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0360B1 - 터널의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 - Google Patents

터널의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0360B1
KR100920360B1 KR1020070135035A KR20070135035A KR100920360B1 KR 100920360 B1 KR100920360 B1 KR 100920360B1 KR 1020070135035 A KR1020070135035 A KR 1020070135035A KR 20070135035 A KR20070135035 A KR 20070135035A KR 100920360 B1 KR100920360 B1 KR 100920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tunnel
drainage
vertical portion
drainage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5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7390A (ko
Inventor
오상봉
Original Assignee
성보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보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보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5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0360B1/ko
Publication of KR20090067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7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0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0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6/00Drainage
    • E21F16/02Drainage of tun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2Workplatforms, railings; Arrangements for pouring concrete, attached to the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의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터널 내부의 양측 하부에 구비되는 배수구 측의 콘크리트 타설작업 시에 이동대차와 유압실린더를 매개로 결합된 특정 형상의 거푸집을 이용함에 따라 그 시공작업이 매우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터널의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터널의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은, 터널 내부의 하단 양측부분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배수구 측의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 구비되되, 일정 길이를 갖는 판형의 부재가 계단 형상을 갖도록 절곡 형성되어, 상단에서 하단을 향해 제 1수평부와 제 1수직부와 제 2수평부 및 제 2수직부를 갖는 몸체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에는 상기 터널 내부에서 레일을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되는 이동대차의 수직부재에 일측이 결합된 유압실린더의 타측이 결합되어, 상기 이동대차의 주행 시에 연동하여 이동되도록 구성된 터널의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은 10미터[m]의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유압실린더는 상기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의 제 1수직부 및 제 2수직부의 양단부와 가운데 부분에 각각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터널, 배수구, 거푸집, 이동대차, 유압실린더, 콘크리트 타설, 공동구

