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1864Y1 - 스크린 투사 영상 박스 - Google Patents

스크린 투사 영상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1864Y1
KR200201864Y1 KR2020000014746U KR20000014746U KR200201864Y1 KR 200201864 Y1 KR200201864 Y1 KR 200201864Y1 KR 2020000014746 U KR2020000014746 U KR 2020000014746U KR 20000014746 U KR20000014746 U KR 20000014746U KR 200201864 Y1 KR200201864 Y1 KR 2002018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projector
reflector
distance
screen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47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해용
Original Assignee
최해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해용 filed Critical 최해용
Priority to KR20200000147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18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18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18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직 케이스 내부 하단에, 프로젝터를, 상단에 2 - 30GAIN의 스크린을 구성하고 프로젝터와 스크린 사이에 사각(斜角)으로 반사경을 구성 하여 시청 거리를 수직 방향으로 구성하므로서 최소 점유 면적에서 선명영상 관측이 가능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크린 투사 영상 박스{SCREEN PROJECTION MOVIE BOX}
본 고안은, 비디오방이나 PC방에서 효율적으로 사용 할 수 있는 스크린 영상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밝기 2 - 30게인(GAIN)의 스크린이 수직 투사 구조로 구성. 짧은 위치에서 선명한 영상 감상이 가능하고 최소의 점유이 가능한 스크린 투사 영상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비디오방이나 PC방에서 영상을 스크린에 투사 할 경우는 화면 크기만큼 비례하여 원거리에서 프로젝터를 투사해야 하므로 많은 면적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선명한 영상을 감상하기 위해서는 스크린에서 적정 이상 거리를 떨어져 감상해야 한다.
반면에 비디오방이나 PC방과 같은 영업장소는 수익성 경제성 등의 이유로 적은 면적에 많은 시설을 해야 하므로 기기 자체의 설치 점유면적이 과다 할 경우는 실용성이 매우 적어진다
본 고안은 이를 감안하여 최소의 점유 면적에서 투사 거리와 적정 시청 거리를 확보하여 최소의 면적에서 선명한 영상을 얻기 위할 목적으로 고안한 것인 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프로젝터(5)를 하부에서 상부로 투사하고 상부에 스크린(2)을 구성 한 다음 프로젝터(5)와 스크린(2)사이에 관측 반사경(3)을 구성하되 스크린(2)의 구성을 2 - 30게인의 고휘도 스크린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 도면에 의거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보고안이 실시된 외형도
도 2 는 보고안의 구성 설명도
도 3 은 보고안의 시야 거리 효과 설명도
도 4 는 보고안의 투사 거리 단축 효과 설명도
도 5 는 보고안의 응용 실시의 예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문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수직 케이스 2. 스크린 3. 관측 반사경 4. 반사경 5. 프로젝터
6. 스피커 7. 관측자
도 1 은 본 고안의 개략 사시도 이고 도 2 는 개략 단면 구조 설명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고안의 기능, 작용 설명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수직 케이스(1) 하부에 프로젝터(5)를 설치하고 그 전단에 투사 방향을 상향 굴절하기 위한 반사경(4)을 설치하고 수직 케이스(1) 최상단 부문에 스크린(2)을 설치하고 프로젝터(5)와 스크린(2) 사이 수직 케이스(1) 중단에 관측 반사경(3)을 구성한다.
상기 관측 반사경(3)은 관측자 위치에서 적정한 반사각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하 조정이 가능하게 구성한다.
프로젝터(5)는 액정 프로젝터나 브라운관 영상 투사 장치 또는 3건 타입 프로젝터 등을 모두 동일하게 사용 할 수 있다.
스크린(2)은 2 - 30게인 사이의 공지된 지향성 스크린을 사용하는 바 스크린의 밝기 지수 게인(GAIN = 반사율)는 공지되어 있다.
일반 스크린은 1게인 미만이다.
스크린(2)을 2게인 이상 사용시는 일반 스크린에 비해 밝기를 2배 이상 증가시킨다.
30게인 이상 사용시는 밝기와 시야각이 반비례하여 시야각이 협소하여 지므로 실용성이 저감 되는 사실은 공지 되어 있다.
프로젝터(5)를 스크린(2) 방향으로 수직 설치 할 시는 반사경(4) 구조를 삭제할 수 있다.
또한 도 5와 같이 보고안의 구조를 별도의 감상용 박스(8)내에 설치 구성하여 음향 차단을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한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하부 프로젝터(5)의 광원은 반사경(4)에서 스크린(2)으로 투사되고 스크린(2)에 결상된 영상은 관측 반사경(3)에 의해 반사되며 관측자에게로 관측하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도 3과 같이 관측 반사경(3)에 의해 수직으로 상단에 설치한 스크린(2) 영상을 관측하게 되므로 스크린(2)과 관측자(7)간의 관측거리 E를 D 로 줄일 수 있으므로 최소 면적에서 선명 영상 관측이 가능하게 된다.
도 4 의 가도같이 투사 거리에 있어서 프로젝터(5)의 영상은 반사경(4)과의 간격인 B와 스크린(2)까지의 투사 거리인 C를 도4의 가도와 같이 F 간격으로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스크린(2)의 구성은 밝기 2 - 30게인의 공지된 지향성 스크린으로 구성밝기를 제고한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은 수직으로 투사 거리와 관측 거리를 실현하므로 최소점유면적에서 최대 시청거리를 시현 밝고 선명한 스크린 화면을 관측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스크린 투사 영상 박스 구조에 있어서
    수직 케이스(1) 하부에는 프로젝터(5)를 수직 케이스(1) 상부에는 스크린(2)을 구성하되 상기 프로젝터(5)와 스크린(2) 사이에 사각(斜角)으로 관측 반사경(3)을 구성하여 프로젝터(5)의 투사 거리와 스크린(2)의 시청 거리를 수직 방향으로 구성 하여, 최소 면적에서 선명 영상 시청이 가능하게 끔 구성한 것이 특징인 스크린 투사 영상 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스크린의 밝기를 2-30게인의 스크린(2)으로 구성 한 것이 특징인 스크린 투사 영상 박스
KR2020000014746U 2000-05-22 2000-05-22 스크린 투사 영상 박스 KR2002018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4746U KR200201864Y1 (ko) 2000-05-22 2000-05-22 스크린 투사 영상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4746U KR200201864Y1 (ko) 2000-05-22 2000-05-22 스크린 투사 영상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1864Y1 true KR200201864Y1 (ko) 2000-11-01

