트 펌프카의 호퍼(210)로부터 콘크리트 이송관(220)을 바로 연결하여 여러차레 상기 콘크리트 이송관(220)을 절곡 연결하여 설치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강재거푸집(110)내에 타설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는 경우에 다음과 같은 여러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즉, 콘크리트 펌프카(200)의 호퍼(210)로부터 연결되는 콘크리트 이송관(220 ; 221,222,223)의 전체적 길이가 여러번 절곡되어 연결됨과 동시에 상당한 길이로 길게 연결될 수 밖에 없어 콘크리트 펌프카(200)의 구동력을 상당하게 갖추어야 하는 문제는 물론이거니와 펌프(미도시)의 모터(미도시)에 가해지는 하중이 상당하여 콘크리트 펌프카(200)의 사용수명을 현저하게 줄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강재거푸집(110)내로 콘크리트 타설공정이 완료되면, 다음 구간에 설치되는 강재거푸집내(110)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 펌프카(200)로부터 연설되어 기 설치되어 있는 제1,2,3콘크리트이송관(220 ; 221,222,223)을 모두 탈거한 후 잔량의 콘크리트를 깨끗하게 유출시키는 작업을 별도로 수행하고, 재차 타설하고자 하는 새로운 강재거푸집(110) 타설공(111)으로 제1,2,3콘크리트이송관(220 ; 221,222,223)을 새롭게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야 하므로 그 공정에 따른 공기가 상당하게 지연되는 문제는 물론이거니와, 번거롭고 번잡한 작업을 반복 수행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즉, 도 7에서 보는바와 같이 하나의 구간에서 다수개의 강재거푸집(110)으로 형성 설치되어지는 제1,2,3강재거푸집(110 ; 130,140,150)중에서 콘크리트 펌프카(200)로부터 가장 먼거리에 있는 제3강재거푸집(150)에 콘크리트의 타설공정이 완료되면, 콘크리트 펌프카(200)로부터 연설되는 모든 콘크리트 이송관(220)을 탈거한 후 상기 콘크리트이송관(220)내에 잔존하는 콘크리트의 잔량을 모두 수거작업한 다음, 제2강재거푸집(150)의 타설공(111)으로 처음과 같이 제1,2,3콘크리트이송관(220 ; 221,222,223)을 연결수단(260)을 이용하여 여러번의 절곡이음을 통해 연결한 후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그 작업시간이 상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또한 제1,2,3콘크리트이송관(220 ; 221,222,223)으로부터 배출되는 잔량의 콘크리트량(리바운드율)이 상당하고 상기의 잔량의 콘크리트량은 각 강재거푸집 (110)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매번 상기 타설된 강재거푸집(110)의 일부강재거푸집(예컨데 제3강재거푸집(150)의 타설작업 완료 후 제2강재거푸집(14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자 할 경우)으로부터 상기의 콘크리트 이송관(220 ; 221,222,223)의 탈거 및 설치작업과 내부에 잔존하는 잔량 콘크리트 수거작업을 반복 수행하여야 하므로 이에 따른 잔량의 콘크리트는 모두 폐기처분되는 등 그 폐기량이 상당하여 시공가를 현저하게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반복하여 콘크리트 이송관(220)의 설치와 탈거 작업을 반복 수행하여야 하므로 1일 콘크리트 타설량과 그 터널 타설공기의 진행속도가 현저하게 저하될수 밖에 없으므로, 전체적인 공기의 지연을 피할 수 없는 문제와 더불어 이에 따른 인건비의 상승은 물론 시공가가 현저하게 상승되는 등의 문제점 및 작업이 대단히 번잡하고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또한 상기의 방법에 의해서는 아아치형의 강재거푸집(110)내로만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고, 배수로측등의 강재거푸집(110) 양하단부의 구조물에 대한 콘크리트 타설작업은 별도의 장비등을 동원하여 레미콘 차량에 의해 공급되는 콘크리트에 의해 타설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불필요한 장비등을 과다하게 사용할 수 밖에 없는 문제는 물론, 상기한 바와 같은 작업의 지연, 공기의 지연 및 인원, 공사비의 증가를 가져오게 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도면 대용 사진 도 9 참조)
도 9는 배수로등의 거푸집상에 종래의 방법에 의해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을 보인 도면대용 사진.