Description

터널의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FORM FOR TUNNEL DRAINAGE CONSTRUCTION}
본 발명은 터널의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널 내부의 양측 하부에 구비되는 배수구 측의 콘크리트 타설 시에 일체형 구조를 갖는 특정 형상의 거푸집을 설치한 후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서 그 작업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터널의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화의 발달에 따라 도로 및 철도 건설 등의 목적으로 터널의 굴착이 불가피한 실정인데, 특히, 철도나 자동차 도로 등의 건설을 위한 터널의 굴착 시에는 그 굴착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굴착면을 마감처리하여 보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터널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데 있어서는 대략 10미터 정도의 구간을 갖고 거푸집을 전진 이동시키면서 연속적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터널 내부에 거푸집이 설치된 후 콘크리트 타설작업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터널 내부의 콘크리트 타설 지 점에는 상기 터널의 내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거푸집(11)이 다수 개 구비되어 부착되는 한편, 상기 터널의 내부에는 한 쌍의 수직부재(12)와 그 상단부에 설치되는 수평부재 및 상기 수직부재(12)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롤러(1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터널 바닥면의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대차(1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거푸집(11)에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다수 개의 유압실린더(14)의 일단부가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유압실린더(14)의 타단부는 이동대차(10)의 수직부재(12) 및 수평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대차(10)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거푸집(11)도 일체로 이동되면서 콘크리트 타설작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터널 내부의 콘크리트 타설작업이 이루어지는데 있어서, 상기 터널의 양측 하단부분에는 길이방향으로 배수구가 형성됨에 따라, 특정 구조의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진 종래의 거푸집을 매개로는 터널 배수구 측의 콘크리트 타설작업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터널 양측 하단부분의 배수구 부분에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행할 시에는 작업자가 그 형상에 맞춰 수작업을 통해 거푸집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행하게 되므로,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하게 됨과 아울러 그 작업효율성도 매우 낮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터널 내부의 양측 하부에 구비되는 배수구 측의 콘크리트 타설작업 시에 이동대차와 유압실린더를 매개로 결합된 특정 형상의 거푸집을 이용함에 따라 그 시공작업이 매우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터널의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터널의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은, 터널 내부의 하단 양측부분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배수구 측의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 구비되되, 일정 길이를 갖는 판형의 부재가 계단 형상을 갖도록 절곡 형성되어, 상단에서 하단을 향해 제 1수평부와 제 1수직부와 제 2수평부 및 제 2수직부를 갖는 몸체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에는 상기 터널 내부에서 레일을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되는 이동대차의 수직부재에 일측이 결합된 유압실린더의 타측이 결합되어, 상기 이동대차의 주행 시에 연동하여 이동되도록 구성된 터널의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은 10미터[m]의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유압실린더는 상기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의 제 1수직부 및 제 2수직부의 양단부와 가운데 부분에 각각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의 제 1수직부 및 제 2수직부에 각각 일단부가 결합되는 한 쌍의 유압실린더 타단부는 상기 수직부재에 유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막대형상의 연결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재를 매개로 상기 수직부재와 일체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바람직하게, 상기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의 제 1수평부와 제 1수직부가 상호 맞닿는 지점 및, 제 2수평부와 제 2수직부가 상호 맞닿는 지점에는 콘크리트 타설 후 공동구 및 그 커버의 일측부분이 안착되도록 하기 위한 요입부가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터널 내부의 양측 하부에 구비되는 배수구 측의 콘크리트 타설 시에 이동대차와 유압실린더를 매개로 결합된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을 통해 매우 효율적으로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이에 따라 수작업을 통해 거푸집을 설치하는데 따른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과 아울러 그 작업시간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의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의 A부분 확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의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을 통해 터널의 배수구가 시공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터널의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은, 터널(100) 내부의 하단 양측부분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배수구 측에 특정 구조를 갖는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30)을 설치하여 콘크리트 타설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거푸집은 터널 내벽의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위해 구비되는 공지의 이동대차(10)와 유압실린더(14)를 매개로 결합시킴에 따라 구현된다.
즉, 상기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30)은 콘크리트 타설을 통해 배수구 주위를 특정 구조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일정 강도를 갖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10미터[m] 내외의 길이를 갖는 판형의 부재가 대략 계단 형상을 이루도록 절곡 형성됨에 따라 구성된다.
이에 따라, 일정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진 상기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30)은 그 상단부에 제 1수평부(32)가 형성되고, 상기 제 1수평부(32)와 직각을 이루도록 제 1수직부(34)가 하측을 향해 연장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 1수직부(34)의 하단에는 제 2수평부(36)가 직각을 이루도록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 2수평부(36)에는 제 2수직부(38)가 하측을 향해 직각으로 연장 형성되어 그 전체 몸체가 대략 계단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30)의 제 1수평부(32)와 제 1수직부(34)가 상호 맞닿는 지점 및, 제 2수평부(36)와 제 2수직부(38)가 상호 맞닿는 지점에는 상기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30)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요입부(40a,40b)가 구성되 는데, 상기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30)에서 상호 직각을 이루는 제 1수직부(32) 및 제 제 2수평부(34)를 통해 형성되는 콘크리트(200) 타설지점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공동구(50)가 맞닿은 상태로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 2수평부(36)와 제 2수직부(38)의 맞닿는 지점에 형성된 요입부(40b)를 통해 형성되는 콘크리트(200)의 요입 부분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공동구(50)의 하단부 일측이 안착 설치되는 한편, 상기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30)의 제 1수평부(32)와 제 1수직부(34)가 맞닿는 지점에 형성된 요입부(40a)를 통해 형성되는 콘크리트(200)의 요입 부분에는 상기 공동구(50)의 상측에 덧씌워지는 공동구 커버(52)의 일측이 안착 설치되게 된다.
