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1063Y1 - 옹벽을 요하는 사면에 적층식 옹벽의 근접시공장치 - Google Patents

옹벽을 요하는 사면에 적층식 옹벽의 근접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1063Y1
KR200201063Y1 KR2020000013372U KR20000013372U KR200201063Y1 KR 200201063 Y1 KR200201063 Y1 KR 200201063Y1 KR 2020000013372 U KR2020000013372 U KR 2020000013372U KR 20000013372 U KR20000013372 U KR 20000013372U KR 200201063 Y1 KR200201063 Y1 KR 2002010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support member
slope
laminated
ret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33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준영
Original Assignee
지해산업주식회사
오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해산업주식회사, 오준영 filed Critical 지해산업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10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10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본 고안은 옹벽을 요하는 사면(절개지 단면, 가설옹벽, 노후옹벽 등)에 적층식 옹벽의 근접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옹벽시공시 적층되는 옹벽부재(100)의 틈에 물려 옹벽을 지지하는 옹벽지지부재(10)와, 상기 옹벽지지부재(10)를 걸어 고정시키는 지지부재 걸이구(20)와, 상기 지지부재 걸이구(20)를 체결하여 노후 벽체 또는 절개지 사면과 같이 옹벽이 요구되는 사면(200)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30)으로 이루어진 장치이다.