한편, 상기한 타설공정을 위해 필요로 하는 콘크리트 펌프카는 주로 바퀴(201)가 구비되는 차륜이동방식에 의해 이동되므로, 작업자가 콘크리트 펌프카를 강재거푸집 외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소정의 작업을 완료하게 되면 재차 콘크리트 펌프카를 이송하기 위한 차량등으로 이송하여 소정의 위치에 콘크리트 펌프카를 고정위치시킨 상태에서 타설작업을 하여야 하는 등의 작업상 대단히 불편한 문제점이 있어왔다.
한편 이와는 달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럭(1)등의 차량에 탑재된 상태의 자주식 콘크리트 펌프카를 채택 채용할 수 있는바, 콘크리트 펌프트럭(1)의 후방부에 콘크리트 이송관(2)이 지지고정되는 프레임 형상의 붐(boom)(3)이 접혀져 있어, 상기 붐(boom)(3)이 펼쳐짐으로서 콘크리트 이송관(2)이 길게 연장되어 콘크리트를 타설되는 지점까지 압송되는 구조로 되고, 콘크리트 펌프트럭(1)의 후방부의 하부에는 레미콘으로부터 운반되어온 콘크리트를 수용하여 교반한 후 콘크리트수송관(2)을 통해 압송하는 콘크리트 펌핑장치(4)가 설치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구조의 경우, 차체의 길이가 상당하고 주로 높은 위치(고층건물)등의 콘크리트 타설위치에 적용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이와같은 콘크리트 펌프카는 터널 시공시 사용상 문제로 채택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이 목적으로 하는 바는 터널 굴착후 콘크리트 라이닝 시공시 강재거푸집(110)내에 콘크리트의 타설을 용이하도록 하는데 본 고안의 근본적인 목적이 있으며, 이와 더불어 콘크리트 펌프카(200)로부터 연결되는 타설위치까지의 콘크리트 이송관(220)의 길이를 최대한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콘크리트의 리바운드율을 최소화 하고, 단계적으로 굴절되는 콘크리트 이송관(220)의 설치를 원천적으로 배제하여 작업자가 타설전 콘크리트 이송관(220)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강재거푸집(110)내로 콘크리트를 압송하는 콘크리트 펌프카(200)를 자주식으로 대체하도록 하여 그 운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별도의 이송차량을 배제함에 따른 장비의 추가적 요소를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외부에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전자제어에 의해 작동가능하도록 하여 비교적 위험한 지역(장소)이나 작업하기 까다로운 위치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자 할 경우 용이하게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다른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강재거푸집(110)내로의 콘크리트 타설작업 뿐만아니라, 강재거푸집(110) 양단 하단부로 형성되는 배수로등의 구조물에도 콘크리트를 타설가능하도록 하여 하나의 장비에 의해 모든 콘크리트 타설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여타 장비의 불필요에 의한 시공가의 현저한 절감등을 이루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터널 굴착시공후 콘크리트 펌프카(200)에 의해 터널내부에 소정길이로 형성되는 다수의 강재거푸집(110)을 설치하고 순차적으로 강재거푸집(11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것에 있어서,
호퍼(210) 일측부로부터 연결되는 콘크리트 압송관(230)을 콘크리트 펌프카(200) 일측면을 따라 후방까지 연설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콘크리트 압송관(230) 단부측에 좌우 회동가능하도록 하는 회동수단(250)을 구비하고, 상기 회동수단(250)에 취부되어 상하 회동되어지는 붐(boom)(240)을 연결하여서 되는 구륜방식을 자주식으로 하는 콘크리트 펌프카(200)와,
상기 콘크리트 펌프카(200)의 붐(240) 단부로부터 일자형으로 직선상 소정길이 콘크리트이송관(220)을 순차적으로 연관 연설하여 각각의 강재거푸집(110; 130,140,150) 상단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타설공(111) 위치까지 고정 위치되도록 한후 각각의 강재거푸집(110; 130,140,150) 타설공(111)측으로 연결수단(260)에 의해 상기 타설공(111)에 콘크리트 이송관, 호스(224)등이 삽입연설되어 콘크리트를 타설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채택된 상태의 자주식 콘크리트 타설용 펌프카의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해 터널의 강재거푸집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을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3은 터널에 설치된 거푸집 시스템의 상태를 보인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의해 구간별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을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5는 터널의 배수로측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을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6은 종래 콘크리트 타설용 펌프카에 의해 강재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설치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의한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8은 종래 자주식 콘크리트 펌프카의 개략적 정면도이다.