Family

ID=19657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4746U KR200201864Y1 (ko) 2000-05-22 2000-05-22 스크린 투사 영상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186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4139B1 (ko) 3차원 영상 표시방법 및 장치
US6644816B1 (en) Display device having a cylindrical projection surface such that an image projected onto the inside is visible on the outside
EP1134610A3 (en) Projection system with plural projectors
US20020126378A1 (en) Front projection type screen
KR200201864Y1 (ko) 스크린 투사 영상 박스
JP2003177466A (ja) 広視野高輝度映像システム
KR20110065627A (ko) 멀티비전의 스크린 장치
JP2003005275A (ja) リアプロジェクションテレビ
CN100545735C (zh) 投影机及其积分柱
US11677915B2 (en) Image display device
JP2008026894A (ja) テーブル型大型映像装置
US5179399A (en) Theatre in the round projec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0668190B1 (ko) 보정된 수직 시야각을 가지는 프로젝션 스크린
JPH1138510A (ja) プロジェクタースクリーン
KR200273340Y1 (ko) 반사스크린 영상박스의 구조
KR200248987Y1 (ko) 박스형 영상장치
KR200395929Y1 (ko) 프로젝터를 이용한 무대스크린장치
JPH04362622A (ja) 背面型4面マルチ液晶投射装置
JP2002107832A (ja) 投写型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JPWO2006129797A1 (ja) 背面投写型表示装置
JP2000056256A (ja) 凹面鏡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H06245175A (ja) ビデオプロジェクターシステム
KR200273111Y1 (ko) 광시야 고휘도 영상 시스템(廣視野 高輝度 映像係)
JPH03194531A (ja) 投射型表示用スクリーン
CN110967957A (zh) 全息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