Description

옹벽을 요하는 사면에 적층식 옹벽의 근접시공장치{Nearing construction system of build type breast wall}
본 고안은 옹벽을 요하는 사면(절개지 단면, 가설옹벽, 노후옹벽 등)에 적층식 옹벽의 근접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옹벽을 요하는 사면에 옹벽부재를 근거리에서도 견고하게 지지 할 수 있는 수단과 이 수단에 의해 적층식 옹벽을 근접시공할 수 있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종래에 옹벽블럭, 옹벽 콘크리트판과 같은 옹벽부재로 옹벽을 구축하고 있는데 옹벽블럭쌓기의 경우는 매트, 지오그리드(mat, Geogrid)와 같은 보강재를 적층옹벽블럭의 틈새에 물려 후방으로 길게 늘어뜨린다음 그 위에 뒷채움재를 충진시켜 옹벽블럭이 유동되지 않게 지지하였고, 옹벽 콘크리트판 쌓기의 경우는 뒷면에 구비된 걸이구에 지지밴드를 걸어 후방으로 길게 늘어뜨린다음 그 끝단은 말뚝으로 고정시키고 그 위에 뒷채움재를 충진시켜 콘크리트판재가 유동되지 않게 지지하였다.
이와같은 적층식 옹벽의 구축상태는 뒷채움공간이 넓어 옹벽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길게 늘어뜨릴 수 있어야 하고 뒷채움재를 채워 토압이 커지는 경우에 시공이 가능하다.
그러나 옹벽을 요하는 사면의 시공여건이 취약하여 부득이 근접하여 적층식 옹벽을 구축할 때에는 옹벽부재의 특별한 지지수단이 없었으므로 종래에는 적층식 옹벽의 근접시공이 실시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종래에 옹벽을 요하는 사면에 근접하여 옹벽시공을 할 때에는 거푸집에 의한 철근 콘크리트 옹벽을 현장타설하였고, 이와 같이 시공되는 콘크리트 옹벽은 뒷채움재의 토압과 이에 스며드는 침투수의 가중압에 의한 붕괴가 우려됨으로 통상 지하암반까지 앵커공을 천공한 다음 PC강봉을 박고 시멘트 밀크를 주입하여 고정시킨 PC강봉의 지지력으로 콘크리트 옹벽이 지지되도록 보강하였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옹벽시공방법은 거푸집 설치, 철근 배근, 콘크리트 타설, 콘크리트 양생, 앵커공 천공, PC강봉 정착, PC강봉의 정착상태 점검, 콘크리트 옹벽과의 결착 등과 같은 많은 작업공정을 거쳐야 하므로 시공 공정이 복잡하고 많은 시간과 노동력, 경비 등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에서는 옹벽을 요하는 사면과 근접하여 적층식 옹벽을 시공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옹벽부재의 지지부재를 근거리에서 걸어주는 지지부재 걸이수단과이를 옹벽을 요하는 사면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진 장치를 개발하므로서 적층식 옹벽을 근접시공하는데 성공하였다.
도 1 은 본 고안의 예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시공상태 예시 측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다른 시공상태 예시 측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시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시공상태 예시 측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시공상태 예시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옹벽 지지부재
20 : 지지부재 걸이구 20A : 관체
30 : 걸이구 고정수단 30A : 앵커볼트 31A : 볼트부 32A : 너트
30B : 브라켓 31B : 걸고리 32B : 조절볼트
본고안 실시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옹벽시공시 적층되는 옹벽부재(100)의 틈에 물려 옹벽을 지지하는 옹벽지지부재(10)와, 상기 옹벽지지부재(10)를 걸어 고정시키는 지지부재 걸이구(20)와, 상기 지지부재 걸이구(20)를 체결하여 노후 벽체 또는 절개지 사면과 같이 옹벽이 요구되는 사면(200)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30)으로 이루어진 장치이다.
본고안 실시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10)는 옹벽부재(100)가 블럭인 때에는 매트 또는 지오그리드를 사용하며 옹벽부재(100)가 콘크리트 판체인 때에는 지지밴드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지지부재 걸이구(20)는 봉체 또는 관체(20A)를 사용할 수 있으며, 고정수단(30)으로 길이가 긴 앵커볼트(30A)를 사용하는 경우는 도 1, 도 2의 예시와 같이 앵커볼트(30A) 선단의 볼트부(31A)에 관체(20A) 양단의 걸이공(21A)을 직접 끼워준 후 너트(32A)를 채워 너트(32A)의 조임에 따라 지지부재 걸이구(20)인 관체(20A)가 후퇴하면서 이에 걸린 지지부재(10)를 긴장시킬 수 있게 하고, 고정수단(30)으로 브라켓(30B)을 이용한 경우는 도 4, 도 5의 예시와 같이 그 브라켓(30B)의 걸고리(31B)에 관체(20A)를 끼워 걸거나, 그 걸고리(31B) 선단에 조절볼트(32B)를 나착하여 조임시 조절볼트(32B) 선단이 관체(20A)를 후방으로 밀어 이동할 수 있게 하므로서 관체(20A)에 걸린 지지부재(10)가 당겨져 긴장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옹벽의 시공방법은 옹벽설치를 요하는 사면(절개지 단면, 노후옹벽, 가설옹벽 등)에 옹벽지지부재의 걸이구 설치를 위한 고정수단을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고정수단에 옹벽지지부재 걸이를 위한 지지부재 걸이구를 설치하는 공정과, 적층식 옹벽부재를 적층하되 일정 높이마다 옹벽부재의 틈새에 옹벽지지부재 일단을 물려 고정시키고, 타단은 옹벽지지부재에 걸어준 다음 그 상부에 일정높이로 적층되는 옹벽부재의 틈새에 긴장되게 당겨 물려주는 옹벽지지부재 설치공정과, 상기 지지부재 설치 후 뒷채움재를 채우는 공정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옹벽설치를 요하는 사면(200)에 앵커볼트(30A) 또는 브라켓(30B)과 같은 고정수단(30)을 고정 설치하며, 그 설치상태는 옹벽부재(100)의 크기와 옹벽지지부재(10)의 설치 간격에 따라 다수 설치한다.
상기 고정수단(30)에는 봉체 또는 관체로 되어 옹벽 지지부재를 걸어주는 지지부재 걸이구(20)를 설치한다.
이 때 고정수단 (30)이 앵커볼트(30A)인 경우는 그 선단 볼트부(31A)에 지지부재 걸이구(20)인 관체(20A) 양측의 걸이공(21A)을 끼워 준 후 너트(32A)를 채워주며, 고정수단(30)이 브라켓(30B)인 경우는 그 선단의 걸고리(31B)에 관체(20A)를 끼워 걸어준다.
이상과 같이 지지부재 걸이구(20)의 설치가 끝나면 그 전방의 옹벽설치 기초(400)위에 옹벽부재(100)들을 적층하면서 적정간격(약 2장 내지 4장)만큼씩 옹벽지지부재(10)일단을 적층되는 옹벽부재(100)의 틈새에 물려 준 다음 그 중간부를 지지부재 걸이구(20)에 걸어주고 그 타단은 다음에 계속하여 적층되는 상층 옹벽부재(100)의 틈새에 물려준다.
이때 옹벽지지부재(10)가 느슨한 경우는 앵커볼트(30A)의 너트(32A)를 조이거나 브라켓(30B)의 조절볼트(32B)를 조여 지지부재 걸이구(20)인 관체(20A)를 후퇴시켜 옹벽지지부재(10)가 팽팽하게 긴장되도록 하여 옹벽부재(100)를 지지하게 한 후 뒷채움재(300)를 채워준다. 이상과 같이 옹벽부재(100)들을 적정간격으로 적층하면서 옹벽지지부재(10)를 틈새에 물려 주면서 지지부재 걸이구(20)에 걸어준 후 뒷채움재(400)를 채워주는 공정을 반복하여 옹벽 구축을 완성한다.
이와 같이 구축되는 옹벽은 고정수단(30)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부재 걸이구(20)에 지지부재(10)를 걸어주고, 그 지지부재(10)의 양단은 옹벽부재(100)의 적층틈에 물려 긴장되게 함으로서 옹벽부재(100)는 항상 지지부재(10)가 당기고 있는 상태이므로 옹벽의 지지력이 양호하고 따라서 적층식 옹벽을 견고하게 구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다른 효과로는 옹벽을 사면과의 근접거리에 시공할 수 있으므로 옹벽의 구축요건이 취약한 장소에도 시공이 가능하게 되고, 옹벽과 사면의 간격이 좁혀진 만큼 뒷채움재의 소요량이 대폭 절약됨으로 공기단축은 물론 경제적으로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적층되는 옹벽부재의 틈새에 물려 옹벽을 지지하는 옹벽의 지지부재(10)와, 상기 지지부재(10)을 걸어 지지하여 주는 지지부재 걸이구(20)와, 상기 지지부재 걸이구(20)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을 요하는 사면에 적층식 옹벽의 근접시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수단(30)으로 길이가 긴 앵커볼트(30A)를 사용시에는 그 선단이 볼트부(31A)에 지지부재 걸이구(20)인 관체(20A)를 끼운 다음 너트(32A)를 채워 조임시 관체(20A)를 이동시킬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을 요하는 사면에 적층식 옹벽의 근접시공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수단(30)으로 브라켓(30B)를 사용하는 경우는 상기 브라켓(30B)의 걸고리(31B)에 관체(20A)를 끼워 걸리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을 요하는 사면에 적층식 옹벽의 근접시공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브라켓(30B)의 걸고리(31B)에 조절볼트(32B)를 나착하여 그 선단이 관체(20A)를 후퇴시킬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을 요하는 사면에 적층식 옹벽의 근접시공장치.
KR2020000013372U 2000-05-10 2000-05-10 옹벽을 요하는 사면에 적층식 옹벽의 근접시공장치 KR20020106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5127A KR100405270B1 (ko) 2000-05-10 2000-05-10 옹벽을 요하는 사면에 적층식 옹벽의 근접시공방법과 그시공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5127A Division KR100405270B1 (ko) 2000-05-10 2000-05-10 옹벽을 요하는 사면에 적층식 옹벽의 근접시공방법과 그시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1063Y1 true KR200201063Y1 (ko) 2000-11-01