도 9는 강재거푸집 양하단부의 배수로측으로 레미콘등의 차량을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을 보인 사진
※ 도면중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10: 강재거푸집 111: 타설공
112: 강판슬리브 113: 크라운부 114: 힌지 115: 리브
116: 띠장 117: 사보강재 118: 유압잭 119: 대차프레임
120: 터널라이닝 130: 제1강재거푸집 140: 제2강재거푸집
150: 제3강재거푸집 200: 콘크리트 펌프카 210: 호퍼
220: 콘크리트 이송관 221: 제1콘크리트이송관 222: 제2콘크리트이송관
223: 제3콘크리트이송관 224: 호스 230: 콘크리트압송관
240: 붐 250: 회동수단 260: 연결수단 261: 'T'형이음관
262: 엘보우 270: 밴딩수단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채택된 상태의 자주식 콘크리트 타설용 펌프카의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해 터널의 강재거푸집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을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3은 터널에 설치된 거푸집 시스템의 상태를 보인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의해 구간별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을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5는 터널의 배수로측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을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본 고안은 콘크리트 라이닝(120)을 실시하기 위한 강재거푸집(110)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콘크리트 펌프카(200)와, 상기 콘크리트 펌프카(200)로부터 연설되는 콘크리트 이송관(220) 및 상기 콘크리트 이송관(220)과 강재거푸집(110) 상단의 하단부로 콘크리트 이송관(220)을 일자형으로 배치한 후 강재거푸집(110)의 타설공의 위치에서 'T'자 이음관(261)과 엘보우(262)등의 연결수단(260)에 의해 소정길이의 호스(224) 또는 콘크리트 이송관을 상기 타설공(111)까지 연설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토록 하고 있다.
상기 콘크리트 펌프카(200)는 종래와 동일목적을 가지며, 그 구성 역시 종래와 유사하되 콘크리트 펌프카(200)의 구륜방식을 자주식으로 대체하도록 하고 호퍼(210) 일측으로부터 연결되는 콘크리트 이송관(220)을 콘크리트 펌프카(200) 외주변측으로 설치하고 그 단부는 엘보우등의 직교 연결수단을 이용하여 수직방으로 비교적 짧은 길이의 콘크리트 압송관(230)을 설치하고, 그 상단에 360。 좌우 회동가능한 회동수단(250)을 형설하고, 그 회동수단(250) 상단에 도시하지 않은 유압실린더등의 작동에 의해 상하 회동되는 붐(240)을 구비한다.
즉 도 1에서 보는바와 같이 구륜방식을 무한궤도(290)에 의한 자주식으로 형성하고, 양단부에 피니언형상의 구륜수단(260)을 갖도록 하고 내부로는 차체를 지탱하기 위한 프레임(270)을 형설하고 상기 프레임(270) 상단부에 1개 내지 2개정도 상기 무한궤도(290)와 치합되는 로울러(280)를 구비하고, 프레임(270) 하단부로는 무한궤도(290)와 치합되는 다수개의 로울러(280)를 구비하여서 된다.
또한 콘크리트 펌프카(200) 일측에 레미콘등으로부터 하화되는 콘크리트를 도시하지 않은 혼합익에 의해 교반하기 위한 호퍼(210)와 상기 호퍼(210) 일측으로부터 연결되어 호퍼(210)내에 투입되는 콘크리트를 압송하기 위한 콘크리트 압송관(230)을 콘크리트 펌프카(200) 외주변측으로 에워싸는 형상으로 호퍼(210)와 대향되는 차체 반대측의 타측방으로 형설되도록 하고, 이와같이 된 콘크리트 압송관(230) 단부측에 엘보우등의 연결관(231)에 의해 비교적 짧은 길이의 콘크리트 압송관(230)을 수직방으로 형설한 후, 그 단부에 좌우로 회동가능한 회동수단(250)을 구비하고, 상기 회동수단(250)으로부터 붐(240)을 설치하여 도시하지 않은 유압실린더등의 작동에 의해 상하 회동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붐(240) 단부로부터 콘크리트를 타설하고자 하는 부위(예컨데 강재거푸집의 타설공이나 거푸집 양단 하단부의 배수로측의 타설위치)까지 콘크리트 이송관(220)을 연결 배열배치하도록 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도록 한다.