한편, 상기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30)은 터널(100) 내부의 콘크리트(200) 타설작업을 위해 구비되는 이동대차(10)와 유압실린더(14)를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이동대차의(10) 주행에 따라 연동하여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이동대차(10)는 공지된 바와 같이, 일정 길이를 갖는 판형태로 이루어진 한 쌍의 수직부재(12)가 일정 간격을 갖도록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12)의 상단부 측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판형태로 이루어진 수평부재(16)가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12) 하단부에는 다수 개의 로울러(13)가 설치되어, 상기 터널(100) 내부의 바닥면에 설치된 레일(20)을 따라 선택적으로 전.후진 하면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12)에는 선택적으로 그 길이조절이 가능한 유압실린더(14)의 일측이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유압실린더(14)의 타측은 터널(100) 의 상기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30)에 힌지(44)를 매개로 회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게 된다.
여기에서, 한 개의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30)에 결합되는 유압실린더(14)는 여섯 개가 구비되어 대략 10미터[m] 정도의 길이를 갖는 상기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30)의 제 1수직부(34)와 제 2수직부(38)의 양단부 및 가운데 부분에 각각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30)의 제 1수직부(34) 및 제 2수직부(38)에 각각 일단부가 결합되는 한 쌍씩의 유압실린더(14) 타단부는 상기 수직부재(12)에 유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막대형상의 연결부재(60)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재(60)를 매개로 상기 이동대차(10)의 수직부재(12)와 일체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30)의 제 1수직부(34)와 제 2수직부(38)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재(60)에 타단부가 결합되는 상기 유압실린더(14)는 결합부재(42) 및 힌지(44)를 매개로 회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이동대차(10)의 주행에 따라 일체로 이동됨과 아울러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30)의 용이한 설치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직부재(12) 일단부가 결합되는 대략 막대형상을 갖는 금속재질의 연결부재(60)도 결합부재(42) 및 힌지(44)를 매개로 유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수직부재(12)에 결합되게 됨은 물론이다.
즉, 상기 유압실린더(14)의 일단 또는 타단이 결합되는 배구수 공사용 거푸 집(30) 및 이동대차(10)에 연결되는 연결부재(60)의 각 지점에는 결합홀이 천공된 한 쌍의 결합부재(42)가 고정 설치된 후,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42)에 상기 유압실린더(14)의 일단 또는 타단이 각각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유압실린더(14)의 단부를 관통하는 힌지(44)가 결합부재(42)의 결합홀에 설치됨에 따라 상기 유압실린더(14)는 유동 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30)과 이동대차(11)를 상호 그 간격의 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연결하게 되는 것이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터널의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을 통하여, 터널(100)의 양측 하단에 구비되는 배수구 측에 콘크리트(200) 타설작업을 행하는데 있어서는, 다수 개의 유압실린더(14)를 매개로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30)이 연결된 이동대차(10)를 콘크리트(200)의 타설작업을 행하기 위한 해당 구간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각각의 유압실린더(14)의 길이를 조절하면서 상기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30)이 상기 터널(100)의 해당 배수구 구간 대응지점에 고정 설치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수평부(32)와 제 1수직부(34)와 제 2수평부(36) 및 제 2수직부(3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30)은 터널(100) 양측 하단의 배수구 형성지점과 대응되게 위치하게 되며, 이때 상기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30)의 제 2수직부(38) 하단부는 터널(100)의 바닥면에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터널(100)의 배수구 형성지점에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30)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터널(100)의 양단부 하측 내벽과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30) 사이에 개방된 틈을 통해 콘크리트(200)를 투입함에 따라 콘크리트 타설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배구수 공사용 거푸집(30) 내면과 터널의 양단부 내벽 사이에는 그 상측으로부터 투입되는 콘크리트(200)가 낙하되면서 상기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3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콘크리트(200) 타설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해당 구간의 콘크리트 타설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유압실린더(14)를 매개로 경화된 콘크리트(200)로부터 각각의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30)을 분리하고, 터널(100)의 바닥면에 구비된 레일(20)을 따라 이동대차(10)를 다음 구간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30)을 재설치하여 다음 구간의 콘크리트(200) 타설작업을 연속적으로 행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또, 상기 터널(100)의 양단 하측에 구비된 배수구 형성지점의 콘크리트 타설작업이 완료되고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30)이 제거된 후에는, 상기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30)의 제 1수직부(34) 및 제 2수평부(36) 대응지점의 길이방향을 따라서는 그 하면 및 일측면이 맞닿은 상태로 공동구(50)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30)의 제 1수평부(32)와 제 1수직부(34)가 맞닿는 지점에 형성된 요입부(40a) 대응지점의 길이방향을 따라서는 상기 공동구(50)의 상측에 덧씌워지는 공동구 커버(52)의 일단부가 안착 설치됨에 따라 터널(100)의 배수구를 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기재된 내용과 다른 변형된 실시예들이 돌출 된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터널 내부에 거푸집이 설치된 후 콘크리트 타설작업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의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의 A부분 확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의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을 통해 터널의 배수구가 시공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이동대차, 12: 수직부재, 13: 롤러, 14: 유압실린더,
20: 레일, 30: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
32: 제 1수평부, 34: 제 1수직부,
36: 제 2수평부, 38: 제2수직부,
40a,40b: 요입부, 42: 결합부재,
44: 힌지, 50: 공동구,
60: 연결부재, 52: 공동구 커버,
100: 터널, 200: 콘크리트.