Family

ID=1966838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3372U KR200201063Y1 (ko) 2000-05-10 2000-05-10 옹벽을 요하는 사면에 적층식 옹벽의 근접시공장치
KR10-2000-0025127A KR100405270B1 (ko) 2000-05-10 2000-05-10 옹벽을 요하는 사면에 적층식 옹벽의 근접시공방법과 그시공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5127A KR100405270B1 (ko) 2000-05-10 2000-05-10 옹벽을 요하는 사면에 적층식 옹벽의 근접시공방법과 그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20106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934B1 (ko) * 2007-02-02 2007-04-13 (주)경동기술공사 식생 블록과 앵커 블록의 간격조절장치
KR101000915B1 (ko) * 2010-02-24 2010-12-14 (주)보원 전면부와 보강체의 직접 연결형 옹벽
KR101218722B1 (ko) * 2010-12-30 2013-01-07 주식회사 한포스 절토부 옹벽의 보강재 연결용 앵커 너트
KR102185956B1 (ko) * 2019-01-24 2020-12-02 정재윤 옹벽의 체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7361B1 (ko) * 1998-01-14 2000-03-15 박병영 블록식 보강토 옹벽의 축조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5270B1 (ko) 2003-11-12
KR20010105498A (ko) 2001-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6916B1 (ko) Phc 파일과 강관 파일을 혼용한 흙막이 겸 영구벽체의 시공 방법
KR100917044B1 (ko) 앵커 일체형 이중 벽체 콘크리트 옹벽 시공방법
KR101206344B1 (ko) 프리캐스트 옹벽패널 및 그 시공방법
US7774995B1 (en) Wall restraint system
US11274412B2 (en) Reinforcement structures for tensionless concrete pier foundations and methods of constructing the same
US20220380996A1 (en) Methods for constructing tensionless concrete pier foundations and foundations constructed thereby
US20040079859A1 (en) Concrete panel with gripping ribs and method of use
KR200201063Y1 (ko) 옹벽을 요하는 사면에 적층식 옹벽의 근접시공장치
JP3886261B2 (ja) 法面安定化工法および法面独立受圧装置
KR100778137B1 (ko) 프리스트레스트 수평보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가시설 공법
US6526721B1 (en) Fluid-impervious barrier/keyway form support apparatus, system and related method
JPH1150418A (ja) 橋桁の仮受工法およびこれに用いうる架台
KR200235096Y1 (ko) 사면에 적층식 옹벽의 근접시공장치
KR102060511B1 (ko) 흙막이 벽체용 고강도 phc 파일
JPH0996197A (ja) 支保壁の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2555493B2 (ja) ガイドウォールの施工方法およびその施工用のpc板
KR200201064Y1 (ko) 옹벽을 요하는 사면에 적층식 옹벽의 근접지지장치
JP2001303592A (ja) ブロックの設置固定工法
KR200235097Y1 (ko) 사면에 적층식 옹벽의 근접시공장치
JP2009257006A (ja) グラウンドアンカー工法
JP4553190B2 (ja) 布基礎用型枠装置
KR102613254B1 (ko) 자립 정착형 엄지 말뚝 및 이를 포함하는 흙막이 가시설의 시공 방법
KR20150057518A (ko)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 및 두부 보강 방법
JPH03275806A (ja) 節付きパイル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0952700B1 (ko)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