이와같이 하는 이유는 콘크리트를 강재거푸집(110)내로 타설하는 경우에 상기 붐(240)을 수직방으로 세운 상태에서 붐(240) 단부에서 강재거푸집(110) 타설공 (111)까지 콘크리트 이송관(220)의 설치를 용이하도록 하고, 콘크리트 펌프카(200)로부터 강재거푸집(110) 상단의 하단부에 형설되어 있는 타설공(111)까지 설치되는 콘크리트 이송관(220)의 설치길이를 최소화 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또한 강재거푸집내(11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작업 이외에 강재거푸집(110) 양단측 하단부에 형설되는 배수로거푸집(160)등에 콘크리트 타설할 경우 단지, 상기 붐(240)을 유압실린더등의 작동에 의해 수평상으로 위치되도록 조작한 상태에서 상기 회동수단(250)을 이용하여 상기 붐(240)을 타설위치까지 회동시킨 후 붐(240)단부에서 일정길이의 콘크리트 이송관이나 호스(224)등을 연결 배관설치하여 비교적 간단하게 배수로거푸집(160)측에 콘크리트의 타설공정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때 상기 회동수단(250)은 통상 건설현장등지에서 상용화되고 있는 턴테이블을 채택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턴테이블 이외에 유성기어를 채용하여 좌우 회동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또한 링기어등을 이용하여 붐을 좌우로 회동가능하게 할 수 있는바, 그 채택여부는 건설현장이나 작업조건에 따라 상호 변경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콘크리트 펌프카(200)는 전자제어에 의해 구동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예컨데 콘크리트 펌프카(200)의 전진, 후진, 좌우이동과 펌프의 작동 및 턴테이블등의 회동수단(250)의 회동제어 및 붐(240)등의 작동을 원거리 작동되도록 구성하는바 그 제어에 따르는 구성은 통상의 방법을 따른다.
이와같이 하여서되는 콘크리트 펌프카의(200) 붐(240) 단부로부터 소정의 위치, 즉 타설하고자 하는 각각의 강재거푸집(110) 타설공(111)의 위치까지 연결설치되는 콘크리트 이송관(220)을 구비하여서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굴삭기등에 의해 터널의 굴착공사가 완료되면, 터널의 벽을 라이닝하기 위해 강재거푸집(110)을 대차프레임(119)등을 이용하여 유압잭(118)등의 작동에 의해 터널벽면으로 완전 밀착되면서 일정 콘크리트가 타설될 공간을 유지하도록 하여 상기 강재거푸집(110)을 도 3에서 보는바와 같이 설치한다.
이때 상기 강재거푸집(110)의 설치 길이는 도2 및 도 4에서 보는바와 같이 통상 9m정도이고, 이 길이를 3등분하여서 되는 각각 3m 간격을 이루며 아아치 형상의 강재거푸집(110)이 각각 분리된 상태에서 터널 벽면측으로 설치 형성되어지는바 구간을 통상 9m라고 상정하였을 경우 3개의 강재거푸집(110)이 연이어 연결 설치되는 형상으로 되어 제1,2,3강재거푸집(110; 130,140,150)을 형성하고, 각각의 강재거푸집(110) 상측 하단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타설공(111)이 각각 천공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강재거푸집(110)의 설치가 완료되면, 콘크리트 펌프카(200)를 강재거푸집(110) 전면부에 근접시킨 상태에서(도면상 제1거푸집(130)) 콘크리트 펌프카(200)의 호퍼(210)와 연결되어 콘크리트 펌프카(200) 측면으로 이어지는 콘크리트 압송관(230)과 연결되는 회동수단(250)(통상 턴테이블, 링기어, 유성기어등)상단부로 형성되는 붐(240)을 강재거푸집(110)의 높이, 즉 강재거푸집(110) 상단의 하단부 위치까지 유압실린더(미도시)에 의해 소정 높이까지 상승작동시킨 후, 콘크리트 이송관(220)을 상기 붐(240) 단부로부터 각각의 강재거푸집(110; 130,140,150) 상단 하단부측에 위치되는 상태에서 밴딩수단(270)등을 이용하여 상기 상기 강재거푸집(110)과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각각의 강재거푸집(110)(제1강재거푸집(130), 제2강재거푸집(140), 제3강재거푸집(150)) 상단 하단부측으로 