Claims (4)

  1. 삭제
  2. 터널 내부의 하단 양측부분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배수구 측의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 구비되되, 일정 길이를 갖는 판형의 부재가 계단 형상을 갖도록 절곡 형성되어, 상단에서 하단을 향해 제 1수평부와 제 1수직부와 제 2수평부 및 제 2수직부를 갖는 몸체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에는 상기 터널 내부에서 레일을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되는 이동대차의 수직부재에 일측이 결합된 유압실린더의 타측이 결합되어, 상기 이동대차의 주행 시에 연동하여 이동되도록 구성된 터널의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은 10미터[m]의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유압실린더는 상기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의 제 1수직부 및 제 2수직부의 양단부와 가운데 부분에 각각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의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의 제 1수직부 및 제 2수직부에 각각 일단부가 결합되는 한 쌍의 유압실린더 타단부는 상기 수직부재에 유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막대형상의 연결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재를 매개로 상기 수직부재와 일체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의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의 제 1수평부와 제 1수직부가 상호 맞닿는 지점 및, 제 2수평부와 제 2수직부가 상호 맞닿는 지점에는 콘크리트 타설 후 공동구 및 그 커버의 일측부분이 안착되도록 하기 위한 요입부가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의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
KR1020070135035A 2007-12-21 2007-12-21 터널의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 KR100920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5035A KR100920360B1 (ko) 2007-12-21 2007-12-21 터널의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5035A KR100920360B1 (ko) 2007-12-21 2007-12-21 터널의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7390A KR20090067390A (ko) 2009-06-25
KR100920360B1 true KR100920360B1 (ko) 2009-10-07

Family

ID=40995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5035A KR100920360B1 (ko) 2007-12-21 2007-12-21 터널의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03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595B1 (ko) * 2017-10-17 2018-06-14 남용학 터널의 공동구 시공 장치
CN108316349A (zh) * 2018-03-23 2018-07-24 贵州中昇东浩科技有限公司 一种管廊现浇模具自动移动装置
CN108374677B (zh) * 2018-04-16 2024-03-22 中交一公局集团有限公司 一种隧道边沟和桥梁护栏混凝施工的组合机械台车装置
CN113585340B (zh) * 2021-08-27 2022-08-09 河南四建工程有限公司 一种管廊建筑施工系统及其施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1945A (ko) * 1998-08-06 1998-11-25 정희정 터널 공사용 확장식 거푸집.
KR20000046739A (ko) * 1998-12-31 2000-07-25 허승조 자립식 터널거푸집의 설치방법
KR200202341Y1 (ko) 2000-04-18 2000-11-15 김윤도 터널용 강재거푸집 콘크리트 타설장치
KR100390303B1 (en) 2003-02-11 2003-07-04 Sang Il Kim Form for constructing central wall of tunnel and movable construction method thereb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1945A (ko) * 1998-08-06 1998-11-25 정희정 터널 공사용 확장식 거푸집.
KR20000046739A (ko) * 1998-12-31 2000-07-25 허승조 자립식 터널거푸집의 설치방법
KR200202341Y1 (ko) 2000-04-18 2000-11-15 김윤도 터널용 강재거푸집 콘크리트 타설장치
KR100390303B1 (en) 2003-02-11 2003-07-04 Sang Il Kim Form for constructing central wall of tunnel and movable construction method thereb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7390A (ko) 200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89253B (zh) 一种用于涵洞浇筑的全液压模板系统
CN105386778B (zh) 隧道暗挖衬砌施工台车及隧道暗挖衬砌施工方法
CN101761092B (zh) 大跨度深基坑可移动整体大模板侧墙施工方法
CN110318776B (zh) 基于仰拱与仰拱填充层替代钢混组合结构的隧道施工方法
CN101302739B (zh) 一种预应力砼箱梁液压内模车及液压内模系统
CN107905114B (zh) 一种特大跨径连续刚构拱桥的施工方法
KR100920360B1 (ko) 터널의 배수구 공사용 거푸집
CN102660925B (zh) 一种变幅宽曲线桥移动模架
CN109610509A (zh) 一种综合管廊自控断面的可调模架系统和施工方法
KR20130106199A (ko) 복공판 하부의 터널시공용 강재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터널시공 방법
CN205936645U (zh) 一种用于涵洞浇筑的全液压模板系统
CN208563380U (zh) 一种自行式综合管廊模板装置
CN209129665U (zh) 一种高速铁路隧道的开口式中心排水结构
KR101082418B1 (ko) 교량용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 장치
CN109667597A (zh) 隧道帽檐式洞门砌筑方法
KR20100013429A (ko) 교량용 콘크리트 거더 성형을 위한 거푸집 장치
KR100920534B1 (ko) 환기통로가 있는 아치형 터널의 시공방법 및 그 성형장치
CN209603182U (zh) 一种综合管廊自控断面的可调模架系统
CN107100648B (zh) 隧道素混凝土衬砌施工用辅助设施及方法
CN102628278B (zh) U管墩型城市地下铁路
CN210317326U (zh) 隧道仰拱与仰拱填充层替代钢混组合结构
CN209011843U (zh) 一种用于隧道二次砌衬施工的锚段台车
CN210105880U (zh) 一种交替式液压升降模板水沟电缆槽台车装置
CN210256628U (zh) 一种用于混凝土预制的自适应外模系统
CN208267865U (zh) 一种顶模台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