콘크리트 이송관(220)을 일자형으로 일직선상 연결 연설되도록 하여 설치하되, 각각의 강재거푸집(110; 130,140,150)중에서 먼저 제1강재거푸집(130)에 형성되는 타설공(111)의 위치까지 제1콘크리트이송관(221)을 붐(240)으로부터 연설 설치하고, 연결수단(260)(예컨데 'T'자형 이음관(261))등을 이용하여 상기 제1콘크리트이송관(221)으로부터 연설되도록 하여 제2강재거푸집 (140)의 타설공(111)까지 제2콘크리트이송관(222)을 위치되도록 설치하고, 마찬가지로 상기 연결수단(260)의 하나인 'T'자형이음관(261)을 설치한 후 마지막으로 제3강재거푸집(150)의 타설공(111)까지 재차 제3콘크리트이송관(223)을 직선상으로 연설 연결하여 설치되도록 한 후, 마지막 제3콘크리트이송관(223)으로부터 엘보우(262)등의 연결수단(260)을 이용하여 제3콘크리트이송관(223)과 제2콘크리트이송관(222)을 연결하고, 각각의 콘크리트이송관(220; 221,222,223)은 밴딩수단 (270)등을 이용하여 각각의 강재거푸집(110; 130,140,150) 하단부와 상호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한 연결수단(260) 즉, 각각의 'T'자형 이음관(261)과 제3강재거푸집(150)측의 엘보우(262)등 으로부터 상부로 짧은 길이의 콘크리트 이송관이나 호스(224)를 상기 각각의 강재거푸집(110)의 타설공(111)까지 연설 이음하여 타설준비를 완료하도록 한 후,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제3강재거푸집(150)의 타설공(111)만 개방되도록 하고 제1,2강재거푸집(130)(140)의 타설공(111)은 밀폐된 상태를 유지토록 한 상태에서 상기의 콘크리트 펌프카(200)를 구동시켜 호퍼(210)로부터 콘크리트가 압송되어 콘크리트 압송관(230)과 붐(240)을 거쳐 콘크리트 이송관(220)을 따라 일정압력으로 제3강재거푸집(150)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도록 한다.
이와같은 제3강재거푸집(150)내에 콘크리트의 타설작업이 완료되면, 제3강재거푸집(150)의 타설공(111)을 밀폐시키고 상기 타설공(111)까지 연설되어 있는 비교적 짧은 길이의 콘크리트이송관 또는 호스(224)를 탈거한 후 제3콘크리트이송관 (223)을 제2콘크리트이송관(222)으로부터 탈거하고 연결수단(260)인 'T'자형이음관 (261) 일측단을 밀페시킨 후 제2강재거푸집(140)의 타설공(111)까지 호스(224)등으로 연관되도록 한 후 재차 콘크리트 펌프카(200)를 구동하여 제2강재거푸집(140)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상기의 제2강재거푸집(140)내에 콘크리트의 타설작업이 완료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T'자형이음관(261)등으로 되는 연결수단(260)으로부터 연결되어 있는 호스(224)나 짧은 길이의 콘크리트이송관을 탈거하고, 제2콘크리트이송관(222)을 제1콘크리트이송관(221)으로부터 탈거한 후 제2강재거푸집(140)의 타설공(111)을 밀폐한다.
이와같이 제3,제2강재거푸집(140)(150)의 타설공정이 순차적으로 완료되면, 마지막으로 제1강재거푸집(130)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는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콘크리트이송관(221) 단부에 연결되는 연결수단(260)등의 'T'자형이음관 (261)의 일단부를 밀폐시킨 상태에서 콘크리트 펌프카(200)를 구동시켜 제1강재거푸집(130)내부로 콘크리트의 타설공정이 완료되면, 제1강재거푸집(130)의 타설공 (111)을 밀폐하고 상기의 'T'자형이음관(261)과 상기 붐(240)으로부터 제1콘크리트이송관(221)을 탈거하여 타설공정을 완료하게 된다.
한편 이와는 달리 'T'자형이음관(261)을 통하여 상기 제1,2,3강재거푸집 (130)(140)(150)에 동시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도 있어 타설작업공기를 현저하게 절감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264는 'T'자형 이음관의 일단부 혹은 수직방으로 형설된 구멍을 타 강재거푸집등의 타설작업시 콘크리트가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마개이다.
한편 이와는 달리 콘크리트 펌프카(200)의 붐(240)으로부터 연관 연설되는 콘크리트 이송관(220; 221,222,223))을 니플관(263)등으로 되는 연결수단(260)을 이용하여 일직선상으로 제3강재거푸집(150)의 타설공(111) 위치까지 연관연설한 다음, 제3콘크리트이송관(223) 단부에서 엘보우(262)등의 연결수단(260)을 이용하여 상기 제3강재거푸집(150)의 타설공정을 완료한 후, 제3콘크리트이송관(223)을 제2콘크리트이송관(222)으로부터 탈거한 다음, 상기 제2콘크리트이송관(222) 단부에 상기한 엘보우(262)를 체결하고, 제2강재거푸집(140)의 타설공(111)에 상기 엘보우(262)로부터 연결되는 호스(224)등을 이용하여 삽입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는바, 위의 과정을 제1강재거푸집(130)의 타설공정에서도 같은 방식으로 채택 채용할 수 있어 작업의 간편화화 신속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각의 강재거푸집(140)(150) 양단 하단부측으로 형성되는 배수로거푸집(160)측도 동일한 콘크리트 펌프카(200)에 의해 콘크리트 타설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바, 도 5에서 보는바와 같이, 단지 콘크리트 펌프카(200)의 붐(240)을 회동수단(250)을 이용하여 타설하고자 하는 배수로거푸집(160) 측상방으로 위치되도록 소정각도 회동시킨 후 상기 붐(240)을 유압실린더(미도시)등을 이용하여 수평조절한 후 상기 붐(240)으로부터 일정길이의 콘크리트이송관이나 자바라 호스(224)등을 연결하여 타설하고자 하는 위치까지 위치시킨 상태에서 콘크리트 펌프카(200)의 구동에 의해 호퍼(210)내에 레미콘으로부터 저장되어 교반혼합되는 상태의 콘크리트를 배수로를 형성하기 위한 배수로거푸집(160)까지 압송시켜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본 고안에 의하면 배수로등의 배수로거푸집(160)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경우에는 별도의 레미콘등을 이용하여 타설하지 않고 본 고안에 의한 콘크리트 펌프카(200)를 이용하여 강재거푸집(110)의 라이닝 작업과 동시에 또는 선차 작업을 수행한 후 강재거푸집 라이닝 타설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터널 굴착 작업후 설치되는 강재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터널라이닝 작업시행시 콘크리트 펌프카로부터 콘크리트를 타설하고자 하는 타설위치까지 콘크리트 펌프카의 호퍼 및 붐으로부터 상당히 짧은 거리를 유지한 상태에서 타설작업을 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콘크리트 타설완료후 콘크리트 이송관내에 잔존하는 콘크리트 잔량의 리바운드율을 최소화 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른 원료의 절감을 대폭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원료의 상당한 절감에 의한 공사비를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콘크리트 펌프카의 붐을 수직 또는 수평상으로 운전할 수 있어 강재거푸집내의 콘크리트 타설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종래와 같이 별도의 레임콘 차량등을 동원하여 강재거푸집 양단 하단부의 배수로등의 거푸집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는 폐단을 극복하고, 본 고안에 의한 콘크리트 펌프카에 의해 상기의 배수로등의 거푸집내로 콘크리트의 타설작업이 가능하게 되어 별도 장비를 사용함에 따른 작업수단의 대여비나 기타 작업장비의 교체등으로 인한 시간등을 상대적으로 상당히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구간의 강재거푸집을 설치한 후 최전방의 거푸집 전방측에 콘크리트 펌프카를 이동시킨 상태에서 강재거푸집 상단 하단부로 콘크리트 이송관을 직선상으로 배치하고 각각의 강재거푸집 상단 하부에 형설되는 타설공의 위치에서만 이음관 등을 통해 수직상으로 콘크리트 이송관이나 호스등을 연결하는 구조에서 원거리상의 강재거푸집에서부터 근접되는 강재거푸집으로 순차적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함과 동시에 각각의 강재거푸집에 삽설되는 콘크리트 이송관과 이음관을 순차적으로 탈거하게 되는 작업과정을 거치게 되어, 단 한번의 콘크리트 펌프카로부터 강재거푸집간의 콘크리트 이송관을 설치하게 되면 구간에서의 콘크리트 타설공정이 완료될때까지 콘크리트를 지속적으로 강재거푸집내로 타설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하나의 거푸집에 타설작업이 완료되면 모든 콘크리트 이송관을 탈거하고 콘크리트 이송관내의 잔량 콘크리트를 모두 수거하고 청소한 후 재차 타설하고자 하는 강재거푸집에 콘크리트 이송관을 재설치작업하는 모든 과정을 삭제할 수 있어, 작업의 공기를 대폭적으로 줄일수 있는 매우 효과적 장점을 기대할 수 있으며, 또한 이에 따른 콘크리트 잔량의 페기량(리바운드률)을 상당하게 줄일수 있게 되어 콘크리트의 원재료의 대폭적 절감을 이룰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하고, 경제적인 장점을 기대할 수 있고, 콘크리트 타설작업의 불필요한 공정등을 삭제하게 되어 작업을 매우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콘크리트 펌프카를 전자제어방법에 의해 제어되도록 하여 원거리 제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레미콘 차량등이 위치하기 어려운 장소에도 충분하게 콘크리트 타설작업이 가능하도록 하여 생산성을 현저하게 상승시킬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7)

  1. 터널 굴착시공후 콘크리트 펌프카(200)에 의해 터널내부에 소정길이로 형성되는 다수의 강재거푸집(110)을 설치하고 순차적으로 강재거푸집(11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것에 있어서,
    호퍼(210) 일측부로부터 연결되는 콘크리트 압송관(230)을 콘크리트 펌프카(200) 일측면을 따라 후방까지 연설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콘크리트 압송관(230) 단부측에 수직방으로 연결되는 연결관(231)과, 상기 연결관(231) 단부에 좌우 회동가능하도록 하는 회동수단(250)을 구비하고, 상기 회동수단(250)에 취부되어 상하 소정각도 회동되어지는 붐(boom)(240)을 연결하여서 되는 구륜방식을 자주식으로 하는 콘크리트 펌프카(200)와,
    상기 콘크리트 펌프카(200)의 붐(240) 단부로부터 일자형으로 직선상 소정길이 콘크리트이송관(220)을 순차적으로 연관 연설하여 각각의 강재거푸집(110; 130,140,150) 상단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타설공(111) 위치까지 고정 위치되도록 한후 각각의 강재거푸집(110; 130,140,150) 타설공(111)측으로 연결수단(260)에 의해 상기 타설공(111)에 콘크리트 이송관, 호스(224)등이 삽입연설되어 콘크리트를 타설하도록 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는 터널용 강재거푸집 콘크리트 타설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강재거푸집(110 ;130,140,150)의 타설공(111) 위치까지 콘크리트이송관(220; 221,222,223)을 연결수단(260)을 제1,2콘크리트이송관(221)(222)을 강재거푸집(110) 상단 하단부에 밴딩수단 (270)등을 이용하여 연관연설 한 후 상기 연결수단(260)으로부터 소정길이의 콘크리트이송관이나 호스(224)등을 타설공(111)까지 연관연통시키도록 하고, 최후단 강재거푸집(제3강재거푸집)(150)의 타설공(111)까지 제3콘크리트이송관(223)을 배관한 후 그 단부에 엘보우(262)등의 연결수단(260)에서 상기 호스(224)등을 이용하여 타설공(111)까지 연관연통되도록 하여, 콘크리트 펌프카(200)로부터 공급되는 콘크리트가 최후단 강재거푸집(제3강재거푸집)(150)으로부터 최전단강재거푸집(제1강재거푸집)(130)으로 순차적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타설완료되는 강재거푸집(110; 130,140,150)의 연결수단(260)과 각각의 콘크리트이송관(220; 221,222,223)을 순차적으로 탈거하여 콘크리트가 타설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용 강재거푸집 타설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260)을 'T'자형이음관(261)으로 하여 콘크리트를 분할된 강재거푸집(110; 130,140,150)에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타설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용 강재거푸집 타설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펌프카(200)의 구동과 붐(240) 및 회동수단(250)의 작동은 전자제어에 의해 원거리 작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용 강재거푸집 타설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250)은 턴테이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용 강재거푸집 타설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250)은 링기어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용 강재거푸집 타설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250)은 유성기어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용 강재거푸집 타설장치.
KR2020000010907U 2000-04-18 2000-04-18 터널용 강재거푸집 콘크리트 타설장치 KR2002023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0907U KR200202341Y1 (ko) 2000-04-18 2000-04-18 터널용 강재거푸집 콘크리트 타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0907U KR200202341Y1 (ko) 2000-04-18 2000-04-18 터널용 강재거푸집 콘크리트 타설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1284A Division KR100380286B1 (ko) 2000-04-21 2000-04-21 터널용 강재거푸집 콘크리트 타설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2341Y1 true KR200202341Y1 (ko) 2000-11-15

Family

ID=19652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0907U KR200202341Y1 (ko) 2000-04-18 2000-04-18 터널용 강재거푸집 콘크리트 타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2341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845B1 (ko) * 2006-06-16 2007-05-04 차창영 터널 라이닝을 위한 펌프카의 콘크리트 분배장치
KR100920360B1 (ko) 2007-12-21 2009-10-07 성보건설 주식회사 터널의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
KR101022505B1 (ko) 2008-09-19 2011-03-16 코오롱건설주식회사 터널 천단부의 라이닝콘크리트 배면 공극 채움 방법
KR101832316B1 (ko) * 2016-05-09 2018-02-26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중터널의 시공장치 및 그 공법
CN108756907A (zh) * 2018-08-09 2018-11-06 北京崇建工程有限公司 一种隧道支顶盾构喷浆设备
KR20210150319A (ko) * 2020-01-20 2021-12-10 정하익 자재, 재료, 장비, 장치, 드론, 수단, 시설, 건물, 구조물 및 공사, 건설, 건축, 시공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845B1 (ko) * 2006-06-16 2007-05-04 차창영 터널 라이닝을 위한 펌프카의 콘크리트 분배장치
KR100920360B1 (ko) 2007-12-21 2009-10-07 성보건설 주식회사 터널의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
KR101022505B1 (ko) 2008-09-19 2011-03-16 코오롱건설주식회사 터널 천단부의 라이닝콘크리트 배면 공극 채움 방법
KR101832316B1 (ko) * 2016-05-09 2018-02-26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중터널의 시공장치 및 그 공법
CN108756907A (zh) * 2018-08-09 2018-11-06 北京崇建工程有限公司 一种隧道支顶盾构喷浆设备
CN108756907B (zh) * 2018-08-09 2024-01-30 北京崇建工程有限公司 一种隧道支顶盾构喷浆设备
KR20210150319A (ko) * 2020-01-20 2021-12-10 정하익 자재, 재료, 장비, 장치, 드론, 수단, 시설, 건물, 구조물 및 공사, 건설, 건축, 시공 방법
KR20230064598A (ko) * 2020-01-20 2023-05-10 주식회사 한국산업기술원 장치, 장비, 시설, 수단, 드론, 자재, 재료, 기초, 건물, 구조물 및 제조, 공사, 건설, 건축, 정화, 청정, 청소, 세척 방법
KR102594860B1 (ko) 2020-01-20 2023-10-27 주식회사 한국산업기술원 자재, 재료, 장비, 장치, 드론, 수단, 시설, 건물, 구조물 및 공사, 건설, 건축, 시공 방법
KR102615079B1 (ko) 2020-01-20 2023-12-19 주식회사 한국산업기술원 장치, 장비, 시설, 수단, 드론, 자재, 재료, 기초, 건물, 구조물 및 제조, 공사, 건설, 건축, 정화, 청정, 청소, 세척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05630B (zh) 全液压履带式自行栈桥及施工方法
CN104533456B (zh) 一种超大断面硐室钢筋混凝土模筑施工的方法
CN105134253B (zh) 隧道仰拱组合整体模板及浇筑施工方法
CN107059917B (zh) 一种拆分构件预制式综合管廊及其施工方法
CN208831012U (zh) 二衬混凝土浇筑设备
EP3112585B1 (en) A tunneling machinery and a method of providing a concrete tunnel base
JP2020023797A (ja) トンネル覆工コンクリートの天端部打設方法
KR200202341Y1 (ko) 터널용 강재거푸집 콘크리트 타설장치
CN112610240A (zh) 一种山岭隧道二次衬砌施工工艺
KR100380286B1 (ko) 터널용 강재거푸집 콘크리트 타설장치
CN108952731B (zh) 一种隧道的施工方法
CN114876515A (zh) 一种快速浇筑隧道的二衬台车
CN105625201A (zh) 一种采用充气内模和自密实混凝土加固涵洞的方法
CN113062753A (zh) 一种用于高速公路隧道整体衬砌台车的沟槽衬砌成型装置
JPH0340800B2 (ko)
CN216551505U (zh) 一种用于机场场道道面施工的加固装置
CN111734445B (zh) 一种隧道二衬混凝土左右同步逐窗灌注系统及其灌注方法
CN113846822A (zh) 一种基于建筑施工网喷墙面抹平装置
CN213805774U (zh) 混凝土罐车清洗系统
KR102171437B1 (ko) 터널 구조물내 보도판블록의 시공공법
JP2618738B2 (ja) トンネル覆工用型枠装置
RU2346123C1 (ru) Способ бетонирования на пневмоопалубке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2105956B1 (ko) 터널 천정부 라이닝 콘크리트의 진동다짐장치 및 이를 이용한 터널 라이닝 콘크리트용 거푸집 장치
JP3936923B2 (ja) 老朽埋設管の更新工法
KR20000012377A (ko) 폼크리트 타설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1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